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189A -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189A
KR19980069189A KR1019970006121A KR19970006121A KR19980069189A KR 19980069189 A KR19980069189 A KR 19980069189A KR 1019970006121 A KR1019970006121 A KR 1019970006121A KR 19970006121 A KR19970006121 A KR 19970006121A KR 19980069189 A KR19980069189 A KR 1998006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ing machine
answering
person
uni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무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9189A/ko
Publication of KR1998006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18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자동응답전화기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자동응답전화기의 근처에 사람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자동응답전화기의 옆에 사용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옆에 사용자가 있으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옆에 사용자가 없으면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응답전화기에서 현재 상황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자동으로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응답전화기 근처에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응답전화기는 녹음모드에서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응답메시지와 부재중 상태에서 발신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으며, 재생모드에서 상기 응답메시지 또는 부재중 상태에서 녹음된 메시지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출시 자동응답설정버튼을 누르면, 자동응답전화기는 상기 자동응답설정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한다. 상기 자동응답 기능이 설정되면, 자동응답전화기는 외부에서 국선을 착신하여 설정된 링횟수에 따라 링을 송출한 후 응답이 없으면, 자동으로 발신자에게 저장된 사용자 부재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사용자가 돌아와서 상기 자동응답기능에 따라 녹음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동응답해제버튼을 누르면, 종래 자동응답전화기는 상기 자동응답해제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한다.
이러한 종래 자동응답전화기를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여러명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어느 한 사람이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고 외출하면, 상기 자동응답전화기를 공용하는 다른 사람이 있어도 상기 자동응답 기능의 설정을 알지 못하면, 계속해서 걸려오는 전화에 대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한 사람이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 상기 자동응답기능의 설정을 나머지 사람에게 알리거나 남아있는 다른 사람이 상기 자동응답기능의 설정을 인식해야만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종래 자동응답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지 않고, 모두 외출하는 경우 외부에서 걸려오는 착신에 대한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자동응답기능 설정에 대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응답기능에 대한 설정 및 해제를 원격지에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원격지에서 자동응답기능을 설정 및 해제하는 방법도 사용자가 상기 자동응답기능의 설정 및 해제 상태를 파악해야만 활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잠시 외출하는 경우 또는 잠시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도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해야만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리로 돌아오는 경우 상기 설정된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해야만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응답전화기의 근처에 사용자의 부재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사용자의 존재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의 옆에 사용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옆에 사용자가 있으면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옆에 사용자가 없으면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 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02는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103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링검출부104는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on-hook) 상태에서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 릴레이105는 훅크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전화라인과 자동응답전화기의 통화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106은 음성회로로서 릴레이105와 송화부111 및 수화부11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송화부111 및 수화부112는 통화회로부106와 연결되며,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자동응답전화기인 경우, 통화회로부106에 RF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부가 송화부111 및 수화부112과 병렬로 연결된다. DTMF발생부107은 제어부100과 통화회로부106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06으로 출력한다. DTMF수신부108은 통화회로부106과 제어부100 사이에 연결되며, 통화회로부106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20은 통화회로부106과 연결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통화회로부106에서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통화회로부106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처리부120은 음성제어부121과 음성메모리122와 코덱123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음성제어부121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녹음모드시 코덱123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재생모드시 출력할 음성 데이터를 억세스한 후 신장 복호화하여 코덱123으로 출력한다. 음성제어부121은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사용할 수 있다. 음성메모리122는 녹음모드시 음성제어부121의 제어하에 음성 메시지를 지정된 영역에 녹음하고, 재생모드시 지정된 영역에서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2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자동응답기능등과 같은 음성신호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30은 적외선 감지 센서로서,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으로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있고 없음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라는 것은 상기 적외선 감지 센서의 감지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제어부100은 감지부130으로부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제어부121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00은 감지부130으로부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음성제어부121을 제어하여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100은 감지부130으로부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음성제어부121을 제어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200과정에서 제어부100은 감지부130으로부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의 존재 유무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신호로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근처에 사람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201과정에서 제어부100은 자동응답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근처에 사람이 존재하는데 자동응답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은 200과정부터 되풀이하여 자동응답기능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근처에 사람이 존재하는데 상기 자동응답기능이 설정된 경우 202과정에서 제어부100은 음성처리부120을 제어하여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한 후, 200과정부터 되풀이하여 상황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211과정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자동응답기능의 설정이 해제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근처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데 상기 자동응답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0은 200과정부터 되풀이하여 상황의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한다. 이와 달리,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근처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데 상기 자동응답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자동응답기능이 해제된 상태인 경우 212과정에서 제어부100은 음성처리부120을 제어하여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고, 200과정부터 되풀이하여 상황 변화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주위에 사람의 존재여부를 검출하여, 상황에 따라 자동응답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하므로, 사람이 외출시 또는 귀가시 자동응답기능을 직접 설정 및 해제할 필요가 없는 잇점이 있다. 즉, 자동응답전화기는 자체적으로 주변 상황을 감지하여 자동응답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국선을 착신하여 통화회로를 형성하는 통화회로부와,
    상기 통화회로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통화회로부로 출력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제공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처리부를 제어하여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4.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사람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신호로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에서 현재 자동응답기능의 설정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현재 자동응답기능을 변경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응답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일정한 거리범위내에 사람이 존재하면, 상기 설정된 자동응답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방법.
KR1019970006121A 1997-02-27 1997-02-27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KR19980069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121A KR19980069189A (ko) 1997-02-27 1997-02-27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121A KR19980069189A (ko) 1997-02-27 1997-02-27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189A true KR19980069189A (ko) 1998-10-26

Family

ID=6598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121A KR19980069189A (ko) 1997-02-27 1997-02-27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91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143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a handset with non-telephone functionality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7190945B1 (en) Security alarm operation in telephone device
KR19980069189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자동응답기능 제어 회로 및 방법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KR100228908B1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예약메시지 안내장치 및 방법
KR19980015987A (ko) 전화기에서 주변상황 통보장치 및 방법
JPH04354234A (ja) 電話装置
KR19990032252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유무 상태 안내 방법
JPH0279547A (ja) 電話機
JPH11146060A (ja) 迷惑電話防止付電話機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4051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JP2995910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S62125718A (ja) 無線電話機
JPH05145695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532783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1176152A (ja) 簡易交換機
KR19980073397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선별통화 방법
JPS59131250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9990016320A (ko) 예약 통화 방법
KR19980038328A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에 따른 안내메세지 송출방법
KR200300758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경보음 제어방법
JPH01245743A (ja) 留守番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