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953A - 문서처리장치 및 프로그램매체 - Google Patents

문서처리장치 및 프로그램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953A
KR19980070953A KR1019980002583A KR19980002583A KR19980070953A KR 19980070953 A KR19980070953 A KR 19980070953A KR 1019980002583 A KR1019980002583 A KR 1019980002583A KR 19980002583 A KR19980002583 A KR 19980002583A KR 19980070953 A KR19980070953 A KR 19980070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design
document data
information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1083B1 (ko
Inventor
이마무라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가시오가즈오
가시오게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24172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660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157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787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가즈오, 가시오게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8007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데이터에 소정의 수식을 실시하는 문서처리장치 및 프로그램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CPU(1)는 문서단위마다 문서 전체의 문서구조를 해석하고, 그 각 구성요소 중 미리 결정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디자인화대상의 디자인요소로서 추출하고, 그 속성을 기초로 하여 RAM(2)내의 테이블을 검색하며, 이 테이블은 디자인요소의 속성마다 고유의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CPU(1)는 추출한 디자인요소의 속성에 대응하는 수식정보를 검색하고, 그를 기초로 하여 디자인요소를 수식가공하고, 따라서 문서데이터에 소정의 수식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서처리장치 및 프로그램매체
본 발명은 문서데이터에 소정의 수식을 실시하는 문서처리장치 및 그 프로그램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퍼스널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 등의 문서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표, 그래프, 일러스트, 화상 등을 다용한 그래픽한 문서를 컬러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오퍼레이터는 문서 전체의 레이아웃을 고려하면서 입력조작에 의해 「타이틀」, 「표제」, 「도형」, 「캡션」, 「페이지배경」, 「화살표」 등의 각 요소를 하나씩 지정하면서 색, 메싱(meshing), 반전, 언더라인, 보이드(Void) 등의 수식을 각 요소마다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문서 전체를 그래픽하게, 외관 좋게, 하이센스하게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가 각종 기법이나 센스, 소프트웨어의 지식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화면을 보면서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등 방대한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었다.
본 발명은 특히 오퍼레이터의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센스나 지식에 의하지 않고 문서 전체의 레이아웃상태를 변경하는 일 없이 문서단위마다 문서 전체의 시독성(視讀性)을 고려하여 디자인적으로 보기 좋게 수식가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이하와 같다. 문서데이터에 소정의 수식을 실시하는 문서처리장치는 이하를 포함한다.
문서처리장치는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조합하여 구성된 문서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고,
복수의 문서디자인종류마다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서구성요소종류마다의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수식정보기억수단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에 대한 소망하는 문서디자인종류를 임의로 선택하는 디자인종류선택수단과,
상기 디자인화대상으로 된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분해수단과,
그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식정보의 종류를 상기 디자인종류선택수단에서 선택된 문서디자인종류와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기초로 하여 선택하는 수식정보선택수단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해서 그 개개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여 선택된 수식정보를 기초로 한 수식처리를 실행하는 수식처리수단이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이하와 같다. 문서데이터에 소정의 수식을 실시하는 프로그램기록매체는 이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컴퓨터에 대해서,
복수의 문서디자인종류마다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서구성요소종류마다의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기능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에 대한 소망하는 문서디자인종류를 임의로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디자인화대상으로 된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기능과,
그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판별하는 기능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식정보의 종류를 상기 선택된 문서디자인종류와 상기 판별된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기초로 하여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해서 그 개개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여 선택된 수식정보를 기초로 한 수식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센스나 지식에 의하지 않고 문서 전체의 레이아웃상태를 변경하는 일도 없이 문서단위마다 문서 전체의 시독성을 고려하여 디자인적으로 보기 좋게 수식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이하와 같다. 문서데이터에 소정의 수식을 실시하는 문서처리장치는 이하를 포함한다.
문서처리장치는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조합하여 구성된 문서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고,
문서를 구성하는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에 대한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수식정보기억수단과,
상기 장식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배경화를 작성하기 위한 복수의 화상부품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정보기억수단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분해수단과,
상기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의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특정의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한 배경화를,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사이즈에 맞도록 상기 부품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부품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작성하는 배경화작성수단이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이하와 같다. 문서데이터에 소정의 수식을 실시하는 프로그램기록매체는 이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문서를 구성하는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에 대한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기능과,
상기 장식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배경화를 작성하기 위한 복수의 화상부품정보를 기억하는 기능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기능과,
상기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과 상기 추출된 상기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한 배경화를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사이즈에 맞도록 상기 기억된 복수의 부품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작성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디자인화의 대상요소를 그 종류에 따른 화상을 이용하여 수식할 때에 디자인대상요소가 어떠한 형상이어도 원형의 화상이미지를 무너뜨리지 않고 수식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문서처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RAM(2)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 1, 제 2 실시형태의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 12-2)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 1, 제 2 실시형태의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 12-3)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제 1 실시형태의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c)는 수식코드테이블(2-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자동디자인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디자인화할 때의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
도 8은 제 1, 제 2 실시형태의 오리지널문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오리지널문서를 디자인화한 경우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오리지널문서를 디자인화한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디자인화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a)∼(e)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7, 도 11에서 나타낸 디자인화를 실시할 때의 동작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의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디자인화한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의 표의 디자인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발명의 전제기술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발명의 전제기술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13에 대응하는 도면.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의 RAM(2)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8(a)는 제 2 실시형태의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8(b)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8(c)는 수식코드테이블(12-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8(d)는 공백정보테이블(12-1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의 자동디자인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20은 도 19의 스텝C4, C5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 중 공백영역검출등록처리를 상세히 서술한 흐름도.
도 21은 도 19의 스텝C7(디자인요소마다 공백영역확보처리)을 상세히 서술한 흐름도.
도 22는 도 21의 스텝E2(후보디자인과 공백영역의 비교처리)를 상세히 서술한 흐름도.
도 23은 도 21의 스텝E4(공백영역확장처리)를 상세히 서술한 흐름도.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의 디자인요소의 주위의 공백영역을 검출할 때에 어떻게 하여 공백영역이 검출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오리지널문서의 타이틀부분을 디자인화할 때에 그 타이틀부분의 주위에 공백영역을 확보하지 않고 디자인화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6(a)는 도 25에 나타내는 오리지널문서의 타이틀부분에 공백영역을 확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6(b)는 공백영역을 확보한 후 타이틀부분을 디자인화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CPU 2: RAM
3: 기억장치 4: 기억매체
5: 입력장치 6: 표시장치
7: 인쇄장치 2-2, 12-2: 문서구조해석테이블
2-3, 12-3: 문서해석결과메모리
2-4, 12-4: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
2-5, 12-5: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 2-6, 12-6: 수식코드테이블
이하 도 1∼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문서처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CPU(1)는 RAM(2)내에 로드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 문서처리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이다. 기억장치(3)는 오퍼레이팅시스템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데이터파일, 문자폰트데이터 등이 미리 격납되어 있는 기억매체(4)나 그 구동계를 갖고 있다. 이 기억매체(4)는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 또는 착탈 자유롭게 장착 가능한 것이며,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RAM카드 등의 자기적·광학적 기억매체, 반도체메모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기억매체(4)내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CPU(1)의 제어에 의해 RAM(2)에 로드된다. 또한 CPU(1)는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다른 기기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억매체(4)에 격납하거나 다른 기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기억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통신회선 등을 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CPU(1)에는 그 입출력주변디바이스인 입력장치(5), 표시장치(6), 인쇄장치(7)가 버스라인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CPU(1)는 입출력프로그램에 따라서 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장치(5)는 문자열데이터 등을 입력하거나 각종 코맨드를 입력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를 갖고, 이 입력장치(5)로부터 입력된 문자열데이터는 표시장치(6)의 텍스트화면에 표시출력되거나, 가나한자변환처리에 의해서 변환된 한자혼합의 문자열데이터는 확정문자열로서 RAM(2)내의 문서메모리(2-1)(도 2 참조)에 격납된다.
표시장치(6)는 다색표시를 실시하는 액정표시장치나 CRT표시장치, 플라스마표시장치 등이며, 또 인쇄장치(7)는 풀컬러프린터장치이고 열전사나 잉크젯 등의 넌임펙트프린터(무소음프린터) 또는 도트임펙트프린터(도트소음프린터)이다.
도 2는 RAM(2)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RAM(2)에는 각종의 메모리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문서메모리(2-1)는 문서데이터를 기억하는 텍스트메모리이고, 문서 중에는 표, 그래프, 일러스트, 촬영화상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다.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은 CPU(1)가 문서메모리(2-1)의 내용을 해석할 때에 참조되는 것이고, 도 3은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의 내용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CPU(1)는 문서메모리(2-1)의 내용을 문서단위마다 해석해 나가서 문서 전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중 미리 결정되어 있는 속성의 구성요소를 디자인화대상의 디자인요소로서 추출하는데, 그 때 CPU(1)는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의 내용을 참조하여 디자인요소의 추출을 실시한다.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은 디자인요소의 속성(종류)마다 그 요소해석조건을 고정적으로 기억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디자인요소「타이틀」에 대응하는 요소해석조건으로서는 문서의 선두행에 위치하고 있는 문자열인 것, 구두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 등이 정의되어 있다. 또 디자인요소「큰 표제」에 대응하는 요소해석조건으로서는 소정의 표제기호가 선두자리에 존재하고 있는 것, 구두점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 등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디자인요소「중간 표제」, 「작은 표제」의 해석조건으로서는 그 선두문자의 자리위치가 상위의 표제문자열에 대해서 단락되어 있는 것 등이 정의되어 있다. 또 디자인요소「표」의 해석조건으로서는 표테두리나 셀테두리 등이 존재하는 것 등이 정의되어 있다. 또 디자인요소「문자/기호」의 해석조건으로서는 특정문자나 기호인 것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에는 124종류의 디자인요소에 대응하여 그 해석조건이 정의되어 있다.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는 문서구조를 해석함으로써 얻어진 해석결과를 기억유지하는 것이고, 도 4는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즉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는 문서해석에 의해서 추출된 디자인요소마다 그 ID와, 위치정보,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디자인요소ID는 「타이틀」, 「큰 표제」…… 등의 속성을 식별하는 데이터이고, 또 위치정보는 디자인요소가 존재하는 직사각형영역을 나타내는 왼쪽위, 오른쪽아래의 2점좌표열데이터이며, 또한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는 디자인요소의 상하좌우에 존재하는 공백공간의 크기를 도트단위로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그들은 문서구조의 해석시에 CPU(1)에 의해서 각각 검출되어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에 세트된다.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은 디자인요소의 속성마다 고유의 수식정보(디자인번호)를 고정적으로 기억하는 것이고, 도 5(a)는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은 용도/터치ID, 디자인요소ID, 후보1디자인번호, 후보2디자인번호……를 1행분의 레코드데이터로서 복수레코드분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용도/터치ID는 예를 들면 「기획서용」, 「OHP용」, 「벽보·광고용」 등의 용도나 「입체표현」, 「평면표현」, 「컬러」, 「모노크로」, 「화려함」, 「심플」 등의 터치를 정의하는 것이고, 용도와 터치를 한쌍으로 하는 ID번호「1」, 「2」……가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용도/터치ID「1」은 용도가 「기획서용」이고 터치가 「컬러」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터치로서는 「화려」한 「컬러」나 「입체표현」의 「컬러」등과 같이 2종류 이상의 터치를 조합한 터치도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 오퍼레이터는 임의의 용도/터치ID를 선택지정하면 그에 대응하는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내의 각 행이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된다. 즉 용도/터치에 따라서 미리 정의되어 있는 각종 디자인 중 임의의 종류의 디자인을 오퍼레이터가 선택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용도/터치ID마다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에는 전체의 디자인요소ID가 그 선두번호에서 최종번호까지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 디자인요소ID「1」∼「124」는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에 정의되어 있는 124종류의 디자인요소에 대응하고 있다. 디자인번호는 대응하는 디자인요소를 수식해야 할 디자인을 지정하는 것이고, 디자인요소마다 복수의 디자인번호가 선택후보로서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 디자인요소는 그 후보1디자인번호로 나타내어진다. 디자인으로 수식했을 때에 그 주위의 공백공간의 관계상 해당 요소를 적절히 수식할 수 없었던 경우에 다음 후보인 후보2디자인번호가 지정된다. 즉 후보2디자인번호는 후보1디자인번호로 나타내어지는 디자인보다도 사이즈적으로 조금 작은 디자인을 지정하는 것이고, 이하에 계속되는 하위의 후보에 대해서도 상위의 후보보다도 작은 것의 디자인을 지정한다. 따라서 최초는 후보1디자인번호가 액세스되고, 그것이 사이즈적으로 적절하지 않으면 다음 후보2의 디자인번호가 액세스되고, 다시 부적절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다음 후보가 액세스된다.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은 디자인요소를 수식가공해야 할 실행코맨드 등을 고정적으로 기억하는 것이고, 도 5(b)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은 디자인요소ID, 디자인번호, 코맨드실행순서, 코맨드ID, 10종류의 옵션수치(OP1, OP2……OP10)를 1행분의 1레코드데이터로서 복수레코드분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에 있어서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된 각 행 중 그 선두행으로부터 1행마다 지정된 디자인요소ID 및 후보디자인번호를 기초로 하여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이 어드레스지정되고, 그에 대응하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내용이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된다. 여기에서 「코맨드실행순서」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내에 있어서의 처리대상행에 있어서 어떠한 순서로 코맨드를 실행해야 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b)의 예에서는 코맨드ID로 나타내어지는 코맨드를 「33, 8, 2……7」의 순서로 실행해야 하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또 「옵션수치(OP1∼OP10)」는 도형번호나 수식코드테이블(2-6)을 액세스하는 수식코드, 위치좌표 등을 정의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코맨드ID「33」의 옵션수치(OP1)「42」는 도형번호「42」로 나타내어지는 일러스트부품을 호출하여 디자인요소의 배경화상으로서 기입해야 할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코맨드ID「19」의 옵션수치(OP1)「2」는 수식코드테이블(2-6)을 수식코드「2」에서 액세스하고, 수식코드테이블(2-6)에 정의되어 있는 속성으로 디자인요소를 수식해야 할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코맨드ID「4」는 디자인요소를 그 기준좌표(왼쪽위좌표)에 대해서 옵션수치(OP1)(X좌표), 옵션수치(OP2)(Y좌표)로 나타내어지는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식코드테이블(2-6)은 수식ID마다 복수종류의 속성항목을 기억하는 것이고, 도 5(c)는 수식코드테이블(2-6)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수식코드테이블(2-6)에는 수식ID「1」, 「2」……에 대응하여 복수종류의 속성항목이 고정적으로 기억되어 있는데, 속성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서체, 문자종류, 굵기, 칠하는 방식, 그림자부착, 색 등이다.
또 RAM(2)에는 그 외에 문서디자인버퍼(2-7), 수식결과메모리(2-8), 도형부품메모리(2-9), 처리포인터군(2-10), n레지스터(2-11), 작업메모리(2-12)가 설치되어 있다. 도형부품메모리(2-9)는 디자인요소의 속성에 따른 고유의 화상을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하여 기억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문자열을 둘러싸는 궤선테두리를 그림자부착의 입체화상으로 치환하여 수식하는 경우에는 그 입체화상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러스트ID「284」, 「285」, 「286」, 「287」로 나타내어지는 네귀퉁이의 부품, 「288」, 「289」, 「290」, 「291」로 나타내어지는 상하좌우의 외측부품, 「292」로 나타내어지는 중앙부품으로 9분할되어 기억관리되어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이 반원형의 띠모양의 그림자부착입체화상이면 양단부품과 중앙부품으로 3분할되어 기억관리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문서처리장치의 동작을 도 6,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흐름도에 기술되어 있는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CPU(1)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 기억매체(4)에 기억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RAM(2)내의 작업메모리(2-12)에 로드되어 있다.
지금 문서메모리(2-1)에 격납되어 있는 문서데이터를 디자인화대상의 문서로서 지정하는 동시에 입력장치(5)로부터 자동디자인지령을 입력하면 도 6의 흐름도에 따라서 자동디자인처리가 실행개시된다. 우선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용도/터치의 메뉴항목이 일람표시되므로(스텝A1) 오퍼레이터는 이 표시화면 중에서 임의의 메뉴항목을 선택 지정해둔다(스텝A2). 지금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서가 디자인화대상의 문서로서 지정되고, 또한 용도/터치로서 「기획서용」/「컬러」가 선택지정된 것으로 한다.
그러면 CPU(1)는 이 문서를 그 선두행으로부터 해석해 가서(스텝A3)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을 참조하여 디자인요소를 추출하는 동시에 그 위치 및 주위의 공백공간을 검출한다(스텝A4). 지금 도 8에 나타내는 선두행의 문자열 「Designer」는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에 정의되어 있는 타이틀에 해당하기 때문에 CPU(1)는 그 속성「타이틀」과 위치정보 및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각각 대응지워서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에 격납한다(스텝A5). 그리고 문서중에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에 정의되어 있는 디자인요소에 해당하는 조건을 가진 요소가 있는가를 조사하고(스텝A6) 디자인요소가 있으면 스텝A3으로 되돌아가서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서 이하 문서중의 「큰 표제」, 「중간 표제」, 「표」……가 각각 디자인요소로서 추출되고, 그 해석결과가 디자인요소마다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에 격납된다. 이 경우 직사각형내의 문자열「××××……××」은 큰 표제, 「§1. ××」의 문자열은 중간 표제, 「○○○」의 문자열은 작은 표제로서 인식되고, 또 매트릭스상의 궤선을 포함하는 문자열은 표로서 인식되어 디자인화대상의 요점으로 되는데, 그 밖의 문서데이터는 디자인화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이와 같이 하여 문서 전체의 해석을 실시하고 스텝A6에서 디자인요소 없음이 검출되면, CPU(1)는 스텝A2에서 선택지정된 용도/터치ID를 기초로 하여 자동디자인 마스터테이블(2-4)을 검색하고 용도/터치ID에 해당하는 모든 행을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한다(스텝A7). 도 5a는 용도/터치ID로서 「1」, 즉 기획서용/컬러가 지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CPU(1)는 이 처리대상행 중 자동디자인 마스터테이블(2-4)의 리드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처리포인터(N)의 값을 그 선두행에 세트한다(스텝A8). 그리고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의 지정행에 대응하는 디자인요소는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내에 세트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스텝A9), 없으면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의 처리포인터(N)를 다음 행으로 갱신한다(스텝A10). 그 결과 처리대상 행을 모두 다 지정했는지를 조사하고(스텝A11), 지정종료가 아니면 스텝A9로 되돌아가서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에 세트되어 있는 디자인요소를 검색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결과 해당하는 디자인요소가 검색되면 스텝A12로 진행하여 n레지스터(2-11)의 값을 클리어한다. 여기에서 n레지스터(2-11)는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 내에 기술되어 있는 후보디자인번호를 어드레스지정하는 것으로 n레지스터(2-11)의 내용을 클리어한 후 다음의 스텝A13에서 그 값에 「1」을 가산함으로써 n레지스터(2-11)의 값은 초기값으로써 「1」이 세트된다. 그리고 처리포인터(N)로 지정되는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 내의 디자인요소ID와 n레지스터(2-11)의 값으로 지정되는 후보n디자인번호를 판독하고, 이 디자인요소ID와 후보n 디자인번호를 기초로 하여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을 검색하고 그들에 합치하는 모든 행을 대상행으로서 지정한다(스텝A14). 도 5b는 디자인요소ID 「1」, 디자인번호「2」에 해당하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 내의 각 행이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된 경우이다. 그리고 이 처리대상행 중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리드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처리포인터(M)의 값을 그 선두행에 세트한다(스텝A15).
이 상태에 있어서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 내의 지정 행에 기술되어 있는 「코맨드ID」로 나타내어지는 수식처리를 옵션수치인 OP1∼OP10을 참조함으로써 실행한다(스텝A16). 그 때 디자인요소의 수식가공은 문서디자인버퍼(2-7)상에서 실시된다.
여기에서 수식가공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 설명하면, 도형부품메모리(2-9)로부터 옵션수치에 의해 지정된 일러스트를 호출하여 디자인요소의 선두문자위치 등에 배경화상으로서 배치하거나, 또는 도형부품메모리(2-9)로부터 2 이상의 일러스트를 부품으로서 호출하여 조합하고 그 조합화상을 배경화상으로서 배치하거나, 또는 배경화상에 그림자나 광택을 붙이거나 색을 붙이는 등의 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해당 디자인요소에 대응하여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 내에 세트되어 있는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배경화상의 크기를 조정한다.
또 디자인요소의 문자열을 배경화상의 위에 겹치거나, 디자인요소의 문자열을 수식코드테이블(2-6)에 정의되어 있는 서체 등으로 교환하거나 색을 붙이거나 문자열을 구성하는 일부의 문자만을 확대/축소하거나 반전하는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또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화상을 생성한 경우에 주위의 공백 공간정보을 기초로 하여 부품마다 그 종횡비율을 변경하여 확대/축소하거나 변형하는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또 표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각 셀마다 분해하고 셀마다 고유의 수식을 실시하거나 일부의 셀데이터만을 강조하는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이들의 수식처리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에 기술되어 있는 코맨드ID, 옵션수치(OP1∼OP10)와, 그 코맨드 실행순서에 따라서 실행되는 것으로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기술내용에 따라서 디자인요소를 어떻게든지 수식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디자인요소를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기술내용에 따라서 수식가공하면 스텝A17으로 진행하고 코맨드실행의 실패인지를 판별한다. 즉 이 스텝A17은 수식가공을 실시한 디자인요소를 그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 크기를 축소하거나 변형하여 조정해도 공간부족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공간부족으로 코맨드실행의 실패가 검출되면 스텝A13으로 진행하여 n레지스터(2-11)의 값을 갱신하고 자동디자인 마스터테이블(2-4) 내의 다음 후보의 디자인번호를 지정하고 이하 똑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이에 따라서 코맨드실행의 성공이 검출되면(스텝A17에서 NO) 문서디자인버퍼(2-7)의 내용(수식가공된 디자인요소)을 수식결과메모리(2-8)에 저장한다(스텝A18). 그리고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처리포인터(M)를 다음 행으로 갱신하고(스텝A19),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처리대상행이 전부 종료하기까지 (스텝A20) 상기의 동작(스텝A16∼A20)이 반복된다.
이 결과 스텝A20에서 종료가 검출되면 스텝A21에 진행하고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의 처리포인터(N)를 갱신하는 처리가 실시되어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의 처리대상행을 전부 종료할 때까지(스텝A22) 상기의 동작(스텝A9∼A22)이 반복된다. 이에 따라서 1문서 중의 모든 디자인요소를 수식가공하는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A22에서 그 것이 검출되어 스텝A23로 진행하고 문서메모리(2-1)의 내용을 표시출력시키는데, 그 때 문서메모리(2-1) 내의 디자인요소를 수식결과메모리(2-8)의 내용으로 치환하여 표시출력시킨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문서를 디자인화한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타이틀, 큰 표제, 중간 표제, 작은 표제, 표는 오리지널문서에 비하여 변화에 풍부한 것으로 되고 해당 부분이 시각적으로 강조되기 때문에 문서 전체가 읽기 쉽게되는 동시에 보기 좋게 된다. 도 10은 같은 용도로 터치를 변경한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문서처리장치에서는 문자열이 직사각형의 괘선테두리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 그 괘선테두리를 그림자부착의 입체화상으로 치환함으로써 괘선테두리를 디자인적으로 보기 좋게 수식할 수도 있다. 즉 도 15는 이 경우의 수식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림자부착 입체화상을 이용하여 수식하는 경우 문자열을 둘러싸는 괘선테두리의 형상에 따라서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변형가공되거나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변형가공된다. 이 경우 그 변형정도가 크면 원형이 무너지고, 예를 들면 (b)의 경우에는 상하의 그림자부분이 원형보다도 굵어지고, 또 좌우의 그림자부분이 원형보다도 가늘어지며, 반대로 (c)의 경우에는 상하의 그림자부분이 원형보다도 가늘어지고, 또 좌우의 그림자부분이 원형보다도 굵어지는데, 이와 같은 수식이어도 원래의 괘선테두리에 비하여 디자인적으로는 보기 좋은 것으로 된다.
똑같이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이 반원형의 그림자부착 입체화상을 이용하여 수식하는 경우 그것을 가로방향으로 신장하면 양단부분이 타원으로 변형하여 원형이 무너져 버리는데 원래의 괘선테두리에 비하여 디자인 적으로는 보기 좋은 것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수법이어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의 문서처리장치에서는 디자인화의 대상요소를 그 종류에 따른 화상을 이용하여 수식 할 때에 디자인대상요소가 어떠한 형상이어도 원형의 화상이미지를 무너뜨리지 않고 수식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 원형의 화상이미지를 무너뜨리지 않고 수식가공하는 것을 문자열이 괘선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경우에 괘선테두리가 디자인요소로서 추출되고, 이 괘선테두리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림자부착 입체화상으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수식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우선 그림자부착 입체화상은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분할되어 있다. 도 7은 흐름도이며 도 6의 스텝A16의 일부를 나타내고 복수부품을 조합하여 디자인요소를 수식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그리고 스텝B1에서는 디자인화대상의 괘선테두리 4귀퉁이의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이를 기준좌표점으로 한다. 다음으로 그림자 부착 입체화상의 4귀퉁이를 구성하는 코너부품을 괘선테두리의 귀퉁이부에 그 종횡비를 바꾸지 않고 확대축소하여 배치한다(스텝B2). 즉 도 12a, b는 이 경우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우선 일러스트ID 「284」로 나타내어지는 코너부품(왼쪽위 부품)을 판독하는 동시에 괘선테두리의 왼쪽위를 기준점으로 하여 이 부품의 왼쪽위가 왼쪽경사 윗쪽의 소정 위치(4자리, 2행분 떨어진 위치)에 오도록 왼쪽위코너부품을 배치한다(도 12a 참조). 그리고 이 왼쪽위코너부품의 종점(오른쪽 아래)이 괘선테두리의 왼쪽위좌표점에 들어가도록 코너부품을 확대축소한다. 이에 따라서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크기로 괘선테두리의 왼쪽위를 기준으로 하여 왼쪽위코너부품이 배치되는데, 이 코너부품은 원형의 종횡비 2:1을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왼쪽위코너부품의 배치가 끝나면 다음의 스텝B3로 진행하고 4귀퉁이분의 코너부품의 배치를 종료하였는지를 조사하는데, 지금 최초의 코너부품을 배치한 경우이기 때문에 스텝B2로 되돌아가고, 다음에 일러스트ID「285」로 나타내는 오른쪽위의 코너부품을 판독하는 동시에 괘선테두리의 오른쪽위를 기준으로 하여 그 종횡비를 바꾸지 않고 확대축소해서 배치한다. 이하 똑같이 일러스트ID「286」으로 나타내는 왼쪽아래코너부품, 일러스트ID「286」으로 나타내는 오른쪽아래코너부품을 차례로 판독하고 괘선테두리의 왼쪽아래, 오른쪽아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종횡비를 바꾸지 않고 확대축소해서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4귀퉁이분의 코너부품을 모두 다 배치하면 스텝B4로 진행하여 외측부품을 판독하고 코너부품간을 연결하도록 종횡비를 바꾸면서 확대축소하여 배치한다. 즉 우선 일러스트ID 「288」로 나타내는 상측부품을 판독하고, 그 왼쪽 위를 왼쪽위코너부품의 오른쪽아래에 맞추어서 배치한다(도 12c 참조). 그리고 왼쪽위코너부품의 종점(오른쪽 아래) 위치에 들어가도록 상측부품의 행방향을 확대축소하는 동시에 상측부품의 오른쪽아래가 오른쪽위코너부품의 왼쪽아래에 오도록 상측부품을 자리방향으로 확대축소한다(도 12d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상측부품의 배치가 끝나면 다음의 스텝B5로 진행하여 상하좌우의 외측부품을 모두 다 배치했는지를 조사하는데, 지금 최초의 상측부품의 배치를 실행한 경우이기 때문에 스텝B4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외측부품, 일러스트ID 「289」로 나타내는 좌측부품을 판독하고, 왼쪽위코너부품과 왼쪽아래코너부품간을 연결하도록 그 종횡비를 바꾸면서 확대축소하여 배치한다. 이하 똑같이 일러스트ID 「290」, 「291」로 나타내는 우측부품, 하측부품을 차례로 판독하고, 코너부품간을 연결하도록 그 종횡비를 바꾸면서 확대축소하여 배치한다.
이에 따라서 상하좌우의 외측부품을 모두 다 배치하면 다음의 스텝B6로 진행하여 마지막에 일러스트ID 「292」로 나타내어지는 중앙부품을 판독하고 괘선테두리내의 중앙부분을 메우도록 그 종횡비를 바꾸면서 확대축소하여 배치한다. 즉 중앙부품의 왼쪽위를 왼쪽위코너부품의 오른쪽아래에 맞추어서(도 12e 참조) 중앙부품의 오른쪽아래가 오른쪽아래코너부품의 왼쪽위위치에 들어가도록 중앙부품의 행 방향, 자리방향을 확대축소한다. 이 결과 전체 부품의 배치가 종료하면 복수부품의 조합을 1개의 도형으로서 그룹화하여(스텝B7) 그룹화에 성공했는지를 조사하고(스텝B8), 성공한 경우에는 디자인대상의 괘선테두리를 삭제하고 그룹화된 화상으로 치환한다(스텝B9). 이 경우 복수 부품의 조합을 1개의 화상으로서 그룹화함으로써 4귀퉁이만의 기준점으로 되고 이음매 없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3은 복수부품을 조합하여 수식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양단이 반원형의 띠모양의 그림자부착 입체화상은 양단부품과 중앙부품으로 3분할되어 기억되고, 그 양단부품을 디자인화 대상의 괘선테두리에 배치할 때에는 그 종횡비를 바꾸지 않고 확대축소하고, 중앙부품은 양단부품을 연결하도록 그 종횡비를 바꾸어 확대축소함으로써 배치한다.
도 14는 복수의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표를 수식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표를 구성하는 각 셀은 복수의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생성된다. 이 경우 1개의 셀은 그림자용의 부품을 포함하여 합계 6종류의 부품을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조합함으로써 생성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문서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문서단위마다 문서 전체의 문서구조가 해석되고 그 각 구성요소 중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에 정의되어 있는 속성의 구성요소가 디자인화대상의 디자인요소로서 추출되는 동시에 추출된 디자인요소마다 그 속성을 기초로 하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이 검색되고, 이 검색결과에 따라서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의 기술내용이 실행되기 때문에 각 디자인요소를 미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 수식코너테이블(2-6)에 정의되어 있는 내용을 기초로 하여 수식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틀, 표제, 도형, 캡션, 페이지배경, 문자/기호, 화살표 등 문서 중에 있어서 디자인해야 할 각 요소를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수식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보기 좋은 하이센스한 문서가 얻어진다.
또 기획서용, OHP용 등의 용도나 입체표현, 컬러, 화려함 등의 터치를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선택지정하는 것만으로 지정된 용도/터치에 따라 문서 전체가 디자인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기호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또 디자인요소마다에 그 위치정보 및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검출하여 기억유지시켜두고 이 위치정보 및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수식가공후의 디자인요소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문서 전체로서 쓸모 없는 공백 공간을 없애거나 한쪽으로 치우친 배치를 방지할 수도 있고, 또는 수식가공후의 디자인요소가 공백 공간에 대해서 약간 큰 경우에는 그것을 축소할 수 있는 등 문서 전체로서 밸런스 좋은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수식가공후의 디자인요소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하였다고 해도 공백 공간 부족인 경우에는 제 2, 제 3……의 후보 디자인을 기초로 하여 수식가공을 재시도하도록 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디자인부족이라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디자인요소를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각 단위마다에 고유의 수식가공을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표데이터이면 셀 단위마다에 수식가공을 실시할 수 있고, 또 문자열을 구성하는 특정문자나 기호만을 수식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일러스트부품을 조합하여 수식가공하는 동시에 각 부품마다에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변화에 풍부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디자인요소의 크기나 형상에 따른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자인대상요소에 따른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배치할 때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부품에 대해서는 그 종횡비를 바꾸지 않고 확대축소하며, 그 밖의 위치에 배치되는 부품에 대해서는 그 종횡비를 바꾸어 확대축소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디자인하거나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길게 디자인했다고 해도 원형에 근사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고 또 도 13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양단부가 타원으로 변형하는 일 없이 원형에 근사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디자인화의 대상요소를 그 종류에 따른 화상을 이용하여 수식할 때에 디자인대상요소가 어떠한 형상이어도 원형의 화상이미지를 무너뜨리지 않고 수식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종류의 화상이어도 복수의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2-4),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2-5), 수식코너테이블(2-6)을 각각 별도의 테이블로 했는데, 그들을 1개의 테이블로 구성해도 좋고, 또 각 테이블의 디폴트값을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디자인화된 문서의 일부를 오퍼레이터의 취향에 따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문서구조해석테이블(2-2)의 내용을 일람표시시키고, 그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임의의 디자인요소를 선택지정한 경우에는 선택된 디자인요소만을 디자인화 대상으로 하여 문서 속에서 추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도 17∼도 26을 주로 참조하여 이 설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식가공을 실시한 디자인요소를 그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 크기를 조정하는 것인데,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자인화대상으로서의 디자인요소의 주위에 그 수식에 필요한 공백 영역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분의 공백 영역을 확보하고 나서 디자인화를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구성, 기능이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구성, 기능이 다른 것에 대해서는 도시를 실시하고, 그 도시를 실시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는 디자인요소의 주위에 존재하는 직사각형의 공백 영역, 즉 디자인요소를 포함하고, 그 상하좌우에 어느 정도의 공백 공간이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공백 영역은 자리수, 행수에 의해 그 사이즈가 정의된다. 그리고 그들은 문서구조의 해석시에 CPU(1)에 의해 각각 검출되어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에 세트된다.
다음으로 도 17은 RAM(2)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이 RAM(2)에는 각종의 메모리영역이 할당되어 있으며 문서메모리(12-1)∼작업메모리(12-1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RAM(2)의 문서메모리(2-1)∼작업메모리(2-12)에 상당하고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는데 이 제 2 실시형태의 RAM(12)에는 새로이 공백정보테이블(12-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백정보테이블(12-13)은 디자인요소ID, 디자인번호마다에 디자인요소를 그에 대응하는 디자인번호로 나타내어지는 디자인으로 수식가공할 때에 어느 정도의 공백 영역이 필요한가를 고정적으로 기억하는 것으로, 디자인요소ID, 디자인번호, 자리수, 행수, 계산매개변수 1, 계산매개변수 2를 1행분의 레코드로서 복수레코드분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에 있어서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된 각 행 중 1행마다에 지정된 디자인ID 및 후보 1 디자인번호(제 1 후보)를 기초로 하여 공백정보테이블(12-13)이 어드레스 지정되고 그에 대응하는 행의 레코드가 판독된다. 여기에서 계산매개변수 1, 2가 각각 「0」의 경우에는 해당 레코드내의 자리수, 행수가 그대로 필요 공백 영역으로 되는데 계산매개변수 1, 2로서 각각 「1」 이상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자리수와 계산매개변수 1, 2의 값 및 디자인요소의 자리수에 따라서 소정의 연산이 실행되어 필요 공백 영역분의 자리수를 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계산에 대해서는 후에 후술한다. CPU(1)는 이 공백정보테이블(12-13)을 참조함으로써 디자인요소를 디자인번호로 나타내는 디자인으로 수식가공할 때에 어느 정도의 영역을 필요로 하는가를 결정한 뒤에 CPU(1)는 이 필요영역과 그 디자인요소의 주위에 존재하는 공백 영역을 비교하고 공간부족인지 아닌지를 문서 전체에 존재하는 디자인요소마다 판정한다. 여기에서 공간부족이면 그 주위에 존재하는 문자열이나 도형 등을 그 부족량에 따라 바깥방향(좌우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필요분량의 공백 영역을 문서 내에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 데이터이동만으로는 필요분량의 공백 영역을 확보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그 주위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텍스트서식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재편집함으로써 필요분량의 공백 영역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문서처리장치의 동작을 도 19∼도 2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흐름도에 기술되어 있는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CPU(1)가 독해 가능한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 기억매체(4)에 기억되어 있고 그 내용이 RAM(2)내의 작업메모리(12-12)에 로드되어 있다.
지금 문서메모리(12-1)내에 격납되어 있는 문서데이터를 디자인화대상의 문서로서 지정하는 동시에 입력장치(5)에서 자동디자인지령을 입력하면 도 19의 흐름도에 따라서 자동디자인처리가 실행개시된다.
우선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용도/터치의 메뉴항목이 일람표시되기 때문에(스텝C1) 오퍼레이터는 이 표시화면 중에서 임의의 메뉴항목을 선택 지정하여 둔다(스텝C2). 지금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서가 디자인화대상의 오리지널문서로서 지정되고, 또한 용도/터치로서 「기획서용」/ 「컬러」가 선택지정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오리지널문서를 디자인화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CPU(1)는 이 문서를 그 선두행에서 해석해 가서(스텝C3) 문서구조해석테이블(12-2)을 참조하여 디자인요소를 추출하는 동시에 그 위치 및 주위의 공백 공간을 검출한다(스텝C4). 지금 도 8에 나타내는 선두행의 문자열 「Designer」는 문서구조해석테이블(12-2)에 정의되어 있는 타이틀에 해당하기 때문에 CPU(1)는 그 속성 「타이틀」과 위치정보 및 주위의 공백공간정보를 각각 대응지워서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에 등록한다(스텝C5). 또한 공백공간정보검출등록처리에 대해서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문서 중에 문서구조해석테이블(12-2)에 정의되어 있는 디자인요소에 해당하는 조건을 가진 요소가 있는가를 조사하고(스텝C6) 디자인요소가 있으면 스텝C3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서 이하 문서중의 「큰 표제」, 「중간 표제」, 「표」……가 각각 디자인요소로서 추출되고 그 해석결과가 디자인요소마다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에 격납된다. 이 경우 직사각형내의 문자열 「XXXX……XX」는 큰 표제, 「§1.XX」의 문자열은 중간 표제, 「OOOO」의 문자열은 작은 표제로서 인식되고, 또 매트릭스상의 괘선을 포함하는 문자열은 표로서 인식되어 디자인화대상의 요점으로 되는데 그 외의 문서데이터는 디자인화대상으로부터 벗어난다.
여기에서 도 20은 스텝C4, C5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 중 공백 영역검출등록처리만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4에 나타내는 구체예를 참조하여 공백 영역검출등록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추출된 디자인요소의 좌방향을 1자리씩 차례로 주사하여 몇 자리 비어 있는가를 조사하는 동시에 우방향을 1자리씩 차례로 주사하여 몇자리 비어있는가를 조사해서 좌우의 공백 자리수를 구하고, 그것에 디자인요소의 자리수를 가산하여 공백 자리폭으로서 산출한다(스텝D1).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1행영역의 자리폭을 갖고 윗방향, 아래방향을 1행씩 주사하고, 이 자리폭인 채 몇 행 비어 있는가를 조사하고, 그 상하행수에 디자인요소의 행수를 가산하여 공백 행폭으로서 산출한다(스텝D2). 그리고 공백 자리폭과 공백 행폭을 승산하여 직사각형의 공백 영역을 산출하는 동시에(스텝D3), 이 공백 영역을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에 공백 스페이스정보로서 등록한다(스텝D4). 이에 따라서 도 24에 나타내는 최초의 직사각형 공백 영역“1”이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에 등록된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스텝D5로 진행하여 공백 자리수폭을 변경하는데, 지금 등록한 공백 영역의 자리폭으로 상하방향을 주사한 결과 “공간없음”이라고 판단된 행의 자리폭을 새로운 자리폭으로서 변경한다. 그리고 이 자리폭이 디자인요소의 자리수와 동등해졌는지 또는 상하방향으로 공백 행이 없는지를 조사하고(스텝D6), 동등하지 않으면 스텝D2로 되돌아가고, 또는 공백 행이 있으면 새로운 자리폭으로 디자인요소의 상하행수의 공간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서 도 24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공백 영역“2”가 검출되어 문서해석결과메모리(2-3)에 등록된다. 그리고 공백 자리폭이 변경된 후 이하 똑같은 동작이 반복되는 결과 도 24에 나타내는 직사각형의 공백 영역“3”이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에 등록된다. 이 경우 그 이상 상하방향으로 공백 행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D6에서 그 것이 검출되어 이 흐름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와 같은 동작이 디자인요소마다 반복되는 결과 문서 전체의 디자인요소, 예를 들면 타이틀, 큰 표제, 중간 표제, 작은 표제, 표에 대응하여 그 공백 영역이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에 등록된다. 그리고 문서 전체의 해석이 종료되고 스텝C6에서 디자인요소 없음이 검출되면, 스텝C7으로 진행하고 디자인요소마다 그를 디자인화하기 위해 필요한 공백 영역이 그 주위에 존재하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필요한 공백 영역을 확보하는 처리가 실시된다. 도 21은 이 공백 영역확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인데, 지금 도 8에 나타내는 오리지널문서의 각 디자인요소의 주위에는 필요한 공백 영역이 이미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 공백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음의 스텝A8으로 진행하고 전처리에서 선택지정된 용도/터치ID를 기초로 하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을 검색하고 용도/터치ID에 해당하는 전체의 행을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한다. 도 18(A)는 용도/터치ID로서 「1」, 즉 기획서용/컬러가 지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CPU(1)는 이 처리대상행 중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리드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처리포인터(N)의 값을 그 선두행에 세트한다(스텝C9). 그리고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지정행에 대응하는 디자인요소는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내에 세트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스텝C10), 없으면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처리포인터(N)를 다음 행에 갱신한다(스텝C11). 그 결과 처리대상행을 모두 다 지정했는지를 조사하고(스텝C12), 지정종료가 아니면 스텝C10으로 되돌아가고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에 세트되어 있는 디자인요소를 검색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결과 해당하는 디자인요소가 검색되면 스텝C13로 진행하고 n레지스터(12-12)의 값을 클리어한다. 여기에서 n레지스터(12-12)는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내에 기술되어 있는 후보디자인번호를 어드레스지정하는 것으로 n레지스터(12-11)의 내용을 클리어한 후 다음의 스텝C14에서 그 값에 「1」을 가산함으로써 n레지스터(12-11)의 값은 초기값으로서 「1」이 세트된다. 그리고 처리포인터(N)로 지정되는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내의 디자인요소ID와 n레지스터(12-11)의 값으로 지정되는 후보n디자인번호를 판독하고, 이 디자인요소ID와 후보n디자인번호를 기초로 하여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을 검색하고 그들에 합치하는 전체의 행을 대상행으로서 지정한다(스텝C15). 도 18(B)는 디자인요소ID「1」, 디자인번호「2」에 해당하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내의 각 행이 처리대상행으로서 지정된 경우이다. 그리고 이 처리대상행 중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의 리드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처리포인터(M)의 값을 그 선두행에 세트한다(스텝C16).
이 상태에서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내의 지정행에 기술되어 있는 「코맨드ID」로 나타내어지는 수식처리를 옵션수치의 OP1∼OP10을 참조함으로써 실행한다(스텝C17). 그 때 디자인요소의 수식가공은 문서디자인버퍼(12-7)상에서 실시된다.
여기에서 수식가공의 구체예를 이하 설명하면, 도형부품메모리(12-9)로부터 옵션수치에 의하여 지정된 일러스트를 불러 내어 디자인요소의 선두문자위치 등에 배경화상으로서 배치하거나, 또는 도형부품메모리(12-9)로부터 2 이상의 일러스트를 부품으로서 불러 내어 조합하고, 그 조합화상을 배경화상으로서 배치하거나, 또는 배경화상에 그림자나 광택을 붙이거나 색을 붙이는 등의 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해당 디자인요소에 대응하여 문서구조해석테이블(12-2)내에 세트되어 있는 주위의 공백 스페이스정보를 기초로 하여 배경화상의 크기를 조정한다. 또 디자인요소의 문자열을 배경화상의 위에 서로 겹치거나 디자인요소의 문자열을 수식코드테이블(12-6)에 정의되어 있는 서체 등으로 변환하거나 색을 붙이거나 문자열을 구성하는 일부의 문자만을 확대/축소하거나 반전하는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또 복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화상을 생성했을 때에 주위의 공백 스페이스정보를 기초로 하여 부품마다 그 종횡비율을 변경해서 확대/축소하거나 변형하는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또 표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각 셀마다 분해하여 셀마다 고유의 수식을 실시하거나 일부의 셀데이터만을 강조하는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이들 수식처리는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에 기술되어 있는 코맨드ID, 옵션수치(OP1∼OP10)과, 그 코맨드실행순서에 따라서 실행되는 것으로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의 기술내용에 따라서 디자인요소를 어떻게든지 수식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자인요소를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의 기술내용에 따라서 수식가공하면 스텝C18으로 진행하고 코맨드실행의 실패인지를 판별한다. 즉 이 스텝C18은 수식가공을 실시한 디자인요소를 그 주위의 공백 스페이스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 크기를 축소하거나 변형해도 스페이스부족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스페이스부족으로 코맨드실행의 실패가 검출되면 스텝C14으로 되돌아가고 n레지스터(12-11)의 값을 갱신하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내의 다음 후보의 디자인번호를 지정하고, 이하 똑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이에 따라서 코맨드실행의 성공이 검출되면(스텝C18에서 NO), 문서디자인버퍼(12-7)의 내용(수식가공된 디자인요소)을 수식결과메모리(12-8)에 저장한다(스텝C19). 그리고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의 처리포인터(M)를 다음행으로 갱신하고(스텝C20)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의 처리대상행이 모두 종료되기까지(스텝C21) 상기한 동작(스텝C17∼C21)이 반복된다.
이 결과 스텝C21에서 종료가 검출되면 스텝C22로 진행하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처리포인터(N)를 갱신하는 처리가 실시되고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처리대상행을 모두 종료하기까지(스텝C23) 상기한 동작(스텝C10∼C23)이 반복된다. 이에 따라서 1문서중의 전체의 디자인요소를 수식가공하는 처리가 끝나면 스텝C23에서 그 것이 검출되어 스텝C24로 진행하고 문서메모리(12-1)의 내용을 표시출력시키는데, 그 때 문서메모리(12-1)내의 디자인요소를 수식결과메모리(12-8)의 내용으로 치환하여 표시출력시킨다. 이에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틀, 큰 표제, 중간 표제, 작은 표제, 표는 오리지널문서에 비하여 변화에 풍부한 것으로 되고 해당 부분이 시각적으로 강조되기 때문에 문서 전체가 읽기 쉬워지는 동시에 보기 좋은 것으로 된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오리지널문서에 있어서는 각 디자인요소의 주위에 그것을 디자인화하기 위한 필요한 공백 영역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하 필요한 공백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의 스텝C7에 있어서 디자인요소마다 공백 영역을 확보하는 처리가 실시된다. 도 25, 도 26은 이 경우의 구체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5는 공백 영역을 확보하지 않은 채 타이틀을 디자인화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주위의 공백 영역이 작기 때문에 수수하고 조금 작은 디자인으로 되지 않을 수 없는데,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틀의 주위에 미리 필요한 공백 영역을 확보해 두면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려하고 효과적인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공백 영역의 확보는 도 21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된다.
우선 CPU(1)는 전처리에서 선택된 용도/터치ID를 기초로 하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해당하는 선두행을 지정하고 디자인요소ID, 후보1디자인번호를 리드한다(스텝E1). 그리고 이 후보1디자인번호로 나타내어지는 디자인과 공백 영역의 사이즈를 비교한다(스텝E2). 도 22는 이 사이즈비교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로부터 판독된 디자인요소ID와 후보1디자인번호를 기초로 하여 공백 정보테이블(12-13)을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행의 레코드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스텝F1), 이 레코드데이터내의 수치으로부터 이 디자인을 실시하기에 필요한 후보디자인의 필요자리수 및 필요행수를 산출한다(스텝F2, F3). 이 경우 공백 정보테이블(12-13)내의 계산패러미터“1”, “2”가 함께 「0」인 때 필요자리수, 필요행수는 공백 정보테이블(12-13)내의 설정자리수, 설정행수로 되는데, 계산패러미터“1”, “2”가 함께 「0」은 아닌 때 필요자리수는 다음 식에 따라서 산출된다.
「필요자리수=설정자리수/계산패러미터“1”×디자인요소 자체의 자리수+
계산패러미터“2”」
또 계산패러미터“1”,“2”가 함께 「0」은 아닌 때 필요행수는 설정행수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필요자리수 및 필요행수를 기초로 하여 후보디자인의 종횡비=필요자리수/필요행수를 구한다(스텝F4). 그리고 문서해석결과메모리(12-3 )에 등록되어 있는 각 공백 영역마다 그 종횡비를 구하여 후보디자인의 종횡비와 각각 비교하고, 그 중에서 종횡비가 가장 근사해 있는 공백 영역을 결정한다(스텝F5). 이에 따라서 결정된 공백 영역과 스텝F2, F3에서 구한 후보디자인영역으로부터 부족량을 산출한다(스텝F6). 즉 부족자리수=후보디자인자리수-공백 영역자리수, 부족행수=후보디자인행수-공백 영역행수를 구한다.
이와 같은 비교처리가 끝나면 도 21의 스텝E3로 진행하고, 그 처리결과를 기초로 하여 공백 영역부족인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 부족자리수, 부족행수의 값이 0이하이면 공백영역은 필요이상 존재하기 때문에 공백영역부족이 아닌 것이 판별되는데, 부족자리수, 부족행수〉0이면 공백 영역부족이라고 판별된다. 이와 같이 공백 영역부족인 경우에 부족자리수, 부족행수는 디자인요소의 주위를 어느 정도 비우면 좋은가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이 수치을 이용하여 공백 영역을 확장하는 처리로 옮긴다(스텝E4). 도 23은 이 공백 영역확장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자리수, 행수의 양쪽이 부족한 경우에는(스텝G1) 디자인요소의 좌우외측에 위치하는 데이터를 부족자리수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자리이동을 시행한다(스텝G2). 이와 같이 부족자리수분데이터를 시프트한 결과 페이지유효영역으로부터 데이터가 밀려 나왔는지(자리이동에 실패했는지)를 조사하고(스텝G3) 자리이동에 성공한 경우에는 스텝G6로 진행하고 디자인요소의 상하외측에 위치하는 데이터를 부족행수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행이동을 시행한다. 이 결과 페이지유효영역으로부터 데이터가 밀려 나왔는지(행이동에 실패했는지)를 조사하고(스텝G7) 행이동에 성공한 경우에는 이 흐름에서 빠져나와서 공백 영역의 확장종료로 된다. 한편 스텝G3에서 자리이동에 실패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G4로 진행하고 서식(자리피치)의 변경을 시행한다. 여기에서 원래의 서식자리수를 C0, 자리피치를 PC로 하면, 변경 후의 서식자리수=C0+부족자리수, 변경 후의 자리피치=(C0×PC)/(C0+부족자리수)의 연산이 실시된다. 여기에서 변경 후의 자리피치가 소정값 이하로 되어 지나치게 축소된 경우에는 서식변경의 실패로 간주된다(스텝G5). 또 스텝G7에서 행이동에 실패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G8으로 진행하고 서식(행피치)의 변경을 시행한다. 여기에서 원래의 서식행수를 L0, 행피치를 P1으로 하면, 변경 후의 서식행수=L0+부족행수, 변경 후의 행피치=(L0×P1)×(L0+부족행수)의 연산이 실시된다. 여기에서 변경 후의 행피치가 소정값 이하로 되어 지나치게 축소된 경우에는 서식변경의 실패로 간주된다(스텝G9). 한편 스텝G4, G8에서의 서식변경이 성공한 경우에는 변경서식에 따라서 데이터의 재편성이 실시된다(스텝G10).
또 자리수, 행수의 양쪽이 부족한 경우는 아니고 그 한쪽이 부족한 경우에는 스텝G11으로 진행하고 행수부족인지 자리수부족인지를 조사한다. 여기에서 자리수부족인 경우에는 상기한 스텝G2∼G4와 똑같은 처리가 실시된다(스텝G12∼G14). 즉 부족자리수분데이터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스텝G12) 실패한 경우에는(스텝G13) 서식변경을 시행한다(스텝G14). 그리고 스텝G9으로 옮겨서 서식변경이 실패했는지를 조사한다. 또 행수부족인 경우에는 상기한 스텝G6∼G8과 똑같은 처리가 실시된다(스텝G15∼G17). 즉 부족행수분데이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스텝G15) 실패한 경우에는(스텝G16) 서식변경을 시행한다(스텝G17). 그리고 스텝G9으로 옮겨서 서식변경이 실패했는지를 조사한다.
이와 같은 공백 영역확장처리가 끝나면, 도 21의 스텝E5로 진행하고 전처리에서 선택한 용도/터치ID를 기초로 하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의 해당하는 다음행을 지정하고 디자인요소ID, 후보1디자인번호를 판독한다. 그리고 해당 행 종료인지를 조사하고(스텝E6), 종료가 아니면 스텝E2로 되돌아가서 상기한 동작이 반복된다. 이에 따라서 디자인요소마다 필요한 공백영역이 확보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문서처리장치에 있어서는 1문서단위마다 문서 전체의 문서구조가 해석되고, 그 각 구성요소 중 문서구조해석테이블(12-2)에 정의되어 있는 속성의 구성요소가 디자인화대상의 디자인요소로서 추출되는 동시에 추출된 디자인요소마다 그 속성을 기초로 하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이 검색되고, 이 검색결과에 따라서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의 기술내용이 실행되기 때문에 각 디자인요소를 미리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 수식코드테이블(12-6)에 정의되어 있는 내용을 기초로 하여 수식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틀, 표제, 도형, 캡션, 페이지배경, 문자/기호, 화살표시 등 문서 중에 있어서 디자인해야 할 각 요소를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수식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보기 좋은 하이센스한 문서가 얻어진다.
또한 디자인요소의 주위에 그것을 디자인화하기 위해 필요한 공백 영역이 존재하는지 안하는지를 판별하고,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디자인요소의 주위에 위치하는 데이터를 바깥방향으로 그대로 이동하여 필요한 공백 영역을 확보하는데, 데이터를 단순히 시프트한 것만으로는 필요한 공백 영역을 확보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설정서식(자리피치, 행피치)을 변경하여 공간을 확보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다 화려하고 효과적인 디자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설정서식을 변경해도 필요한 공백 영역을 확보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제 2, 제 3……의 후보디자인을 기초로 하여 수식가공을 리트라이하도록 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디자인부족이라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동디자인마스터테이블(12-4), 요소디자인코맨드테이블(12-5), 수식코드테이블(12-6), 공백 정보테이블(12-13)을 각각 별개테이블로 했지만, 그들을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해도 좋고, 또 각 테이블의 디폴트값을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디자인화된 문서의 일부를 오퍼레이터의 취향에 따라서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문서구조해석테이블(12-2)의 내용을 일람표시시키고, 그 중에서 오퍼레이터가 임의의 디자인요소를 선택지정한 경우에는 선택된 디자인요소만을 디자인화대상으로서 문서속에서 추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설정서식을 변경해도 필요한 공백 영역을 확보할 수 없었던 경우에 있어서, 변경 가능한 범위내에서 설정서식을 변경하여 공백 영역을 확보해 두고 다음 후보디자인에 의하여 수식가공한 후의 디자인요소를 그 공백 영역을 기초로 하여 적절히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자인요소마다 공백 영역을 확보할 때에 제 1 후보의 디자인을 기준으로 했지만, 또한 제 2 후보, 제 3 후보의 디자인도 참조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11)

  1.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조합하여 구성된 문서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으로,
    복수의 문서디자인종류마다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서구성요소종류마다의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수식정보기억수단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에 대한 소망하는 문서디자인종류를 임의로 선택하는 디자인종류선택수단과,
    상기 디자인화대상으로 된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분해수단과,
    그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식정보의 종류를 상기 디자인종류선택수단에서 선택된 문서디자인종류와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기초로 하여 선택하는 수식정보선택수단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해서 그 개개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여 선택된 수식정보를 기초로 한 수식처리를 실행하는 수식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정보는 대응하는 부분문서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문자에 대한 가공정보와, 그 가공된 각 문자에 부가해야 할 화상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정보는 대응하는 부분문서데이터의 배경에 소정의 배경면을 부가하는 배경화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구성요소종류가 표구성종류인 경우에는 그 문서구성요소종류에 대응하는 수식정보는 표내의 개개의 셀을 각각 입체적으로 도식화하여 표현하는 도식화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처리수단에 의해 수식처리를 실시하는 대상으로 된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하여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주위스페이스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처리수단은 상기 검출된 주위스페이스내에 상기 수식정보를 기초로 한 수식처리의 결과가 들어가도록 수식결과에 대한 확대축소처리를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정보선택수단은 상기 검출된 주위스페이스에 따른 사이즈를 조건으로하여 그 조건에 맞는 수식정보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주위스페이스내에 상기 수식정보를 기초로 한 수식처리의 결과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그 수식처리르 실시하는 대상으로 된 부분문서데이터의 주위스페이스를 넓혀야하여 기초가 되는 문서데이터를 편집하는 문서편집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9.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조합하여 구성된 문서데이터를 기억하는 문서처리장치이고,
    문서를 구성하는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에 대한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수식정보기억수단과,
    상기 장식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배경화를 작성하기 위한 복수의 화상부품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정보기억수단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분해수단과,
    상기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한 배경화를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사이즈에 맞도록 상기 부품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부품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작성하는 배경화작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처리장치.
  10. 컴퓨터에 대해서,
    복수의 문서디자인종류마다 문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문서구성요소종류마다의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기능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에 대한 소망하는 문서디자인종류를 임의로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디자인화대상으로 된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기능과,
    그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판별하는 기능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식정보의 종류를 상기 선택된 문서디자인종류와 상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문서구성요소종류를 기초로 하여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각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해서 그 개개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응하여 선택된 수식정보를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1. 문서를 구성하는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에 대한 수식정보를 기억하는 기능과,
    상기 장식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배경화를 작성하기 위한 복수의 화상부품정보를 기억하는 기능과,
    디자인화대상으로 하는 문서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문서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문서데이터로 분해하는 기능과,
    상기 분해된 각 부분문서데이터 중에서 상기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과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과,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특정한 문서구성요소종류의 부분문서데이터에 대한 배경화를 그 부분문서데이터의 사이즈에 맞도록 상기 부품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부품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작성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80002583A 1997-01-30 1998-01-30 문서처리장치 KR100311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9864 1997-01-30
JP97-029864 1997-01-30
JP2986497 1997-01-30
JP9241722A JPH1166062A (ja) 1997-08-25 1997-08-25 文書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97-241722 1997-08-25
JP97-311574 1997-10-29
JP31157497A JP3817871B2 (ja) 1997-01-30 1997-10-29 文書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953A true KR19980070953A (ko) 1998-10-26
KR100311083B1 KR100311083B1 (ko) 2002-02-28

Family

ID=2728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583A KR100311083B1 (ko) 1997-01-30 1998-01-30 문서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67410A (ko)
KR (1) KR100311083B1 (ko)
CN (1) CN1102778C (ko)
HK (1) HK1017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0023B2 (ja) * 1999-06-17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縮小画像作成方法及び装置、記憶媒体
KR100448452B1 (ko) 2000-06-09 2004-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 기록매체의 메뉴 지원방법
US7298510B2 (en) * 2001-05-10 2007-11-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nlargement through poster printing by combining pattern data with image data
JP4088760B2 (ja) * 2002-04-11 2008-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設計作業支援装置
RU2346340C2 (ru) * 2002-10-02 2009-02-1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 структурой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графических данных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KR100621513B1 (ko) * 2002-10-04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갖는 기록 매체, 그에 따른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US7130844B2 (en) * 2002-10-31 2006-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amining, calculating the age of an document collection as a measure of time since creation, visualizing, identifying selectively reference those document collections representing current activity
KR20040047554A (ko) * 2002-11-27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종횡비 변환에 적응하여 폰트를 제어해서 인터렉티브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15813A1 (en) * 2002-11-27 2006-01-19 Chung Hyun-Kw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interactive contents by controlling font according to aspect ratio conversion
JP4032306B2 (ja) * 2003-04-01 2008-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設計作業支援装置
ATE517413T1 (de) 2003-04-09 2011-08-15 Lg Electronics Inc Aufzeichnungsmedium mit datenstruktur zur verwaltung der wiedergabe von textuntertiteldaten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aufzeichnen und wiedergeben
WO2004097824A1 (en) * 2003-04-29 2004-11-1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graphic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es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US7616865B2 (en) * 2003-04-30 2009-11-1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subtitle data and methods and apparatuses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KR20050005074A (ko) * 2003-07-0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그래픽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고밀도 광디스크
KR20050004339A (ko) 2003-07-02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그래픽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고밀도 광디스크
KR20050078907A (ko)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서브타이틀 재생방법과 기록재생장치
US7809244B2 (en) * 2004-03-26 2010-10-0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text subtitle streams with style information
US9235655B2 (en) * 2004-05-21 2016-0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sk-based design evaluation
US8375292B2 (en) * 2009-01-16 2013-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ol and method for mapping and viewing an event
US20120212494A1 (en) * 2011-02-22 2012-08-23 Melinda Boyle Typeface having interchangeable indicia
US9465572B2 (en) 2011-11-09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server-side image sizing for fidelity improve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2969A (en) * 1990-09-12 1994-04-12 Hitachi, Ltd. Document format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JPH05101052A (ja) * 1991-10-04 1993-04-23 Fuji Xerox Co Ltd 文書作成支援装置
US5615320A (en) * 1994-04-25 1997-03-25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Computer-aided color selection and colorizing system using objective-based coloring criteria
US5903905A (en) * 1996-04-30 1999-05-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simultaneously constructing and displaying a dynamic preview of a document that provides an accurate customized doc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8554A (zh) 1998-11-11
KR100311083B1 (ko) 2002-02-28
US6167410A (en) 2000-12-26
CN1102778C (zh) 2003-03-05
HK1017102A1 (en) 199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083B1 (ko) 문서처리장치
US4608662A (en) Method for editing document
JP3950498B2 (ja) イメージ処理方法及び装置
US4785296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 data
US1069138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which a text element and an image element are arranged based on layouts in a webpage
JPS6342304B2 (ko)
JPH0594433A (ja) 文書処理装置
JP2010123002A (ja) 文書画像レイアウト装置
US7296240B1 (en) Document object membranes
US5727224A (en) Document image processor for inserting and editing bracket symbols and associated text
JP3817871B2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1166062A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559725B2 (ja) 表示装置
JP3571498B2 (ja) 組版方法および組版装置、並びに、その処理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15431B2 (ja) 組版方法、組版装置、及び、その処理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682873B2 (ja) 表形式文書の認識装置
CN117933187A (zh) 网上自动编辑排版设计方法及其系统
Padova et al. Creating and Applying Styles
JPH0229853A (ja) 文書処理装置
JPS6314229A (ja) オブジエクト選択方式
JPH11167571A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2269486A (ja) 電子帳票のhtmlファイル生成方法、及びhtml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JPH1131679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帳表作成方法
JPH0944690A (ja) 画像処理装置
JPS61296388A (ja) 罫線削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