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428A -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428A
KR19980068428A KR1019970005015A KR19970005015A KR19980068428A KR 19980068428 A KR19980068428 A KR 19980068428A KR 1019970005015 A KR1019970005015 A KR 1019970005015A KR 19970005015 A KR19970005015 A KR 19970005015A KR 19980068428 A KR19980068428 A KR 1998006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ner cylinder
cooking
pressure cooker
electr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428A/ko
Publication of KR1998006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428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쌀이 담기는 내통 및 뚜껑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취사시 내통내부의 압력변화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은 쌀이 담기는 용기에 압력 및 열을 가하여 취사를 수행하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취사시 상기 용기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상기 감지된 용기내부의 압력을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쌀이 담기는 내통 및 뚜껑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취사시 내통내부의 압력변화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압력에 따라 물의 끓는점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취사시 쌀이 담긴 내통의 압력을 높게 함으로써 물의 끓는점을 높여 취사되는 밥맛을 좋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쌀은 그 전분질이 알파화되는 비율이 높을수록 단맛이 높아지고, 전분질이 알파화하는 비율은 물의 온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며 물의 온도가 100℃이상이 되면 더욱 높아진다. 즉, 내통의 압력이 높아지면 물의 끓는점이 높아지므로 내통내의 쌀이 알파화되는 비율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밥맛이 좋아지게 된다. 이것이 일반취사기에 비해 압력밥솥에 의해 취사된 밥이 차지고 맛이 있는 이유이다.
한편, 이렇게 내통내의 압력을 높게하기 위해서는 쌀이 담겨지는 내통이 밀폐되어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누설되지 않고, 상기 증기에 의하여 내통 내부가 고압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한국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90-11191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중공체의 밥솥본체(10)의 중공부에는 쌀이 담겨지는 솥몸체(1)가 내장되고, 개구부에는 덮개(9)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9)의 저면에는 취사시 솥몸체(1)와 밀폐,결합되는 솥뚜껑(7)이 마련되는 데, 솥뚜껑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결합돌재(7a)가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다. 위 솥몸체(1)의 개구부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 절곡부에는 덮개(9)가 본체(10)에 닫혔을 때, 결합돌재(7a)가 삽입되는 절개홈(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의 저면에는 절곡부와 동일폭의 결합륜(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륜에도 절개홈(4b)과 걸림부(4c)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는 결합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결합륜손잡이이다.
위와 같은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솥뚜껑과 솥몸체를 결합,분리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뚜껑의 결합돌재(7a)가 솥몸체의 절개홈(4b)에 삽입되게 덮개(9)를 본체(10)에 덮는다. 그후, 손잡이(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륜의 걸림부(4c)가 결합돌재(7a)에 걸려서 솥뚜껑과 솥몸체는 밀폐결합되고, 손잡이를 반대의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솥뚜껑과 솥몸체는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의 전기압력밥솥은, 취사 후 솥몸체 내부에 남아있는 증기의 잔여압력에 의하여 솥뚜껑과 솥몸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없으며, 또한 손잡이가 밥솥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흉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취사중의 고열에 의하여 손잡이도 고온이 되는 데, 취사가 완료된 직후 밥솥본체와 솥몸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는 고열로 인하여 맨손으로는 잡을 수 없으며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개물을 이용해 손잡이를 조작하여 솥몸체를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밥솥 뚜껑과 쌀이 담기는 내통을 취사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견고하게 결합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사시 온도변화에 따른 내통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뚜껑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5(a)및(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결합부재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온도 및 압력의 관계를 보인 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4...전자가열히터, 130...내통,
140...뚜껑, 150...보조뚜껑,
170...솔레노이드밸브, 171...증기배출공,
172...솔레노이드구동부, 180...회전부재,
190...걸림부재, 200...모터,
210a...압력해제감지부, 210b...압력설정감지부,
211...마그네트, 300...제어부,
320...히터구동부, 330...모터구동부,
340...표시부, 350...온도감지부.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은 쌀이 담기는 용기에 압력 및 열을 가하여 취사를 수행하는 전기압력밥솥에 있어서, 취사시 상기 용기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용기내부의 압력을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단계는 취사시 상기 용기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취사온도에 따른 취사시 용기내부의 압력을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은 상면이 개구된 중공체의 밥솥본체(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111)에는 쌀이 담기는 상면이 개구된 내통(130)이 내장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내통(130)의 개구부(131)에 결합되어 내통(130)을 밀폐시키는 뚜껑(14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전기압력밥솥을 조작하기 위한 키이조작부(120)가 마련되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키이조작부(120)와 접속된 전원부(113)가 마련된다. 또 본체(100)의 중공부(111)의 저면에는 상기 전원부(113)를 통하여 밥솥에 전기가 공급되면 주변에 자력선이 발생하여 그 자력에 의해 내통(130)을 자체발열시키도록 전자가열히터(도면 미도시)가 내통과 소정 간격이격되어 권취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71은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시켜 내통 내부가 일정 압력이상의 고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증기배출공이고, 170은 상기 증기배출공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압력조절장치인 솔레노이드밸브이다. 150,160은 보조뚜껑과 밀봉부재로 이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에는 상기 뚜껑과 내통을 취사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결합 및 분리시키는 수단이 마련되고, 또 상기 뚜껑과 내통이 완전히 결합,분리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제어수단이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결합부재 및 회전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이하에 뚜껑과 내통을 결합, 분리시키는 수단 및 모터구동제어수단을 설명한다.
먼저, 쌀과 물이 담겨져 취사되는 상기 내통(130)의 개구부(131)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테(13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테(132)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부재의 걸림부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뚜껑(140)의 저면에는 상기 내통(130)의 개구부(131)와 동일크기, 동일형상의 판으로 형성된 보조뚜껑(150)이 결합된다. 상기 뚜껑(140)이 본체(100)에 결합되면 보조뚜껑(150)은 내통(130)의 개구부(131)에 결합되어 내통(130)을 밀폐시키는 것이다.
뚜껑(140)과 내통(130)을 결합 및 분리시키는 수단은 회전부재(180)와 걸림부재(19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재(180)는 상기 보조뚜껑(150)의 상면에 마련되며, 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운동한다. 상기 회전부재(180)의 하면에는 보조뚜껑(150)에 나사결합되어 케이스내부에 안착되는 모터(200)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180)의 하면에는 상기 모터(20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결합홈(181)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81)이 형성된 면에는 걸림부재(190)가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로(18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로(182)는 연통되게 형성되며, 또 회전부재(180)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반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190)는 연결링크(191)와 걸림부(192)로 마련된다. 상기 연결링크(191)는 다수개 마련되는 데, 일측은 상기 안내로(182)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부(192)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링크(191)가 회전부재(180)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반경이 다른 안내로(182)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재(180)가 회전되면 연결링크(191)는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안내로(182)에 삽입된 연결링크측에는 원형돌기(191a)가 형성되는 데 이는 연결링크(191)와 회전부재(180)사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부(192)는 상기 연결링크(191)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180)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링크(191)가 수평운동되면 상기 연결링크(191)와 동일한 운동을 하면서 상기 걸림테(132)에 결합 및 분리된다. 상기 걸림부(192)의 단부는 상기 걸림테(132)에 견고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하향,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92a)로 형성된다. 또, 상기 보조뚜껑(15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부(192)가 정확하게 수평운동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부재(193)가 연결링크(191)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걸림부(192)의 상면에 마련된 마그네트(211)와, 상기 지지부재(193)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211)의 자계에 의해 교번되어 구동되는 리드스위치(210)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위치(210)는 각각 제어부와 접속되어 온오프신호를 입력하게 되며, 보통의 경우에 리드스위치는 온(혹은 오프)상태를 유지하다가 주변에 마그네트에 의한 충분한 힘의 자계가 가해지면 오프(혹은 온)되게 된다. 즉, 모터(200)의 구동으로 회전부재(18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연결링크(191)가 직선운동하게 되면, 걸림부(192)의 상면에 설치된 마그네트(211)가 걸림부재(190)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게 되므로 마그네트(211)는 상기 각 리드스위치(210) 중 어느 하나의 리드스위치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그 직하방에 마그네트가 위치하고 있는 리드스위치는 마그네트의 자계에 의해 온되고, 마그네트의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리드스위치는 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각 리드스위치의 온오프여부를 감지하여 내통 내부의 압력상태 및 압력해제상태등을 판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보인 블럭구성도이고, 도 5(a)및(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결합부재의 분리 및 결합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전체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사용자로부터 기능선택신호를 입력받는 키이조작부(120)와, 내통(130)과 뚜껑(140)을 결합,분리시키도록 모터(200)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330)와, 내통(130)의 저부에 권취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선을 발생하여 상기 내통(130)이 자체발열에 의해 취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가열히터(114)를 구동시키는 히터구동부(320)와, 상기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내통(130)과 뚜껑(140)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감지하는 압력설정감지부(210b) 및 압력해제감지부(210a)와, 취사여부에 따라 보조뚜껑(150)에 형성된 증기배출공(171)의 개폐를 제어하여 내통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 즉 솔레노이드밸브(170)와, 취사 진행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0)의 구동 및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구동부(172)와, 상기 히터(114)의 구동에 따른 내통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50) 및 상기 온도감지부(350)에 의해 감지된 내통의 온도변화에 따른 압력변화를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340)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압력해제감지부(210a) 및 압력설정감지부(210b)는 각각 마그네트(211)의 자력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제 1 리드스위치 및 제 2 리드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부(35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의 구동에 따른 내통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내통 측벽의 일측에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이조작부(120)를 조작하여 취사기능이 선택되었으면 모터(2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부재(180)의 중심을 기준으로 먼 곳에 위치된 안내로(182)에 연결링크(191)가 삽입된 것이 전원인가 당시의 최초의 상태라고 가정하면, 이 경우에는 걸림부(192)가 걸림테(132)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므로 보조뚜껑(150)과 내통(130)의 걸림테(132) 또한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취사가 개시되어 모터(200)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부재(180)가 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고, 회전부재(180)의 회전으로 연결링크(191)는 회전부재(180)의 중심축을 향해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걸림부재(190)도 회전부재(180)의 중심측으로 이동되므로 마그네트(211)는 제 1 리드스위치(210a)의 직하방에 위치되었던 상태에서 제 2 리드스위치(210b)의 직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80)의 중심에서 가까운 안내로에 연결링크(191)가 삽입되면 마그네트(211)가 제 2 리드스위치(210b)의 직하방에 위치하므로 제 2 리드스위치(210b)는 상기 마그네트(211)의 자계의 영향으로 온되게 된다. 상기 제 2 리드스위치(210b)가 온되면 그 온신호가 제어부(300)로 송신되므로 제어부(300)에서는 제 2 리드스위치(210b)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는 순간 모터(200)를 정지시키도록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모터(200)의 구동이 정지되면 걸림부(192)와 걸림테(132)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보조뚜껑(150)은 내통(130)을 밀폐시키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은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단계(s1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이조작부(120)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취사를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단계(s10)에서 취사가 선택되었으면 단계(s12)에서는 모터(200)를 구동시켜 결합부재(190)를 구동시킴으로써 내통(130)과 뚜껑(140)을 결합시키게 된다. 즉,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200)의 구동에 따라 회전부재(18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재(180)의 회전으로 연결링크가 직선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트(211)는 최초에 제 1 리드스위치(210a)를 온시킨 상태에서 제 2 리드스위치(210b)쪽으로 이동되고, 제어부(300)에서는 제 1 리드스위치(210a) 및 제 2 리드스위치(210b)의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제 1 리드스위치(210a)가 오프되고 제 2 리드스위치(210b)가 온인가를 판단하여 내통내부에 압력이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압력이 설정되었으면 모터(20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후 단계(s14)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170)를 구동시켜 증기배출공(171)을 닫음으로써 내통내부에 설정된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단계(s16)에서는 히터(114)를 구동시켜 내통(130)을 가열함으로써 취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단계(s18)에서는 상기 단계(s16)에서 히터가 구동됨에 따라 가열되는 내통(130)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단계(s20)에서는 상기 단계(s18)에서 감지된 내통(130)의 온도변화에 따른 내통내부의 압력변화를 판단하게 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히터(114)의 구동에 의해 내통내부의 물 및 쌀이 가열됨에 따른 온도상승에 비례하여 내통내부의 압력이 상승됨을 알수 있다. 즉, 내통(130)의 온도가 100℃이면 이때의 내통내부의 압력이 1기압이 되고, 내통온도가 111℃까지 상승되면 내통내부의 압력은 1.5기압이 된다.
따라서, 단계(s20)에서는 상기 단계(s18)에서 감지된 내통의 온도에 따른 내통내부의 압력변화를 검출하게 되고, 단계(s22)에서는 상기 단계(s20)에서 검출된 내통내부의 압력값을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식적으로 혹은 디지탈값으로 표시부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단계(s24)에서는 히터 구동에 의하여 취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취사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14)이하를 반복수행하여 취사의 진행에 따른 내통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표시부(340)를 통해 표시하고, 취사가 완료되었으면 단계(s26)으로 진행하게 된다.
단계(s26)에서는 히터(114)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소정시간동안 뜸공정을 수행한 뒤 뜸공정이 완료되면 단계(s28)로 진행하여 솔레노이드밸브(170)의 구동을 오프시켜 내통내부의 압력을 증기배출공(17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단계(s30)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170)의 구동이 오프됨에 따라 내통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모터(200)를 구동시켜 내통(130)과 보조뚜껑(15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200)의 구동으로 회전부재(180)가 회전되고, 그와 연동되어 연결링크(191)가 내통(130)의 바깥쪽으로 이동됨으로써 걸림부(192)가 걸림테(132)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내통(130)과 보조뚜껑(150)이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 1 리드스위치(210a) 및 제 2 리드스위치(210b)의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제 1 리드스위치(210a)가 온되고 제 2 리드스위치(210b)가 오프되면 내통(130)과 보조뚜껑(150)이 완전히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20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에 의하여 취사여부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내통 및 뚜껑을 자동으로 결합 및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취사수행중에 내통의 온도상승에 따른 내통내부의 압력변화를 검출하여 이를 외부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쌀이 담기는 용기에 압력 및 열을 가하여 취사를 수행하는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취사시 상기 용기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용기내부의 압력을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단계는 취사시 상기 용기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취사온도에 따른 취사시 용기내부의 압력을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KR1019970005015A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KR19980068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15A KR19980068428A (ko)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15A KR19980068428A (ko)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28A true KR19980068428A (ko) 1998-10-15

Family

ID=6598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015A KR19980068428A (ko) 1997-02-19 1997-02-19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5625B2 (ja) 温度センサー及び自動開閉装置が配備された電気調理器具
JP2004057556A (ja) 圧力炊飯器
KR100191571B1 (ko)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
KR100220907B1 (ko)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
KR19980068428A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방법
KR19980068431A (ko)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제어방법
KR100221362B1 (ko)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완료경보방법
KR100191591B1 (ko) 전기압력밥솥
KR100235452B1 (ko) 전기압력밥솥
KR19980068425A (ko)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
JP3242569B2 (ja) 加熱容器
KR19980068423A (ko) 전기압력밥솥
KR19980068424A (ko) 전기압력밥솥
KR19980068430A (ko) 압력취사용기의 부저구동제어장치
JP2005034223A (ja) 電気炊飯器
KR100186441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압력 가변 제어 방법 및 장치
JP3522425B2 (ja) 炊飯器
EP0615400A2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determining food
JPH05280748A (ja) 電子レンジ
JPH08173316A (ja) 炊飯器
JP2004065394A (ja) 圧力炊飯器
JP2871351B2 (ja) 炊飯装置
JPH1080358A (ja) 電気おかゆ鍋
KR970004034Y1 (ko) 유도 가열 밥솥에서 압력취사/일반취사의 선택 취사장치
JP2803947B2 (ja) 自動炊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