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542A - 압전부품용 단자 - Google Patents

압전부품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542A
KR19980070542A KR1019980001068A KR19980001068A KR19980070542A KR 19980070542 A KR19980070542 A KR 19980070542A KR 1019980001068 A KR1019980001068 A KR 1019980001068A KR 19980001068 A KR19980001068 A KR 19980001068A KR 19980070542 A KR19980070542 A KR 1998007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ezoelectric
lubricant
hydrophilic group
molecula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2762B1 (ko
Inventor
수미타마나부
구사비라키시게마사
이케다이사오
Original Assignee
무라따미치히로
가부시끼가이샤무라따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따미치히로, 가부시끼가이샤무라따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무라따미치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7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 H03H9/60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605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75Ladder networks, e.g. electric wave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6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consisting of ceram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부품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부품용 단자는 별도의 금속원소들로 된 제 1 접촉부(contact portion)와 제 2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접촉부들 위에는 돌기(protrusion)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와의 사이에는 윤활재(lubricant)가 위치해 있다. 윤활재는 금속원소와 쉽게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친수성기와, 이 수소결합으로부터 직쇄상으로 뻗어 있고 친수성기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갖는 친유성기를 포함하고 있다. 친유성기는 접촉부들의 금속 표면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압전부품용 단자
본 발명은 압전부품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곡 접촉부를 갖거나, 또는 두 개로 분리되어 형성된 대향하는 접촉부들을 포함하며, 사다리형 필터(ladder type filter) 등의 압전부품용 입력단자, 출력단자, 내부접속단자 또는 접지단자로서 사용되는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을 이루는 공지된 단자들을 구비한 압전부품의 일례로서, 사다리형 필터를 도 11에 나타내었고, 이 사다리형 필터는 도 12에 도시된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사다리형 필터 1은 합성 수지로 구성된 케이스 2를 포함한다. 케이스 2의 하단 개구부는 커버 3으로 덮여있다. 케이스 2는 4개의 압전공진자 4a, 4b, 4c, 4d, 및 이들 압전공진자 4a, 4b, 4c, 4d를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입력단자 5a, 릴레이 단자(relay terminal) 5b, 접지단자 5c, 출력단자 5d 및 스프링 단자(spring terminal) 5e를 포함한다.
접지단자 5c, 출력단자 5d 및 릴레이 단자 5b의 한쪽 접촉부 6b는 각각 U-자형 단면을 갖는 굴곡단자로서 형성된다. 출력단자 5d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기부(base portion) 5d1을 갖고 있다. 기부 5d1에는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 접속자를 구성하는 각부 7d가 형성된다. 또, 출력단자 5d에는 그의 기부 5d1로부터 조금 떨어져 기부 5d1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굴곡부 5d2가 형성된다. 기부 5d1의 외부면에는 압전공진자 4c의 한쪽 주면에 압접되는 돌기 8이 형성되고, 굴곡부 5d2의 외부면에도 유사하게 압전공진자 4d의 한쪽 주면에 압접되는 돌기 8이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접지단자 5c도 기부 5c1, 굴곡부 5c2 및 두 개의 돌기 8을 구비한 굴곡단자로서 형성된다. 릴레이 단자 5b의 한쪽 접촉부 6b도 또한 기부 6b1, 굴곡부 6b2 및 두 개의 돌기 8을 구비한 굴곡단자로서 형성된다. 또, 입력단자 5a에도 압전공진자 4a의 한쪽 주면에 압접되는 돌기 8이 형성되고, 다른 접촉부 6c에도 압전공진자 4d의 다른쪽 주면에 압접되는 돌기 8이 형성된다.
사다리형 필터 1은 출력단자 5d의 기부 5d1과 굴곡부 5d2와의 사이에 삽입된 시트 9를 포함하여,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된 복수개의 시트들 9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수지 시트 9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 9의 두께방향으로, 또 시트 9를 둘러싸고 있는 기부 5d1과 굴곡부 5d2의 대향하는 주면들에 수직인 방향으로 충격흡수력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압전공진자 4a, 4b, 4c, 4d를 보호한다.
그러나, 시트들 9는 도 11에 나타낸 필터 1에서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필터 1에 가해진 충격이나 응력이 상당한 경우에는, 시트 9는 단자들의 굴곡부와 기부 사이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변위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또, 상술한 공지된 사다리형 필터 1에 있어서, 필터가 떨어지거나 강타되었을 때 충격으로부터 압전공진자들을 보호하는데에는 수지 시트들이 효과적이지만,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응력이나 압전공진자들 자체의 진동에 의해, 필터의 주파수특성 및 군지연특성(group delay characteristics)에 리플 불량(ripple failure)이 발생하기 쉽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9는 단자의 굴곡부와 기부와의 사이에서의 발진이나 진동에, 시트를 둘러싸고 있는 굴곡부와 기부의 주면들에 평행한 방향으로 장애를 발생시킨다. 이런한 진동 장애는 압전소자와 단자의 굴곡부와의 사이에, 목적하는 압전 진동 외에, 불균형 진동을 야기시킨다. 그 결과 필터의 주파수특성과 군지연특성에 리플 불량이 발생하고 필터특성을 악화시킨다.
리플 불량, 또는 필터 대역내에서 발생하는 주파수특성의 파형 왜곡(distortion)은, 필터의 군지연특성 및 위상특성을 악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다리형 필터를 통신기기에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복조왜곡(demodulation distortion)이 증가하여 수신된 음이 왜곡되거나, 디지털 통신기기에는 비트 에러(bit error)를 유발하여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문제들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압전부품이 떨어지거나 강타되었을 때 충격에 대하여 압전부품의 압전공진자들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압전부품의 주파수특성 및 군지연특성에 있어서의 리플 불량을 방지하고, 압전부품의 전기적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압전부품용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단자들을 포함하는 사다리형 필터(ladder type filter)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에 나타낸 필터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도 1b 및 도 2에 나타낸 필터에 있어서 굴곡부(bent portion)를 갖는 출력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a 및 도 1b의 필터에 있어서 굴곡부를 갖는 릴레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두 개의 분리된 부분들을 구비한, 도 4에 나타낸 출력단자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두 개의 분리된 부분들을 구비한, 도 4에 나타낸 릴레이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제 2 부분 24b의 표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d는 제 1 부분 24a의 표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a에 나타낸 단자의 기부(base)와 굴곡부와의 사이에 제공된 윤활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a에 나타낸 단자부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 제공된 윤활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윤활재의 분자구조가 단자에 소정의 위치에서 어떻게 부착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필터의 특성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사다리형 필터의 특성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사다리형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필터에 있어서 출력단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다리형 필터 12 ... 케이스
12a ... 개구부 12b ... 단부
14, 16, 18, 20 ... 압전 소자 22 ... 입력단자
24 ... 출력단자 26 ... 릴레이 단자
28 ... 접지단자
22a, 24a, 24b, 26a, 26b, 26c, 28a, 28b ... 접촉부
22c, 24d, 24e, 26e, 26f, 26g, 28d, 28e ... 돌기
22b, 24c, 28c ... 외부 접속자
30 ... 스프링 단자 32 ... 절연재
34, 38 ... 실링재(sealing material)
100 ... 윤활재 102 ... 친수성기
104 ... 친유성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압전부품용 단자는 금속소재를 접음으로써 기부(base portion)와 굴곡부(bent portion)로 되는 접촉부(contact portion)와; 상기한 기부와 굴곡부 각각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한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에 제공된 윤활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윤활재가 금속 원소와 쉽게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친수성기와, 이 수소결합으로부터 직쇄상으로 뻗어 있고 친수성기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갖는 친유성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친유성기는 기부와 굴곡부의 금속 표면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압전부품용 단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과; 상기한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각각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한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사이에 제공된 윤활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윤활재가 금속 원소와 쉽게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친수성기와, 이 수소결합으로부터 뻗어 있고 친수성기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갖는 친유성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친유성기는 접촉부들의 금속 표면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윤활재는 전체로서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한 비이온계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 윤활재는 전체로서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윤활재는, 압전부품이 떨어지거나 강타되었을 때 충격에 대하여 압전부품의 압전공진자들을 보호하면서, 단자의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 또는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든 불균형 진동을 방지한다.
또, 윤활재는 단자의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 또는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사이에서의 모든 진동 장애를 방지한다.
따라서, 노이즈(noise)가 외부 또는 압전소자로부터 전파되는 경우에도, 단자와 단자의 굴곡부와의 사이 또는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사이에는 불안정한 진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파형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압전소자와 단자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모든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압전부품의 주파수특성 및 군지연특성에 발생하는 리플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메인(main) 주파수에서의 필터의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필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단자를 포함하는 압전부품의 일례로서 사다리형 필터를 도시하였다. 사다리형 필터 10은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 등의 합성 수지나 세라믹 재료 또는 그외 적당한 재료로 형성된 케이스 12를 포함한다. 케이스 12는 대략 U-자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그의 한쪽 측면에 배치된 개구부 12a를 갖고 있다. 케이스 12에는 4개의 압전소자 14, 16, 18 및 20이 설치되며, 이들 압전소자들 14, 16, 18 및 20은 각각 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공지의 것들이다.
또 케이스 12에는, 입력단자 22, 출력단자 24, 릴레이 단자 26, 접지단자 28 및 십자(十)형상의 판스프링으로 된 스프링 단자 30이 설치된다. 입력단자 22는 대략 직사각형의 접촉부 22a와, 외부 접속자(external connector) 22b 및 하부면에 형성되고 압전소자 14의 상부면에 압접되는 돌기 22c를 갖고 있다.
출력단자 24는 도 3a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 접촉부 24a와, 기부 접촉부 24a 위로 접혀진 굴곡 접촉부 24b, 외부 접속자 24c, 및 두 개의 돌기 24d, 24e를 포함한다. 돌기 24d는 기부 접촉부 24a에 형성되고 압전소자 18의 하부면에 압접되며, 반면 다른 돌기 24e는 굴곡 접촉부 24b에 형성되고 압전소자 20의 상부면에 압접된다.
필터 10은 바람직하게는 도 2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단자 24의 접촉부들 24a와 24b와의 사이에 제공된 윤활재 100을 갖고 있다. 윤활재 100은 굴곡 접촉부 24b의 4개의 코너 부근 또는 굴곡 접촉부 24b의 전면에 걸쳐 가시가능한 양(visible quantity) 이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도 8b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윤활재 100은, 도 6,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원소와 쉽게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친수성기 102와, 이 수소결합으로부터 직쇄상으로 뻗어 있고 친수성기 102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갖는 친유성기 10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유성기 104는 단자 표면들 또는 윤활재 100을 둘러싸고 있는 기부 접촉부 24a와 굴곡 접촉부 24b의 금속 표면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재 100은 바람직하게는 전체로서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비이온계 표면활성제이거나, 전체로서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윤활재 10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를 포함한다.
릴레이 단자 26은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기부 접촉부 26a, 26b, 기부 접촉부 26a 위로 접혀진 굴곡 접촉부 26c, 릴레이부 26d 및 접촉부 26a, 26c 및 26b 각각에 배치된 3개의 돌기 26e, 26f 및 26g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 26e는 압전소자 14의 하부면에 압접되며, 돌기 26f는 압전소자 16의 상부면에 압접되고, 돌기 26g는 압전소자 20의 하부면에 압접된다.
접지단자 28은 도 1a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 접촉부 28a, 기부 접촉부 28a 위로 접혀진 굴곡 접촉부 28b, 외부 접속자 28c 및 기부 접촉부 28a와 굴곡 접촉부 28b에 각각 배치된 2개의 돌기 28d, 28e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 28d는 압전소자 18의 상부면에 압접되며, 돌기 28e는 압전소자 16의 하부면에 압접된다.
스프링 단자 30은 압전소자 14, 16, 18, 20과, 입력단자 22, 출력단자 24, 릴레이 단자 26 및 접지단자 28에 적당한 압접력을 발생시켜 단자들을 함께 유지시키기 위하여, 케이스 12의 내부 바닥면과 릴레이 단자 26의 접촉부 26b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소자들 14, 16, 18, 20과 단자들 22, 24, 26, 28, 30은 개구부 12a를 통하여 케이스 12에 삽입된다. 케이스 12는 그의 개구부 12a 둘레에 바람직하게는 절연재 32로 도포된 단부 12b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단자 22 및 출력단자 24의 외부 접속자들 22b, 24c는 각각 개구부 12a를 통하여 케이스 12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개구부 12a는 케이스 12에 부착된 에폭시수지 등의 실링재(sealing material) 34로 봉지된다. 케이스 12는 그의 개구부 12a로부터 반대쪽에 위치한 케이스 12의 벽에 형성된 슬릿(slit) 36을 구비하고 있으며, 접지단자 28의 외부 접속자 28c는 슬릿 36을 통하여 케이스 12로부터 인출된다. 슬릿 36은 에폭시수지 등의 실링재 38로 봉지된다.
외부 접속자들 22b, 24c 및 28c를 경화된 실링재 34, 38을 통하여 인출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12의 외부면 및 바닥면을 따라 구부린다. 그러나 외부 접속자들 22b, 24c 및 28c를 케이스 12의 바닥면을 따라 구부리지 않고, 케이스 12의 바닥면과 동일면으로 연장되도록 케이스 12로부터 떨어져서 구부릴 수도 있다.
도 1b는 사다리형 필터 10의 등가회로도이다. 압전소자 14와 20은 입력단자 22와 출력단자 24와의 사이에서 직렬로 접속된다. 압전소자 16과 18은 입력단자 22와 출력단자 24와의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된다. 압전소자 14, 20과 압전소자 16, 18이 교대로 접속되어 사다리 구조를 형성한다.
윤활재 100은 출력단자 24의 기부 접촉부 24a와 굴곡 접촉부 24b와의 사이에서의 모든 진동 장애를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단자들과 압전공진자들 사이에서의 모든 불균형 진동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응력 또는 충격의 결과로서 압전소자 14, 16, 18, 20과 단자들 22, 24, 26, 28, 30에서 발생하는 모든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윤활재 100은 출력단자 24의 기부 접촉부 24a와 굴곡 접촉부 24b와의 사이에서의 진동을 균형되게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기부 접촉부 24a와 굴곡 접촉부 24b와의 사이에서의 모든 불균형 진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사다리형 필터 10의 주파수특성 및 군지연특성에서 리플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윤활재를 갖고 있지 않은 종래의 사다리형 필터의 경우에는,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단자들의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에서의 진동 장애가 남아있고, 단자들의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에 압전진동 이외의 진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응력과 압전소자 자체의 진동에 의해, 그의 주파수특성 및 군지연특성에서 리플 불량이 발생한다. 리플 불량은 압전부품의 질을 저하시킨다.
윤활재 100은, 윤활재 100의 친수성기 102가 금속 단자 표면, 예를 들면 단자 표면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은(銀) 등과 쉽게 수소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응력과 중력에 의해 출력단자 24의 기부 접촉부 24a와 굴곡 접촉부 24b와의 사이로부터 쉽게 변위되지 않고,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수소결합의 형성은 화합물을 형성하는 화학적 반응 보다는 일종의 물리적인 반응으로 통상 이해되고 있다.
윤활재 100의 분자구조와 단자들의 금속 표면과의 위치관계와 관련된 입체화학적 관점으로부터, 윤활재 100의 친수성기 102는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 표면으로부터 45°를 초과하여 거의 90°로 뻗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윤활재 100은, 단자 표면에서 친수성기 102와 금속 원소에 의해 형성되는 수소결합으로부터 직쇄상으로 뻗어 있는 친유성기 104가 친수성기 102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갖도록, 그리고 접촉부 24a, 24b의 단자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도록, 접촉부 24a, 24b를 형성하는 금속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수십Å의 길이로 뻗어 있다.
윤활재 100의 분자조성 및 배열에 의해, 윤활재 100은 외부로부터 가해진 응력 또는 충격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압전소자 14, 16, 18, 20과 단자들 22, 24, 26, 28, 30에서의 왜곡을 방지하며, 이렇게 하여 출력단자 24의 기부 접촉부 24a와 굴곡 접촉부 24b와의 사이에서의 진동을 균형되게 자유롭게 한다.
이하, 출력단자 24의 기부 접촉부 24a와 굴곡 접촉부 24b와의 사이에 윤활재 100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많은 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출력단자 24로 될 금속소재에 윤활재 100을 함유한 작업유를 도포한 후, 구부린다. 출발 금속 소재는 평면상이고, 출력단자 24의 형상에 일치하는 절취선이 표시되어 있다. 금속 소재를 프레스로 구부려서 굴곡부를 형성하고 이렇게 하여 출력단자 24를 형성한다. 접촉부 24a와 24b 사이의 공간에 금속 소재에 도포될 작업유를 넣어서 그들 사이에 윤활재 100의 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윤활재 100이 필요하지 않은 부위의 작업유를 제거한다.
다른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유기 용제 등에 윤활재 100을 첨가하고, 이 용제 중에 적절하게 성형된 출력단자 24를 침적하여 윤활재를 함유한 용제가 그의 접촉부 24a와 24b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한다. 또는 윤활재 100을 함유한 용제를 노즐 또는 그외 적절한 장치에 의해 출력단자 24에 분무할 수도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서, 윤활재 100을, 또는 용제로 희석시킨 것을 시링지(syringe) 또는 그외 적절한 장치에 의해 출력단자 24의 접촉부 24a와 24b 사이의 공간에 주입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따른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사다리형 필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출력단자가 가장 효과적인 실시 형태이다 할지라도, 입력단자, 접지단자 또는 릴레이(내부 접속) 단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따른 복수개의 단자들을 사용하여 사다리형 필터 또는 그외 전자부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케이스 12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액정 폴리머 또는 세라믹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라면 그외 다른 수지, 금속 등의 재료로 대체할 수도 있다. 실링재 34, 38은 에폭시 수지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우레탄, 실리콘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 4,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4,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7에서는,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참조번호들과 유사한 참조번호들을, 두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의 도면들 및 설명에서 불필요한 반복설명을 생략하기 위해 유사한 구조의 소자들을 나타내는데 반복 사용하였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는 도 3a, 도 3b에서 나타낸 단자 24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단자 2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나타낸 단자 24는 제 1 접촉부 24a와 제 2 접촉부 24b를 포함한다. 단자 24의 두 개의 접촉부 24a, 24b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도 3a에 나타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와 같이 굴곡부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접촉부 24a, 24b는 소정량의 윤활재 100에 의해 분리된다.
도 5c,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윤활재 100은 이들 도면에서 음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c에서 음영으로 나타낸 부분은 제 1 접촉부 24a에 있어서 제 2 접촉부 24b 표면의 원주부에 대향하는 표면에 해당된다. 도 5d에서 음영으로 나타낸 부분은 제 1 접촉부 24a에 있어서 돌기 24d, 24e에 해당되는 만입부(indentation) R을 제외한 제 2 접촉부 24b의 전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해당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분리된 부분들 24a, 24b는 그들 사이에 위치해 있는 윤활재 100과 접촉하여 배치된다. 윤활재 100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접촉부들 24a, 24b와 동일한 화학적 결합을 형성한다. 또한, 도 8a, 도 8b에 나타낸 윤활재 100의 특성들이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24a, 24b를 구비한 두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도 적용된다.
바람직한 조립방법에서는, 제 1 접촉부 24a 위에 윤활재 100을 배치한 후, 제 2 접촉부 24b를, 제 1 접촉부 24a와 제 2 접촉부 24b와의 사이에 윤활재 100이 위치하도록, 제 1 접촉부 24a에 인접하여 배치한다.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릴레이 단자 26은 바람직하게는 단자의 제 1 부분으로서 접촉부 26a와, 제 1 접촉부 26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접촉부 26c를 포함한다. 윤활재 100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24의 제 1 접촉부 24a와 제 2 접촉부 24b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 1 접촉부 26a와 제 2 접촉부 26c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단자 24, 26의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 24a, 24b와 26a, 26c를 포함하는 두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는 전술한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해 달성되는 동일한 잇점들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전술한 및 다른 형태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의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 또는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사이에 윤활재를 제공함으로써, 단자의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 또는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사이에서의 모든 진동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부품 외부로부터의 응력이나 압전소자 자체의 진동에 의해, 단자의 기부와 굴곡부와의 사이 또는 두 개의 분리된 접촉부들 사이에 발생하는 합성진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에 기인하는 파형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압전소자와 단자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모든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주파수특성 및 군지연특성에 있어서의 리플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메인(main) 주파수에서의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필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주파수특성 및 군지연특성에 있어서의 리플 불량을 방지하고, 전기적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압전부품용 단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압전부품용 단자에 있어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접촉부로서, 상기한 제 2 부분이, 상기한 제 2 부분의 주면이 상기한 제 1 부분의 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상기한 제 1 부분 위에 제공되어 있는 접촉부; 및
    상기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포함하고 있는 윤활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기는 상기한 접촉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촉부는 금속 원소를 포함하며, 상기한 친수성기는 금속의 접촉부와 수소결합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유성기는 상기한 친수성기로부터 직쇄상으로 뻗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유성기는 상기한 친수성기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유성기는 상기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주면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활성제를 제외한 비이온계 표면활성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활성제를 제외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각각이 이들 위에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10. 압전부품용 단자에 있어서,
    제 1 부분;
    주면이 상기한 제 1 부분의 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상기한 제 1 부분 위에 제공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된 윤활재로서, 상기한 제 2 부분의 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그리고 상기한 제 2 부분의 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으로 상기한 제 1 부분에 대한 상기한 제 2 부분의 진동을 자유롭게 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배열되는 윤활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금속 원소와 수소결합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친수성기와, 수소결합으로부터 직쇄상으로 뻗어 있고 상기한 친수성기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주면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친유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활성제를 제외한 비이온계 표면활성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활성제를 제외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부품용 단자.
  14. 케이스; 상기한 케이스에 제공된 복수개의 압전공진자들; 및 상기한 압전공진자들 중의 한 압전공진자와 상기한 케이스와의 사이, 또는 상기한 압전공진자들 중의 두 개의 압전공진자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으로서,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제 1 부분;
    주면이 상기한 제 1 부분의 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상기한 제 1 부분 위에 제공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포함하고 있는 윤활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상기한 제 2 부분의 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그리고 상기한 제 2 부분의 주면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으로 상기한 제 1 부분에 대한 상기한 제 2 부분의 진동을 자유롭게 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2 부분 및 제 1 부분 각각은 금속 원소를 포함하며, 상기한 친수성기는 금속의 제 2 부분 및 금속의 제 1 부분과 수소결합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유성기는 상기한 친수성기로부터 직쇄상으로 뻗어 있고, 상기한 친수성기의 적어도 수배의 길이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유성기는 상기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주면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분자구조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활성제를 제외한 비이온계 표면활성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윤활재는 환상의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활성제를 제외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KR1019980001068A 1997-01-24 1998-01-15 압전부품용 단자 KR100292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152 1997-01-24
JP9026152A JPH10209791A (ja) 1997-01-24 1997-01-24 圧電部品用端子およびその圧電部品用端子を備えた圧電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542A true KR19980070542A (ko) 1998-10-26
KR100292762B1 KR100292762B1 (ko) 2001-06-15

Family

ID=1218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068A KR100292762B1 (ko) 1997-01-24 1998-01-15 압전부품용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209791A (ko)
KR (1) KR1002927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2762B1 (ko) 2001-06-15
JPH10209791A (ja) 199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3458A (en) Terminal for a piezoelectric device
KR100294103B1 (ko) 다중모드압전필터
US5717365A (en) Resonator and resonant component utilizing width vibration mode
EP0722218A1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US4920296A (e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plate-shaped element
CA2151510A1 (en) Method of mounting a piezoelectric element to a substrate
EP0641073A2 (en) Packaged piezoelectric resonator
KR20060095529A (ko) 압전 진동편, 및 압전 진동자
JPH06209228A (ja) ラダー型フィルタ
US4328442A (en) Piezoelectrically driven tuning fork with damping means
KR100292762B1 (ko) 압전부품용 단자
KR100371572B1 (ko) 압전 부품
JP3218972B2 (ja) ラダー形フィルタ
US5770915A (en) Terminal for a piezoelectric device
JP4890914B2 (ja) 水晶振動片の支持部構造
US6297581B1 (en)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same
JPS60137113A (ja) 圧電振動子
US7190235B2 (en) Surface mounted crystal unit
JP3146695B2 (ja) 厚み滑り振動モードを利用したセラミックフィルタ
JP3214184B2 (ja) 圧電部品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JP3157975B2 (ja) ラダー型フィルタ
JP4080728B2 (ja) 表面実装型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
JPH08125491A (ja) 圧電共振部品
JPH0595073U (ja) 回路基板への部品実装構造
JPH057122A (ja) 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