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286A -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286A
KR19980073286A KR1019970008462A KR19970008462A KR19980073286A KR 19980073286 A KR19980073286 A KR 19980073286A KR 1019970008462 A KR1019970008462 A KR 1019970008462A KR 19970008462 A KR19970008462 A KR 19970008462A KR 19980073286 A KR19980073286 A KR 19980073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fixing plate
guide vane
guide
guide v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3942B1 (ko
Inventor
박영수
김형섭
Original Assignee
김종문
한라시멘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문, 한라시멘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문
Priority to KR101997000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94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공기유입구로부터 분급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베인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변형이나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내부의 분급실(2)을 향하여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공기유입구(3)의 단면상 상하단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기 공기유입구(3)를 통하여 분급실(2)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베인(4)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에 배치된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에서 외측을 향하여 다수개의 끼움홈(5a)들을 형성하여서 된 고정판(5)을 구비하고, 그 고정판(5)의 끼움홈(5a)내에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이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5)으로서 가이드베인(4)들의 수직방향 중간을 일연체로서 연결하여서 지지되도록 하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이다.

Description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본발명은 분쇄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분체를 원심분리하여 정분과 조분으로 분리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공기유입구로부터 분급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베인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변형이나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세라믹원료, 분말형태의 화학품 또는 식품, 슬러지등의 분체 분쇄공정에서, 일정입도로 분쇄된 원료를 공급받아 일정기준의 입도를 가진 정분은 선택하고, 그 기준에 미달하는 조분은 다시 순환시켜 재분쇄될 수 있도록 분리 선별하여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분급기를 설치 운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분급기는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서 개발되어 있으며, 그중에서 보편적인 분급기는 원통형의 분급실 내부로 분체원료를 공급하는 분체주입구와 함께 상기 분급실의 접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분급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분체를 분산시키면서 접선방향으로 송입되는 공기로서 정분을 선별하여 주는 원심로터와, 상기 원심로터의 하부에 연접되어지며 분급실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선별된 정분을 배출하여 주는 정분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분급실의 하부에 일연체로서 형성되어 그 분급실에서 분리 낙하되는 조분을 배출하여 주는 조분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분급기에서의 가이드베인은 본체 내부의 분급실을 향하여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구의 내주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공기유입구로부터 분급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축심방향으로 안내하여 주어서, 회전되는 원심로터와의 상호작용으로 공급되는 분체를 분산시켜서 분급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이드베인은 그 각각의 상하단은 공기유입구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력을 가지게 되나, 그 가이드베인의 중간부위는 고정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상대적으로 지탱력이 취약한 결함이 있었다.
특히,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베인의 단면두께를 얇게 성형하는 추세임을 감안하여 볼 때, 그 가이드베인 자체의 중간부위 지탱력은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었다.
상기한 결과로 종래의 가이드베인은 첫째, 분체분급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영향에 의하여 쉽게 형태가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공기유입구로부터 분리이탈되어 훼손될 염려가 상존하였으며, 둘째,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임의로 유동됨에 따라 오히려 공급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고정판으로서 가이드베인들 중간을 연결하여서 지지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의도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안내하여 주어서 분체의 분급능률을 극대화하여 주며, 둘째, 가이드베인 상호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그 자체의 형태변형이나 훼손됨을 방지하여서 수명연장을 꾀하여 주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가이드베인이 고정판으로서 지지한 상태를 예시한 분급기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발명의 가이드베인이 고정판으로서 지지되어 공기유입구에 착설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가이드베인이 빗각으로 형성된 고정판의 끼움홈에 끼워져서 지지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가이드베인이 경사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고정판으로서 지지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분급실, 3 : 공기유입구, 4 : 가이드베인, 5 : 고정판, 5a : 끼움홈
본발명도 본체(1) 내부의 분급실(2)을 향하여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공기유입구(3)의 단면상 상하단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기 공기유입구(3)를 통하여 분급실(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베인(4)과 동일한 기술적 개념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분급기용 가이드베인(4)의 지지구조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에 배치된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에서 외측을 향하여 다수개의 끼움홈(5a)들을 형성하여서 된 고정판(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의 끼움홈(5a)내에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이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5)으로서 가이드베인(4)들의 수직방향 중간을 일연체로서 연결하여서 지지되도록 함을 그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분급기용 가이드베인(4)의 지지구조는 상기 공기유입구(3)의 단면 상하단에 접합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그 각각의 가이드베인(4)의 수직방향 중간부위의 지탱력이 취약한 종래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분급기용 가이드베인(4)의 지지구조는 상기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에 배치된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의 수직방향 중간부위를 고정판(5)으로서 일연체로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에 대응하여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M은 모터, 6은 원심로터, 7은 정분배출관, 8은 조분배출관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이드베인(4)들은 본체(1) 내부의 분급실(2)을 향하여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베인(4)들은 그 각각이 공기유입구(3)의 단면 상하단에 부착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베인(4)들의 외측 끝단이 상기 고정판(5)의 끼움홈(5a)내에 끼워지도록 하여서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판(5)들은 가이드베인(4)들의 수직방향 중간에 위치되도록 착설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고정되어 있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지탱력이 취약한 가이드베인(4)의 중간부에 고정판(5)이 위치 착설되도록 하여서, 그 가이드베인(4) 전체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견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5)은 가이드베인(4)의 높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더욱 가이드베인(4)의 지지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베인(4)들을 고정지지하여 주는 고정판(5)이 공기유입구(3)의 출구 측 공간을 수평하게 등분하여 줌으로써, 상기 공기유입구(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횡분할하여 방향성있게 안내할 수 있어, 분급실(2)내에 공급된 분체가 재응집됨이 없이 낙하되도록 하여서 2차적인 분급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부수적인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판(5)의 끼움홈(5a)들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하여서, 그 고정판(5)의 끼움홈(5a)에 각기 끼워지는 가이드베인(4)들이 상기 공기유입구(3)의 내경에 대하여 직각으로 부착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고정판(5)의 끼움홈(5a)들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대략 15-20°의 빗각(θ1)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그 고정판(5)의 끼움홈(5a)에 각기 끼워지는 가이드베인(4)들이 전체적으로 상기 공기유입구(3)의 내경에 대하여 빗살형상으로서 부착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유입구(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접선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여서, 분급실(2)내에 공급된 분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5는 본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고정판(5)은 전체적으로 외측단에서 내측단측으로 대략 10-60°의 소정 경사각(θ2)으로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공기유입구(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수평 및 하향기류로써 분급실(2)내에 유도되도록 하여서, 분체중의 정분은 원심로터내로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는 조분은 재응집됨이 없이 곧바로 배출되도록 배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3)로부터 분급실(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이드베인(4)들이 축심방향으로 안내하여 주게 되어, 분급실(2) 내에서 회전되는 원심로터와의 상호작용으로 공급되는 분체를 분산시키면서 일정 입도의 정분은 분급실(2)내로 선별 분리되도록 하여서 정분배출관을 통하여 집진기에 모아질 수 있도록 하고, 조분은 자중에 의하여 분급실(2)에서 낙하되어 조분배출관을 통하여 분쇄기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베인(4)들이 공기유입구(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충돌되어서 유동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이 고정판(5)으로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가이드베인(4)들의 상호간의 결속력을 배가시켜 자체적인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공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고정판(5)으로서 가이드베인(4)들의 중간을 연결하여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첫째,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가이드베인(4)이 임의로 유동됨을 방지하여 주어서 공기흐름을 방해함이 없이 설정된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여 주게 되는 것이며, 둘째, 가이드베인(4)이 공기흐름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상태로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뒤틀림과 같은 형태 변형이나 훼손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며, 셋째, 공기흐름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베인(4)을 최대한 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저항을 감소시켜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본체(1) 내부의 분급실(2)을 향하여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공기유입구(3)의 단면 상하단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기 공기유입구(3)를 통하여 분급실(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베인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3)의 내주면 둘레에 배치된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에서 외측을 향하여 다수개의 끼움홈(5a)들을 형성하여 된 고정판(5)을 구비하고, 그 고정판(5)의 끼움홈(5a) 내에 각각의 가이드베인(4)들이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5)으로서 가이드베인(4)들의 수직방향 중간을 일연체로서 연결하여서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의 끼움홈(5a)들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15-20°의 빗각(θ1)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그 고정판(5)의 끼움홈(5a)에 각기 끼워지는 가이드베인(4)들이 전체적으로 상기 공기유입구(3)의 내경에 대하여 빗살형상으로서 부착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은 전체적으로 외측단에서 내측단으로 10-60°의 경사각(θ2)으로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5)은 가이드베인(4)의 높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개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KR1019970008462A 1997-03-13 1997-03-13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KR10020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462A KR100203942B1 (ko) 1997-03-13 1997-03-13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462A KR100203942B1 (ko) 1997-03-13 1997-03-13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286A true KR19980073286A (ko) 1998-11-05
KR100203942B1 KR100203942B1 (ko) 1999-06-15

Family

ID=1949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462A KR100203942B1 (ko) 1997-03-13 1997-03-13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136B1 (ko) * 2004-12-30 2006-08-22 이재형 오일 제거 필터용 가이드 베인의 효율적인 지지를 위한 고정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136B1 (ko) * 2004-12-30 2006-08-22 이재형 오일 제거 필터용 가이드 베인의 효율적인 지지를 위한 고정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942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846B2 (en) Method for classifying a ground material-fluid mixture and mill classifier
US6827221B1 (en) Mill classifier
US4786406A (en) Particle classifier with wear-resistant classifier wheel
KR102613097B1 (ko) 분리기 및 분리기를 구비한 분쇄기
JPS59142877A (ja) 空気分級機
JP7358598B2 (ja) ミル
US5511668A (en) Pneumatic sifter
CN101652191B (zh) 用于筛选给料的装置及方法
US4689140A (en) Separator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KR100203942B1 (ko) 분급기용 가이드베인의 지지구조
FI107521B (fi) Laite partikkelimaisen materiaalin lajittelemiseksi
CN107107119B (zh) 用于对颗粒材料流进行分级的分级装置
JPH10118571A (ja) 鉛直軸式の空気分級機
JP4753387B2 (ja) 気流分級装置
US2739709A (en) Spiral separators
JPH01168392A (ja) ターボ空気分離機
EP0102421A1 (en) Pulverizing apparatus
KR102302031B1 (ko) 바이오매스 밀
JP2000343040A (ja) 遠心選別機
US3891543A (en) Centrifugal sifter apparatus
KR100734620B1 (ko) 분급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분급 장치
US20010022284A1 (en) Screen
KR100203945B1 (ko) 분급기의 원심로터 조분유입방지구조
CN109952161B (zh) 筛分机、磨机及用于筛分气固混合物的方法
JPS61226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