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739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739A
KR19980070739A KR1019980001990A KR19980001990A KR19980070739A KR 19980070739 A KR19980070739 A KR 19980070739A KR 1019980001990 A KR1019980001990 A KR 1019980001990A KR 19980001990 A KR19980001990 A KR 19980001990A KR 19980070739 A KR19980070739 A KR 19980070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dust collecting
collecting chamber
wall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756B1 (ko
Inventor
스에투구나오키
고데라사다키
아이다겐지
Original Assignee
다카노야스아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야스아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7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5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resonance chambers or inter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騷音)을 유효하게 소음(消音)할 수 있고, 전동송풍기에로의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a)에서 나온 소음은 소음부(muffler)(10)에 의해서 소음된다.
즉, 상기 흡기구에서 나오는 소음은, 안내벽(4a)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직진하여 원뿔형의 뿔체(11)에 이르며, 그 측면(13)에 있는 통기구멍(13b)을 통해 뿔체(11)의 내부로 들어가서 흡음재(14)에 의해서 흡음(吸音)된다.
또, 안내벽(4a)의 내면이나 뿔체(11)의 측면(13)에서 반사되어 감쇠된다.
한편, 집진실(2)에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a)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은 별첨 도6의 화살표시와 같이, 뿔체(11)의 측면(13)을 따라서 매끄럽게 이동한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전동송풍기의 작동에 의해서 발생하고 그 흡기구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noise)을 감쇠시키기위한 소음부(muffler)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청소기로서, 집진낭(집진주머니)이 수용되는 집진실을 전방에 설치하고, 집진실쪽으로 흡기구를 향하게 하여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을 후방부에 설치한 청소기본체를 구비하고, 이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전동송풍기의 흡기구 전방에 소음부를 설치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소음부(muffler)로서는, 전동송풍기의 흡기구 전방인, 즉, 전동송풍기실의 전방 또는 집진실의 후방에, 흡음재를 구비한 통형태의 흡음부재를 설치한 것이나(일본국 특개소59-146631호 공보(A47L 9/00),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와 거의 같은 크기의 판형태의 차음부재를 설치한 것이 있다(일본국 특개소57-27245호공보 A47L 9/00).
상기 전자의 소음부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고 그 흡기구에서 나오는 소음(noise)은 흡음재에 의해 어느 정도는 소음되지만, 소리에는 직진성이 있기 때문에 흡음부재의 통체 가운데를 직진하는 소음가운데의 일부는 소음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후자의 소음부에 의하면, 그 소음(noise)은 차음부재에 의해 가로 막혀서 상당히 소음되지만, 그 차음부재는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것이기 때문에, 그 흡기구로 유입하는 공기의흐름이 일부가 저해되어 우회해버리기 때문에 전동송풍기에로의 매끄러운 흡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요과제는, 전동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여 그 흡기구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騷音)을 유효하게 소음(消音)할 수 있고, 동시에 전동송풍기에로의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의 주요부를 측면에서본
내부구성 설명도.
도2는, 도1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측면의 단면도.
도3은 도1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정면도.
도4는, 도1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분해측면도.
도5는, 도1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일부정면도.
도6은 도1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구성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의 주요부를 측면에서본
내부구성설명도.
도8은 도7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정면도.
도9는, 도7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측면도.
도10은 도7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구성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있어서의 전기청소기의 주요부를 측면에서본
내부구성 설명도.
도12는, 도11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정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정면도.
도14는, 도13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정면도.
도15는, 도13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소음부의 확대구성설명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청소기본체
2 집진실
3 전동송풍기실
4 칸막이벽
4a 안내벽
4b 통기구멍(通孔)
5 전동송풍기
5d 흡기구
10 소음부(muffler)
11 뿔체
12 저면(바닥면)
13 측면
13b 통기구멍(通孔)
14 흠음재
20 소음부(muffler) (실시형태 2의)
21 주발형체 (실시형태 2의)
22 지지벽 (실시형태 2의)
22a 통기구멍 (실시형태 2의)
23 차음벽 (실시형태 2의)
24 칸막이벽 (실시형태 2의)
30 소음부 (실시형태 3의)
34 칸막이벽 (실시형태 3의)
35 차음벽 (실시형태 3의)
36 통기구멍 (실시형태 3의)
40 소음부 (실시형태 4의)
41 안내벽 (실시형태 4의)
42 차음벽 (실시형태 4의)
42a 중앙차음벽 (실시형태 4의)
42b 통기구멍 (실시형태 4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제1, 제2, 제3의 형태를 갖는다.
제1의 형태에 의하면, 집진낭(집진주머니)이 수용되는 집진실을 전방부에 설치하고, 집진실측으로 흡기구를 향하게 하여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을 후방부에 설치한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muffler)를 구비하며, 이 소음부가 원뿔형 또는 거의 각뿔형상의 뿔체이고, 그 뿔체는 저면이 전방에 위치하고 측면은 후방에 위치하여 집진실로부터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이 상기의 측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가 제공된다.
청소기본체는, 전방부의 집진실과 후방부의 전동송풍기실로 구획되어 있다.
집진실에는 집진낭이 수용되고, 전동송풍기실에는 집진실쪽으로 흡기구를 향하게하여 전동송풍기가 수용된다.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다.
청소기본체의 내부에는, 소음부가 전동송풍기 흡기구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소음부는, 전동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여 그 흡기구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문제의騷音)을 감쇠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소음부는 뿔체를 구비한다.
이 뿔체는 거의 원뿔형태의 입체라도 좋고, 거의 각뿔형태의 입체라도 좋으며, 또한 원뿔형태 또는 각뿔형태의 정상(꼭대기)을 없엔입체라도 좋다.
상기 뿔체의 배치위치는,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의 전방이라면 전동송풍기실의 전방부에 있어도 되고, 집진실의 후방에 있어도 좋으며, 전/후방부로 구획되어 있는 칸막이벽의 특정부위에 있어도 좋다.
상기 뿔체는,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를 향해서 점점가늘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뿔체의 측면에 의해서 공기가 집진실로부터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효율좋게 안내된다.
상기 소음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방부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연이어 설치된 통형의 안내벽과 이 안내벽의 내부측에 연이어 설치된 뿔체로 구성되며, 안내벽에 집진실의 공기를 그 안내벽의 내부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기구멍은 예를들면, 안내벽의 내부측에 연이어 설치된 뿔체의 저면 가까운 부분에 복수개가 등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벽은 문제의 소음을 뿔체로 유도함과 동시에, 집진실의 공기를 상기 통기구멍을 통해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안내한다.
뿔체는, 그 내부에 흡음재를 구비하고, 그 측면에 그 흡음재로 통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흡음재로서는, 예를들면 우레탄폼등이 사용되며, 측면에 있는 통기구멍은 문제의 소음을 뿔체 내부의 상기 흡음재로 유도하는 것이며, 측면의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수가 설치된다.
뿔체의 저면의 크기는, 전동송풍기의 흡기구 크기에 거의 같게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경우, 소음효과가 클 뿐 아니라, 전동송풍기에로의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하면, 집진낭이 수용되는 집진실을 전방부에 설치하고, 집진실측으로 흡기구를 향하게 하여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을 후방부에 설치한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 내부에 있어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의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음부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집진실을 향해서 돌출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태의 팽창돌출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가 제공된다.
소음부는 집진실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바닥이있는 통형태의 팽창돌출부(팽출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는, 집진실과 전동송풍기실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팽출부는 둘레벽(집진실측으로 돌출하는 통부분)과 바닥벽(집진실측의 바닥부분)을 가지며, 예를들면, 주발형체와 차음벽으로 설치된다.
주발형체는, 둥근주발형이라도 좋고, 각이진 주발형태라도 좋다.
차음벽은 예를들면, 전방부(집진실측부분)가 폐쇄되고 후방부(전동송풍기의 흡기구측부분)가 개방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 또는 바닥이 있는 각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팽출부의 둘레벽에는, 집진실로부터 전동송풍기실로 공기를 유도하기위한 통기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집진실의 공기가 그 통기구멍을 통해서 팽출부의 둘레벽의 내부측으로 들어가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유도된다.
또한, 상기 팽출부의 바닥벽을 적어도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와 거의 같은 지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소음효과가 클 뿐 아니라, 전동송풍기에로의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형태에 의하면, 집진낭(집진주머니)이 수용되는 집진실을 전방부에 설치하고, 집진실측으로 흡입구를 향하게 하여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을 후방부에 설치한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송풍기의 흡입구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를 구비하며, 그 소음부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전/후개방구형태로 설치하고, 집진실측을 향해서 넓어지는 통형태의 안내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가 제공된다.
소음부는 통형태의 안내벽으로 구성된다. 안내벽은 원통형이라도 좋고, 각이 있는 통형태라도 좋으며, 예를들면, 칸막이벽에 전/후개방구형으로, 또한 집진실측(전방)을 향해서 넓어지는 상태로 연이어 설치된다.
안내벽은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실에 걸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의 크기에 거의 같은 내부지름의 후부개방구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부는, 이와같이 집진실측을 향해서 넓어지는 통형태의 안내벽과, 이 안내벽의 전방부개방구를 가로막는 상태로 설치되는 차음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차음벽은 원형의 중앙차음벽과 이 중앙차음벽의 주위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구멍을 가지며, 중앙차음벽은 전동송풍기 흡기구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게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제4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1에 있어서, 1은 청소기본체로서, 서로 조합된 상부케이스(1a)와 하부케이스(1b)로 구성된다.
이 청소기본체(1)의 내부에는, 전방부에 집진실(2), 후방부에 전동송풍기실(3)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집진실(2)와 전동송풍기실(3)은 수직의 칸막이벽(4)로 구획되어 있다.
집진실(2)는 그 전방부의 흡기구(2a)에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상방의 개방구부(2b)로부터 집진낭(집진주머니)(6)을 빼낼수 있도록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동송풍기실(3)에는 하우징(8)[전방부의 정류판(8b)와 후방부의 케이스(8c)로 구성되는]이 설치되고, 그 하우징(8)내에 전동송풍기(5)가 배치설치되어 있다.
전동송풍기(5)는, 모터부(5a)와 송풍부(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모터부(5a)의 측면에는 배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멍(5c)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부(5b)의 전면중앙에는 원형의 흡기구(5d)가 형성되어 있다.
7은 상부케이스(1a)의 후면에 형성된 배기구로서, 전동송풍기실(3)에는 전동송풍기(5)의 배기를 이 배기구(7)로 유도하는 배기통로(9)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의 전면중앙에는, 흡기구(5d)에 대응하여 흡기구멍(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기구멍(8a)의 전방에는 소음부(muffler)(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음부(10)은 전동송풍기(5)의 작동으로 발생하여 그 흡기구(5d)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騷音)을 감쇠시킨다.
도2 및 도3은 소음부(10)을 확대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소음부(10)은 칸막이벽(4)에 연이어 설치된 원통형 안내벽(4a)와, 안내벽(4a)의 내부측에 연이어 설치된 거의 원뿔형태의 뿔체(11)로 구성된다.
안내벽(4a)에는 상기 뿔체(11)을 에워싸는 상태로 8개의 통기구멍(4b)가 등거리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기구멍(4b)는 집진실(2)의 공기를 그 안내벽(4a)의 내부측으로 유도한다.
뿔체(11)은 전방에 위치하는 원형저면(12)와, 후방에 위차하는 측면(13)과, 이들 내부에 수용된 흡음재(14)로 구성된다.
원형의 저면(12)의 지름은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지름과 거의 같게하고 있다.
저면(12)와 측면(13)이란, 저면(12)의 후방에 형성된 고리형의 결합볼록부(12a)와, 측면(13)의 전방내부측에 형성된 고리형의 결합오목부(13a)가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서로 일체화된다.
흡음재(14)는 대략 원뿔형태이며 다공성 우레탄폼으로 된다.
도4 및 도5는 소음부(10)을 분해하여 확대한 것이다.
이들 도면의 뿔체(11)의 측면(13)에는, 안내벽(4a)와 평행으로 뻗어서 흡음재(14)로 통하는 24개의 통기구멍(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기구멍(13b)는, 내외 두개의 고리형태로서 등거리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진동송풍기(5)의 흡기구(5d)로부터 나온 소음(騷音)은 안내벽(4a)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직진하여 뿔체(11)에 이른다.
그리고, 뿔체(11)의 측면(13)에 있어서의 통기구멍(13b)에서 뿔체(11)의 내부로 들어가서 흡음재(14)에 의해서 흡음된다.
또, 흡기구(5d)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의 일부는, 안내벽(4a)의 내면이나 뿔체(11)의 측면(13)에서 반사되어 감쇠된다.
한편, 상기 소음부(10)에 의하면, 도6의 화살표시로 지시하는 바와같이, 집진실(2)로부터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은 뿔체(11)의 측면(13)을 따라서 매끄럽게 이동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전기청소기 D1에 의하면, 소음효과가 큰데다, 전동송풍기(5)로 이동하는 원활한 흡기가 확보된다.
(실시형태 2)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의 전기청소기 D2의 내부를 측면에서 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7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의 내부에 있어서, 집진실(2)와 전동송풍기실(3)은 복수의 통풍구멍이 형성된 수직의 격자형 칸막이벽(24)로 구획되어 있다.
전동송풍기실(3)에는 하우징(8)내에 전동송풍기(5)가 배치되어 있다.
전동송풍기(5)는 모터부(5a)와 송풍부(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풍부(5b)의 전면중앙에는 원형의 흡기구(5d)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의 흡기구멍(8a)의 전방에는 흡기구(5d)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부(muffler)(20)이 설치되어 있다.
도8 및 도9는 상기 소음부(20)을 확대한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소음부(20)은 칸막이벽(24)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전방을 향해서 가늘어지며, 바닥이 있는 통형태의 팽출부로서 주발형체(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발형체(21)은 둥근주발형이며, 주발의 둘레벽에 해당하는 지지벽(22)와 주발의 바닥벽에 해당하는 차음벽(23)으로 구성된다.
지지벽(22)에는 통기구멍(22a)가 등거리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기구멍(22a)는 집진실(2)의 공기를 그 지지벽(22)의 내부측으로 인도한다.
차음벽(23)은 원형판형태로 형성되며,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있다.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에서 나온 소음은 주발형체(21)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직진하여 그 차음벽(23)에 이르러, 차음벽(23)에 의해 차음됨과 동시에 지지벽(22)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감쇠한다.
한편, 상기 소음부(20)에 의하면, 도10의 화살표로 지시하는 바와같이 집진실(2)에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은 주발형체(21)의 지지벽(22)의 통기구멍(22a)를 통해서 매끄럽게 인도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전기청소기 D2에 의하면, 소음효과가 크고, 전동송풍기(5)로의 매끄러운 흡기가 확보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기청소기 D3의 내부를 측면에서본 구성을 나타낸다.
도11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의 내부에 있어서, 집진실(2)와 전동송풍기실(3)은 수직의 칸막이벽(34)로 구획되어 있다.
전동송풍기실(3)에는 하우징(8)이 설치되고, 그 하우징(8)내에 전동송풍기(5)가 배치되어 있다.
전동송풍기(5)는 모터부(5a)와 송풍부(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풍부(5b)의 전면중앙에는 원형의 흡기구(5d)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의 흡기구멍(8a)의 전방에는 흡기구(5d)에서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부(muffler)(30)이 설치되어 있다.
도12는, 상기소음부(30)을 확대한 것이며, 도11 및 도12에 있어서, 소음부(30)은 칸막이벽(34)에 전면부가 폐쇄되고 후면부가 개방된 전방팽출형태로 연이어 설치된 팽출부로서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차음벽(35)로 이루어진다.
차음벽(35)의 내부지름은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차음벽(35)와 칸막이벽(34)의 경계부에는 통기구멍(36)이 등거리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통기구멍(36)은 집진실(2)의 공기를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a)로 도입한다.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로부터 나온 소음은 차음벽(35)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직진하여, 전벽부(35a)에 이르러 전벽부(35a)에 의해 차음됨과 동시에, 차음벽(35)의 둘레벽부(35b)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감쇠한다.
한편, 상기 소음부(30)에 의하면, 도11에서 화살표시와 같이, 집진실(2)에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은 차음벽(35)와 칸막이벽(34)의 경계부에 형성된 통기구멍(36)을 통해서 매끄럽게 인도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전기청소기 D3에 의하면, 소음효과가 클 뿐 아니라, 전동송풍기(5)에로의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 4)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4의 전기청소기 D4의 내부를 측면에서본 구성을 도시한다.
도13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의 내부에 있어서, 집진실(2)와 전동송풍기실(3)은 수직칸막이벽(44)로 구획되어 있다.
전동송풍기실(3)에는 하우징(8)이 설치되고, 그 하우징(8)내에 전동송풍기(5)가 배치되어 있다. 전동송풍기(5)는, 모터부(5a)와 송풍부(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풍부(5b)의 전면중앙에는 원형의 흡기구(5d)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의 흡기구멍(8a)의 전방에는 흡기구(5d)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을 줄이기위한 소음부(muffler)(40)이 설치되어 있다.
도14는, 소음부(40)을 확대한 것이다.
도13 및 도14에 있어서, 소음부(40)은 칸막이벽(44)에 전/후개방상태로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전방을 향해서 넓어지는 안내벽(41)과 이 안내벽(41)의 전방부개방구를 막는 상태로 설치된 차음벽(42)로 구성된다.
안내벽(41)은 집진실(2) 및 전동송풍기실(3)에 걸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내부지름을 갖는 후방부개방구를 형성하고 있다.
차음벽(42)는, 원형의 중앙차음벽(42a)와 중앙차음벽(42a)의 주위에 등거리간격으로 형성된 통기구멍(42b)를 갖는다.
이들 통기구멍(42b)는 집진실(2)의 공기를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a)로 도입한다.
또한, 중앙차음벽(42a)는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크기와 거의 같은 지름을 갖게 하고 있다.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에서 나온 소음은 안내벽(41)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직진하여 차음벽(42)의 중앙차음벽(42a)에 이르러, 중앙차음벽(42a)에 의해 차음됨과 동시에 안내벽(41)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감쇠한다.
한편, 이 소음부(40)에 의하면, 도15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집진실(2)에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은 차음벽(42)에 형성된 통기구멍(42b)를 통해서 매끄럽게 도입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전기청소기 D4에 의하면, 소음효과가 클 뿐 아니라, 전동송풍기(5)에로의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한 천기청소기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흡기구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가 거의 원뿔 또는 거의 원뿔형의 뿔체를 구비하며, 그 뿔체는 저면이 전방에 위치하고 측면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에서 나온 소음(noise)은 전방으로 직진하여 상기 뿔체에 이르고 그곳에서 반사되어 감쇠되기 때문에 소음효과가 크다.
또, 집진실에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유입하는 공기는 그 대부분이 뿔체의 측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전동송풍기에로의 매끄러운 흡기가 확보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소음부가 전기청소기의 전/후방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연이어 설치된 통형의 안내벽과, 이 안내벽의 내부측에 연이어 설치된 뿔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벽에 집진실의 공기를 그 안내벽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청소기가 발휘하는 상기의 효과와 함께 다음과 같은 각별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흡기구에서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은 안내벽의 내면이나 뿔체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감쇠하기 때문에 소음효과가 크다.
또, 집진실에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이 뿔체의 측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동송풍기에로의 한층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소음부의 뿔체가 내부에 흡음재를 구비하고 뿔체의 측면에 상기 흡음재로 통하는 통기구멍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청구항 1, 2에 기재한 전기청소기가 나타내는 상기의 효과와 함께 다음과 같은 각별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흡기구에서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은 뿔체의 측면에 있는 통기구멍으로부터 뿔체내부로 들어가서 흡음재에 의해 흡음되므로 소음의 효과가 크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소음부뿔체의 저면의 크기가 전동송풍기흡입구의 크기와 거의 같게 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1, 2,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청소기가 나타내는 효과와 함께 다음과 같은 각별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흡기구에서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은 전동송풍기흡기구의 크기와 거의 같은 저면을 갖는 뿔체에 의해 한층 확실하게 소음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전동송풍기 흡기구의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muffler)가 청소기본체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집진실을 향해서 돌출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태의 팽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기구에서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은 팽출부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직진하여 그 저벽에 이르러 그 저벽에 의해 차음됨과 동시에, 둘레벽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감쇠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팽출부의 둘레벽에 집진실에서 전동송풍기실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통기구멍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5에 기재한 전기청소기가 나타내는 효과와 함께, 집진실에서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이 그 통기구멍을 통해서 매끄럽게 도입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팽출부의 적어도 저벽을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와 거의 같은 지름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5에 기재한 전기청소기가 나타내는 효과와 함께, 소음효과가 큰데다 전동송풍기에로의 매끄러운 흡기를 확보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소음부를, 청소기본체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전/후개방구형태로 설치하며, 집진실을 향해서 넓어지는 통형의 안내벽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부터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은 안내벽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직진할때에 안내벽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감쇠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한 전기청소기에 의하면, 전동송풍기흡입구의 전방에 설치된 소음부가 청소기본체의 전/후방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에 전/후개방구형태로 설치되고, 집진실을 향해서 넓어지는 통형의 안내벽과, 이 안내벽의 전방개방구를 막는 상태로 설치된 차음벽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청구항 8기재의 전기청소기가 나타내는 효과에 더하여, 흡기구에서 전방으로 나오는 소음은 안내벽의 내부측을 전방으로 진행하여 차음벽에 이르고 그곳에서 한층 확실하게 차음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9)

  1. 집진낭(6)이 수용되는 집진실(2)을 전면부에 설치하고, 집진실(2)측으로 흡기구(5d)를 향해서 전동송풍기(5)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3)을 후면부에 설치한 청소기본체(1)와, 이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10)를 구비하며, 그 소음부는 거의 원뿔 또는 거의 각뿔형태의 뿔체(11)를 구비하고, 그 뿔체는 저면이 전방에 위치하고 측면은 후방에 위치하여 집진실(2)로부터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로 유입하는 공기의 대부분이 상기 측면(13)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소음부(10)가 청소기본체(1)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4)에 연이어설치되는 통형태의 안내벽(4a)와, 이 안내벽의 내부측에 연이어 설치된 뿔체(11)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벽(4a)에, 집진실(2)의 공기를 그 안내벽의 내부측으로 도입하기 위한 통기구멍(4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뿔체(11)가 내부에 흡음재(14)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13)에 흡음재(14)로 통하는 통기구멍(4b)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뿔체(10)의 저면(12)의 크기가 전동송풍기의 흡기구(5d)의 크기와 거의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집진낭(6)이 수용되는 집진실(2)을 전면부에 설치하고, 집진실(2)측으로 흡기구(5d)를 향해서 전동송풍기(5)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3)을 후면부에 설치한 청소기본체(1)와, 이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소음부(20)를 청소기본체(1)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24)에, 집진실(2)을 향해서 돌출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태의 팽출부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주발형체(21)]의 둘레벽에, 집진실(2)로부터 전동송풍기실(3)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통기구멍(22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의 적어도 저벽을,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와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8. 집진낭(6)이 수용되는 집진실(2)을 전면부에 설치하고, 집진실(2)측으로 흡기구(5d)를 향해서 전동송풍기(5)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3)을 후면부에 설치한 청소기본체(1)와, 이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송풍기(5)의 흡기구(5d)의 전방에 설치한 소음부(40)를 구비하며, 상기 소음부(40)를 청소기본체(1)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44)에 전/후개방형태로 설치하며, 또한 집진실(2)을 향해서 넓어지는 통형태의 안내벽(4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부(40)를 청소기본체(1)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44)에 전/후개방형태로 설치하며, 또한 집진실(2)을 향해서 넓어지는 안내벽(41)과, 이 안내벽(41)의 전방개방구를 가로막는 상태로 설치한 차음벽(4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980001990A 1997-01-30 1998-01-23 전기청소기 KR100253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7089A JPH10211128A (ja) 1997-01-30 1997-01-30 電気掃除機
JP17089 1997-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739A true KR19980070739A (ko) 1998-10-26
KR100253756B1 KR100253756B1 (ko) 2000-05-01

Family

ID=1193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990A KR100253756B1 (ko) 1997-01-30 1998-01-23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211128A (ko)
KR (1) KR100253756B1 (ko)
CN (1) CN11055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700C (zh) * 2002-12-12 2004-12-15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用消音装置
CN1279868C (zh) * 2003-08-26 2006-10-18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消音装置
SE533268C2 (sv) * 2008-12-17 2010-08-03 Electrolux Ab Dammsugare
CN102599851B (zh) * 2011-01-21 2017-01-25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降低电机噪音的电机盒结构
CN102670131A (zh) * 2012-02-20 2012-09-19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静音吸尘器
CN102715869A (zh) * 2012-07-05 2012-10-10 马中雁 一种新型的吸尘器降噪音结构
WO2014135192A1 (en) * 2013-03-04 2014-09-12 Aktiebolaget Electrolux Arrangement in a vacuum cleaner for reducing noise
GB2542423B (en) * 2015-09-21 2018-01-24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WO2017092831A1 (en) * 2015-12-04 2017-06-08 Aktiebolaget Electrolux A vacuum cleaner
CN105615770B (zh) * 2016-03-21 2017-12-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地刷组件及吸尘器
CN107095617B (zh) * 2017-04-24 2020-06-05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电机前导风结构和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3146U (ko) * 1979-03-31 1980-10-14
JPS5727245U (ko) * 1980-07-23 1982-02-12
JPS59146631A (ja) * 1984-02-02 198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930001867A (ko) * 1991-07-26 1993-02-22 배순훈 저소음 진공청소기
US5513417A (en) * 1993-07-19 1996-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enc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543C (zh) 2003-04-16
KR100253756B1 (ko) 2000-05-01
JPH10211128A (ja) 1998-08-11
CN1189319A (zh)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756B1 (ko) 전기청소기
EP0636336B2 (en) Vacuum cleaner with silencing device
KR0136300Y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소음감쇠구조
US7475449B2 (en) Vacuum cleaner
KR970009718A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US7690077B2 (en) Central vacuum units with an acoustic damping pathway
KR102492164B1 (ko) 진공 청소기
JP2005066309A (ja) 電気掃除機消音装置
US20100329850A1 (en) External extractor fan for exhaust hood
US5067584A (en) Low cost replaceable type sound dampening unit for vacuum cleaning machine
EP1800955B1 (en) Vehicle cab noise suppressing system
JPH07116088A (ja) 電気掃除機
KR20200006743A (ko) 차량용 헬름홀츠 소음기
SU1602442A1 (ru) Пылесос
KR10023143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JPS6036205Y2 (ja) 電気掃除機
JP3030714B2 (ja) 消音装置
SU1743578A1 (ru) Пылесос
KR200393141Y1 (ko) 차량용 소음기
KR970020001A (ko) 나선형 관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KR19990024890U (ko) 소음기
JP4423665B2 (ja) 吸気音低減構造
SU1736422A1 (ru) Пылесос
JP2004150309A (ja) 吸気ダクト
KR200143228Y1 (ko)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차음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