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520A -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520A
KR19980073520A KR1019970008836A KR19970008836A KR19980073520A KR 19980073520 A KR19980073520 A KR 19980073520A KR 1019970008836 A KR1019970008836 A KR 1019970008836A KR 19970008836 A KR19970008836 A KR 19970008836A KR 19980073520 A KR19980073520 A KR 19980073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d
input device
setting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3520A/ko
Priority to US09/042,003 priority patent/US6211862B1/en
Publication of KR19980073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유선 및 무선으로 겸용하여 사용 가능한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선 및 무선으로 겸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무선으로 사용시에는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여 무선 송·수신에 따른 동종 기기 간의 상호 혼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유선으로 사용시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선 및 무선으로 사용 가능한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keyboard)는 유선으로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근 무선으로 사용 가능한 무선 키보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은 유선 키보드를 사용한 컴퓨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무선 키보드를 사용한 컴퓨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선 키보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본체(10)와, 이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15)와, 상기 컴퓨터 본체(10)에 연계된 입력장치로서 유선 키보드(2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가적인 입력장치로서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출력장치로서 프린터(printer), 플로터(plotter)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키보드(20a)의 경우는 컴퓨터 본체(20a)와 DIN 컨넥터 케이블(DIN connector cable, 24)로 연계되며, 이를 통하여 키입력에 따른 소정의 데이터 신호(data signal)가 상기 컴퓨터 본체(10)로 입력된다. 그런데 상기 DIN 컨넥터 케이블(24)의 길이는 표준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정 거리 이상으로 키보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었다. 왜냐하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상기 DIN 컨넥터 케이블(24)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DIN 컨넥터 케이블(24)에 유입되는 노이즈 등으로 인하여 데이터의 입력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가 더욱 대형화되는 추세에서 일정거리 이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유선 키보드의 문제점은 더욱 증가되었다.
이러한 유선 키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키보드가 제안되었다.
도 2를 참조하여, 무선 키보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본체(10)와, 모니터(15)와, 무선 키보드(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유선 키보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과 동일하게 부가적인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무선 키보드의 경우, 유선 키보드의 문제점은 해결되었으나 다른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무선 키보드(20b)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터리(battery)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적외선을 사용한 무선 키보드의 경우는 항상 컴퓨터 본체의 수신부와 직선상에 무선 키보드가 위치하여야 정상적인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대의 무선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그들 상호간의 혼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선 및 무선으로 겸용하여 사용 가능한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무선 송·수신시 입력장치를 사용함에 상호 혼신이 발생하지 않는 유·무선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선으로 사용시 자동으로 배터리의 충전이 제어되는 유·무선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은 유선 키보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무선 키보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키보드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키보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DIN 컨넥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키보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본체12, 41 : DIN 잭
15 : 모니터20a : 유선 키보드
20b : 무선 키보드24, 50 : DIN 컨넥터 케이블
40 : 유·무선 겸용 키보드42 : 유·무선감지 및 선택부
43 : 마이컴44 : DIP 스위치
45 : 키보드 메트릭스46 : 유·무선 송신부
47 : 배터리 충전 제어부48 : 배터리
52a, 52b : DIN 플러그
(구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유·무선 겸용 입력장치는 : 양단에 동일한 플러그를 구비한 착탈 가능한 컨넥터 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잭과; 상기 잭과 상기 플러그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유·무선 사용을 선택하는 유·무선 감지 선택부와; 무선 사용시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잭에 연결되어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키입력에 따른 데이터가 상기 컨넥터 케이블을 통해 출력되게 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잭에 연결되지 않아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키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 출력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유·무선 입력 장치는 : 양단에 동일한 플러그를 구비한 착탈 가능한 컨넥터 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잭과; 상기 잭에 상기 플러그가 연결되었는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유·무선 사용을 선택하는 유·무선 감지 선택부와; 무선 사용시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 사용시 내부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와; 유선 사용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고, 상기 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유·무선 입력 장치는 : 양단에 동일한 플러그를 구비한 착탈 가능한 컨넥터 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잭과; 상기 잭에 상기 플러그가 연결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유·무선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유·무선 사용을 선택하는 유·무선 감지 선택부와; 무선 사용시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 설정부와; 상기 유·무선 감지신호를 제공받고, 무선 사용시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설정 상태에 따라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키보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사용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해당되는 아이디 데이터를 키입력 데이터에 부가하여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사용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송·수신 주파수를 해당되는 주파수로 변경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설정부는 DIP 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는 : 양단에 동일한 플러그를 구비한 착탈 가능한 컨넥터 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잭과; 상기 잭에 상기 플러그가 연결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유·무선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유·무선 사용을 선택하는 유·무선 감지 선택부와;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 설정부와; 상기 유·무선 감지신호를 제공받고, 무선 사용시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설정 상태에 따라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키보드 제어부와; 무선 사용시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유선 사용시 상기 잭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배터리의 충전 제어를 수행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사용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해당되는 아이디 데이터를 키입력 데이터에 부가하여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사용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송·수신 주파수를 해당되는 주파수로 변경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설정부는 DIP 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양단에 동일한 플러그를 구비한 착탈 가능한 컨넥터 케이블과, 이와 연결가능한 잭과, 유·무선 감지 선택부와, 아이디 설정부와, 키보드 제어부와, 무선 송·수신부와, 충전 제어부와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 (1) 상기 컨넥터 케이블의 플러그가 상기 잭에 연결되어 있는가를 감지하여 유·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2)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잭에 미연결되어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설정 상태에 따라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는 단계와; (3)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잭에 연결되어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레벨을 체크하고, 상기 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와; (4) 유·무선 상태에 따라 키입력시 해당 키보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5) 상기 키 보드 동작중 유·무선 상태의 변환이 있는가 판단하여, 변환이 있는 경우는 상기 단계 (1)로 진행하고, 변환이 없는 경우는 상기 단계 (4)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해당되는 아이디 데이터를 키입력 데이터에 부가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키보드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 설정부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송·수신 주파수를 해당되는 주파수로 변경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유선의 경우, 상기 잭으로 키입력 데이터가 출력되고, 무선의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 키입력 데이터가 출력된다.
(작용)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무선 겸용 키보드에 의하면, 유선 및 무선으로 겸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무선 사용시에는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여 무선 송·수신을 하게 되므로 타 무선 키보드에 의한 에러가 방지되며, 유선으로 사용시에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자동으로 충전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키보드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키보드(40)는 크게 DIN 컨넥터 케이블(52)과, DIN 잭(DIN jack, 41)과, 유·무선 감지 및 선택부(42)와, 키보드 제어를 위한 마이컴(43)과, 사용자 아이디(User ID) 설정을 위한 DIP 스위치(44)와 복수개의 키로 구성된 키보드 매트릭스(45)와, 배터리 충전 제어부(47)와, 충전용 배터리(48)와, 무선 송·수신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DIN 컨넥터 케이블(50)은 양단에 동일한 DIN 플러그(DIN plug, 52a, 52b)가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유·무선 키보드(40)를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각기 컴퓨터 본체(10)의 DIN 잭(12)과, 상기 유·무선 키보드(40)의 DIN 잭(41)에 각각 DIN 플러그(52a, 52b)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IN 컨넥터가 첨부 도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도는 DIN 플러그(52a, 52b)를 보여주고, 도 5B에는 상기 DIN 플러그(52a, 52b)가 연결되는 DIN 잭(12, 41)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바와 같이, DIN 플러그(52a, 52b)의 핀 구성은 키보드 클락, 전원(GND, Vcc), 데이터, 미사용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DIN 컨넥터는 5핀 규격이며, 이외에도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각기 그 규격이 정해져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유·무선감지 및 선택부(42)는 상기 DIN 잭(41)에 상기 DIN 플러그(52a)가 연결되어 있는가를 감지하여 유·무선 선택을 하며, 그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43)으로 제공한다.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마이컴(43)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DIN 잭(41)으로 출력하므로 상기 DIN 컨넥터 케이블(50)을 통하여 컴퓨터 본체로 키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46)로 키입력 데이터가 제공되고, 무선 송·수신부(46)는 이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 본체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43)은 상기 DIP 스위치(44)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고, 키보드 매트릭스(45)로부터 입력되는 키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받아 현재 설정된 사용자 아이디를 포함하여 상기 유·무선감지 및 선택부(42)로 출력한다. 또는 상기 DIP 스위치(44)의 설정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46)의 송·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혼신을 방지할 수도 있다. 컴퓨터 본체(10)에도 이와 동일하게 DIP 스위치를 구비하여 동일하게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거나 송·수신 주파수를 변경한다.
한편,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부(47)는 상기 DIN 잭(41)을 통해 컴퓨터 본체(10)로부터 전원(Vin)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현재 배터리(48)의 전원 레벨을 판단하여 충전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유선으로 사용할 때에는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져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은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키보드의 제어 방법을 첨부 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유·무선 키보드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단계 S100에서 유·무선 상태를 판단하여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키보드 제어부(43)는 상기 아이디 설정부(44)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해당되는 아이디 데이터를 키입력 데이터에 부가하거나, 아이디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46)의 송·수신 주파수를 해당되는 주파수로 변경되게 한다.
한편,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배터리(48)의 전원 레벨을 체크하고, 필요시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어 단계 S130에서는 키입력에 따른 키보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잭(41)으로 키입력 데이터가 출력되고, 무선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46)로 키입력 데이터가 출력된다.
계속하여, 단계 S140에서는 모드가 변환되었는가 즉, 유·무선 상태가 변환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모드가 변환된 경우는 상기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유·무선 상태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모드가 변환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단계 S130으로 진행하여 정상적인 키보드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판단하여, 유·무선중에 해당되는 경우로 키보드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사용도중 유·무선 상태를 변경하여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DIP 스위치의 설정에 따른) 사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을 한다. 그러므로 일정한 구역에서 동일한 무선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따른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유선 키보드와 무선 키보드의 단점이 모두 보완된다. 즉, 어느 위치에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유선 또는 무선)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며, 무선으로 사용시 혼신 및 잡음으로 인한 오동작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 배터리의 사용으로 배터리 교환에 따른 불편함이 없다.

Claims (6)

  1.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
    양단에 플러그(52a, 52b)를 구비한 착탈 가능한 컨넥터 케이블(50)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 플러그(52a)와 연결되는 잭(41)과;
    상기 잭(41)과 상기 플러그(52a)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유·무선 사용을 선택하는 유·무선 감지 선택부(42)와;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43)와;
    무선 사용시 키입력 데이터의 무선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입력장치.
  2.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연결되는 컨넥터 케이블(50)과;
    상기 컨넥터케이블이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연결되었는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유·무선 사용을 선택하는 유·무선 감지 선택부(42)와;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43)와;
    무선 사용시 키입력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46)와;
    무선 사용시 내부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48)와;
    유선 사용시 상기 잭(41)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Vin)을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48)의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제어부(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케이블(50)은 플러그(52a)와 잭을 더 구비하여 입력장치와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무선 사용시 상기 키보드 제어부(43)는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 설정부(44)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아이디 설정부(44)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해당되는 아이디 데이터를 키입력 데이터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입력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무선 사용시 상기 제어부(43)는 사용자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 설정부(44)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아이디 설정부(44)의 아이디 설정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46)의 송·수신 주파수를 해당되는 주파수로 변경되게 하는 유·무선 겸용 입력장치.
  6. 컴퓨터 시스템의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
    (1) 유·무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2) 유선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컨넥터 케이블(50)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Vin)을 이용하여 배터리(48)의 충전을 제어하는 단계(S120)와;
    (3) 유·무선 상태에 따라 키입력시 해당 키보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겸용 키보드의 제어 방법.
KR1019970008836A 1997-03-15 1997-03-15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9980073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836A KR19980073520A (ko) 1997-03-15 1997-03-15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09/042,003 US6211862B1 (en) 1997-03-15 1998-03-13 Wire/wireless keyboard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836A KR19980073520A (ko) 1997-03-15 1997-03-15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520A true KR19980073520A (ko) 1998-11-05

Family

ID=1949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836A KR19980073520A (ko) 1997-03-15 1997-03-15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11862B1 (ko)
KR (1) KR19980073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79A (ko) * 1998-07-14 2000-02-07 윤종용 유, 무선의 주변장치를 동시에 지원하는 컴퓨터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8050A (en) * 1997-09-17 2000-10-24 Logitech, Inc. Antenna system and apparatus for radio-frequency wireless keyboard
US6243079B1 (en) * 1998-07-07 2001-06-05 Primax Electronics, Ltd. Initialization method for one-way communications and apparatus for use therewith
KR100340423B1 (ko) * 1999-07-28 2002-06-12 이형도 트랙볼을 장착한 무선키보드의 데이터 송신방법
US6615283B1 (en) * 2000-01-07 2003-09-02 Silitek Corporation Keyboard system
US7129930B1 (en) * 2000-04-06 2006-10-31 Micron Technology, Inc. Cordless computer keyboard with illuminated keys
US20070063978A1 (en) * 2000-04-06 2007-03-22 Cathey David A Cordless computer keyboard with illuminated keys
US6710769B2 (en) * 2001-06-04 2004-03-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ing device that records operator inputs
JP2002366284A (ja) * 2001-06-08 2002-12-20 Alps Electric Co Ltd 携帯電子機器用キーボード装置及び充電装置
JP3857566B2 (ja) * 2001-10-30 2006-12-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
US7336602B2 (en) * 2002-01-29 2008-02-2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wired communications interface
JP2004038332A (ja) * 2002-06-28 2004-02-0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7558892B2 (en) * 2002-08-08 2009-07-07 Agere Systems Inc. Processing device peripheral with integral network interface circuitry
US20040183784A1 (en) * 2003-03-19 2004-09-23 Cheana Chang Keyboard either cable connected or wireless
WO2005043333A2 (en) * 2003-10-31 2005-05-12 Jaalaa, Inc. Computer interface with both wired and wireless links
US7753788B2 (en) * 2004-01-30 2010-07-13 Microsoft Corporation Game controller that converts between wireless operation and wired operation
TWM266618U (en) * 2004-07-19 2005-06-01 Behavior Tech Computer Corp Multiple output connection head with wireless data collection capability
JP2008129965A (ja) * 2006-11-24 2008-06-05 Sony Corp 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TWI373185B (en) * 2006-12-21 2012-09-21 Wistron Corp Power supply system and related power management method for a wireless control device
US20160170460A1 (en) * 2014-12-16 2016-06-16 Gregory Winfrey Backup power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928A (en) 1985-10-30 1988-10-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Hand-held wireless computer controller system
JP2621414B2 (ja) 1988-09-17 1997-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ードレスキーボード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FR2644612B1 (fr) * 1989-03-17 1993-12-24 Thomson Csf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transmission et l'enregistrement de messages codes numeriquement
US5267181A (en) 1989-11-03 1993-11-30 Handykey Corporation Cybernetic interface for a computer that uses a hand held chord keyboard
US5189543A (en) * 1990-11-19 1993-02-23 Acer Incorporated Infra-red wireless keyboard system
JP2730810B2 (ja) * 1991-05-10 1998-03-2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440502A (en) * 1991-12-26 1995-08-08 Dell Usa, L.P. Stylus operable computer with wireless keyboard in storage bay
US5247285A (en) 1992-03-06 1993-09-21 Everex Systems, Inc. Standup portable personal computer with detachable wireless keyboard and adjustable display
JP2829185B2 (ja) * 1992-03-30 1998-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伝送方法
US5410305A (en) * 1992-07-10 1995-04-25 Intelligent Peripheral Devices, Inc. Portable computer keyboard
US5615393A (en) 1993-03-15 1997-03-25 Elonex I.P. Holdings Ltd. Computer system having a cordless keyboard and an induction coil in a plug-in electronic card module
US5644338A (en) 1993-05-26 1997-07-01 Bowen; James H. Ergonomic laptop computer and ergonomic keyboard
GB2291722A (en) * 1994-07-15 1996-01-31 Ibm Cordless coupling for peripheral devices.
US5708458A (en) * 1994-12-15 1998-01-1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sing the digitizer sensor loop array of a computing device as an antenna for a radio frequency link to an external data source
US5675390A (en) * 1995-07-17 1997-10-07 Gateway 2000, Inc. Home entertainment system combining complex processor capability with a high quality display
JPH0962419A (ja) * 1995-08-25 1997-03-07 Mitsumi Electric Co Ltd ワイヤレスデータ入力装置
US5949643A (en) * 1996-11-18 1999-09-07 Batio; Jeffry Portable computer having split keyboard and pivotal display screen halves
KR100276257B1 (ko) * 1997-04-07 2000-12-15 이형도 전원공급장치 판별기능을 갖는 유무선 겸용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79A (ko) * 1998-07-14 2000-02-07 윤종용 유, 무선의 주변장치를 동시에 지원하는 컴퓨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11862B1 (en) 2001-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3520A (ko) 유.무선 겸용 입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6304250B1 (en) Wire/wireless keyboard with pointing device attachable thereto, computer system for use with the same, and related method
KR100276257B1 (ko) 전원공급장치 판별기능을 갖는 유무선 겸용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15052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900002744B1 (ko) 원격조작회로
KR100203745B1 (ko) 에이디씨-키 패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568703A (zh) 配件和摄像设备
JP4573300B2 (ja) 診断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100305312B1 (ko) 인터페이스장치
US6839781B1 (en) Wireless key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067547A1 (en) USB device
JP2002116853A (ja) Usb搭載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usbケーブル
JP4514883B2 (ja) 双方向無線通信可能な情報機器
KR2004005544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US8755291B2 (en) Network interface apparatus with power management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KR100345597B1 (ko) 휴대단말기의 외장 키보드 접속 방법
US5570110A (en) Operational input apparatus
JPH07218562A (ja) 電源装置
CN111527473A (zh) 软件更新装置及利用其的软件更新方法
EP1091281B1 (en) Computer peripheral unit communication system
KR100245339B1 (ko) 인터넷 셋탑박스의 다접점방식 리모콘신호 처리 장치
KR100314631B1 (ko) 유무선 키보드를 위한 유무선검출 및 전원선택회로
KR19990030572A (ko) 저전력 소모용 입력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
CN114297116A (zh) 一种第一终端、第二终端及usb切换系统
KR19990024613A (ko) 유무선 겸용키보드의 유무선 검출 및 전원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