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617A - 디스크 재생 및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 재생 및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617A
KR19980070617A KR1019980001487A KR19980001487A KR19980070617A KR 19980070617 A KR19980070617 A KR 19980070617A KR 1019980001487 A KR1019980001487 A KR 1019980001487A KR 19980001487 A KR19980001487 A KR 19980001487A KR 19980070617 A KR19980070617 A KR 1998007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ing
disk
disc
roll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039B1 (ko
Inventor
야부시타유이치
하야시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7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11B17/0565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센터링 기구는 디스크의 인입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디스크의 기록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호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2쌍 4개의 센터링축을 구비하며, 상기 센터링축이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의 센터링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디스크 재생 및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
본 발명은 신규의 디스크 재생 및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센터링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위 세로 놓기에서의 사용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센터링축에 의해서 디스크의 센터링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한 종래의 센터링 기구의 개요를 도 1 내지 도 4로써 도시한다.
상기 센터링 기구는 상호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회전 아암(1,2)을 가지고, 상기 회전 아암(1,2)의 선단부에 각각 센터링축(3,4)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아암(1,2)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반발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반발 수단에 의해서, 이들 회전 아암(1,2)에는 그 선단부끼리가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고, 도시되지 않은 정지 수단에 의해서 도 1에 도시하는 위치에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100)는 인입 롤러(5)에 의해서 장치 내에 인입된다(도 2 참조).
그리고, 디스크(100)가 장치 내로 인입되면, 우선, 그 외주 가장자리가 대기 상태에 있는(도 1, 도 2 참조) 상기 2개의 센터링축(3,4)에 접촉한다 (도 3 참조). 그리고, 또한, 디스크(100)가 인입되면, 그 외주 가장자리가 2개의 센터링축(3,4)을 눌러서 회전 아암(1,2)을 상기 반발 수단에 의해서 가해지고 있는 회전력에 맞서서 회전시키며,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100)는 소정의 인입 완료 위치까지 인입된다(도 4 참조). 이 때, 디스크(100)는 그 외주 가장자리가 2군데에 걸쳐서 센터링축(3,4)에 눌려짐으로써 그 센터링이 행해진다. 그리고, 디스크(100)가 도 4에 도시하는 인입 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그것을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검지하여, 인입 롤러(5)의 회전이 정지하며, 또한, 디스크(100)로부터 이격되고, 그 후 디스크(100)는 도시되지 않은 처킹(chucking) 수단에 의해서 처킹된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100)가 인입 롤러(5)에 의해서 장치 내에 인입된 후 그 외주 가장자리가 센터링축(3,4)에 접촉하여 센터링되므로, 인입 롤러(5)에 의해서 인입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디스크(100)가 인입 롤러(5)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 관계에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세로 놓기로 하여 사용할 때, 즉 디스크(100)의 기록면이 연직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사용할 때에는 특히 센터링의 위치 정밀도가 나오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처킹 미스를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인입 롤러(5)는 그 외주면이 디스크(100)의 기록면에 접촉하여 상기 기록면을 흠이나지 않도록 그 중앙부가 잘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참조). 그 때문에, 디스크(100)의 중심선이 인입 롤러(5)의 중앙에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인입 롤러(5)의 토오크의 디스크(100)로의 걸리는 쪽이 좌우에서 균등하게 되지 않으며, 이 때문에, 디스크(100)가 회전하면서 인입되는 좋지 않는 상황이 생긴다.
디스크(100)가 회전하면서 인입되는 것은, 외관이 나쁠 뿐만 아니라, 인입된 디스크(100)의 상태가 안정되지 않고, 이 때문에 미스 처킹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디스크의 센터링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위 세로 놓기에서의 사용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입 롤러에 의한 인입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디스크가 인입 롤러에 대하여 바르게 위치 결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의 센터링 기구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크의 인입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디스크의 기록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호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2쌍 4개의 센터링축을 구비하며, 상기 센터링축이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의 센터링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에 있어서는, 2쌍 4개의 센터링축을 디스크의 바깥 둘레에 접촉시키며 그 센터링을 수행하므로, 정밀도가 양호한 센터링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세로 놓기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디스크의 확실한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는 디스크의 인입 방향과 직교하는 동시에 디스크의 기록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방향에 있어서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2개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며,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 또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가 정확히 위치 결정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센터링 기구의 디스크 삽입을 개시한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종래의 센터링 기구의 디스크가 인입되어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종래의 센터링 기구의 디스크가 장치 내에 인입되어 센터링된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의 개요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디스크의 삽입을 개시하였을 때의 센터링 기구의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디스크가 인입되어 이동하는 도중의 센터링 기구의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디스크가 장치 내에 인입되어 센터링된 상태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디스크가 인입된 상태로부터 처킹(chucking)되는 모양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CD 플레이어에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센터링 CD 플레이어를 블록을 빼낸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처킹 기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인입 롤러 블록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롤러용 기어열과 슬라이더용 기어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제어 슬라이더와 수동 배출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센터링 블록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센터링 블록의 저면도.
도 18은 보조 지지 기판을 빼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센터링 블록의 저면도.
도 19는 센터링 부재가 로크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0은 센터링 부재의 로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1은 12cm CD가 장치 내에 삽입되어 센터링 부재의 로크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2는 12cm CD의 외주 가장자리가 삽입 검지핀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3은 12cm CD가 삽입되어 스위치 가압편이 좌측의 푸시 스위치의 피가압자로부터 이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4는 12cm CD가 삽입되어 그 외주 가장자리가 전측의 센터링축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5는 12cm CD가 삽입되어 4개의 센터링축에 의해서 센터링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6은 12cm CD가 삽입되어 외주 가장자리에 4개의 센터링축이 접촉하여 센터링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7은 12cm CD가 삽입되어 그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4개의 센터링축이 이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8은 12cm CD가 배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9는 12cm CD가 처킹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 30은 12cm CD가 처킹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 31은 8cm CD가 장치 내에 삽입되어 센터링 부재의 로크가 해재되는 동시에 8cm CD의 외주 가장자리가 삽입 검지핀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2는 8cm CD가 삽입되어 스위치 가압편이 한가운데의 푸시 스위치의 피가압자를 가압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3은 8cm CD가 삽입되어 그 외주 가장자리가 전측의 센터링축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4는 8cm CD가 삽입되어 센터링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5는 8cm CD가 삽입되어 그 외주 가장자리에 4개의 센터링축이 접촉하여 센터링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6은 8cm CD가 처킹되어 그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4개의 센터링축이 이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7은 8cm CD가 배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8은 12cm CD의 로딩시에 있어서의 각 푸시 스위치의 출력 레벨과 로딩 모터의 상태를 도시하는 타임챠트.
도 39는 8cm CD의 로딩시에 있어서의 각 푸시 스위치의 출력 레벨과 로딩 모터의 상태를 도시하는 타임챠트.
도 40은 12cm CD의 언로딩시에 있어서의 각 푸시 스위치의 출력 레벨과 로딩 모터의 상태를 도시하는 타임챠트.
도 41은 8cm CD의 언로딩시에 있어서의 각 푸시 스위치의 출력 레벨과 로딩 모터의 상태를 도시하는 타임챠트.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
21, 22, 31, 32 : 센터링 축 41, 42 : 센터링 부재
50 : 동기 수단 51, 52 : 래크
53 : 피니온 기어 70 : 인입 롤러
81, 82 : 삽입 검지핀 90 : 캠 슬라이더
200 : CD 플레이어 270 : 처킹 기구
290 : 처킹 플레이트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10)는 디스크(100)의 재생 및/또는 기록을 수행하는 것으로, 재생만을 수행하는 것 또는 기록만을 수행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것에 사용되는 디스크(100)에는 각종류가 포함되며, 예를 들면, 12cm라든지 8cm의 CD(Compact Disk), CD-R(Recordable), DVD(Digital Vidio Disc) 등을 들 수 있다.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10)는 2쌍 4개의 센터링축(21,24,31,32)을 가진다. 21,22가 전측에 배치된 센터링축이고, 21은 좌측의, 또한, 22는 우측의 것이다. 31,32는 후측에 배치된 센터링축이고, 31은 좌측의, 또한, 32는 우측에 배치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낼 때는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10)의 정면(디스크(100)를 출납하는 삽입구가 있는 면)을 향하여 보았을 때의 좌우를 좌우로 하고, 상하를 상하로 하여, 정면측을 앞, 안쪽을 뒤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도 방향을 나타낼 때는 동일하게 한다.
상기 4개의 센터링축(2l,22,31,32)은 2개의 센터링 부재(41,42)에 지지되어 있다. 즉, 센터링축(21,31)은 센터링 부재(41)에 지지되고, 센터링축(22,32)은 센터링 부재(42)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링 부재(41,42)는 상호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동기하여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기 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동기 수단(50)은 한쪽의 센터링 부재(41)에서 다른쪽의 센터링 부재(42) 쪽을 향하여 돌출된 래크(51)와 다른쪽의 센터링 부재(42)로부터 한쪽의 센터링 부재(41) 쪽으로 향하여 돌출된 래크(52)와 2개의 센터링 부재(41,42)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여 도시되지 않은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2개의 래크(51,52)에 동시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53)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2개의 센터링 부재(41과 42)의 사이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상의 반발 수단(60)이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서, 센터링 부재(41,42)에는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센터링 부재(41,42)는 이들에 상기 반발 수단(60)에 의한 이동력 이외의 힘이 걸려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 수단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10)의 도시되지 않은 디스크 삽입구 근처에는 인입 롤러(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입 롤러(7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센터링 부재(41,42)의 전단부에는 삽입 검지핀(81,82)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캠 슬라이더(9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10)에 있어서의 디스크(100)의 인입과 센터링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100)를 도시되지 않은 삽입구로부터 장치(10) 내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디스크(100)의 외주 가장자리가 먼저 삽입 검지핀(81,82)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서, 디스크(100)는 장치(10)내로의 삽입 경로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도 6 참조).
그리고, 디스크(100)가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서 인입 롤러(70)가 회전되며, 이 인입 롤러(70)의 회전에 의해서, 디스크(100)는 장치(10)의 안쪽으로 인입되고, 이 과정에서, 먼저, 디스크(100)의 외주 가장자리가 전측, 즉, 상기 삽입구측에 위치한 센터링축(21,22)에 접촉하며, 또한, 이들을 가압하기 때문에, 이들 센터링축(21,22)은 상호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받고, 상기 이동력이 2개의 센터링 부재(41,42)를 반발 수단(60)의 인장력에 맞서서 이격시킨다 (도 7 참조).
그리고, 디스크(100)가 도 8에 도시하는 인입 완료 위치까지 인입되면, 인입 롤러(70)를 회전시키고 있는 모터에 의해서 상기 캠 슬라이더(90)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며, 그것에 따라, 인입 롤러(70)가 하강하는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처킹부재가 하강하고, 도시되지 않은 회전 테이블의 사이에서 디스크(100)를 처킹한다. 그리고, 인입 롤러(70)가 디스크(10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나서, 처킹이 완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4개의 센터링축(21,22,31,32)이 디스크(100)의 외주 가장자리에 반발적으로 접촉하여 디스크(100)의 센터링을 행한다(도 8, 9 참조).
그리고, 디스크(100)의 처킹이 완료하고나서 약간의 시간 캠 슬라이더(90)가 후퇴를 계속하며, 이것에 의해서, 센터링축(21,22,31,32)이 디스크(10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디스크(100)의 로딩이 행해진다.
디스크(100)에 대한 재생이나 기록이 종료하면, 배출, 즉,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10)로부터의 배출이 아래와 같이 행해진다.
상기 도시되지 않은 모터가 상기 로딩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캠 슬라이더(90)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며, 이것에 의해서, 우선, 4개의 센터링축(21,22, 31,32)이 디스크(100)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그 다음에, 인입 롤러(70)가 상승하여 디스크(100)와 접촉한다. 인입 롤러(70)가 디스크(100)에 접촉하면, 그 회전에 의해서 디스크(100)는 삽입구 쪽으로 향하여 이동되고, 즉시, 그 일부가 삽입구로부터 장치(10) 외로 돌출한 부분에서 상기 모터가 정지한다. 그리하여, 디스크(100)의 삽입구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파지하여 이것을 장치 외부로 끌어당김으로써 디스크(100)의 배출이 완료한다.
이상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에 있어서는 2쌍 4개의 센터링축(2l,22,31,32)을 디스크(100)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시켜서 그 센터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양호한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른바 세로 놓기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디스크(100)의 확실한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도 10 내지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소위 컴패터블 타입의 CD 플레이어, 즉, 크기가 다른 2종류의 CD, 예를 들면, 12cm CD(101)와 8cm CD(102)의 선택적인 재생을 행할 수 있는 CD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CD의 센터링 기구로서 적용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가 CD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CD의 센터링 기구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그 밖의 디스크, 예를 들면, DVD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CD-R 등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또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또는 재생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로서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D 플레이어(200)는 플라스틱제의 베이스 섀시(21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섀시(210)에 필요한 부재의 대부분이 지지된다. 베이스 섀시(210)는 상방과 전방이 개방된 편평한 상자 모양을 하고 있고, 그 전단부에 전방으로부터 봐서 좌우로 긴 오목 형상을 한 금속제의 보조 섀시(220)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210)의 저면판(211)의 중앙보다 약간 전단 부근의 위치에는 스핀들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 테이블(23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섀시(210)의 저면판(211)에는 거의 직사각형 틀 형상을 한 픽업베이스(240)가 도시되지 않은 댐퍼를 통해 그 4코너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픽업 베이스(240)에는 광학 픽업(25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광학 픽업(250)은 픽업 이동 기구(260)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 섀시(210)에는 처킹 기구(270)가 설치된다. 처킹 기구(270)는 회전 베이스(280)와 상기 회전 베이스(280)의 회전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처킹 플레이트(290)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베이스(280)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기단부(281)와 상기 지지돌기(282)를 가지며, 상기 지지돌기(282)의 전단부에는 지지구멍(28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281)의 좌우 양단부(284,285; 또한, 여기에서 좌우란 CD 플레이어(200)를 전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우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는 하방으로 꺽여구부려지고, 상기 부분(284,285)의 후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한 피지지축(28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단부(284)의 전단부에는 안쪽으로, 즉, 우측을 향하여 돌출한 피제어핀(287)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 베이스(280)는 그 피지지축(286)이 베이스 섀시(210)의 후단 부근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축지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처킹 플레이트(290)는 플라스틱제의 누름판(291)과 마그넷(292)과 판금제의 플랜지판(293)으로 이루어진다. 누름판(291)은 거의 원판상을 이루는 주부(294)와 상기 주부(294)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둥근 고리상의 돌출부(29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돌출부(295)의 외경은 상기 회전 베이스(280)의 지지구멍(28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95)를 회전 베이스(280)의 지지구멍(283)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95)의 상단부에 플랜지판(293)을 고정한다. 이 플랜지판(293)은 회전 베이스(280)의 지지구멍(283)의 직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상을 하고 있고,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 누름판(291)은 상기 지지구멍(283)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지지구멍(283)의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마그넷(292)은 거의 원판상을 이루고, 누름판(291)의 돌출부(295) 내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보조 섀시(220)에는 인입 롤러 블록(300)이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입 롤러 블록(300)은 인입 롤러(310)와 상기 인입 롤러(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판(320)으로써 구성된다.
인입 롤러(310)는 좌우 방향으로 긴 축부(311)와 상기 축부(311)의 양단부에 외감 고정된 휠(312)과 축부(311)의 좌단에 외감 고정된 기어(313)와 축(311)의 좌우 양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에 외감 고정된 고무 롤러(314)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무 롤러(314)는 그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묶인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휠(312)에는 고리 형상의 홈(315)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지지판(320)은 판금 재료로 형성되며, 전방으로부터 봐서 좌우 방향으로 긴 T 자 형상을 하고 있다. 회전 지지판(320)의 상단의 좌우로 긴 부분(321)의 좌우 양단에는 좌방으로부터 봐서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진 L자 형상을 한 아암부(322)의 중간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아암부(322)의 상단부에는 거의 전측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여 그 개구부가 그 밖의 부분보다 약간 좁게 게 된 베어링 오목부(323)가 형성되며, 하단부의 전측 상방을 향하여 돌출한 부분의 선단부 중 좌측에는 안쪽으로 돌출한 피지지축(324l)이, 또한, 우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피지지축(324r)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아암부(322)의 중앙부에는 외방으로 돌출된 지지축(325)이, 하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한 지지축(32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회전 지지판(320)의 상기 부분(321)의 중앙부로부터 전측 하방을 향하여 돌출한 부분(327)의 하단 중앙으로부터는 후측 하방을 향하여 스프링 걸림편(328)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아암부(322)의 상단부의 베어링 오목부(323)의 개구와 반대측의 단부에 안쪽으로 돌출한 피제어핀(329)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섀시(220)는 베이스 섀시(210)의 저면판(211)보다 낮게 된 후반부(221)와 상기 저면판(211)과 거의 같은 높이로 된 전반부(222)를 가진다. 또한, 후반부(221)의 후단 중앙으로부터는 상방으로 돌출벽(223)이 설치되며, 상기 돌출벽(223)에 스프링 걸림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섀시(220)의 전반부(222)의 좌우 양단 부근의 부분에는 축지편(225)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축지편(225)의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노치상의 축지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지지판(320)의 아암부(322)에 설치된 피지지축(324l,324r)이 보조 섀시(220)의 축지편(225)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지부(226)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며, 회전 지지판(320)의 스프링 걸림편(328)과 보조 섀시(220)의 스프링 걸림부(224)의 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330)이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서, 회전 지지판(320)에는 우측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고, 상기 방향으로의 회전은 회전 지지판(320)의 부분(327)의 하단이 보조 섀시(220)의 전반부(222)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정지한다(도 27 참조). 그리고, 이러한 회전 지지판(320)의 베어링 오목부(323)에 인입 롤러(310)의 휠(312)의 고리형상의 홈(315)이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며, 이것에 의해서, 인입 롤러(310)는 그 양단부가 회전 지지판(320)의 아암부(32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 섀시(220)의 후반부(221)의 좌단 부근의 위치에 로딩 모터(340)가 배치되며, 상기 로딩 모터(340)의 회전축에 웜 기어(341)가 고정되며, 상기 웜 기어(341)의 좌단부에 풀리(3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25,326,228) 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롤러용 기어열(350)의 입력단과 상기 풀리(342)의 사이에 벨트(343)가 걸려있으며, 또한, 상기 롤러용 기어열(350)의 최종단이 인입 롤러(310)의 기어(313)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로딩 모터(340)가 구동하면, 롤러용 기어열(350)을 통해 인입 롤러(310)가 회전된다.
베이스 섀시(210)의 상단부의 후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에 도 17에 도시된 센터링 블록(360)이 배치된다.
센터링 블록(360)은 판금으로 형성된 주지지 기판(370)과 상기 주지지 기판(370)의 하면측에 설치되는 플라스틱제의 보조지지 기판(380)을 가진다.
주지지 기판(370)은 대략 가로가 긴 장방형을 하고 있고, 그 좌우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전후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후측 가장자리에 걸쳐서 노치(371)가 형성되어 있다.
주지지 기판(370)에는 6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슬릿(372l,372r,373l, 373r,374l,374r)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슬릿(372l,373l,374l)은 후술하는 좌측의 센터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372l은 전단 부근으로서 좌측에, 373l은 전단 부근으로서 중앙보다 약간 우측 부근의 위치에, 또한, 374l은 후단부의 좌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슬릿(372r,373r,374r)은 후술하는 우측의 센터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372r은 전단 부근으로서 우측에, 373r은 전단 부근으로서 중앙보다 약간 좌측 부근의 위치에, 또한, 374r은 후단부의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지지 기판(370)의 전단부의 좌우 양측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헐거운 긴 구멍(375l,375r)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헐거운 긴 구멍(375l,375r)의 전측 가장자리부의 중앙 측단에는 노치(376l,376r)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지지 기판(37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약간 앞 부근의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긴, 거의 주지지 기판(370)의 전폭에 미치는 헐거운 긴 구멍(37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지지 기판(370)의 전단부의 중앙에는 지지축(378)이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주지지 기판(370)에 2개의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센터링 부재(390l,390r)는 전후 방향으로 긴 주부(391l,391r)의 전단 부근의 위치에서 상호의 방향으로 돌출한 래크부(3921,392r)를 가지며, 상기 래크부(392l,392r)의 상호 대향한 측의 가장자리, 즉,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래크부(392l)의 후측 가장자리 및 우측 센터링 부재(390r)의 래크부(392r)의 전측 가장자리에는 래크 이(393l,393r)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주부(391l)의 전단 부근의 위치의 상면에 돌출된 피안내핀(394l)이 상기 안내 슬릿(372l)에, 래크부(392l)의 선단부 상면에 돌출된 피안내핀(395l)이 상기 안내 슬릿(373l)에, 또한, 주부(391l)의 후단부 상면에 돌출된 피안내핀(396l)이 상기 안내 슬릿(374l)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또한, 우측 센터링 부재(390r)의 주부(391r)의 전단 부근의 위치의 상면에 돌출된 피안내핀(394r)이 상기 안내 슬릿(372r)에, 래크부(392r)의 선단부 상면에 돌출된 피안내핀(395r)이 상기 안내 슬릿(373r)에, 또한, 주부(391r)의 후단부 상면에 돌출된 피안내핀(396r)이 상기 안내 슬릿(374r)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상기 센터링 부재(390l,390r)의 주부(391l,391r)의 전단부에는 둥근 막대형을 한 삽입 검지핀(397l,397r)이 늘어뜨려 설치되고, 또한, 주부(391l,391r)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약간 전측의 부분과 후단부에 둥근 막대형을 한 센터링축(398l,398r과 399l,399r)이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지지 기판(370)의 지지축(378)에는 동기용 피니언 기어(4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동기용 피니언 기어(400)는 상기 센터링 부재(390l,390r)의 래크 이(3931,393r)에 맞물리고 있다. 따라서, 2개의 센터링 부재(390l,390r)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또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주지지 기판(370)의 상기 헐거운 긴 구멍(377)내에 인장 코일 스프링(410)이 위치되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410)은 상기 2개의 센터링 부재(390l,390r)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센터링 부재(390l,390r)에 달리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410)에 의해서 센터링 부재(390l,390r)는 상호 가장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어있다. ·
상기 센터링 부재(390l,390r)의 주부(391l,39lr)의 전단에는 로크부재(420l,420r)가 지지되어 있다. 로크부재(420l,420r)는 평면형상으로 거의 3각형을 한 주부(421l,421r)의 하나의 코너부가 상기 삽입 검지핀(397l,397r)의 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주부(421l,421r)의 전측의 코너부에 둥근 막대형을 한 피누름핀(422l,422r)이 늘어뜨려 설치되며, 또한, 측방의 코너부와 걸어맞춤편(423l,423r)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편(423l,423r)과 센터링 부재(390l,390r)의 주부(391l,391r)의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24l,424r)이 삽입되며,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424l,424r)에 의해서, 좌측의 로크 부재(420l)에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며, 또한, 우측의 로크 부재(420r)에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2개의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상호 가장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각 로크 부재(420l,420r)의 걸어맞춤편(423l,423r)은 상기 헐거운 긴 구멍(375l,375r)의 노치(376l,376r)의 반중앙측의 가장자리와 걸어맞추어지고 있고,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센터링 부재(390l,390r)는 상호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있다.
상기 보조지지 기판(380)은 전후폭이 주지지 기판(370)의 폭의 거의 3분의 1로 가로폭이 주지지 기판(37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보조지지 기판(380)이 주지지 기판(370)의 하면에 설치되며, 주지지 기판(370)과 보조지지 기판(380)의 사이에 가능한 상하로 얇은 공간 내에 상기 센터링 부재(390l,390r)가 배치된다.
보조지지 기판(380)의 후단부의 좌우에 이격한 위치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헐거운 슬릿(381l,381r)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헐거운 슬릿(381l)에 상기 좌측의 센터링축(398l)이 통과되어, 헐거운 슬릿(381r)에 우측센터링축(398r)이 통과되어 있다. 또한, 보조지지 기판(380)의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382)가 형성되어 있다(도 17 참조). 상기 오목부(382)는 상기 인입 롤러(310)의 고무롤러(314)의 상면부와 거의 보완 관계에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즉, 고무롤러(314)의 상면부가 들어갈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주지지 기판(370)의 상면의 후단부의 노치(371)의 좌측의 부분에는 모드 슬라이더(430)가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드 슬라이더(430)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안내 슬릿(431,431,431)이 형성되며, 상기 피안내 슬릿(431,431,431)에 주지지 기판(370)의 상면에 입설된 핀(432,432,432)이 활주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고, 이것에 의해서, 모드 슬라이더(430)는 피안내 슬릿(431,431,431)의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슬라이더(430)와 주지지 기판(370)의 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433)이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서, 모드 슬라이더(430)에는 전방을 향한 이동력이 가해지고, 그 외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모드 슬라이더(430)는 그 이동 범위의 전단, 즉, 피안내 슬릿(431,431,431)의 후단이 핀(432,432,432)에 접촉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모드 슬라이더(430)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434)이 형성되어 있고, 모드 슬라이더(430)가 그 이동 범위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릿(434)은 주지지 기판(370)에 형성된 안내 슬릿(374l)과 일치하게 되고, 센터링 부재(390l)의 후단부에 지지된 센터링축(399l)이 통과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434)의 전측 가장자리의 좌우에 이격한 위치에는 헐거운 노치(435,4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헐거운 노치(435,436)의 우측 가장자리는 그 후측의 부분(435a,436a)이 전측의 부분(435b,436b)보다 약간 우측에 위치하고, 이들 435a,436a와 435b,436b의 사이는 경사부(435c,436c)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모드 슬라이더(430)의 후단부에는 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 슬릿(4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 슬릿(437)은 우측부분(437a)과 좌측부분(437b)과 이들 2개의 부분(437a,437b)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분(437c)으로 구성되며, 우측부분(437a)은 좌측부분(437b)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중간부분(437c)은 경사져 있다.
그리고 또한, 모드 슬라이더(430)의 후단부 좌단에는 돌기(438)가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측의 센터링 부재(390l)의 후단에는 판별 레버(440)의 좌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판별 레버(440)의 중간부에 입설된 피제어핀(441)이 모드 슬라이더(430)의 상기 제어 슬릿(437)에 활주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한, 판별 레버(440)의 우단부에는 피누름편(442)이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지지 기판(370)의 전단부의 우측반부 상면에는 스위치 기판(450)이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치 기판(450)에 3개의 푸시 스위치(451,452,453)가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들 푸시 스위치(451,452,453)의 피누름자(451a,452a,453a)가 주지지 기판(370)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우측의 센터링 부재(390r)의 전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에 돌출된 스위치 누름편(460)이 주지지 기판(370)의 전측 가장자리(100)를 따라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상호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스위치 누름편(460)은, 그 좌단부에서 좌측의 푸시 스위치(451)의 피누름자(451a)를 가압하고, 그 우단부가 중간의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에 좌방으로부터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링 블록(360)이 베이스 섀시(210)의 상단부의 후단부를 제외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그리고, 초기 상태, 즉, 디스크(101) (12cm CD) 또는 (102) (8cm CD)가 로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인입 롤러(310)의 고무롤러(314)는 센터링 블록(360)의 보조지지 기판(380)의 하면에 튀어올라 접촉한 상태, 상세하게는, 그 상단부가 오목부(382)내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210)의 상면의 좌단부에 제어 슬라이더(470)가 전후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슬라이더(470)의 거의 중간의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긴구멍(4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긴 구멍(471)은 그 후단부(471a)의 가로 폭이 그 외의 부분(471b)의 가로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긴 구멍(471)의 후단부(471a)를 제외하는 부분(471b)의 좌측 가장자리에 래크 이(472)가 형성되어있다.
제어 슬라이더(470)의 중앙보다 약간 후방에 치우친 위치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전후 방향에 있어 캠편(4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편(473)에는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슬릿(474)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캠슬릿(474)은 앞이 처져서 경사진 경사부(474a)와 상기 경사부(474a)의 전단에 연속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측 수평부(474b)와 경사부(474a)의 후단에 연속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측 수평부(474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슬릿(474)에는 상기 처킹 기구(270)의 회전 베이스(280)에 설치된 피제어핀(287)(도 12 참조)이 활주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제어 슬라이더(470)의 좌측 가장자리 중 상기 캠편(473)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전방의 위치에 좌방으로 돌출한 스위치 누름편(475)이 형성되며, 또한, 캠편(473)의 우측의 위치에 전후로 이격하여 대향한 돌기(476a,476b)가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또, 제어 슬라이더(470)의 좌측 가장자리의 전단 부근의 위치에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롤러 제어편(477)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 상태에 있어서, 제어 슬라이더(470)는 그 이동 범위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고, 그 롤러 제어편(477)의 후단은 인입 롤러 블록(300)의 회전 지지판(320)의 피제어핀(329)에 전방에서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7 참조).
베이스 섀시(210)와 제어 슬라이더(470)의 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480)이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서, 제어 슬라이더(470)에는 전방을 향한 이동력이 가해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490)가 제어 슬라이더(470)의 긴 구멍(471)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섀시(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490)는 슬라이더용 기어열(500)을 통해 상기 웜 기어(341)와 연계되고, 따라서, 로딩 모터(3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490)가 회전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제어 슬라이더(470)가 그 이동 범위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490)는 상기 긴 구멍(471)의 후단부(471a)내에 위치하고 있고, 래크 이(472)와는 맞물리지 않는 상태에 있다. 그 상태로부터 제어 슬라이더(47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면, 피니언 기어(490)와 제어 슬라이더(470)의 래크 이(472)가 맞물리게 된다.
베이스 섀시(210)의 저면판(211)의 좌단부 상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거의 중앙에는 푸시 스위치(51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푸시 스위치(510)의 피누름자(510a)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제어 슬라이더(470)의 상기 스위치 누름편(475)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하고 있다.
베이스 섀시(210)의 저면판(211)의 좌단 부근의 부분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긴 판상을 한 수동 배출 레버(5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 배출 레버(520)의 좌측 가장자리가 상기 피니언 기어(490)에 우측으로부터 근접하고 있고, 상기 좌측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래크 이(521)가 형성되어 있다(도 11참조).
그리고, 상기 수동 배출 레버(520)는 베이스 섀시(210)의 저면판(211)의 사이에 설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522)의 인장력에 의해서 통상은 그 이동 범위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 그 선단부를 후방으로 삽입하면, 후방으로 이동하여 그 래크 이(521)가 피니언 기어(490)와 맞물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490)를 언로딩 방향, 즉, 상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490)가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과 연계된 슬라이더용 기어열(500)을 통해 웜 기어(341)가 회전되며, 상기 웜 기어(341)의 회전에 의해서 롤러용 기어열(350)을 통해 인입 롤러(310)가 언로딩 방향, 즉, 좌방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주지지 기판(370)에 좌우 방향으로 긴 여유 슬릿(375l,,375r)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여유 슬릿(375l,,375r)이 서로 근접한 단부의 전부 가장자리에 걸어맞춤 노치(378l,378r)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크 부재(420l,420r)의 걸어맞춤편(423l,423r)은 여유 슬릿(375l,,375r)에 위치되어 있고,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서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상기 로크 부재(420l,420r)에 가해진 회전력에 의해서, 그 걸어맞춤편(423l,423r)은 상기 걸어맞춤 노치(378l,378r)의 서로 먼측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추고, 이것에 의해서, 센터링 부재(390l,390r)는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 즉, 로크된 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디스크(100)가 장치 내에 정확한 위치 관계, 즉, 그 중심선이 도시되지 않은 인입 롤러의 중앙과 합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오면, 그 외주 가장자리가 동시에 2개의 피가압핀(422l,422r)에 접촉하고(도 19 참조), 또한, 이것을 외측으로 향하여 가압하므로, 로크 부재(420l,420r)가 그것에 힘이 가해지고 있는 회전력에 맞서서 회전하고, 즉, 좌측의 로크 부재(420l)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또한 우측의 로크 부재(420r)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들 걸어맞춤편(423l,423r)이 거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어맞춤 노치(378l,378r)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도 20 참조). 즉, 센터링 부재(390l,390r)에 걸려 있던 로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디스크(100)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서 피가압핀(422l,422r)이 가압되어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면, 도시되지 않은 인입 롤러가 회전하여 디스크(100)를 장치 내로 인입한다. 이 때, 디스크(100)는 그 외주 가장자리가 2개의 피가압핀(422l,422r)에 접촉함으로써 정확한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것에 대하여, 디스크(100)가 정확하지 않는 위치 관계에서 장치 내에 삽입된 경우는(도 19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되는 상태) 로크 부재(420l,420r)에 의한 로크는 그 한쪽밖에 해제되지 않으며, 따라서,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디스크(100)가 장치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101 또는 102)의 로딩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12cm CD(101)의 로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푸시 스위치(451,452,453 및 510)는 그 피누름자(451a,452a,453a,510a)가 가압되고 있을 때에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며, 피누름자(451a,452a,453a,510a)가 가압되지 않을 때에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12cm CD(101)를 도시되지 않은 삽입구로부터 장치 내에 삽입해가면, 먼저,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서 로크부재(420l,420r)의 피누름핀(422l,422r)이 각각 외방으로 향하여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420l)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또한, 로크부재(420r)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그 걸어맞춤편(423l,423r)이 노치(376l,376r)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빠지고(도 21의 실선 참조), 센터링 부재(390l,390r)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이어서,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가 삽입 검지핀(397l,397r)을 가압하므로(도 22 참조), 이것에 의해서,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상호 이격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센터링 부재(390l,390r)의 상기 이동에 따라 스위치 누름편(460)이 우측으로 이동하며, 그 좌단부가 좌측의 푸시 스위치(451)의 피누름자(451a)로부터 멀어지며(도 23 참조), 이것에 의해서 상기 푸시 스위치(451)의 출력이 로우 레벨이 된다.
푸시 스위치(451)의 출력이 로우 레벨로 되면, 로딩 모터(340)가 로딩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도 38 참조), 인입 롤러(310)는 우방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피니언 기어(490)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12cm CD(101)의 일부가 인입 롤러(310)와 보조 지지 기판(380)의 하면의 사이에 협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도 29 참조), 상기 12cm CD(101)는 인입 롤러(310)의 회전에 의해서 안쪽으로 인입된다.
12cm CD(101)가 안쪽으로 인입됨에 따라서, 센터링 부재(390l,390r)는 더욱 이격되며, 먼저,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가 스위치 누름편(460)에 의해서 가압되며, 그리고 잠시 후 푸시 스위치(453)의 피누름자(453a)가 스위치 누름편(460)에 의해서 가압된다(도 24 참조).
그리고, 이 2개의 푸시 스위치(452,453)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된 것을 나타내지 않는 컨트롤러(마이크로 컴퓨터 등이 맡는다.)가 검출하여 12cm CD(101)가 로딩되어온 것을 검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후술하는 언로딩시의 디스크 배출량, 즉, 로딩 모터(340)의 언로딩 방향으로의 회전 정지의 타이밍 등을 제어하게 된다.
12cm CD(101)가 그것으로부터 더욱 인입되어 이동되며 그 외주 가장자리가 후측의 센터링축(399l,399r)에 접촉하는 바로 앞까지 오면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가 판별 레버(440)의 피누름편(442)에 접촉한다 (도 25 참조). 이 때,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좌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그 피안내핀(396l)은 모드 슬라이더(430)의 좌측의 여유 노치(436)에 대응한 부분에 위치하고(도 26 참조), 또한, 판별 레버(440)도 센터링 부재(390l)와 동시에 좌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피제어핀(441)은 모드 슬라이더(430)의 제어 슬릿(437)의 좌측부분(437b)과 걸어맞춰진 위치에 있다 (도 26 참조).
그래서, 12cm CD(101)가 약간 안쪽으로 인입되면, 그 외주 가장자리가 후측의 센터링축(399l,399r)과도 접촉하며, 이것에 의해서,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는 4개의 센터링축(398l,398r,399l,399r)과 접촉하여(도 26 참조), 센터링되고, 그 중심이 회전 테이블(230)의 중심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외주 가장자리가 판별 레버(440)의 피누름편(442)을 후방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판별 레버(440)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얼마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피제어핀(441)이 모드 슬라이더(430)의 제어 슬릿(437)의 좌측부분(437b)의 후측 가장자리를 후방으로 가압하므로, 모드 슬라이더(43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피안내핀(396l)은 모드 슬라이더(430)의 좌측의 여유 노치(436)내로 들어감에 의해서 모드 슬라이더(4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피안내핀(396l)이 여유 노치(435 또는 436)에 대응한 위치 이외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피안내핀(396l)이 모드 슬라이더(430)의 슬릿(437)의 전측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모드 슬라이더(4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그리고, 모드 슬라이더(43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그 돌기(438)가 제어 슬라이더(470)의 후측의 돌기(476b)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어 슬라이더(470)는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 래크 이(472)가 피니언 기어(490)와 맞물리며(도 26 참조), 이것에 의해서, 제어 슬라이더(470)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어 슬라이더(470)가 후방으로 이동해가면, 처킹 기구(270)의 회전 베이스(280)의 피제어핀(287)이 후방으로 이동해가는 캠편(473)의 캠슬릿(474)의 경사부(474)를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회전 아암(280)이 그 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여 거기에 지지되고 있는 처킹 플레이트(290)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그 누름판(291)이 회전 테이블(230)과의 사이에서 12cm CD(101)의 중심부를 상하로부터 협지하는 상태가 된다(도 30 참조).
그리고, 이윽고 제어 슬라이더(470)의 전측의 돌기(476a)가 모드 슬라이더(430)의 돌기(438)를 후방으로 약간 가압하고(도 27 참조), 이것에 의해서 모드 슬라이더(43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며, 여유 노치(436)의 우측 가장자리 후측의 부분(436a)에 접촉하고 있는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피안내핀(396l)이 먼저 경사부(436c)에 의해서 계속하여 전측의 부분(436b)에 의해서 좌방으로 가압되므로, 2개의 센터링 부재(390l,390r)가 더욱 약간 이격하도록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4개의 센터링축(398l,398r,399l,399r)이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이격하여(도 27 참조), 그 회전에 지장이 없게 된다. 또한, 동시에, 모드 슬라이더(430)의 제어 슬릿(437)의 좌측부분(437b)의 전측 가장자리에 의해서 피제어핀(441)이 후방으로 눌려짐에 따라, 판별 레버(440)가 약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그 피누름편(442)이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다 (도 27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이, 센터링축(398l,398r,399l,399r) 및 피누름편(442)이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제어 슬라이더(470)의 스위치 누름편(475)이 푸시 스위치(510)의 피누름자(510a)를 가압하고(도 27 참조), 상기 푸시 스위치(510)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스위치(510)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됨에 따라(도 38 참조) 로딩 모터(340)의 회전이 정지하며, 12cm CD(101)의 로딩이 완료한다.
또한, 그 동안에, 인입 롤러 블록(300)의 회전 지지판(320)의 피제어핀(329)이 제어 슬라이더(470)의 롤러 제어편(477)의 하면을 상대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활주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회전 지지판(320)이 좌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것에 지지되어 있는 인입 롤러(310)의 고무 롤러(314)가 12cm CD(101)로부터 이격한다 (도 30 참조).
다음에 8cm CD(102)의 로딩에 다음으로 설명한다.
8cm CD(102)를 도시되지 않은 삽입구로부터 장치 내에 삽입해가면, 먼저,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서 로크 부재(420l,420r)의 피누름핀(422l,422r)이 각각 외방을 향하여 가압되며,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420l)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또한, 로크부재(420r)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며, 그 걸어맞춤편(423l,423r)이 노치(376l,376r)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빠지며, 센터링 부재(390l,390r)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는 점은, 상기 12cm CD(101)일 때와 같다.
이어서,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가 전측의 삽입 검지핀(397l,397r)을 가압하므로(도 31 참조), 이것에 의해서,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상호 이격하는 방향으로 동기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센터링 부재(390l,390r)의 상기 이동에 따라 스위치 누름편(46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그 좌단부가 좌측의 푸시 스위치(451)의 피누름자(451a)로부터 떨어지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푸시 스위치(451)의 출력이 로우 레벨이 된다 (도 39 참조).
푸시 스위치(451)의 출력이 로우 레벨로 되면, 로딩 모터(340)가 로딩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도 39 참조), 인입 롤러(310)는 우측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피니언 기어(490)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8cm CD(102)의 일부가 인입 롤러(310)와 보조 지지 기판(380)의 하면의 사이에 협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8cm CD(102)은 인입 롤러(310)의 회전에 의해서 안쪽으로 인입된다.
8cm CD(102)가 안쪽으로 인입됨에 따라서, 센터링 부재(390l,390r)는 또한 이격하고, 먼저,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가 스위치 누름편(460)에 의해서 가압된다(도 32 참조), 여기까지도, 상기 12cm CD(101)의 경우와 동일하다.
8cm CD(102)의 경우는,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가 가압되면 즉시, 8cm CD(102)의 최대 직경 부분이 삽입 검지핀(397l,397r) 사이를 후방으로 통과하므로, 삽입 검지핀(397l,397r) 및 전측의 센터링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축하기까지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상호 근접하도록 이동하며, 이를 위해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로부터 좌방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상기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 레벨은 로우 레벨이 된다 (도 39 참조).
또한, 8cm CD(102)가 안쪽으로 인입되면 그 외주 가장자리가 전측의 센터링축(398l,398r)을 상호 이격시키도록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서, 센터링 부재(390l, 390r)가 상호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되는 스위치 누름편(460)이 다시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를 가압하고(도 33 참조), 따라서,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 레벨이 다시 하이 레벨이 된다 (도 39 참조).
그리고, 전측의 센터링축(398l과 398r)의 사이를 8cm CD(102)의 최대 직경부분이 통과하면, 다시 스위치 누름편(460)의 우단부가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에서 좌방으로 이동하며,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 레벨이 로우 레벨이 된다 (도 39 참조).
이와 같이,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이 일단 하이 레벨이 된 후 즉시 로우 레벨이 되며, 다시 하이 레벨이 되고나서 또한 로우 레벨이 됨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는 8cm CD(102)가 로딩되어온 것을 검지하여, 이후의 제어를 위한 정보로 한다.
8cm CD(102)가 그것으로부터 또한 인입되어 이동하여 그 외주 가장자리가 후측의 센터링축(399l,399r)에 접촉하는 바로 앞까지 오면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가 판별 레버(440)의 피누름편(442)에 접촉된다 (도 34 참조). 이 때,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좌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그 안내핀(396l)은 모드 슬라이더(430)의 우측의 여유 노치(435)에 대응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판별 레버(440)의 피제어핀(441)은 모드 슬라이더(430)의 제어 슬릿(437)의 우측부분(437a)과 걸아맞취진 위치에 있다.
그곳으로부터, 8cm CD(102)가 약간 안쪽으로 인입되면, 그 외주 가장자리가 후측의 센터링축(399l,399r)도 접촉하고(도 35 참조), 이것에 의해서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는 4개의 센터링축(398l,398r,399l,399r)과 접촉하며, 센터링되어, 그 중심이 스핀들(230)의 중심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외주 가장자리가 판별 레버(440)의 피누름편(442)을 후방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판별 레버(440)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약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피제어핀(441)이 모드 슬라이더(430)의 제어 슬릿(437)의 우측부분(437a)의 후측 가장자리를 후방으로 가압하므로, 모드 슬라이더(43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피안내핀(396l)은 모드 슬라이더(430)의 우측의 여유 노치(435)의 우측 가장자리의 후단부(435a)내로 들어감으로써 모드 슬라이더(4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그리고, 모드 슬라이더(43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그 돌기(438)가 제어 슬라이더(470)의 후측의 돌기(476b)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도 35 참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어 슬라이더(470)는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 래크 이(472)가 회전하고 있는 피니언 기어(490)와 맞물리며, 이것에 의해서, 제어 슬라이더(470)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어 슬라이더(47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처킹 기구(270)의 회전 베이스(280)의 피제어핀(287)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캠편(473)의 캠슬릿(474)의 경사부(474a)를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의해서, 회전 아암(280)이 그 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여 거기에 지지되어 있는 처킹 플레이트(29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 누름판(291)이 회전 테이블(230)의 사이에서 8cm CD(102)의 중심부를 상하로부터 협지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윽고 제어 슬라이더(470)의 전측의 돌기(476a)가 모드 슬라이더(430)의 돌기(438)를 후방으로 약간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서 모드 슬라이더(43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하며, 여유 노치(435)의 우측 가장자리 후측의 부분(435a)에 접촉하고 있는 좌측 센터링 부재(390l)의 피안내핀(396l)이 먼저 경사부(435c)에 의해서 계속하여 전측의 부분(435b)에 의해서 좌방으로 가압되므로, 2개의 센터링 부재(390l,390r)가 또한 약간 이격하도록 이동되고, 이것에 의해서, 4개의 센터링축(398l,398r,399l, 399r)이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이격하며, 그 회전에 지장이 없게 된다. 또한, 동시에, 모드 슬라이더(430)의 제어 슬릿(437)의 우측부분(437a)의 전측 가장자리에 의해서 피제어핀(441)이 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판별 레버(440)가 약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피누름편(442)이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진다(도 36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이, 센터링축(398l,398r,399l,399r) 및 피누름편(442)이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는 것과 동시에, 제어 슬라이더(470)의 스위치 누름편(475)이 푸시 스위치(510)의 피누름자(510a)를 가압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510)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스위치(510)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됨에 따라 로딩 모터(340)의 회전이 정지하고(도 39 참조), 8cm CD(102)의 로딩이 완료한다.
또한, 그 동안에, 인입 롤러 블록(300)의 회전 지지판(320)의 피제어핀(329)이 제어 슬라이더(470)의 롤러 제어편(477)의 하면을 상대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활주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회전 지지판(320)이 좌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것에 지지되고 있는 인입 롤러(310)의 고무롤러(314)가 8cm CD(102)로부터 이격한다.
다음에, 디스크(101,102)의 언로딩, 즉, 이들 디스크(101,102)의 장치 외로의 배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12cm CD(101)의 언로딩에 대해서 설명한다.
12cm CD(101)가 로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언로딩의 지령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장치 전면에 배치된 배출 버튼이 눌려지면, 로딩 모터(340)가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하고(도 40 참조), 그것에 따라서, 인입 롤러(310) 및 피니언 기어(490)가 모두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인입 롤러(310)는 좌방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피니언 기어(490)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490)가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과 래크 이(472)가 맞물리고 있는 제어 슬라이더(470)가 전방을 향하여 이송된다. 이것에 의해서, 먼저, 제어 슬라이더(470)의 전측의 돌기(476a)가 모드 슬라이더(430)의 돌기(438)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지므로, 모드 슬라이더(430)는 인장 코일 스프링(433)의 인장력에 의해서 판별 레버(440)의 피누름편(442)이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따라,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4개의 센터링축(398l,398r,399l,399r)도 12cm CD(101)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또한, 그 동안에 제어 슬라이더(470)의 스위치 누름편(475)이 푸시 스위치(510)의 피누름자(510a)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하며, 상기 푸시 스위치(510)의 출력 레벨이 로우 레벨이 된다 (도 40 참조). 또한, 인입 롤러(310)는 12cm CD(10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 회전은 12cm CD(101)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또한 제어 슬라이더(4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인입 롤러 블록(300)의 회전 지지판(320)의 피제어핀(329)이 제어 슬라이더(470)의 롤러 제어편(477)의 하면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따라 회전 지지판(320)이 우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인입 롤러(310)가 상승해가며, 이윽고 센터링 블록(360)의 보조 지지 기판(380)의 하면의 사이에 12cm CD(101)를 협착한 상태가 된다 (도 29 참조).
12cm CD(101)가 인입 롤러(310)와 보조 지지 기판(380)의 사이에서 협착된 상태로 되면 우측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인입 롤러(310)에 의해서 12cm CD(101)가 전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윽고, 우측 센터링 부재(390r)에 설치된 스위치 누름편(460)의 우단부가 우측의 푸시 스위치(453)의 피누름자(453a)로부터 좌방으로 이격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푸시 스위치(453)의 출력 레벨이 로우 레벨이 된다. 그리고, 이 푸시 스위치(453)의 출력 레벨이 로우 레벨이 됨에 따라, 로딩 모터(340)의 구동이 정지하며(도 40 참조), 이 때, 12cm CD(101)의 일부가 도시되지 않은 장치의 삽입구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가 되고(도 28 참조), 상기 외부로 돌출한 부분으로써 잡아 당기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그 사이에, 처킹 기구(270)의 회전 베이스(280)의 피제어핀(287)이 캠 슬릿(474)의 경사부(474a)를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그 회전 단부가 상승하도록 회전하며, 상기 회전단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처킹 플레이트(290)에 의한 회전 테이블(230)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12cm CD(101)의 협지가 해제된다.
이렇게 하여, 12cm CD(101)의 언로딩이 행해진다.
다음에, 8cm CD(102)의 언로딩에 대하여 설명한다.
8cm CD(102)가 로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언로딩의 지령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장치 전면에 배치된 배출 버튼이 눌려지면, 로딩 모터(340)가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하고(도 41 참조), 그것에 따라, 인입 롤러(310) 및 피니언 기어(490)가 모두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인입 롤러(310)는 좌방으로부터 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며, 피니언 기어(490)는 상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490)가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과 래크 이(472)가 맞물리고 있는 제어 슬라이더(470)가 전방을 향하여 이송된다. 이것에 의해서, 먼저, 제어 슬라이더(470)의 전측의 돌기(476a)가 모드 슬라이더(430)의 돌기(438)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지므로, 모드 슬라이더(430)는 인장 코일 스프링(433)의 인장력에 의해서 판별 레버(440)의 피누름편(442)이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따라, 센터링 부재(390l,390r)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며, 이것에 의해서 4개의 센터링축(398l,398r,399l,399r)도 8cm CD(102) 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또한, 그 사이에 제어 슬라이더(470)의 스위치 누름편(475)이 푸시 스위치(510)의 피누름자(510a)로부터 전방으로 이격하다. 상기 푸시 스위치(510)의 출력 레벨이 로우 레벨이 된다. 또한, 인입 롤러(310)는 8cm CD(102)로부터 하방으로 이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 회전은 8cm CD(102)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또한 제어 슬라이더(4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인입 롤러 블록(300)의 회전 지지판(320)의 피제어핀(329)이 제어 슬라이더(470)의 롤러 제어편(477)의 하면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따라 회전 지지판(320)이 우방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단부에 지지되고 있는 인입 롤러(310)가 상승하며, 이윽고 센터링 블록(360)의 보조 지지 기판(380) 하면의 사이에 8cm CD(102)를 협착한 상태가 된다.
8cm CD(101)가 인입 롤러(310)와 보조 지지 기판(380)의 사이에서 협착된 상태가 되면, 우측으로부터 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인입 롤러(310)에 의해서 8cm CD(102)가 전방으로 이송되어간다.
그리고, 8cm CD(102)의 최대 직경부의 전후의 부분이 전측의 센터링축(398l,398r)간을 통과하는 동안에 스위치 누름편(460)의 우단부가 한가운데의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편(452a)을 가압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 레벨이 하이 레벨이 된다, (도 41 참조). 그리고, 최대 직경부의 전후의 부분이 센터링축(395l,395r)간을 통과하면, 스위치 누름편(460)의 우단부가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로부터 좌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 레벨이 로우 레벨이 된다 (도 41 참조). 그리고, 즉시, 8cm CD(102)의 최대 직경부가 삽입 검지핀(397l,397r)에 위치하며, 이것에 의해서, 다시 스위치 누름편(460)의 우단부가 푸시 스위치(452)의 피누름자(452a)를 가압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 레벨이 하이 레벨이 된다 (도 41 참조). 이 때의 푸시 스위치(452)의 출력 레벨의 상승에 의해서 로딩 모터(340)의 구동이 정지된다 (도 49 참조).
이 때, 8cm CD(102)의 일부가 도시되지 않은 장치의 삽입구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가 되고, 상기 외부로 돌출한 부분으로써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7 참조). 또한, 그 사이에, 처킹 기구(270)의 회전 베이스(280)의 피제어핀(287)이 캠슬릿(474)의 경사부(474a)를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그 회전 단부가 상승하도록 회전하며, 상기 회전단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처킹 플레이트(290)가 상승하며, 상기 처킹 플레이트(290)에 의한 회전 테이블(230)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8cm CD(102)의 협지가 해제된다.
이렇게 하여, 8cm CD(102)의 언로딩이 행해진다.
또한, 12cm CD(101) 또는 8cm CD(102)가 로딩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전원 공급의 정지 등 예측하지 못한 사태가 생기며, 언로딩을 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는, 상기 한 수동 배출 레버(520)를 안쪽으로 끌어들임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언로딩을 행할 수 있다. 즉, 수동 배출 레버(520)를 안쪽으로 밀어 넣음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래크 이(521)가 피니언 기어(490)를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또한, 인입 롤러(310)도 언로딩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12cm CD (101) 또는 8cm CD(102)을 손으로 빼낼 수 있는 부분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CD 플레이어(200)에 있어서는, 2쌍 4개의 센터링축(396l,396r,397l,397r)을 12cm CD(101) 또는 8cm CD(102)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시키어 그 센터링을 수행하므로, 정밀도 좋은 센터링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세로 놓기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이들 디스크(101,102)의 확실한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재생 및/또는 기록 장치의 디스크 센터링 기구에 있어서는, 2쌍 4개의 센터링축을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고 그 센터링을 수행하므로, 정밀도가 높은 센터링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세로 놓기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디스크의 확실한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 2개의 센터링축을 지지하는 동시에 디스크의 인입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디스크의 기록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센터링 부재와, 이들 센터링 부재를 상호 가까이 당기도록 이동력을 힘을 가하는 반발 수단과, 상기 센터링 부재를 상호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규제하는 동기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2쌍 4개의 센터링축은 디스크의 인입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에 대하여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디스크의 보다 정확한 센터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동기 수단이, 상기 각 센터링 부재에 그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래크와 이들 2개의 래크에 동시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로써 구성되므로, 2개의 센터링 부재를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동기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불과 일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된다.

Claims (12)

  1.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재생 및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축을 갖고, 디스크의 인입 방향에 직교하면서 기록면을 따르는 방향에서 서로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센터링 부재와,
    상기 축에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를 접촉시킴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의 센터링을 수행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부재는 각각 2개의 축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 센터링 부재를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력을 가하는 반발 부재와,
    상기 센터링 부재를 상호 동기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규제하는 동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수단이 상기 각 센터링 부재에 그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래크와 이들 2개의 래크에 동시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크를 상기 인입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센터링 부재에 대하여 상기 인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센터링 부재의 상호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가지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디스크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이 로크 기구에 의한 상기 센터링 부재의 로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센터링 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센터링된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을 이격시키는 제어 기구를 부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 가장자리에 가압됨으로써 구동되며, 디스크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레버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어 기구는 센터링된 디스크의 중심부를 보유하기 위해 상기 검출 레버의 구동에 따라 처킹 기구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디스크를 장치 내부로 인입하는 동시에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기구는 센터링된 디스크로부터 상기 롤러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센터링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와,
    상기 검출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롤러에 의한 디스크 배출시의 장치 외부로의 돌출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구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미끄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롤러는 디스크로부터 이격하는 동시에, 상기 모터는 상기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센터링 장치.
KR1019980001487A 1997-01-20 1998-01-20 디스크재생및/또는기록장치의디스크센터링기구 KR100544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08025 1997-01-20
JP9008025A JPH10208351A (ja) 1997-01-20 1997-01-20 円盤状記録媒体再生及び/又は記録装置における円盤状記録媒体のセンタリング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617A true KR19980070617A (ko) 1998-10-26
KR100544039B1 KR100544039B1 (ko) 2006-05-09

Family

ID=1168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487A KR100544039B1 (ko) 1997-01-20 1998-01-20 디스크재생및/또는기록장치의디스크센터링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0208351A (ko)
KR (1) KR100544039B1 (ko)
CN (1) CN100342442C (ko)
MY (1) MY123901A (ko)
SG (1) SG72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5918B2 (ja) * 2003-04-14 2007-05-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ディスクプレーヤ
WO2007046423A1 (ja) * 2005-10-19 2007-04-26 Pioneer Corporation 搬送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WO2007046419A1 (ja) * 2005-10-19 2007-04-26 Pioneer Corporation 搬送装置、および記録媒体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561A (en) * 1980-11-19 1982-06-02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loading record player
BE892952A (fr) * 1982-04-23 1982-08-16 Staar Sa Dispositif automatique pour tourne-disques de mise en position operative d'un disque.
JPH0624033Y2 (ja) * 1988-09-05 1994-06-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EP0457388A1 (en) * 1990-05-14 1991-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c player, and actuating unit for use in the disc player
JP3402408B2 (ja) * 1994-11-02 2003-05-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3901A (en) 2006-06-30
SG72782A1 (en) 2000-05-23
CN1194437A (zh) 1998-09-30
CN100342442C (zh) 2007-10-10
JPH10208351A (ja) 1998-08-07
KR100544039B1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4073B2 (en) Disc drive apparatus with insertion error inhibit means for recording media having different structures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US4679182A (en) Disc playback device
US5586103A (en) Disc player with an automatic disc charger including eject locking mechanism and movable chassis holding mechanism
US5321687A (en) Compact disk selecting mechanism
US5341352A (en) Disk player for playing back more than one kind of disk
KR100544039B1 (ko) 디스크재생및/또는기록장치의디스크센터링기구
US6345030B1 (en) Disk apparatus
JPH0821267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4363669B2 (ja) 円盤状記録媒体再生及び/又は記録装置
US6445665B2 (en) Disc centering mechanism in disc playback and/or recording apparatus
JP4363670B2 (ja) 円盤状記録媒体再生及び/又は記録装置
JP4136758B2 (ja) ドライブユニット駆動機構
JP2006313627A (ja) 円盤状記録媒体再生及び/又は記録装置並びに円盤状記録媒体の位置決め機構
JP290066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4303355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ディスク装置
JP3546511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924268B2 (ja) 記録媒体が収納されたカートリッジ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H05128695A (ja) デイスクローデイング装置
JPH0728610Y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4083055B2 (ja) ディスクホルダ及びディスク装置
JPH11162079A (ja) 情報記録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8212671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212668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8212675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