KR19980074129A -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 Google Patents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129A
KR19980074129A KR1019970009807A KR19970009807A KR19980074129A KR 19980074129 A KR19980074129 A KR 19980074129A KR 1019970009807 A KR1019970009807 A KR 1019970009807A KR 19970009807 A KR19970009807 A KR 19970009807A KR 19980074129 A KR19980074129 A KR 19980074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current
microcomputer
information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호근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0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4129A/ko
Publication of KR1998007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129A/ko

Links

Landscapes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검출기는 이상이 발생한 전류에 대한 정보를 선로 구성상의 보호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고려하지 않아 고장 발생시 고장의 검출 및 고장구간을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적절한 계통복구안을 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선로상의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고장 전류에 따른 각 상의 전류를 추적하여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가 검출한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자기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가 검출한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통신용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하여 고장판단의 자세한 정보를 검출하고, 그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에 전송함으로써 적절한 계통복구안을 수립하여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본 발명은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성점 다중 접지식 배전 선로상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배전기를 보호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계통 고장검출기는 선로의 전류를 검출하여 그 전류의 과부하 등을 비교하여 고장의 유무를 판단한 후, 그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그 호스트 프로세서는 이상이 생긴 구간을 복구하였으며, 이와 같은 종래 배전계통 고장검출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로상의 전류를 검출하는 다수의 변류기를 구비하는 변류부(1)와; 상기 변류부(1)에서 검출된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상기 다수의 변류기에 대응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2)와; 상기 필터부(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와; 상기 멀티플렉서(3)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에이디변환기(4)와; 상기 에이디변환기(4)의 출력신호에서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검출용 마이크로 컴퓨터(5)와; 호스트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용 마이크로 컴퓨터(6)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선로 상에 설치된 다수의 변류기를 구비하는 변류부(1)는 상기 선로상의 전류를 검출한다.
그 다음, 상기 선로상의 전류를 검출한 변류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다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2)는 상기 변류부(1)에서 검출된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제거한다.
그 다음, 마이크로 컴퓨터(도면생략)의 선택신호를 인가 받은 멀티플렉서(3)는 상기 필터부(2)의 다수의 출력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 다음, 상기 멀티플렉서(3)의 출력신호를 인가 받은 에이디변환기(4)는 상기 멀티플렉서(3)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그 다음, 고장검출용 마이크로 컴퓨터(5)는 상기 에이디변환기(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선로의 실효전류의 값을 구하여 선로상의 고장유무를 판단한다.
그 다음, 상기 고장검출용 마이크로 컴퓨터(5)에서 고장이 있다고 판단하면 통신용 마이크로 컴퓨터(6)는 호스트 프로세서(도면생략)에 특정선로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호스트 프로세서는 그 고장 발생구간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계통 고장검출기는 이상이 발생한 전류에 대한 정보와 선로 구성상의 보호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고려하지 않아 고장 발생시 고장의 검출 및 고장구간을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적절한 계통복구안을 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고장발생시 고장의 진전에 따른 각각의 정보를 제공하여 적절한 계통복구안을 선정하는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의 블록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의 내부 알고리즘 순서도.
도4는 도3에 있어서, 과도전류 루틴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입력부 20: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
30:표시부 40:통신용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은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고장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고 표시부상에 표시한 후, 그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이상이 발생한 구간을 제거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계통 고장검출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선로상의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부(10)와; 상기 입력부(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고장 전류에 따른 각 상의 전류를 추적하여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와; 상기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가 검출한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0)와; 상기 자기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가 검출한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도면생략)로 송신하는 통신용 마이크로 컴퓨터(4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배전계통 고장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10)는 각 선로의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류의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 다음,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는 고장전류에 따른 각 상의 전류를 추적하여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이는 도3에 도시한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의 내부 알고리즘의 순서도에서와 같이, 입력부(10)의 출력신호로 부터 각 상 전류의 실효치를 구한 후, 그 실효치로부터 과부하율을 구하고, 그 과부하율로부터 현재의 부하 상태를 판단하며, 과부하율의 천이 상태로부터 돌입전류 및 과도전류가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돌입전류 또는 과도전류가 발생하면 과도전류 루틴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준비를 하게 된다. 또한, 이때 도4는 과도전류 처리루틴의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도전류가 발생하면, 그 과도전류의 과부하 상태의 지속여부를 판단하고, 순간고장을 세팅한 후, 다시 정상상태의 지속여부를 판단하여 정상동작되면 상기 순간고장세팅을 취소한다. 또한, 무부하 상태가 되면 선로를 차단하고, 그 차단횟수를 표시하는 카운터를 증가시킨다. 또한, 과도전류발생후 무부하 생태를 지속할 경우 보호 기기가 선로를 영구히 고장으로 판단하고 영구적인 고장으로 표시한다. 이때, 무부하상태가 일정시간 내에 종료하면 선로가 전위 보호 기기의 재폐로 동작에 의해 다시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구고장표시를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는 고장이 발생한 상, 고장 전류에 따른 보호 기기의 재폐로 횟수, 고장의 영구적 또는 순간적인 것임을 판단하는 고장의 종류, 현재 고장전류의 진행상태를 포함하는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가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게 되면 그 정보를 입력받은 표시부(30)는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또한, 상기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20)의 출력신호를 인가 받은 통신용 마이크로 컴퓨터(40)는 상기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로 송신하고, 그 호스트 프로세서는 고장판단의 정보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구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계통 고장검출기는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고장판단의 자세한 정보를 검출하고, 그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에 전송함으로써 적절한 계통복구안을 수립하여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로상의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각 상의 전류를 추적하여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는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자기 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가 검출한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자기진단용 마이크로 컴퓨터가 검출한 고장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호스트 프로세서로 송신하는 통신용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KR1019970009807A 1997-03-21 1997-03-21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KR19980074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07A KR19980074129A (ko) 1997-03-21 1997-03-21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07A KR19980074129A (ko) 1997-03-21 1997-03-21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29A true KR19980074129A (ko) 1998-11-05

Family

ID=6595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807A KR19980074129A (ko) 1997-03-21 1997-03-21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41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428B1 (ko) * 1999-01-22 2002-05-02 권영한 배전 자동화용 개폐기기의 선로고장 표시 제어장치와 선로고장의 처리방법
KR100345219B1 (ko) * 2000-04-29 2002-07-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고장전류 통과 확인장치
KR20030035014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전력공사 고장표시기와 고장전류값을 함께 고려한 배전계통고장구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0033B1 (ko) * 2008-03-14 2009-01-22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디지털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통신 정보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428B1 (ko) * 1999-01-22 2002-05-02 권영한 배전 자동화용 개폐기기의 선로고장 표시 제어장치와 선로고장의 처리방법
KR100345219B1 (ko) * 2000-04-29 2002-07-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고장전류 통과 확인장치
KR20030035014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전력공사 고장표시기와 고장전류값을 함께 고려한 배전계통고장구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0033B1 (ko) * 2008-03-14 2009-01-22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디지털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통신 정보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2071A (en) Ground fault monitoring device for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009005565A (ja) 配電線事故区間選択遮断装置および配電線事故区間選択遮断方法
WO2009008871A1 (en) Faulted phase decision method between current and voltage based delta phase selectors
KR19980074129A (ko) 배전계통 고장검출기
KR20030069426A (ko) 전력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자동경보 및 계량검침 기능을갖는 전원차단시스템
JP2957187B2 (ja) 計器用変圧器の2次回路断線検出装置
KR100498557B1 (ko) 지락 검출 회로
JPWO2004042883A1 (ja) 保護継電器
JP2004328886A (ja) 自動監視回路
KR102414473B1 (ko) 고속 차단 기능을 가지는 전력 감시 장치 및 방법
JPH0398418A (ja) ディジタル保護継電器の監視装置
KR19990062204A (ko) 개폐기용 고장 표시장치
JP3221000B2 (ja) 配電線の地絡区間決定方法及び装置
KR200256734Y1 (ko) 영상전압치의저장기능을갖는최대지시계
JP3259556B2 (ja) 事故点標定装置
JPH10341531A (ja) 変圧器の過負荷監視システム
JPH0654439A (ja) ディジタル形変圧器保護継電装置
JPH10164758A (ja) 単独運転検出装置
KR930011359A (ko) 디지탈 배전선로 보호시스템
JPH07177665A (ja) 逆充電防止装置
JP5726995B2 (ja) 保護継電装置
JPH02280619A (ja) 開閉器制御装置
JP3189294B2 (ja) 配電線の故障区間決定システム
KR19990065254A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배전 제어 단말장치
JP3975647B2 (ja) アナログ入力回路の監視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