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686A -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686A
KR19980070686A KR1019980001836A KR19980001836A KR19980070686A KR 19980070686 A KR19980070686 A KR 19980070686A KR 1019980001836 A KR1019980001836 A KR 1019980001836A KR 19980001836 A KR19980001836 A KR 19980001836A KR 19980070686 A KR19980070686 A KR 19980070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counter
brake
increase
de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하르트뤼디거
Original Assignee
토마스아흐렌스
폴크스바겐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아흐렌스, 폴크스바겐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토마스아흐렌스
Publication of KR1998007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6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60W10/023Fluid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72Coasting
    • B60W2030/1809Without torque flow between driveshaft and engine, e.g. with clutch disengaged or transmission in neut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8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1Clutch engagemen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조립체와 기어박스 사이의 드라이브 트레인내에 자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제동 상태는 증가/감소 카운터에 의하여 적절하게 측정되며, 카운터의 판독치에 종속하여 미리 결정되는 변수에 따라서 엔진 브레이크의 작동시에 자동 클러치는 차단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본 발명은 구동 조립체와 기어박스 사이의 드라이브 트레인(drive train)내에 자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클러치와,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조립체를 구비하고 프리휠 모드(freewheeling mode)를 채택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이 제동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오버런 상태 동안 프리휠 모드의 클러치는 보통 차단되지 않는다(프리휠 모드). 그러나, 차량을 제동하고자 한다면 운전자는 제동 과정의 강도에 따라서 브레이크를 밟는다.
또한, 엔진 제동 모드를 조작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킬 때마다 자동 클러치를 차단시키는 구성이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제 195 07 62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변속 레버상에서 그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엔진 제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히 현저하게 산이 많은 지방의 도로를 따라서 운전할 때, 이 해결책은 만족스럽지 못한데 그 이유는 운전자가 최적의 방법으로 운전하기를 원한다면, 푸시-버튼 키이를 누름으로서 수동으로 제동/프리휠 모드를 계속해서 변화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대부분의 운전자는 최적이 아닌 엔진 제동 모드로 결정하기 쉽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이 극복되고 운전시 편안한 느낌이 향상되는 전술된 형태의 방법 및 장치를 유용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단계를 포함하는 전술한 형태의 방법 및 청구항 9항에서 특정된 특징을 구비한 전술한 형태의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카운터 판독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기본 선도.
도 2는 비교적 높은 속도에서는 다른 변수를 가지는 도 1과 유사한 기본 선도.
전술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는 다음의 단계가 제공된다.
(a) 자동차의 브레이크가 작동되는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b) 자동차에 작용하는 가속도가 0이하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a) 및 (b)의 결과가 양(positive)이면 미리 정해진 증가분만큼 카운터가 증분되고, (a) 및 (b)의 결과가 음(negative)이면 미리 정해진 감소분만큼 카운터가 감소되는 단계,
(d) 카운터의 판독치가 미리 정해진 결정값과 비교되는 단계,
(e) 카운터 판독치가 미리 정해진 결정값에 이르거나 초과하면, 클러치 차단 신호가 출력되거나 자동 클러치가 차단되고, 카운터 판독치가 미리 정해진 결정값 아래로 떨어지면, 클러치 개방 신호가 출력되거나 자동 클러치가 개방되는 단계.
이것은, 편안한 느낌을 향상시키는 이외에도 브레이크가 더 이상 심하게 마모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자동차를 여러 상태에 걸쳐 최적화하기 위하여, 단계 (c)에서 (b)의 결과가 음이라면 카운터는 미리 정해진 감소분만큼 선택적으로 감소한다.
구동 상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하고 클러치를 적절히 개방 또는 차단하는 것은 단계 (a) 내지 (e)를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얻어진다.
카운터는 시간을 재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카운트된다. 이것은 카운터의 타이밍을 위해서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다.
클러치를 적절히 치합 및 해제하여 여러 제동 상황의 매 경우마다 최대한 빠르게 최적의 작동 상태를 얻기 위하여, 감속시의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대해 이미 결정된 증가분은 비감속시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증가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이와 관련해서, 감속시의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이미 정해진 증가분은 비감속시의 브레이크 작동 상태의 증가분보다 작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미 정해진 결정값 및/또는 이미 정해진 감소분 및/또는 이미 정해진 증가분은 속도의 기능 및/또는 기어의 기능 및/또는 제동 압력의 기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입력 속도의 기능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변화한다.
이와 관련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 기어, 제동 압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속도에서 이미 정해진 결정값 및/또는 이미 정해진 감소분 및/또는 이미 결정된 증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 기어, 제동 압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속도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크거나, 같거나 또는 작다.
전술한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가 이미 정해진 증가분만큼 증가하고 이미 정해진 감소분만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는 자동차의 각각의 작동 상태의 작용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카운터가 이미 정해진 결정값에 이르거나 초과하면 자동 클러치를 차단하고 카운터가 이미 정해진 결정값에 미달하면 자동 클러치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해서, 자동차의 작동 상태가 감속도가 있거나 없거나 브레이크가 작용해야할 정도의 상태라면, 바람직하게는 카운터는 증가되는 방식으로 카운트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장점 및 장점이 되는 상세함은 종속항 및 도면을 첨부한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동 모드를 자동적으로 또는 임시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조작하는 것을 훨씬 쉽게 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제동한다면, 차량을 제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브레이크의 작동 시간 및 감속 시간은 증가/감소 카운터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와 관련해서, 두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1. 제동장치가 작동되었을 때, 감속도가 0 보다 작거나 같으면 차량은 내리막 상태에 있다. 운전자는 속도를 유지하거나 천천히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동장치를 작동한다.
2. 브레이크가 작동 되었을 때, 감속도가 양이라면 운전자는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측면에도 있을 수 있다. 부가 엔진 브레이크 작동의 문제에 타당한 어떤 명확한 이유를 브레이크의 작동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엔진 브레이크를 가동시키는 즉, 자동 클러치를 차단하는 결정이 내려지는 원리는 카운터에 달려있다. 경우1 및 경우2에 따른 제동의 경우에, 이 카운터는 최대값에 이르는 임의의 상이한 증가분만큼 증가된다.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카운터는 최소값으로 감소한다. 이것은 도 1의 임의의 미소 시간 간격 TA=t4-t1이 되는 예에 의하여 도시된다.
시간 간격 t1, t2에 있어서, 브레이크는 작동하지 않으며 카운터는 상응하게 감소한다. 시간 간격 t2, t3에 있어서, 브레이크는 작동되지만 속도는 증가한다. 속도가 계속 증가된다면 이런 상황은 부가적인 엔진 브레이크의 작동 즉, 자동 클러치의 차단을 필요로 하므로, 이것은 카운터를 빠르게 증가시킨다. 시간 간격 t3, t4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속도는 결국 감소하고, 카운터는 또한 증가한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느리게 일어난다. 도 1에 있어서, 카운터는 여기서 결정 한계에 도달하지 못하여 자동 클러치는 차단되지 않고 엔진 브레이크는 기동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미소 시간 간격 TB=t5-t1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시간 간격 t1, t2에 있어서, 브레이크는 작동하지 않으며, 카운터는 감소한다. 시간 간격 t2,t3에 있어서, 속도가 증가하면서 브레이크는 작동하고, 카운터는 빠르게 증가한다. 또한, 절대 속도는 도 1에 따른 예의 속도 보다 크다. 이것은 카운터를 매우 크게 증가시키고 카운터 판독치는 시간 간격 t2, t3에 있어서의 결정 한계를 초과한다. 그리고, 시간 t3에서 엔진 브레이크는 자동 클러치를 차단함으로써 작동된다. 시간 t3내지t5에는 또 다른 제동 작동이 있으며, t4이후에는 감속이 동반된다. 이러한 이유로 시간 간격 t4, t5에서 카운터의 증가분은 작게 발생한다.
상기 증가 및 감소는 각각의 경우에 차량의 속도, 기어 선택, 기어 박스 입력축의 속도 또는 브레이크의 압력에 의존한다. 카운터 판독치의 결정 한계를 초과하면, 엔진 브레이크는 이미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작동한다.
편리함의 증가이외에도(운전자가 엔진 제동 모드를 더 이상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는 이전의 브레이크 보다 적은 압력을 받게되고 운전자는 수동으로 엔진 브레이크를 켜기 위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는 스위치를 더 이상 찾을 필요가 없고 완전히 운전에만 전념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안전성의 증가도 또한 달성된다. 결국 이전에 사용되던 스위치의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없앨 수 있다.
말하자면, 본 발명은 구동 조립체와 기어박스 사이의 드라이브 트레인에 자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제동 상태는 증가/감소 카운터에 의하여 적절하게 측정되며, 카운터 판독치에 종속하는 이미 결정된 변수에 따라서 엔진 브레이크 작동시에 자동 클러치는 차단된다.
본 발명은 운전의 편리함이 달성되며, 편리함의 증가이외에도(운전자가 엔진 브레이크의 방식을 더 이상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는 이전의 브레이크에서 보다 작은 압력을 받게되고 운전자는 수동으로 엔진 브레이크를 켜기 위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는 스위치를 더 이상 찾을 필요가 없고 완전히 운전에만 전념할 수 있다는 사실때문에 안정성의 증가도 또한 달성된다. 결국 이전에 사용되던 스위치의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없앨 수 있다.

Claims (15)

  1. 구동 조립체와 기어박스 사이의 드라이브 트레인내에 자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자동차의 브레이크가 작동되는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b) 자동차에 작용하는 가속도가 0 이하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a) 및 (b)의 결과가 양이면 미리 정해진 증가분만큼 카운터가 증가하고, (a) 및 (b)의 결과가 음이면 미리 정해진 감소분만큼 카운터가 감소하는 단계,
    (d) 카운터의 판독치가 미리 정해진 결정 값과 비교되는 단계,
    (e) 카운터 판독치가 미리 정해진 결정 값에 이르거나 초과하면, 클러치 차단 신호가 출력되거나 자동 클러치가 차단되고 또는 카운터 판독치가 미리 정해진 결정값 아래로 떨어지면, 클러치 개방 신호가 출력되거나 자동 클러치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b)의 결과가 음이면 미리 정해진 감소분만큼 카운터는 선택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a) 내지 (e)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선행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운터는 시간을 재는 방식으로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선행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에 대해 이미 정해진 증가분은 비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의 증가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이미 정해진 증가분은 비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의 증가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선행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 정해진 결정값 및/또는 이미 정해진 감소분 및/또는 이미 정해진 증가분은 속도의 기능 및/또는 기어의 기능 및/또는 제동 압력의 기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입력 속도의 기능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선행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 기어, 제동 압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속도에서 이미 정해진 결정값 및/또는 이미 정해진 감소분 및/또는 이미 결정된 증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 기어, 제동 압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속도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크거나, 같거나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구동 조립체와 기어박스 사이의 드라이브 트레인내에 자동 클러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이미 정해진 증가분만큼 증가하고 이미 정해진 감소분만큼 감소하도록 자동차의 각각의 작동 상태의 작용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구비하고, 카운터가 이미 정해진 결정값에 이르거나 초과하면 자동 클러치를 차단하고 카운터가 이미 정해진 결정값에 미달하면 자동 클러치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카운터는 시간을 재는 방식으로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작동 상태가 감속도가 있거나 없거나 브레이크가 작용해야할 정도의 상태일때 카운터는 증가하는 방식으로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에 대해 이미 결정된 증가분은 비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의 증가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이미 정해진 증가분은 비감속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의 증가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이미 정해진 결정값 및/또는 이미 정해진 감소분 및/또는 이미 정해진 증가분은 속도의 기능 및/또는 기어의 기능 및/또는 브레이크 압력의 기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입력 속도의 기능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9항 내지 14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 기어, 제동 압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속도에서 이미 정해진 결정값 및/또는 이미 정해진 감소분 및/또는 이미 결정된 증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 기어, 제동 압력 및/또는 기어박스 샤프트 속도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크거나, 같거나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01836A 1997-02-22 1998-01-22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KR19980070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7140A DE19707140C1 (de) 1997-02-22 1997-02-22 Verfahren zur Steuerung des Motorbremsbetriebes eines Kraftfahrzeugs
DE19707140.6 1997-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686A true KR19980070686A (ko) 1998-10-26

Family

ID=782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836A KR19980070686A (ko) 1997-02-22 1998-01-22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60625B1 (ko)
JP (1) JPH10329588A (ko)
KR (1) KR19980070686A (ko)
DE (2) DE1970714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05395A (pt) * 2001-05-21 2003-06-17 Luk Lamellen & Kupplungsbau Processo de controle para veìculos automóveis com dispositivo de embreagem automatizado
DE10229035B4 (de) * 2002-06-28 2015-10-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DE102004050995B3 (de) 2004-10-20 2006-05-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ntriebssystems und eines Radbremssystems
DE102009028242A1 (de) * 2009-08-05 2011-02-10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Roll- bzw. Segelmodus eines Fahrzeuges
DE102016204504A1 (de) 2016-03-18 2017-09-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erassistenzsystem in einem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30453A1 (de) * 1981-07-23 1983-02-1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ntriebssystem
DE3151087A1 (de) * 1981-12-23 1983-07-28 Luk Lamellen & Kupplungsbau Kraftfahrzeug mit automatisierter kupplung
DE3208715A1 (de) * 1982-03-11 1983-09-22 Sachs Systemtechnik Gmbh Freilauf-steuervorrichtung fuer eine kraftfahrzeugkupplung
DE19507622B4 (de) * 1994-03-18 2013-01-03 Volkswagen Ag Verfahren und Antriebsanordnung zur Steuerung des Motorbremsb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NO314174B1 (no) * 1995-12-18 2003-02-10 Luk Getriebe Systeme Gmbh Motorkjöretö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706758D1 (de) 2002-05-02
EP0860625A3 (de) 1999-05-26
JPH10329588A (ja) 1998-12-15
EP0860625A2 (de) 1998-08-26
EP0860625B1 (de) 2002-03-27
DE19707140C1 (de) 199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388B1 (ko) 자동차의 부하 변경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EP024212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clutch for a vehicle
EP0864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change of a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GB2263519A (en) System for controlling a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for a motor vehicle
US5759131A (en) Control of an automatic clutch
US5662548A (en) Start controll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4903828B2 (ja) 自動変速を有した乗り物に実現するために意図された、滑りやすい地面を検出する方法
KR970007726B1 (ko) 급제동시의 제동거리 단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0686A (ko) 자동차의 엔진 제동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US4834226A (en) Control system for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a vehicle
US6148975A (en) Vehicle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clutch control to eliminate neutral idle gear rattle
WO2006043364A1 (ja) 車両の減速度制御装置
US5897455A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ngine speed in response to an air conditioner operating state during a downshift
US4977988A (en) Control system for a clutch for a vehicle
EP0243195B1 (en) Control system for a clutch for a vehicle
JP2687610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速度比制御装置
JPH0155693B2 (ko)
US57920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amper clutch
JP3622257B2 (ja)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JP2709939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KR100193485B1 (ko) 커브길 주행시의 업시프트 방지장치 및 그방법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JPH10338060A (ja)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JPH02278069A (ja) 車輌のエンジンブレーキ制御装置
US6344015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