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425A - 다전극 플라즈마 표시소자 - Google Patents

다전극 플라즈마 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425A
KR19980073425A KR1019970008679A KR19970008679A KR19980073425A KR 19980073425 A KR19980073425 A KR 19980073425A KR 1019970008679 A KR1019970008679 A KR 1019970008679A KR 19970008679 A KR19970008679 A KR 19970008679A KR 19980073425 A KR19980073425 A KR 19980073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charge
electrodes
pdp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517B1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7000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51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H01J17/492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with cros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구성의 다전극 PDP를 개시한다.
다전극 PDP는 기본적으로 AC방전을 하게 되므로 발광휘도의 향상은 가능하지만 어드레싱이 곤란한 바, 본 발명에서는 방전공간에 노출된 노출전극과 대향측의 전극과의 직률방전으로 화소를 어드레싱하고 유전층이 피복된 복수의 매립전극간의 교류방전으로 유지방전을 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어드레싱이 가능한 고휘도의 PDP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전극 플라즈마 표시소자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전극 플라즈마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기체공간으로 이격된 두 접점간에 어느 이상의 전위차가 인가되면 공간방전이 일어나는 기체방전현상을 화상표시에 이용하는 플라즈마 표시소자(PDP;Plasma Display Panel)는, 그 기본적인 구성이 그 사이에 방전기체가 충전된 두 기판에 전극을 교차대향 배열한 직류(DC)형 PDP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DC형 PDP는 비선택시 방전유지가 불가능하여 고해상도나 동화상 표시시 발광휘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교류(AC)방식이나 트리거(trigger)방식등 속동성(速動性)과 메모리(memory)효과를 가지는 여러 가지 방식의 PDP가 출원하였는 바, 도1에 도시한 다전극 PDP도 그중 하나이다.
도 1에서, 그 사이에 방전기체가 충전된 두 기판(P1,P2)에는 전극(E1,E2)이 교차 대향배열되어 있고, 어느 한 기판, 주로 전면기판(P1)의 전극(E1)은 횡(橫)방전에 의한 면(面)방전의 유도를 위해 복수의 전극(S1-S3)들로 구성되어 유전층 (I)으로 피복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S1-S2)들은 제1내지 제2전극이든가(3전극 PDP), 또는 점선으로 표시된 S3까지 셋이상으로 구성(4전극 PDP)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이러한 방식의 PDP를 다전극 PDP로 호칭하고 있다. 복수의 전극(S1-S2)들은 어느 하나가 대향측의 전극(E2)과 개시방전을 일으킨 후 상호간에 유지방전을 교호적으로 일으킴으로써 면방전을 유도하게 되므로, 모두가 유지전극이라 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의 PDP에서와 같이 주전극과 보조전극의 구분은 없게 된다.
이러한 다전극 PDP는 기본적으로 벽전하(wall discharge)를 이용하는 AC형 PDP의 작용을 하는 바, 먼저 어느 한 전극, 예를들어 제2전극(S2)과 대향측의 배면전극( E2) 간에 개시방전(V1)을 일으켜 방전을 개시한 뒤 다른 전극(S1 및/또는 S2)과 이 제2전극(S2)간에 교호적으로 유지방전(V2)을 일으켜 소거전압의 인가시까지 방전을 유지함으로써 고휘도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다전극 PDP의 작용은 해당화소에 대한 선택, 즉 어드레싱(addressing)과 선택된 화소에 대한 방전의 유지(sustain)로 이루어 진다고 볼수 있는데, AC형 방전은 벽전하의 형성 및 전자사태(沙汰)를 이용하므로 그 특성상 방전의 유지는 용이하지만 화소의 기입 및 소거, 즉 어드레싱이 상당히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DC형 방전은 선택시에만 방전하므로 방전의 유지는 불가능하지만 어드레싱은 단순 매트릭스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매우 간단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어드레싱이 용이하여 구동이 간단하면서도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다전극 PDP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다전극 PDP의 기본적인 구조와 작용을 보이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PDP의 한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 PDP의 다른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2 : 기판E1,E2 : 전극
노출(露出)전극S1 : 제1전극
매립(埋立)전극S1-S4 : 제1 내지 제4전극
상술한 목적을 달성학는 본 발명의 다전극 PDP는 일측기판에 적어도 셋이상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다전극 PDP에 있어서, 이 복수의 전극이 방전공간에 노출된 적어도 한 노출(露出)전극과 유전층으로 피복된 적어도 둘이상 복수의 매립(埋立)전극으로 구성되어, 노출전극이 대향측전극과 직류방전을 하고, 복수의 매립전극이 상호 교류방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소의 선택이 단순 매트릭스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극히 간단하고 매립전극간에 유지방전이 이루어져 발광휘도 향상이 가능한 하이브리드(hybrid)방식의 다전극 PDP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본 발명 다전극 PDP는 직류방전의 용이한 어드레싱과, 교류방전의 방전유지(메모리효과)특성을 동시에 구현하여 구동이 용이하면서도 발광휘도가 높은 PDP를 구현하게 된다.
[실시예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서, 그 사이에 방전기체가 충전되어 방전공간(V)을 형성하는 기판(P1,P2)에는 전극(E1,E2)이 교차대향 배열되는데, 한 전극(E1)은 적어도 셋 이상의 복수의 전극, 예를들어 제1내지 제3전극(S1-S3)으로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다전극 PDP의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한 전극, 예를들어 제1전극(S1)은 방전공간(V)에 노출된 노출전극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둘이상인 나머지 전극, 예를들어 제2 및 제3전극(S2,S3)만이 유전층(I)이 피복되어 매립전극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노출전극인 제1전극(S1)은 대향측 전극(E2)과의 사이에 직류방전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게 되는 바, 이것이 개시방전(V1)이다. 한편 유전층(I)으로 피복된 두 매립전극(S2,S3)은 유전층(I)을 통한 벽전하의 형성으로 교류방전을 하게 되는 바, 이것이 유지방전(V2)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다전극 PDP는 직류방전과 교류방전이 교호적으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방식의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때 두 매립전극(S2,S3)간의 교류방전에 의해 방전공간(V)에 하전입자가 충만되어 있으므로 노출전극(S1)과 대향측 전극(E1)간의 직류방전은 낮은 방전개시전압으로 신속히 방전을 개시할 수 있어서 단순한 직류방전에 비해 화서선택이 속동성이 보장된다.
즉 본 발명 다전극 PDP는 직류방전의 용이한 어드레싱과, 교류방전의 방전유지(메모리효과)특성을 동시에 구현하여 구동이 용이하면서도 발광휘도가 높은 PDP를 구현하게 된다.
[실시예 2]
이와 같은 도2의 실시예는 그 효과가 우수하지만, 유전층(I)이 두 매립전극(S2,S3)만을 피복하도록 구성되므로 제조상 유전층(I)의 패턴 인쇄나 패터닝(patterning)과정이 필요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도3의 실시예에서는 매립전극인 제2 및 제3전극(S2,S3)의 형성 후 유전층(I)을 전면형성하고, 이 유전층(I)상에 노출전극인 제1전극(S1)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2의 실시예의 기능과 효과를 그대로 구현하면서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그런데 실시예1 및 2의 구성에 의하면 노출전극(S1)의 투영면적은 개시방전(V1)에만 사용되고 유지방전(V2)에는 기여할 수 없으므로 PDP의 전체적인 유효면적이 감소될 수밖에 없다. 이에따라 유전층(I)이 전면적으로 형성되는 도3의 구성에서 노출전극(S1)하부의 유전층(I)내에 제4전극을 또 하나의 매립전극으로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 제4전극(S4)과 인접한 매립전극, 즉 제2전극(S2)과의 사이에도 유지방전(V2)을 일으킬 수 있게되고, 그 결과 세 매립전극(S2-S4)간에 전면적인 유지방전(V2)을 발생되어 유효면적의 확대 및 이에따른 발광휘도의 현저한 증대가 가능하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휘도의 달성이 가능하면서도 구동이 용이한 다전극 PDP가 제공된다.

Claims (3)

  1. 일측기판에 적어도 셋 이상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다전극 PDP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이 방전공간에 노출된 적어도 한 노출(露出)전극과 유전층으로 피복된 적어도 둘이상 복수의 매립(埋立)전극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출전극이 대향측전극과 직류방전을 하고,
    상기 복수의 매립전극이 상호 교류방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극 플라즈마 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전극상에 상기 유전층이 전면형성되고,
    상기 노출전극이 상기 유전층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극 플라즈마 표시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전극하부의 상기 유전층내에 상기 매립전극들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지방전을 일으키는 다른 매립전극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전극 플라즈마 표시소자.
KR1019970008679A 1997-03-14 1997-03-14 다전극플라즈마표시소자 KR10045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79A KR100450517B1 (ko) 1997-03-14 1997-03-14 다전극플라즈마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79A KR100450517B1 (ko) 1997-03-14 1997-03-14 다전극플라즈마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425A true KR19980073425A (ko) 1998-11-05
KR100450517B1 KR100450517B1 (ko) 2004-11-26

Family

ID=3736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679A KR100450517B1 (ko) 1997-03-14 1997-03-14 다전극플라즈마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5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86B1 (ko) * 1997-08-18 2004-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표시장치
KR100490530B1 (ko) * 2000-02-10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86B1 (ko) * 1997-08-18 2004-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표시장치
KR100490530B1 (ko) * 2000-02-10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517B1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89453A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3687715B2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320357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259768A (ja) Ac型pdp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303605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12471A (ja) プラズマ表示装置
JPH11288250A (ja) プラズマ表示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450517B1 (ko) 다전극플라즈마표시소자
KR100300858B1 (ko) 플라즈마 표시패널 및 그 구동방법
JP2000331619A (ja) 表示用放電管
JP364478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226166B1 (ko) 교류형 플라즈마 표시소자
JPH09259767A (ja) Ac型pdp及びその駆動方法
CN100538980C (zh) 等离子体显示器
KR100327352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JPH0765727A (ja)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298556B1 (ko) 고주파를이용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의구동방법
KR100285621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구동방법
JP296351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622696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480752B1 (ko) 다전극플라즈마표시소자
JPH09160522A (ja) Ac型pdp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表示装置
KR100509601B1 (ko) 촉화전자를 제공하기 위한 보조 전극을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1003539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376489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