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581A - 헤드폰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581A
KR19980070581A KR1019980001317A KR19980001317A KR19980070581A KR 19980070581 A KR19980070581 A KR 19980070581A KR 1019980001317 A KR1019980001317 A KR 1019980001317A KR 19980001317 A KR19980001317 A KR 19980001317A KR 19980070581 A KR19980070581 A KR 19980070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antenna
audio signal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가와노보루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브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브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7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5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헤드폰 장치는 오디오신호에 의해 캐리어신호를 FM변조함으로써 생성된 F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와, 다수 안테나의 수신신호를 받아들이는 다수의 동조회로와, 다수 동조회로가 동조코일을 서로 트랜스결합하도록 하고 다수 동조회로 중 한 동조회로의 출력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주파수변환하기 위한 믹서회로와,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중간주파신호를 FM복조하는 FM복조회로와, FM복조회로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받아들여서 이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 헤드폰 장치의 지향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헤드폰 장치
본 발명은 코드리스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헤드폰 스테레오 시스템으로서, 예를들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가 코드리스 방식으로 헤드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은 하나의 대표적인 코드리스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부호(1)은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나타내고, 부호(6)는 이 헤드폰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수신기를 나타낸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에서는, 스테레오 시스템이 재생하는 동안 우채널의 오디오신호R와 좌채널의 오디오신호L이 카세트 테이프(도시생략됨)로부터 재생된다. 이 좌/우채널 신호(R, L)들은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FM신호(SR, SL)로 변환되고, 그후 이들 FM신호(R, L)는 수신기(6)로 송신된다.
또한, 수신기(6)에서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로 부터 송신된 FM신호(SR, SL)가 수신되면, 이들 FM신호(SR, SL)로부터 오디오신호(R, L)가 복조되고, 이들 오디오신호(R, L)는 헤드폰 코드(7C)를 거쳐 헤드폰(7)의 좌/우 음향유닛(7R, 7L)에 공급되어서, 스테레오의 재생음으로 변환된다.
스테레오 작동 도중 수신기(6)가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거리는 현재 1m∼3m, 예를들면 대략 1.5m내 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설명된 코드리스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 및 수신기(6)에 대한 신호 처리방식의 일예를 나타낸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에 있어서, 재생작동 동안 재생헤드에 의해 카세트테이프의 자기테이프(2)로 부터 우/좌채널 오디오신호(R, L)가 재생된다. 이들 오디오신호(R, L)는 재생 이퀄라이저(equalizer) 증폭기(12R, 12L) 및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회로(13R, 13L)를 통해 FM변조회로(14R, 14L)에 공급되어서, FM신호(SRT, SRL)로 변환된다.
이 경우, FM신호(SRT, SLT)의 캐리어 주파수(fRT/fLT)는 예를들면,
fLT = 11.29 MHz
fRT = 11.75 MHz
로 선택된다.
또한 이들 FM신호(SRT, SLT)는 믹서회로(15)에 공급되며, 소정의 안정한 주파수(f16)(예를들면 f16= 249.75 MHz)를 가지는 발진신호(S16)가 발진회로(16)로부터 생성된다. 이 발진신호(S16)는 믹서회로(15)에 공급된다.
따라서, FM신호(SRT, SLT)는 믹서회로(15)에서 각각 가산되고, 그 가산신호는 발진신호(S16)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다. 그 결과, 이들 FM신호(SRT, SLT)는 다음의 캐리어주파수(fR, fL),
fL = f16 - fLT = 238.46 MHz
fR = f16 - fRL = 238.0 MHz
를 갖는 FM신호(SR, SL)로 주파수 변환된다.
그후, 이들 FM신호(SR, SL)는 밴드패스필터(17)와 출력 증폭기(18)를 통해서 송신기 안테나(19)에 공급되어, 수신기(6)로 송신된다.
한편, 수신기(6)에서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로부터 송신된 FM신호(SR, SL)는 헤드폰코드(7C)(즉, 헤드폰코드(7C)는 안테나로써 작동할 수 있음)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된 FM신호(SR, SL)는 밴드패스필터(61) 및 RF(radio frequency) 증폭기(62)를 통해 믹서회로(63)에 공급되고, 또한 국부발진회로(64)로부터 국부발진신호(S64)가 공급된다.
이 경우, 국부발진신호(S64)의 주파수(f64)는, 예를들면
f64 = 248.7 MHz
로 선택됨은 물론이다.
이렇게 하여, 이들 FM신호(SR, SL)는 국부발진신호(S64)를 이용하여 믹서회로(63)에 의해서, 예를들면
fLI = fL - f64 = 10.24 MHz,
fRI = fR - f64 = 10.7 MHz.
인 주파수(fRI, fLI)를 갖는 중간주파신호(SRI, SLI)로 주파수변환된다.
그후, 이들 중간주파신호(SRI, SLI)는, 각각 필터 및 리미터 증폭기를 포함하는 중간주파회로(65R, 65L)를 통해서 FM복조회로(66R, 66L)에 공급되어서, 각각 오디오신호(R, L)가 복조된다. 이들 오디오신호(R, L)는, 디엠퍼시스(deemphasis) 회로(67R, 67L), 출력 증폭기(68R, 68L) 및 RF초크코일(69R, 69L)로 구성된 신호라인을 거쳐서 음향유닛(7R, 7L)의 핫(hot)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이때, 음향유닛(7R, 7L)의 콜드(cold)측은 다른 RF초크코일(69G)을 거쳐 접지에 접속된다.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에 의해 재생된 오디오신호(R, L)를 헤드폰(7)을 이용하여 들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6)의 치수는, 예를들면 50mm(높이) × 20mm(폭) × 10mm(두께)이다. 카세트 테이프 음악이 재생될때,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는 코드리스 방식으로 수신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는 가방과 같은 저장소에 넣고, 수신기(6)는 음악 재생 동안 자켓의 체스트 포켓 안에 넣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테이프 음악이 재생될 때 사용자가 사무실로 가거나 또는 걷고 있더라도,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와 수신기(6) 사이에서 접속될 수 있는 코드(실제는 코드없음)가 사용자의 조작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에서 수신기(6)로 송신되는 FM신호(SR, SL)의 캐리어 주파수(fR, fL)는 예를들면 fL = 238.46 MHz 및 fR = 238.0 MHz로 선택되므로, 즉 일반적으로 FM 방송시스템이나 텔레비전 방송시스템에 사용되는 76 MHz ∼ 222 MHz의 주파수대역 보다 높기 때문에, 이들 FM 스테레오신호(SR, SL)는 방송전자파와 도시에서 생기는 전자파 방해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코드리스 방식의 헤드폰 스테레오 시스템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와 전용 수신기(6) 사이의 접속은 코드리스 접속으로 이루어지고, 반면에 헤드폰(7)과 수신기(6) 사이의 접속은 코드리스 접속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헤드폰코드(7C)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헤드폰코드(7C)의 필요를 없애기 위해서 헤드폰(7)과 수신기(6)를 일체로 조립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수신기(6)가 FM신호(SR, SL)를 수신될 때 헤드폰코드(7C)는 더 이상 수신 안테나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또 다른 수신 안테나를 새롭게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결과, 예를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높은 신호수신감도를 얻기 위해서는, 수신기(6)를 다이버시티 수신시스템으로 고안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4에 나타낸 수신기(6)에 있어서, 2세트의 안테나(7A, 7B) 및 2세트의 신호 수신회로(6A, 6B)에 의해 FM신호(SR, SL)를 수신하여, 2세트의 오디오신호(R, L)를 얻는다. 이들 두 개의 오디오신호(R, L)는 스위치 회로(81)에 공급된다. 또한, 수신회로(6A, 6B)의 수신레벨은 검출회로(82)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치 회로(81)는 상기 검출신호에 기초해서 제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회로(6A, 6B)로부터의 2세트의 오디오신호(R, L) 중에서 높은 수신레벨을 갖는 수신회로로부터 꺼내지는 오디오신호(R)와 오디오신호(L) 중 어느 하나가 스위치회로(81)로부터 선택되어 꺼내진다.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와 수신기(6) 사이의 방향관계와는 무관하게 계속적으로 양호한 오디오신호(R, L)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수신기(6)에 있어서, 안테나(7A)의 수신신호와 안테나(7B)의 수신신호가 발진회로(84)로 부터 꺼내진 발진신호에 의해 오디오신호(R, L)의 최고 주파수 보다 2배이상 높은 주파수로 고속으로 절환되고, 절환된 수신신호는 수신회로(6A)에 공급된다.
따라서 안테나(7A) 및 안테나(7B)에 수신된 FM신호(SR, SL) 중 하나의 레벨이 낮더라도, 만일 다른 FM신호의 레벨이 충분히 높다면 다른 FM신호(SR 또는 SL)로부터 양호한 오디오신호(R, L)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다이버시티 수신방식의 수신기(6)에 의하면, 2세트의 FM신호(SR, SL) 중에서 더 높은 수신레벨을 갖는 FM신호로부터 생성된 오디오신호(R, L)가 유효하게 되기 때문에, 더 나은 상태로 오디오신호(R, L)을 얻어서 더 양호한 스테레오 음성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내는 다이버시티 수신방식의 수신기의 경우에, 회로구성요소의 부품수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고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회로구성요소의 부품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신기(6)가 헤드폰(7)과 일체로 조립될 경우, 헤드폰(7)의 크기가 크게 되었고 또한 헤드폰(7)의 무게도 무겁게 되었으므로 헤드폰을 쉽게 조작할 수 없게 되었다.
반면, 도 5에 나타낸 다이버시티 수신방식의 수신기의 경우, 이 수신기의 비용과 크기는, 도 4에 나타낸 다이버시티 수신방식의 수신기와 비교하여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낮은 수신레벨을 갖는 FM신호(SR, SL)로 부터 오디오신호(R, L)가 꺼내지기 때문에, 헤드폰(7)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R, L)의 S/N비와 뒤틀림(distortion)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신호 수신회로와 음향유닛 사이에서 소위 코드리스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코드리스 헤드폰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대표적인 코드리스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신호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신기의 신호처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이버시티 수신방식 수신기의 신호처리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또다른 다이버시티 수신방식 수신기의 신호처리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신호 수신회로의 회로배열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신호 수신회로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지향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6의 신호 수신회로에 사용되는 동조회로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2. 자기 테이프
6. 수신기 7. 헤드폰
7R,7L. 음향유닛 7C. 헤드폰코드
15. 믹서회로 16,64. 발진회로
62. 증폭기 66L,66R. 복조회로
60. 신호 수신회로 70. 헤드폰
82. 검출회로 84. 발진회로
91. 제 1동조회로 92. 제 2동조회로
93. 제 1안테나 94. 제 2안테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헤드폰은,
오디오신호에 의해 캐리어신호를 FM변조함으로써 생성된 F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안테나와,
F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안테나와,
제 1안테나의 수신신호를 공급받는 제 1동조회로와,
제 2안테나의 수신신호를 공급받는 제 2동조회로이며, 그 동조코일이 제 1동조회로의 동조코일과 트랜스 결합되는 제 2동조회로와,
제 2동조회로의 출력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주파수 변환하기 위한 믹서회로와,
오디오신호를 얻기 위해 중간주파신호를 FM복조하기 위한 FM복조회로와,
FM복조회로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받아들이고, 그 받은 오디오신호를 재생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유닛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신호 수신회로와 음향유닛과의 접속은 소위 코드리스접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명백한 이해를 위해서, 참고로 첨부 도면과 함께 읽혀질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이하에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헤드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헤드폰 장치의 헤드폰/신호 수신회로의 회로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동조코일(L1)은 동조커패시터(C1)에 병렬접속 되어서, 제 1동조회로(91)를 구성한다. 또한 또 다른 동조코일(L2)은 또 다른 동조커패시터(C2)에 병렬 접속되어서, 제 2동조회로(92)를 구성한다. 이때 코일(L1)은 코일(L2)에 근접하게 위치되어서, 트랜스결합(상호 유도 결합)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제 1안테나(93)와 제 2안테나(94)가 사용되고, 제 1동조회로(91)는 제 1안테나(93)와 접지에 접속되고, 또한 제 2동조회로(92)는 제 2안테나(94)와 접지에 접속된다. 게다가 코일(L2)의 중간 탭(tab)은 증폭기(6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증폭기(62)에서 증폭기(68R, 68L)까지의 신호라인은 이미 도 3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배열되어서, 신호 수신회로(60)가 배열된다. 증폭기(68R, 68L)로부터 출력된 오디오신호(R, L)는 우채널 음향유닛(70R) 및 좌채널 음향유닛(70L)에 공급된다.
이 경우 헤드폰(7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헤드마운트(head mount)형으로 구성된다. 즉, 우채널/좌채널 음향유닛(70R, 70L)은 각각 하우징(71R, 71L)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이들 하우징(71R, 71L)은 밴드(72)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헤드폰 전체를 사용자의 머리에 씌우면 머리를 덮게 된다. 신호 수신회로(60)는 하우징(71R) 내부에 수납된다.
제 1안테나(93) 및 제 2안테나(94)가 지향성을 가질 경우, 지향방향(즉, 지향 축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를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및 제 2안테나(93, 94)가 하이퍼볼릭 지향성(hyperbolic directivity)을 나타낼 경우, 제 1 및 제 2안테나(93, 94)는 제 1안테나(93)의 지향성(특성곡선(93A))은 제 2안테나(94)의 지향성(특성곡선(94A))에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예를들면 제 1안테나(93)는 비닐 와이어(vinyl wire)로 만들어져서 리드 안테나(lead antenna)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리드 안테나(93)는 예를들면 하우징(71R)으로부터, 이 하우징(71R)과 하우징(71L)을 연결/홀드하는 밴드(72)를 거쳐서 설치된다. FM신호(SR, SL)의 주파수(fR, fL)가 대략 240 MHz이고, 그 1/4파장이 대략 31cm이므로, 리드 안테나(93)가 밴드(72)를 따라 배치하게 된다면, 하우징(71R)에서부터 안내되는 이 리드 안테나(93)의 말단부는 하우징(71L)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제 2안테나(94)는 헬리컬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FM신호(SR, SL)의 주파수(fR, fL)가 상기 값일 때, 이 헬리컬 안테나(94)의 치수는 3mm(직경)×40mm(길이)로 선택되고, 하우징(71R) 내부에 수납된다. 필요할 경우 이 헬리컬 안테나(94)의 일부는 하우징(71R)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제 1안테나(93)는 리드 안테나이며, 도 3에 도시된 하이퍼볼릭 지향성과 비슷인 지향성을 갖는 단일의 수직 로드 안테나로 간주될 수도 있다. 따라서, 헬리컬 안테나(94)는, 이 안테나(94)의 지향방향(특성곡선(94A))이 리드 안테나(93)의 지향방향에 직교하도록 하우징(71R)에 설치된다.
더욱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신호 수신회로(60)의 전원은 예를들어 2세트의 전지(일본 단위 사이즈 제 3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지는 헤드폰(70)의 중량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하우징(71R, 71L)에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71R)을 하우징(71L)과 접속시키는 와이어선은 밴드(72)를 따라 밴드(72) 내측에 설치된다.
그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에서 생성된 FM신호(SR, SL)는 제 1안테나(93) 및 제 2안테나(94)에 의해 수신된다. 이들 수신된 FM신호(SR, SL)는 증폭기(62)를 거쳐 다음단계의 회로에 공급된다. 그 결과,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증폭기(68R, 68L)로부터 오디오신호(R, L)가 얻어지고, 이들 오디오신호(R, L)는 음향유닛(70R, 70L)에 공급됨으로써, 사용자는 스테레오 재생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신호 수신회로(60)는 헤드폰(70)의 하우징(71R) 내측에 조립되기 때문에, 신호 수신회로(60)와 헤드폰(70) 사이에는 접속코드가 필요치 않다.
이때, 코일(L1)이 코일(L2)과 트랜스결합되기 때문에, 증폭기(62)에 공급되는 FM신호(SR, SL) 중에서, 제 1안테나(93)에 의해 수신되는 FM신호(SR, SL)와 제 2안테나(94)에 의해 수신되는 FM신호(SR, SL) 사이에 90°의 위상차가 존재하게 된다. 그 결과, 안테나(93, 94)에 의해 수신되는 FM신호(SR, SL)는 외관상 원형 편파로써 작용한다. 제 1 및 제 2안테나(9, 94)의 전체 지향성은, 도 8에서 특성곡선(9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omnidirectional)(무방향) 지향성을 나타낸다.
그 결과,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와 안테나(93, 94)(헤드폰(70)) 사이에 방향관계가 불안정할 지라도, 계속적으로 정상적인 상태로 FM신호(SR, SL)를 수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한 상태로 오디오신호(R, L)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 헤드폰(70)에 의하면, 수신기가 소위 코드리스 방식으로 헤드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이 헤드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용 수신기(6)를 필요로 하는 종래의 헤드폰에 비해, 더욱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제 1 및 제 2안테나(93, 94)가 등가적으로 전방향 지향성을 갖기 때문에, 재생음은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와 안테나(93, 94)와의 방향관계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며, 계속적으로 고품질의 재생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방향 지향성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단지 2세트의 제 1 및 제 2동조회로(91, 92)와 2세트의 제 1 및 제 2안테나(93, 94)를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이들 회로소자 중 1세트는 원래 이 코드리스 헤드폰 장치에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비용 상승이 적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이버시티 수신방식 헤드폰 장치와 비교할 때 비용상승이 훨씬 적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헤드폰 장치의 치수와 중량에 있어서도 특별한 문제가 없다. 또한, 도 5의 다이버시티 수신방식 헤드폰 장치의 경우에는 역으로 낮아지게 되는 오디오신호(R, L)의 S/N비와 뒤틀림도 낮아지지 않는다.
도 9는 동조회로(91, 92)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동조회로(91, 92)의 동조코일(L1, L2)은 프린트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프린트 회로패턴(911)이 직사각형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랜드(912, 913)는 절연기판(910) 상에서 프린트 회로패턴(911)의 양 말단에 형성되어서, 동조코일(L1)이 형성된다.
따라서, 랜드(912)와 랜드(913) 사이에 커패시터(C1)가 결합되어 동조회로(91)를 구성하고, 랜드(912)가 안테나(93)에 접속되며 반면 랜드(913)는 관통구멍을 거쳐 절연기판(910)의 뒷면에 형성된 접지패턴에 접속된다.
더욱이, 다른 프린트 회로패턴(921)은 직사각형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프린트 회로패턴(911)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랜드(922, 923)는 절연기판(910) 상에서 프린트 회로패턴(921)의 양 말단에 형성되어서, 동조코일(L2)이 제조된다. 따라서, 랜드(922)와 랜드(923) 사이에 커패시터(C2)가 결합되어, 동조회로(92)를 구성한다.
따라서, 랜드(922)는 안테나(94)에 접속되는 반면, 랜드(923)는 관통구멍을 거쳐 절연기판(910)의 뒷면에 형성된 접지패턴에 접속된다. 더욱이, 패턴(921)의 도중부분(halfway portion)(924)은 관통구멍과 절연기판(910)의 뒷면에 형성된 패턴을 거쳐서 증폭기(6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호 수신회로(60)의 나머지 회로는 절연기판(910)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코일(L1, L2)을 간단하고도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변동이 적은 안정한 코일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코일(L1, L2)의 총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안테나(93, 94)를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들 코일(L1, L2)은 선택적으로 루프 안테나로써 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는, 오디오신호(R, L)의 신호원이 헤드폰방식의 스테레오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1)인 경우이다. 선택적으로, 기록매체로써 CD, MD, DAT 및 DCC를 이용하는 코드리스 방식의 오디오 기기와 코드리스 마이크로폰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폰 장치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등과 같은 오디오 기기에 대해서 완전히 코드리스 모드로 만들어지며,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용 수신기를 필요로하는 종래의 헤드폰 장치와 비교할 때, 이 헤드폰 장치는 더욱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재생음은 이 헤드폰 장치와 오디오 기기 사이의 방향관계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며, 항상 고품질의 재생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지 2세트의 동조회로와 2세트의 안테나만이 이용된다. 또한, 이들 회로소자 중 1세트는 이 코드리스 헤드폰 장치에 원래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비용상승이 적다. 특히, 다이버시티 수신방식의 헤드폰 장치에 비해 비용상승이 훨씬 적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리스 헤드폰 장치의 치수 및 중량에 있어서 특별한 문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오디오신호(R, L)의 S/N비와 뒤틀림이 저하되지도 않는다.

Claims (5)

  1. 오디오신호에 의해 캐리어신호를 FM변조함으로써 형성된 F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와,
    상기 다수 안테나의 수신신호를 받아들이는 다수의 동조회로와,
    상기 다수 동조회로의 동조코일을 서로 트랜스결합하며, 상기 다수 동조회로 중 하나의 동조회로의 출력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주파수 변환하기 위한 믹서회로와,
    상기 오디오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FM복조하는 FM복조회로와,
    상기 FM복조회로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받아들여서 이 오디오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유닛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장치.
  2. 오디오신호에 의해 캐리어신호를 FM변조함으로써 생성된 F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안테나와,
    FM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안테나와,
    제 1안테나의 수신신호를 공급받는 제 1동조회로와,
    제 2안테나의 수신신호를 공급받는 제 2동조회로이며, 그 동조코일은 상기 제 1동조회로의 동조코일과 트랜스결합하게 되는 제 2동조회로와,
    제 2동조회로의 출력신호를 중간주파신호로 주파수변환하기 위한 믹서회로와,
    상기 오디오신호를 얻기 위해 중간주파신호를 FM복조하는 FM복조회로와,
    FM복조회로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받아들이고, 그 오디오신호를 재생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유닛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는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우채널 오디오신호 및 좌채널 오디오신호에 대응하며,
    상기 음향유닛은 상기 우채널 오디오신호 및 좌채널 오디오신호를 공급받는 우채널 음향유닛과 좌채널 음향유닛에 대응하며,
    상기 제 1동조회로와, 상기 제 2동조회로와, 상기 믹서회로 및 상기 FM복조회로는 상기 우채널 음향유닛과 좌채널 음향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상기 우채널 음향유닛은 밴드에 의해 상기 좌채널 음향유닛과 결합되어서, 헤드마운트(head mount)형 헤드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안테나는, 상기 제 1안테나의 지향방향이 상기 제 2안테나의 지향방향과 다르게 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안테나는, 상기 제 1안테나의 지향방향이 상기 제 2안테나의 지향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KR1019980001317A 1997-01-20 1998-01-17 헤드폰 장치 KR19980070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08082A JPH10210585A (ja) 1997-01-20 1997-01-20 ヘッドホン
JP97-008082 1997-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581A true KR19980070581A (ko) 1998-10-26

Family

ID=1168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317A KR19980070581A (ko) 1997-01-20 1998-01-17 헤드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7066A (ko)
JP (1) JPH10210585A (ko)
KR (1) KR199800705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3140B1 (en) * 1998-04-30 2006-01-31 Jinsaun Chen 3-in-1 anti-noise radio sound-collection device
JP2001284445A (ja) 2000-03-29 2001-10-1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12389A1 (en) * 2001-07-10 2003-01-16 Rosen Products Llc. Automobile audio system
US6934567B2 (en) * 2002-08-14 2005-08-23 Addax Sound Company Personal wearable communication and speaker system
US7428429B2 (en) * 2002-08-14 2008-09-23 Sync1 Llc Hands-fre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JP2004236117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Corp 通信機器
WO2005070146A2 (en) * 2004-01-08 2005-08-04 Aerielle, Inc. Headphone receiver apparatus for use with low power transmitters
US20070219655A1 (en) * 2006-03-15 2007-09-20 Erickson Craig S External remote with display accessory
US20080123879A1 (en) * 2006-11-28 2008-05-29 Ming-Jen Cheng Digital wireless stereophonic music transmission device
US8577052B2 (en) * 2008-11-06 2013-11-0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accessory
US9866946B2 (en) * 2016-06-08 2018-01-09 Bose Corporation Wireless headset
US11114773B2 (en) * 2018-12-28 2021-09-07 Flex Lt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onal antennas that protect sensitive zon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2535A (en) * 1980-03-03 1981-09-26 Pioneer Electronic Corp Antenna equipment
US4845751A (en) * 1988-03-16 1989-07-04 Schwab Brian H Wireless stereo headphone
KR910003700Y1 (ko) * 1988-12-30 1991-05-31 금성전선 주식회사 변사 절단용 원단 정렬장치
JPH0549015A (ja) * 1991-08-09 1993-02-26 Sony Corp 移動体用受信装置
JPH0774663A (ja) * 1993-07-06 1995-03-17 Sony Corp ワイヤレス式オーディオ機器及びその受信機
US5410735A (en) * 1992-01-17 1995-04-25 Borchardt; Robert L.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890A (ja) * 1990-05-11 1992-01-23 Sony Corp 無線伝送式の音声信号再生装置
US5361381A (en) * 1990-10-23 1994-11-01 Bose Corporation Dynamic equalizing of powered loudspeaker system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2535A (en) * 1980-03-03 1981-09-26 Pioneer Electronic Corp Antenna equipment
US4845751A (en) * 1988-03-16 1989-07-04 Schwab Brian H Wireless stereo headphone
KR910003700Y1 (ko) * 1988-12-30 1991-05-31 금성전선 주식회사 변사 절단용 원단 정렬장치
JPH0549015A (ja) * 1991-08-09 1993-02-26 Sony Corp 移動体用受信装置
US5410735A (en) * 1992-01-17 1995-04-25 Borchardt; Robert L.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JPH0774663A (ja) * 1993-07-06 1995-03-17 Sony Corp ワイヤレス式オーディオ機器及びその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87066A (en) 1999-03-23
JPH10210585A (ja) 199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0218B1 (en) Portable audio listening apparatus
US4442434A (en) Antenna circuit of the negative impedance type
CN100576757C (zh) 具有提供天线功能的音频连接器的移动电子装置
US5887066A (en) Headphone apparatus
JPH0562439A (ja) 携帯用ステレオ音楽等聴取装置
JPH09312894A (ja) Fm受信機
JPH09331209A (ja) Fm受信回路を有する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ヘッドホン
US5884197A (en) Wireless portable transceiver arranged for providing isolation between radio frequency and audio signals
US3863157A (en) Built-in FM dipole antenna
US4025856A (en) Antenna apparatus
JP3509345B2 (ja) 受信機
US6674866B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KR200273806Y1 (ko) 노이즈 저감회로
JPH1022842A (ja) Fm送信機
GB2098821A (en) Radio receiver
US5754667A (en) Audio filter with magnetic field cancellation
JPH104369A (ja) Fm受信機
JPS631483Y2 (ko)
JPS58219801A (ja) アンテナ構造
JPH0516746Y2 (ko)
JP2006060534A (ja) 携帯機器
JP2007251327A (ja) 高周波受信モジュールとこれを用いた高周波受信装置
JPH09107572A (ja) 複合型ページャー装置
Talbot-Smith Sound Origination Equipment
JP2002135145A (ja) 受信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