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548U - 2중척식 샤프펜슬 - Google Patents

2중척식 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548U
KR19980068548U KR2019980007687U KR19980007687U KR19980068548U KR 19980068548 U KR19980068548 U KR 19980068548U KR 2019980007687 U KR2019980007687 U KR 2019980007687U KR 19980007687 U KR19980007687 U KR 19980007687U KR 19980068548 U KR19980068548 U KR 199800685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tip
lead
members
chu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8143Y1 (ko
Inventor
가게야마히데헤이
미츠야요시히데
에비누마타다요시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268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098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690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1078A/ja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filed Critical 가게야마도시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68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심을 보유지지하기 위한 선단캡의 앞쪽 끝에 설치된 선단척과, 필심을 조출하기 위한 조출척을 구비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을 저렴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2중척식 샤프펜슬은 외통(10)과, 이 외통(10)의 앞부분에 설치된 선단캡(12), 필심(52)을 보유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선단캡(12)의 앞쪽 끝에 설치되어 축선방향의 뒤쪽으로 힘을 가하는 선단척(30) 및, 필심(52)을 조출하기 위한 조출척(1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단척(30)과 조출척(16)은 폴리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2중척식 샤프펜슬
본 고안은 필심을 보유지지하기 위한 선단캡의 앞쪽 끝에 설치된 선단척과, 필심을 조출하기 위한 조출척을 구비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2개의 척을 갖춘 2중척식 샤프펜슬로는 일본국 실용공개공보 소54-119,435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샤프펜슬의 선단척과 조출척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서, 이들 선단척과 조출척을 제조할 때에는 대략 통형상으로 가공한 다음, 절단기에 의해 세 부분으로 나누어 그 머리부분을 3개(또는 2개)의 척부재로 분할하여 마무리 손질 등의 2차 후처리가공을 해야만 했다. 그 후, 조출척에 있어서는 척부재를 바깥쪽으로 넓게 벌리는 처리를 하는 반면, 선단척에 있어서는 반대로 척부재가 너무 벌어져 있게 되면, 상기 선단척을 전진시켜 필심을 해방시킬 때 필심이 낙하할 수 있기 때문에 척부재를 좁히는 등의 2차 후처리가공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제조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2중척식 샤프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2중척식 샤프펜슬은, 외통과, 이 외통의 앞부분에 설치된 선단캡, 필심을 보유지지하기 위해서 선단캡의 앞쪽 끝에 설치되어 축선방향 뒤쪽으로 힘을 가하는 선단척 및, 필심을 조출하기 위한 조출척을 구비하여, 선단척을 전진시켜 필심을 해방시킨 상태에서 조출척을 전진시켜 필심을 조출하는 샤프펜슬에 있어서, 선단척과 조출척 중 적어도 한쪽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마무리 손질 등과 척의 앞쪽 끝을 넓게 벌리거나 또는 좁히는 등의 2차 후처리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재료비 및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재료가 폴리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면 바람직한데, 이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합성수지재료가 폴리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한 것에 유리섬유를 혼입시키면 바람직한데, 이는 척에 탄성을 갖게 할 수 있고, 필심을 보유지지할 때 필심에 주는 손상을 적게 하여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중량비로 5∼20%, 바람직하기로는 약 15% 정도가 되도록 섞어 넣어서, 척에 적당한 탄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합성수지재료가 폴리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한 것에 윤활재를 혼입시키면 바람직한데, 이는 예컨대 선단캡과, 선단척 또는 조출척 및, 그 주변부재의 사이에서 미끄럼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윤활재로서는 구체적으로 몰리브덴과 실리콘 및 텅스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척 및 조출척 중 적어도 한쪽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척은 그 머리부분이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척부재로 되고, 축선방향에서 볼 때 척부재에 의해 될 수 있는 외형의 윤곽이 아주 동그랗게 되도록 복수의 척부재를 접근시킬 때 인접한 척부재끼리의 원주방향의 간격이 0.15mm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종래의 금속재료로 척을 형성한 경우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척에 대해 절단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척부재로 분할하였기 때문에, 척부재끼리의 원주방향의 간격은 절단기의 칼폭(0.15mm 부터 0.2mm 정도)보다 작게 할 수 없었는데, 척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여서, 성형이 보다 원하는 치수로 형성될 수 있게 되고, 축선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척부재 요소로서 외형의 윤곽이 아주 동그랗게 되어 있어서, 복수의 척부재를 접근시킬 때 인접한 척부재끼리의 원주방향의 간격을 0.15mm 이하로 작게 할 수 있고, 척부재에 보유지지된 필심이 척부재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이 척부재로 필심을 확실하게 보유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선단척 및 조출척이 각각 그 머리부분에서 뒤쪽에 걸쳐 원주방향에 따라 분할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척부재로 되고, 떨어진 척부재의 축선방향의 길이는 조출척의 척부재의 길이보다도 선단척의 척부재의 길이 쪽이 짧게 되도록 설정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선단척의 척부재의 벌어짐 정도를 조출척의 척부재의 벌어짐 정도보다도 작게 할 수 있어서, 필심이 짧게 되어 이 필심이 조출척보다 앞쪽에 있는 경우에, 선단척이 필심을 해방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선단척의 척부재가 너무 벌어지지 않고, 필심이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필심보유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선단척 및 조출척의 각각의 내측의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의 축선방향의 길이가 조출척의 보유지지부의 축선방향의 길이보다도 선단척의 보유지지부의 축선방향의 길이 쪽이 길게 되도록 설정되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으로, 앞쪽 끝의 선단척에 견고하게 필심을 끼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필심이 부러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 상기 선단척의 뒤쪽 끝에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그 돌기가 설치된 뒤쪽 끝을 선단캡의 앞쪽 끝에 끼워 넣어 선단캡에 설치된 중간통의 관통구멍의 앞쪽 끝으로 눌러 끼워지게 되며, 이 관통구멍의 앞쪽 끝에는 선단척의 돌기에 맞닿아지는 계단면과, 이 계단면보다 뒤쪽에서 돌기를 피하는 확대직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선단척의 돌기와 중간통의 계단면의 걸어맞춤에 의해 이 선단척이 중간통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상기 선단척의 돌기를 피하는 확대직경부가 중간통에 형성되어 있어서 항상 중간통에 돌기로부터 직경방향의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이 중간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선단척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면 바람직한데, 이는 재료비와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선단척을 필심직경에 따라 다른 색으로 착색할 수도 있는 바, 이에 따라 필기자가 선단척의 색을 보고 한눈에 그 샤프펜슬에 적합한 필심직경을 구분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상기 선단척에는 상기 선단캡의 선단면에 맞닿아지는 계단면이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척의 뒤쪽 끝은 이 선단캡의 앞쪽 끝에 끼워 넣어 선단캡에 설치된 필심조출기구의 앞쪽 끝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선단캡이 외통으로부터 분해된 경우, 이 선단척의 계단면이 선단캡의 선단면에 맞닿기 때문에 선단척과 필심조출기구가 선단캡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일이 없으면서, 분해되어 분실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선단척이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됨에 따라 계단면의 형성을 성형에 의해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척이 다른 부재인 복수의 척부재를 맞추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각 척부재를 개별적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서 선단척을 단순하게 원하는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선단척은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복수의 척부재를 갖추며, 선단척의 성형완료시 상기 복수의 척부재는 외경방향으로 서로 벌어져 있고, 척부재의 뒤쪽 끝을 외통내에 설치된 중간통의 중심구멍의 앞쪽 끝내로 눌러 끼워서 척부재의 앞쪽 끝의 서로의 벌어짐은, 선단척이 전진된 상태에서 필심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이 척부재의 앞쪽 끝이 갖도록 작게 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따라 마무리 손질 등과 척의 앞쪽 끝을 좁히는 등의 선단척의 2차 후처리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필심이 소모되어 선단척과 조출척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게 될 때에도, 이 선단척이 전진하여 필심을 해방시킬 때 척부재의 서로의 벌어짐이 필심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갖도록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필심은 낙하되지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선단척의 중앙의 바깥둘레면에는 척부재의 축방향으로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링형상부재가 장착되는데, 이 링형상부재에 의해 선단척의 각 척부재의 직경방향의 벌어짐을 제한하게 되어 선단척을 중간통에 눌러 끼울 때 그 끼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상기 척부재의 뒤쪽 끝의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중간통의 중심구멍내에 눌러 넣어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척부재의 측단부에는 이 돌출부를 내경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척부재를 중간통으로 눌러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선단척은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복수의 척부재를 갖추며, 선단척의 성형완료시 상기 복수의 척부재는 외경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며, 선단척의 바깥둘레면에 척부재의 직경방향으로의 벌어짐을 저지하는 링형상부재를 장착하여서 척부재의 앞쪽 끝의 서로의 벌어짐은, 선단척이 전진된 상태에서 필심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이 척부재의 앞쪽 끝이 갖도록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척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함에 따라 재료비를 줄일 수 있으면서, 또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고, 마무리 손질 등과 척의 앞쪽 끝을 좁히는 등의 선단척의 2차 후처리가공이 불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심이 소모되어 선단척과 조출척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게 될 때에도, 이 선단척이 전진하여 필심을 해방시킬 때 척부재의 서로의 벌어짐은, 필심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갖도록 작게 됨에 따라 필심은 낙하되지 않고, 또한 필요에 따라 링형상부재가 장착되는 것에 맞추어 상기 척부재의 측단부에는 이 선단척을 내경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형상부재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중척식 샤프펜슬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조출척의 정면도와 종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선단척의 정면도와 종단면도,
도 4는 조출척이 조립되기 전인 자유로운 상태로 있을 때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선단부의 확대도,
도 6a는 선단척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종단면도,
도 6c는 상기 선단척을 구성하는 1개의 척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2중척식 샤프펜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선단척과 중간통의 앞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9는 중간통에 눌러 끼워지기 전인 도 7의 선단척의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의 대응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의 대응 확대단면
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의 대응 확대단면
도이다.
10 : 외통 12 : 선단캡
12a,26b : 계단부 12b : 선단면
14 : 필심조출기구 16 : 조출척
16a,30c : 보유지지부 17,31,35,30-1 : 척부재
18 : 척링 20 : 슬리이브
20a,30a,30-1a : 돌기 22 : 필심통
24 : 제 1척스프링 26 : 중간통
26a : 관통구멍 26c : 걸림구멍
26d,30b,35b,35d : 계단면 26e : 확대직경부
26f : 연장부 27 : 고무부재
28 : 뒤쪽 슬리이브 30,34 : 선단척
30-1b : 구멍 32 : 제 2척스프링
33,36 : 링 35a : 돌출부
35c : 필심보유지지부 35e : 절결부
35f : 작은 돌기 36a : 요홈부
40 : 고무지우개 보유지지통 42 : 고무지우개
44 : 노크캡 46 : 뒤끝마개
48 : 클립 50 : 고무그립
52 : 필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중척식 샤프펜슬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인데, 도 1에서 참조부호 10은 외통이고, 이 외통(10)의 앞부분에는 나선결합되거나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는 선단캡(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통(10) 및 선단캡(12)의 내부에는 필심조출기구(14)가 설치되는 바, 이 필심조출기구(14)는 필심을 조출하기 위한 조출척(16)과, 이 조출척(16)의 머리부분의 밖에서 끼워져 조출척(16)의 머리부분을 조이는 척링(18), 이 척링(18)의 뒤쪽 끝에 맞닿는 슬리이브(20), 상기 조출척(16)에 연결된 필심통(22), 이 필심통(22)의 앞쪽 끝과 슬리이브(20)의 앞쪽 끝부 사이에 끼워지면서 필심통(22)을 끼워 조출척(16)을 축선방향 뒤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 1척스프링(24), 상기 조출척(16) 및 척링(18)을 내장하는 중간통(26), 이 중간통(26)내에 설치되어 필심을 마찰력에 의해 보유지지하는 고무부재(27) 및, 상기 필심통(22)의 뒤쪽 끝에 눌러 넣어서 연결되는 뒤쪽 슬리이브(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간통(26)의 관통구멍(26a)의 중앙부 안쪽둘레면에 설치되어 있는 계단부(26b)에 대해 슬리이브(20)의 앞쪽 끝이 접하고, 이 중간통(26)의 뒤쪽 원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구멍(26c)에 슬리이브(20)의 돌기(20a)가 걸려져서 중간통(26)과 슬리이브(2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이들 중간통(26)과 슬리이브(20)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통(26)의 관통구멍(26a)의 선단부에는 선단척(30)이 선단캡(12)의 앞쪽 끝을 관통하여 끼워 눌러 넣어져 있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척(30)의 뒤쪽 바깥둘레에는 돌기(30a)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이 중간통(26)의 관통구멍(26a)의 안쪽둘레면 앞부분에는 계단면(26d)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계단면(26d)의 뒤쪽은 계단면(26d)의 앞쪽보다도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확대직경부(26e)로 되어 있어서, 돌기(30a)가 중간통(26)의 앞쪽 끝에서 관통구멍(26a)의 선단부로 눌러 넣어지면서, 계단면(26d)을 지나쳐 이 계단면(26d)에 걸어 맞춰지게 되며, 이 계단면(26d)을 지나친 후에는 확대직경부(26e)가 돌기(30a )의 회피부로 됨으로서 이 돌기(30a)는 직경방향에 있어서 확대직경부(26e)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항상 중간통(26)에 돌기(30a)로부터 직경방향의 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이 중간통(26)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중간통(26)의 앞쪽 끝과 선단캡(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계단부(12a)의 사이에는 제 2척스프링(32)이 끼워져서 중간통(26)을 매개로 선단척(30)을 축선방향 뒤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 제 2척스프링(32)은 제 1척스프링(24)보다도 약한 탄발력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척(30)에는 뒤쪽에 면한 계단면(30b)이 또한 형성되어 있고, 제 2척스프링(32)의 가해진 힘에 의해 계단면(30b)은 선단캡(12)의 앞쪽에 형성된 선단면(12b)에 눌러 맞닿아진다. 이 계단면(30b)이 선단캡(12)의 선단면(12b)에 간섭하여서 선단캡(12)이 외통(10)에서 빠지더라도 선단척(30) 및 필심조출기구(14)가 분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뒤쪽 슬리이브(28)의 바깥둘레면과 외통(10)의 안쪽둘레면은 키이와 키이홈에 의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더욱이 이 뒤쪽 슬리이브(28)의 뒤쪽 끝에는 눌러 끼워지는 고무지우개 보유지지통(4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고무지우개 보유지지통(40)에는 탈착가능하게 고무지우개(42)가 끼워 넣어져 있다. 참조부호 44는 고무지우개를 덮는 노크캡이고, 46은 뒤끝마개, 48은 이 뒤끝마개(46)와 외통(10)의 뒤쪽 끝 사이에 끼워 붙여진 클립 및, 50은 외통(10)의 파지부분에 감겨설치되는 고무그립이다.
상기 조출척(16) 및 선단척(30)은 금속재료가 아니라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바, 구체적 재료로서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폴리아세탈(Polyoxymethylene,POM)을 주성분으로 한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유리섬유를 중량비로 5∼20%, 바람직하기로는 약 15% 정도가 되도록 상기 폴리아세탈에 섞어 넣으면, 보다 탄성이 높게 되고 필심을 보유지지할 때 필심에 주는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몰리브덴과 실리콘 및 텅스텐 등의 윤활재를 섞어 넣으면, 선단척(30)과 선단캡(12) 사이의 미끄럼이동 또는 조출척(16)과 척링(18) 사이의 미끄럼이동에 의한 마모를 피할 수 있다. 금속제의 척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윤활재를 바르게 되는데,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경우에는 함께 혼입하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작업과 같은 수고가 필요없게 된다.
또, 상기 선단척(30)은 상기 합성수지재료에 적합한 착색제를 섞어 넣어서 착색할 수 있는 바, 예컨대 국제 표준화 기구(ISO)9175-1을 기준으로 하여, 0.5mm 직경의 필심은 다갈색, 0.3mm 직경의 필심은 황색, 0.7mm 직경의 필심은 청색 등과 같이 착색되어 있으면 필기자가 이 샤프펜슬에 적합한 필심직경을 한눈에 구분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2a 및 도 2b는 조출척(16)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a 및 도 3b는 선단척(30)의 정면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각 도면들은 척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조출척(16) 및 선단척(30)은 각각 그 머리부분에서 뒤쪽에 걸쳐 원주방향에 따라 3분할된 3개의 척부재(17) 및 3개의 척부재(31)로 이루어진 3개의 분할된 척이고, 이 분할된 척부재(17) 및 척부재(31)의 축선방향의 길이(L1,L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출척(16)의 척부재의 길이(L1)보다도 선단척(30)의 척부재의 길이(L2) 쪽이 짧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선단척(30)의 척부재(31)의 벌어짐 정도를 조출척(16)의 척부재(17)의 벌어짐 정도보다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선단척(30)이 필심(52)을 해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선단척(30)의 척부재(31)가 너무 벌어지지 않고, 필심(52)이 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필심보유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조출척(16)과 선단척(30)의 내측에는 필심(52)을 보유지지하기 위해 각각 축선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신장하는 보유지지부(16a,30c)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보유지지부(16a,30c)의 각각의 축선방향의 길이(L3,L4)는 조출척(16)의 보유지지부(16a)의 축선방향의 길이(L3)보다도 선단척(30)의 보유지지부(30c)의 축선방향의 길이(L4)쪽이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단척(30)쪽이 조출척(16)보다도 견고하게 필심(52)을 끼워 유지할 수 있고, 앞쪽 끝에 필심(52)을 견고하게 누름에 따라 필기중의 필심의 절단 등을 방지할 수 있는데, 필심을 끼워 유지하는 힘은 금속재료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한 쪽이 작다는 것이 예상되어지기 때문에 각 길이(L3,L4)는 금속제의 척에 비하여 길게 되도록 설정하면 좋다.
더욱이, 상기 조출척(16) 및 선단척(30)의 각각의 척부재(17,31)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방향에서 볼 때 3개의 척부재(17) 및 3개의 척부재(31)로 이루어진 외형의 윤곽이 아주 동그랗게 되도록 척부재(17)끼리와 척부재(31)끼리를 접근시킬 때 인접한 척부재(17)끼리의 간격(d1) 및 인접한 척부재(31)끼리의 간격(d2)이 되도록 0에 가깝게, 구체적으로는 0.15mm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척부재(17,31)에 보유지지되는 필심이 척부재(17,31)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들 척부재(17,31)를 매개로 필심을 확실히 끼워 보유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조출척(16) 및 선단척(30)을 각각 성형할 때에는 각 척부재(17)와 각 척부재(31)가 필심을 해방할 수 있도록 미리 서로 직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성형할 필요가 있는데, 예컨대 도 4는 조출척(16)이 자유로운 상태로 있을 때의 측면도인 바, 이같이 조출척(16)이 자유로운 상태로 있을 때는 척부재(17)가 서로 직경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완료시의 수축율 및 성형 후 척부재(17,31)가 되돌아가는 탄성력에 의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이들을 고려하여 척부재(17,31)의 서로의 벌어짐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 척부재(17)보다도 척부재(31)쪽의 직경방향의 벌어짐이 작게 되도록 성형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척부재(17)보다도 척부재(31)의 축선방향의 길이 쪽이 짧게 되도록 성형하게 되면, 선단척(31)의 필심보유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에 의해 척부재(17)와 척부재(31)가 적당한 벌어짐 정도를 유지하고, 적당한 축선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또한 서로 접근될 때 간격이 대단히 작게 되도록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인 경우와 같은 2차 후처리가공이 필요없고,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또 성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선단척(30)의 돌기(30a)와 계단면(30b) 등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선단척(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선단척(30)은 복수(도면에서는 2개)의 부품, 즉 척부재(30-1,30-1)를 상하로 맞추어서 구성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척부재(30-1)의 맞춤면에는 돌기(30-1a)와 구멍(30-1b)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척부재(30-1)의 구멍(30-1b)속에 다른쪽 척부재(30-1)의 돌기(30-1a)를 끼워 넣어서 양자는 일체의 선단척(30)을 구성하고 있으면서, 이들의 뒤쪽 끝부가 일체로 중간통(26)내에 눌러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척부재(30-1, 30-1)의 뒤쪽 끝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한편, 선단부는 서로 떨어지도록 다소 반대로 되고, 원주방향에 따라 2분할된 2개의 척부재(31,31)를 구성하고 있다. 이 척부재(31,31)의 축선방향의 길이는 참조부호 L2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단척(30)을 복수의 척부재(30-1,30-1)로 구성하고, 각 척부재(30-1)를 개별적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길이(L2)와 척부재(31,31)의 벌어짐 정도를 원하는 치수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또 축선방향에서 볼 때 2개의 척부재(31,31)에 의해 될 수 있는 외형의 윤곽이 아주 동그랗게 되도록 척부재(31)끼리를 접근시킬 때 인접한 척부재(31)끼리의 간격을 되도록 0에 가깝게 하는 것도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각 부품을 조립할 때에는, 우선 필심조출기구(14)를 조립하고, 그 후 제 2척스프링(32)을 끼워서 선단캡(12)내에 삽입하며, 이 선단캡(12)의 앞쪽 끝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척(30)의 뒤쪽 끝부를 필심조출기구(14)의 중간통(26)에 눌러 끼운 다음, 상기 선단캡(12)을 외통(10)에 고착한 후, 뒤쪽 슬리이브(28)내에 고무지우개 보유지지통(40)을 눌러 넣고, 그 이외의 부품을 조립하여서 완료한다.
이어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상과 같이 구성된 2중척식 샤프펜슬에 있어서 필심(52)을 조출하기 위해서는, 노크캡(44)을 누르게 되면 제 1척스프링(24 )보다도 제 2척스프링(32)쪽이 약한 탄발력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척스프링(32)이 수축되고, 조출기구(14)가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선단척(30)도 이에 수반되어 전진하여 선단캡(12)보다 더 돌출하여 필심(52)을 해방한다. 이 노크캡(44)을 더 누르면, 필심조출기구(14)의 제 1척스프링(24)이 압축되기 때문에 조출척(16 )이 전진하고, 필심(52)이 조출된다. 필심이 소모되어 선단척(30)과 조출척(16)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게 될 때에도 노크캡(44)을 누르게 되면, 필심이 선단척(30)으로부터 낙하되지 않을 정도로 해방되고, 이 노크캡(44)을 더 누르면, 조출척(16)보다 전진된 다음의 필심이 앞의 필심을 밀어내어 앞의 필심을 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짧게 된 필심도 필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노크캡(44)에서 손을 떼면 제 1척스프링(24) 및 제 2척스프링(32)의 가해진 힘에 의해 조출척(16) 및 선단척(30)은 축선방향으로 후퇴하여 다시 필심을 끼워 보유지지하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필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출척(16) 및 선단척(30)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함에 따라 필심(52)이 그 양쪽에 끼워 보유지지된다 하더라도, 합성수지재료가 가지고 있는 탄성에 의해 부드럽게 보유지지되므로, 필심(5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2개의 척을 구비한다 하더라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함에 따라 재료비와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오히려, 본 실시예에서는 조출척 및 선단척 양쪽의 척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데, 제조비용면에서 다소 불리하지만, 조출척 및 선단척 중 어느 한쪽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여도 되는데, 특히 조출척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경우, 척후퇴시 필심의 되돌아가는 양이 크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되도록 선단척 쪽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2중척식 샤프펜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인데, 도 1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통(26)의 중심구멍(26a)의 앞쪽 끝에는 선단척(34)이 선단캡(12)의 앞쪽 끝을 관통하여 끼워 눌러 넣어져 있고, 선단척(34)의 선단부에는 뒤쪽에 접하는 계단면(35b)이 또 형성되어 있으며, 제 2척스프링(32)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계단면(35b)은 선단캡(12)의 앞쪽에 접한 선단면(12b)에 눌러 맞닿아져 있다. 상기 계단면(35b)이 선단캡(12)의 선단면(12b)과 간섭하여서 이 선단캡(12)이 외통(10)에서 빠지더라도, 선단척(34) 및 필심조출기구(14)가 분해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선단척(30)과 동일하게 이 선단척(34)은 금속재료가 아니라, 예컨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폴리아세탈(Polyoxymethylene,POM)을 주성분으로 한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유리섬유를 중량비로 5∼20%, 바람직하기로는 약 15% 정도가 되도록 상기 폴리아세탈에 섞어 넣으면, 보다 탄성이 높게 되고 필심을 조일 때 필심에 주는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몰리브덴과 실리콘 및 텅스텐 등의 윤활재를 섞어 넣으면, 선단척(34)과 선단캡(12) 사이의 미끄럼이동에 의한 마모를 피할 수 있다. 금속제의 척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윤활재를 바르는데,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경우에는 함께 혼입하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작업과 같은 수고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적합한 착색제를 섞어 넣는 것으로 선단척(34)에 착색할 수 있는 바, 예컨대 국제 표준화 기구(ISO)9175-1을 기준으로 하여, 0.5mm 직경의 필심은 다갈색, 0.3mm 직경의 필심은 황색, 0.7mm 직경의 필심은 청색 등과 같이 착색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이 샤프펜슬에 적합한 필심직경을 한눈에 구분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8은 선단척(34)과 중간통(26)의 앞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9는 중간통(26)에 눌러 넣어지는 상기 선단척의 확대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척(34)은 그 머리부분에서 뒤쪽에 걸쳐 원주방향에 따라 3분할된 3개의 척부재(35)로 되는 3개의 분할된 척이고, 선단척(34)의 성형완료시 이 선단척(34) 하나에는 척부재(35)들이 서로 직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성형시 분할된 척부재(35)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어핀의 두께가 너무 얇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선단척(34)은 필심을 해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선단척(34)의 척부재(31)가 너무 벌어지지 않고, 필심(52)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필심보유지지력을 갖출 필요가 있는데, 이는 척부재(35)의 뒤쪽 끝이 중간통(26)의 중심구멍(26a)의 앞쪽 끝으로 눌러 넣어져서 척부재(35)의 서로의 벌어짐은, 선단척(34)이 전진한 상태에서 필심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척부재(35)의 앞쪽 끝이 갖도록 작게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척부재(35)의 뒤쪽 끝의 바깥둘레면에 있는 돌출부(35a)가 중간통(26)의 앞쪽 끝에서 중심구멍(26a)의 선단부에 눌러 넣어져 중간통(26))의 중심구멍(26a)의 안쪽둘레면 앞부분에 형성된 계단면(26d)에 걸어 맞춰짐과 더불어 척부재(35)의 중앙부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되고 뒤쪽에 접하는 계단면(35d)이 중간통(26)의 앞쪽 끝에 대해 접하고 있다. 오히려, 이 눌러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척부재(35)의 측단부에는 돌출부(35a)를 내경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절결부(35e)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면(35d)과 계단면(26d) 및 돌출부(35a)의 각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중간통(26)의 중심구멍(26a)에 삽입되는 척부재(35)의 길이를 적당한 것으로 하여서, 척부재(35)의 서로의 벌어짐을 적당하게 하거나, 또는 중간통(26)의 중심구멍(26a)의 구멍직경을 적당한 것으로 하여서, 척부재(35)의 서로의 벌어짐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척(34)을 중간통(26)내에 눌러 넣은 상태에서 각 척부재(35)의 앞쪽 끝의 필심보유지지부(35c)의 서로의 벌어짐을 나타내는 필심보유지지부(35c)끼리의 원주방향으로의 측정된 간격이 d로 되어 있고, 선단척(34)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캡(12)내에 가장 후퇴한 상태로 있을 때, 그 간격(d)은 더욱 작게 되어 필심을 확실히 조이게 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샤프펜슬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노크캡(44)을 누르게 되면, 필심이 조출되고, 필심이 소모되어 선단척(34)과 조출척(16)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게 될 때에도 이 노크캡(44)을 누르면, 선단척(34)이 전진하여 선단캡(12)보다 더 돌출하여 필심이 해방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척부재(35)의 서로의 벌어짐은, 필심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척부재(35)의 앞쪽 끝의 필심보유지지부(35c)가 갖도록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은 낙하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노크캡(44)을 더 누르면, 조출척(16)보다 전진된 다음의 필심에 밀려서 선단척(34)에 보유지지된 필심이 조출되는 것이다. 이 때, 필심은 척부재(35)에 의해서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로 보유지지되어 있어서 손상되는 일없이 원활하게 조출된다. 노크캡(44)에서 손을 떼게 되면, 제 1척스프링(24) 및 제 2척스프링(32)의 가해진 힘에 의해 조출척(16) 및 선단척(30)이 축선방향으로 후퇴하고, 다시 필심을 조이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짧게 된 필심도 필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선단척(34)을 중간통(26)에 눌러 끼우기 전에 링(33,링형상부재)을 이 선단척(34)의 바깥둘레면에 장착하고 나서, 중간통(26)에 눌러 끼워 넣도록 된 것인데, 즉 링(33)을 선단척(34)의 뒤쪽에서 계단면(35d)에 대해 접하는 곳까지 끼워 넣어서 선단척(34)의 각 척부재(35)의 직경방향의 벌어짐을 제한한 후, 이 중간통(26)에 눌러 끼움으로서,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선단척(34')의 척부재(35')의 중앙 바깥둘레면에 링(36,링형상부재)이 장착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벌려서 작은 돌기(35f)가 복수개 형성되며, 링(36)의 안쪽둘레면에는 이 작은 돌기(35f)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요홈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36)은 절결부(35e)에 의해 선단척(34')이 내경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이 작은 돌기(35f)를 타고 넘을 수 있는 것과 더불어 그 요홈부(36)가 임의의 작은 돌기(35f)에 끼워 맞춰 선단척(34')의 축방향의 복수의 위치 중 어느 위치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링(36)의 축방향의 위치를 조정하여서 척부재(35')의 앞쪽 끝의 필심보유지지부(35c)의 서로의 직경방향으로의 벌어짐이, 선단척(34')이 전진하여 선단캡(12)보다 돌출한 경우에도 필심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필심보유지지부(35c)가 갖추도록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중간통(26)의 앞쪽 끝을 더욱 연장한 연장부(26f)를 설치하고 선단척(34)의 각 척부재(35)의 중앙 바깥둘레면에 돌기(35g)를 형성하여, 이 연장부(26f)로 돌기(35g )를 눌러서 선단척(34)의 척부재(35)의 앞쪽 끝에 형성된 필심보유지지부(35c)의 서로의 벌어짐은, 선단척(34)이 전진하여 선단캡(12)보다 돌출한 경우에도 필심을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이 필심보유지지부(35c)가 갖도록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선단척과 조출척 중 적어도 한쪽을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여서 필요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마무리 손질과 척의 앞쪽 끝을 널리 벌리거나 또는 좁히는 등의 2차 후처리가공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재료비 및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9)

  1. 외통(10)과, 이 외통(10)의 앞부분에 설치된 선단캡(12), 필심(52)을 보유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선단캡(12)의 앞쪽 끝에 설치되어 축선방향 뒤쪽으로 힘을 가하는 선단척(30,34) 및, 필심(52)을 조출하기 위한 조출척(16)을 구비하여, 상기 선단척(30,34)을 전진시켜 필심(52)을 해방시킨 상태에서 조출척(16)을 전진시켜 필심을 조출하는 샤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34)과 조출척(16) 중 적어도 한쪽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료가 폴리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료는 폴리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한 것에 유리섬유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가 중량비로 5% 내지 20%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가 중량비로 약 15%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료는 폴리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한 것에 윤활재가 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 및 조출척(16)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척은 그 머리부분이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척부재(17,31)로 형성되면서, 축선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척부재(17,31)로 될 수 있는 외형이 아주 동그랗게 되도록 복수의 척부재(17,31)를 접근시킬 때 인접한 척부재(17,31)끼리의 원주방향의 간격이 0.15 mm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 및 조출척(16)이 각각 그 머리부분에서 뒤쪽에 걸쳐 원주방향에 따라 분할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척부재(17,31)로 형성되고, 이격된 척부재의 축선방향의 길이는 조출척(16)의 척부재의 길이(L1)보다도 선단척(30)의 척부재의 길이(L2) 쪽이 짧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 및 조출척(16)의 각각의 내측의 필심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16a,30c)의 축선방향의 길이(L3,L4)가 이 조출척(16)의 보유지지부(16a)의 축선방향의 길이(L3)보다도 선단척(30)의 보유지지부(30c)의 축선방향의 길이(L4) 쪽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의 뒤쪽 끝에는 돌기(3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30a)가 설치된 뒤쪽 끝이 선단캡(12)의 앞쪽 끝에 관통하여 끼워져 이 선단캡(12)내에 설치된 중간통(26)의 관통구멍(26a)의 앞쪽 끝으로 눌러 넣어지면서, 관통구멍(26a)의 앞쪽 끝에는 선단척(30)의 돌기(30a)에 대해 접하는 계단면(26d)과, 이 계단면(26d)보다 뒤쪽에 있어서 돌기(30a)를 회피하는 확대직경부(26e)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34)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34)은 필심직경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34)에는 상기 선단캡(12)의 선단면(12b)에 대해 접할 수 있는 계단면(30b,35b)이 설치된 것과 함께, 선단척(30,34)의 뒤쪽 끝은 선단캡(12)의 앞쪽 끝에 관통하여 끼워져 선단캡(12)내에 설치된 필심조출기구(14)의 앞쪽 끝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34)은 다른 부재로 되는 복수의 척부재(31,35)들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0,34)은 필심(52)을 보유지지하는 복수의 척부재(31,35)를 갖추며, 선단척(30,34)의 성형완료시 상기 복수의 척부재(31,35)는 외경방향으로 서로 벌어져 있고, 척부재(31,35)의 뒤쪽 끝을 외통(10)내에 설치된 중간통(26)의 중심구멍의 앞쪽 끝으로 눌러 끼워서 척부재(31,35)의 앞쪽 끝의 서로의 벌어짐은, 선단척(30,34)이 전진된 상태에서 필심(52)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이 척부재(31,35)의 앞쪽 끝이 갖도록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4)의 중앙의 바깥둘레면에는 척부재(35)의 직경방향으로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링(33)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척부재(35)의 뒤쪽 끝의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중간통(26)의 중심구멍내로 눌러 넣어지는 돌출부(35a)가 형성되어 있고, 척부재(35)의 측단부에는 이 돌출부(35a)를 내경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절결부(35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8. 제 11항 내지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척(34)은 필심(52)을 보유지지하는 복수의 척부재(35)를 갖추고, 선단척(34)의 성형완료시 상기 복수의 척부재(35)는 외경방향으로 서로 벌어져 있고, 선단척(34)의 바깥둘레면에 척부재(35)의 직경방향으로의 벌어짐을 저지하는 링(33)을 장착하여서, 척부재(35)의 앞쪽 끝의 서로의 벌어짐은, 선단척(34)이 전진된 상태에서 필심(52)이 자유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보유지지력을 이 척부재(35)의 앞쪽 끝이 갖도록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링(33)이 장착되는 것에 대응하여 척부재(35)의 측단부에는 당해 선단척(34)을 내경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절결부(35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척식 샤프펜슬.
KR2019980007687U 1997-05-13 1998-05-12 2중척식 샤프펜슬 KR2001781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2683 1997-05-13
JP12268397A JPH10309887A (ja) 1997-05-13 1997-05-13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16690197A JPH1111078A (ja) 1997-06-24 1997-06-24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97-166901 1997-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48U true KR19980068548U (ko) 1998-12-05
KR200178143Y1 KR200178143Y1 (ko) 2000-05-01

Family

ID=2645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687U KR200178143Y1 (ko) 1997-05-13 1998-05-12 2중척식 샤프펜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039485A (ko)
KR (1) KR200178143Y1 (ko)
CN (1) CN2354762Y (ko)
DE (1) DE19820864A1 (ko)
TW (1) TW36352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3522U (en) * 1997-05-13 1999-07-01 Kotobuki & Co Ltd Double chucks type mechanical pencil
JP2001171288A (ja) * 1999-10-07 2001-06-26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CA2371267C (en) * 2000-03-30 2008-05-20 Pentel Kabushiki Kaisha Mechanical pencil
DE10022583A1 (de) * 2000-05-09 2001-11-22 Paul Rieger Kugelschreiber mit Schutzhülse
JP3933896B2 (ja) * 2001-08-13 2007-06-20 株式会社壽 シャープペンシル
US20040047669A1 (en) * 2002-09-06 2004-03-11 David Lo Side knock or end knock mechanical pencil for thick lead
EP1614383B1 (en) * 2003-04-16 2017-03-15 ARKRAY, Inc. Puncture device
JP2006315283A (ja) * 2005-05-12 2006-11-24 Sakura Color Prod Corp シャープペンシル
JP4847946B2 (ja) * 2007-12-28 2011-12-28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3542849A (ja) 2010-09-23 2013-11-28 ポーレ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ピペッタ用のフィルタ付きアダプタ
CN114602867A (zh) * 2022-03-25 2022-06-10 力奇有限公司 泡沫发生装置和清洗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3149A (en) * 1945-09-07 1949-06-14 American Lead Pencil Co Mechanical pencil with step-by-steplead feeding means
US2845898A (en) * 1954-07-02 1958-08-05 Faber Castell A W Writing instrument chuck
JPS5418170B1 (ko) * 1970-01-24 1979-07-05
ATA872573A (de) * 1973-10-12 1976-08-15 Faber Castell A W Fullminenstift mit verschiebbarer mine
US4140408A (en) * 1976-08-20 1979-02-20 Pentel Kabushiki Kaisha Push type mechanical pencil
US4571105A (en) * 1983-10-03 1986-02-18 Pentel Kabushiki Kaisha Lead engaging chuck mechanism for mechanical pencil
JPS6218296A (ja) * 1985-07-18 1987-01-27 ミクロ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
DE3777546D1 (de) * 1986-10-30 1992-04-23 Kotobuki & Co Ltd Spannbacken fuer fuellminenstift.
JPH0185091U (ko) * 1987-11-26 1989-06-06
US5052838A (en) * 1990-05-22 1991-10-01 The Gillette Company Mechanical pencil
US5629363A (en) * 1994-02-10 1997-05-13 Abber; Herman Aqueous-based, shear-thinning, erasable ink and roller-ball pen containing same
JPH10166783A (ja) * 1996-10-07 1998-06-23 Kotobuki 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TW363522U (en) * 1997-05-13 1999-07-01 Kotobuki & Co Ltd Double chucks type mechanical penc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39485A (en) 2000-03-21
DE19820864A1 (de) 1998-12-03
TW363522U (en) 1999-07-01
US20010043832A1 (en) 2001-11-22
CN2354762Y (zh) 1999-12-22
KR200178143Y1 (ko) 2000-05-01
US6379067B2 (en) 200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8548U (ko) 2중척식 샤프펜슬
US6382860B1 (en) Safety knock-type writing utensil
US20120039663A1 (en) Ballpoint pen tip, ballpoint pen refill, ballpoint p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llpoint pen tip
KR850002099Y1 (ko) 샤아프펜슬용 이중필심파이프식 카트리지
US4998837A (en) Lead cartridge with an openable capping structure
CN112638659B (zh) 具备笔芯的书写工具
KR200198145Y1 (ko) 2중척식샤프펜슬
JP4575575B2 (ja) ボールペン
EP0393377B1 (en) Propelling device for a bar shaped article
EP1325818A1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JPH1148680A (ja) シャ−プペンシル
US6334728B1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JPH08207U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品繰出容器
JPH10309887A (ja)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H0347907Y2 (ko)
US11745534B2 (en) Writing utensil and producing method of writing utensil
JPH1111078A (ja)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910007434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H1044685A (ja) 多芯筆記具
KR19980032026A (ko)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JP4382365B2 (ja) 芯繰り出し装置
JPH09142081A (ja) 棒状体繰出装置付筆記具
JPH09131996A (ja) 消しゴム繰出装置付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910002112B1 (ko) 자동조출식 샤아프펜슬과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