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100U -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 Google Patents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100U
KR19980068100U KR2019970012724U KR19970012724U KR19980068100U KR 19980068100 U KR19980068100 U KR 19980068100U KR 2019970012724 U KR2019970012724 U KR 2019970012724U KR 19970012724 U KR19970012724 U KR 19970012724U KR 19980068100 U KR19980068100 U KR 199800681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lifting rod
hollow shaft
selec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7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건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2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100U/en
Publication of KR19980068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100U/en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에 적용되는 셀렉트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리브(12)가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슬리브(12)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해 고정되며 상단에 단차에 의해 구분되는 셀렉트포지션(P,R,N,D,2,L)들이 형성되는 디텐트플레이트(20)와; 하단이 슬리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32)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회전하며 상단에 중공축(100)이 연결되는 서포트플레이트(30)와; 중공축(100)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스프링(112)탄지되는 승강로드(110)와; 중공축(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노브(130)와; 노브(130)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승강로드(110)와 연결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몰입되는 캠홈(122)이 형성되는 작동캠(120)과; 노브(130)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가압에 의해 상기 캠홈(122)과 간섭하여 승강로드(110)를 상승시키는 캠돌기(142)를 갖는 버튼(140);으로 이루어진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 lever device applied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comprising: a base plate 10 to which a sleeve 12 is fixed; A detent plate 20 fixed to the base plate 10 by the sleeve 12 and having select positions P, R, N, D, 2, and L formed on the top thereof separated by a step; A support plate 30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rotating shaft 32 rotatably coupled to the sleeve 12 and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having a hollow shaft 1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reof; A lifting rod 110 supported by a spring 112 to protrude downward in the hollow shaft 100; A knob 130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100;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in the knob 130,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rod 110, the operation cam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mmersed in the radially in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knob 130, the button 140 having a cam protrusion 142 for raising the lifting rod 110 by interfering with the cam groove 122 by pressing; Select lever device for variable speed vehicles.

Description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변속차량에 적용되어 고속전진 및 저속전진 또는 후진등의 주행조건을 선택하는 셀렉트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 lever devic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ect lever device applied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to select driving conditions such as high speed forward and low speed forward or reverse.

자동차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여기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는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화물의 운송 및 이동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As is well known, an automobile use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burns fuel in an engine and converts thermal energy generated therein into kinetic energy, and is used as a means of transporting and moving cargo.

이러한 자동차는 엔진의 구동력을 적절히 제어하여 차축(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변속장치는 엔진의 초기구동시에는 충분한 기동력을 갖지 못하므로 초기구동시에 엔진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구동토오크를 크게하거나 속도증가시에 감속비를 변환 또는 증속시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작하게 된다. 이러한 변속장치는 여러종류가 개발되어 있는바, 그 예를 들면, 수동변속장치(manual transmission) 및 자동변속장치(automatic transmission)등이 있다. 상기 전자의 수동변속장치는 각각의 주행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기어비를 선택하게 되는 것으로 조작이 어려워 숙련된 운전기술을 요하고 있다. 한편, 후자의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속도 및 부하상태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컴퓨터의 전자제어신호 및 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각종 밸브등에 의해 유성기어 조립체가 적절하게 제어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을 실시토록 하는 것으로 수동변속기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며, 연소효율이 떨어지고,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나 주행중 변속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이 간편하다는 큰 장점을 갖고 있어 최근에 급속히 그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 이외에도 최근에는 변속시 변속단을 제거하여 변속충격이 전혀없도록 하는 이른바 무단변속기(stepless automatic transmission)가 개발되어 있다.Such automobiles include a transmission for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and transmitting it to the axle (drive wheel). Since the gearbox does not have sufficient maneuvering power during the initial driving of the engine, it reduc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during the initial driving to increase the driving torque, or converts or increases the reduction ratio when the speed is increased so that it can be properly op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do. Many types of such transmission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manual transmissions and automatic transmissions. The electronic manual transmission requires a skilled driving techniqu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select a gear ratio according to each driving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automatic transmission is properly controlled by the planetary gear assembly by the electronic control signal of the computer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vehicle's running speed and load conditions, and various valves that are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t has the disadvantage of complicated structure, low combustion efficiency, and high price compared to manual transmission, but it is easy to operat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perform separate operation for shifting while driving. Recently, the range of use is expanding rapidly. In addition to these, so-called stepless automatic transmission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o remove the shift stage so that there is no shift shock at the time of shifting.

본 고안은 상기 자동변속기에 관련된 것으로 자동변속기는 엔진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기계적인 클러치장치가 없고 유체커플링을 이용한 토오크컨버터를 이용하고 있어 운전석에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페달만이 제공되고 동력단속에 필요한 클러치페달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페달만의 조작만으로 차량의 전진주행속도를 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변속기 또한, 전진 또는 후진등의 차량의 주행방향결정 및 중립, 주행, 주차등의 동력전달여부의 결정는 운전자가 직접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자동변속차량에는 운전자가 상기와 같은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셀렉트레버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e automatic transmission does not have a mechanical clutch device that transmits or blocks engine power to the transmission, and uses a torque converter using a fluid coupling. Therefore, only an accelerator pedal and a brake pedal are provided to the driver's seat. There is no clutch pedal required for enforcement. Therefore, only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However, the automatic transmission also determin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uch as forward or reverse,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o transmit power such as neutral, driving, parking, etc. should be selected by the driver. Therefore,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is provided with a select lever that allows the driver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상기 셀렉트레버는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셀렉트포지션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 승강로드는 별도의 작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며 셀렉트포지션에서의 이동이 행해진다. 셀렉트포지션은 주로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수직상태로 배열되는 디덴트플레이트상에 형성된다. 셀렉트포지션은 위치에 따라 디덴트플레이트의 상단에 형성되어 승강노브에 의해 작동되는 승강로드와 간섭하는 형식(이하, '노브형식'이라 함) 및 디덴트플레이트의 면상에 형성되어 푸쉬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로드와 간섭하는 형식(이하, '버튼형식'이라 함)이 개발되어 있다.The select lever includes a lifting rod that moves along a plurality of select positions formed by a step, and the lifting rod is moved by a separate operating means, and the movement in the select position is performed. The select position is mainly formed on the dent plate which is arranged vertically on the base plate. The select position is formed on the top of the dent pl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interferes with the lifting rod operated by the lifting knob (hereinafter referred to as 'knob type') an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nt plate and operated by the pushbutton. A type that interferes with the lifting r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tton type) has been developed.

전자의 '노브형식'은 승강로드의 하단이 스프링에 의해 셀렉트포지션의 상면을 직접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승강노브를 상부로 당기는 것에 의해 승강로드가 상승하며 셀렉트포지션상에서의 이동이 허용되고, 후자의 '버튼형식'은 노브형식과 반대로 승강로드의 단부에 셀렉트포지션과 간섭하는 작동핀이 제공되어 스프링에 의해 승강로드가 항시 상부로 탄지되는 상태에서 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승강로드가 하부로 이동하여 셀렉트포지션상에서의 이동이 허용된다.In the former 'knob type', the lifting rod is raised by pulling the lifting knob upward while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is directly pressuriz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lect position by the spring, and the movement of the latter is allowed. In the 'button type', as opposed to the knob type, an operating pi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ifting rod to interfere with the select position, and the lifting rod moves downward by pressing the button while the lifting rod is always pushed upward by the spring. Movement on the select position is allowed.

이해를 돕기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종래 노브형식의 셀렉트레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슬리브(12)의 타단에 고정되는 디텐트플레이트(20)(detent plate)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디텐트플레이트(20)는 상면에 각각 소정의 단차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셀렉트포지션{P(주차위치), R(후진위치), N(중립위치), D(주행위치), 2(2속위치), L(저속위치)}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셀렉트포지션 하부의 디텐트플레이트(20)상에는 호형상의 가이드홀(22)이 형성된다.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knob type select le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ccording to this, there is provided a detent plate 20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ase plate 10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one end of the sleeve 12 fixed to the base plate 10. The detent plate 20 has a plurality of select positions {P (parking position), R (reverse position), N (neutral position), D (traveling position), and 2 (2) respectively divided by predetermined steps on the upper surface. Inner position) and L (low speed position) are sequentially formed. An arc-shaped guide hole 22 is formed on the detent plate 20 below the select position.

한편, 상기 슬리브(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셀렉트레버조립체(40)가 구비되어 있다. 셀렉트레버조립체(40)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부쉬(34)가 개재되어 슬리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2)과, 하단이 회전축(32)에 용접고정되어 회전축(3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서포트플레이트(30)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축(32)의 타단부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하단부에 셀렉트콘트롤케이블이 연결되는 셀렉트레버(50)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32)은 고정너트(32a)에 의해 슬리브(12)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된다.Meanwhile, a select lever assembly 40 rotatably supported by the sleeve 12 is provided. The select lever assembly 40 has a rotary shaft 32 rotatably coupled to the sleeve 12 with a pair of bushes 34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detail in FIG. 2, and a lower end welded to the rotary shaft 32. It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30 which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32.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32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the select lever 50 to which the select control cabl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is fixed. The rotation shaft 32 is restricted from the sleeve 12 by the fixing nut 32a.

셀렉트레버조립체(4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중공축(42)이 제공된다. 중공축(42)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파지하게 되는 노브(46)가 설치되며, 중공축(42)의 내측에는 스프링(44a)에 탄성지지되어 항시 하부로 돌출되려는 힘을 갖는 승강로드(44)가 설치된다. 승강로드(44)의 하단은 디텐트플레이트(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셀렉트포지션상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노브(46)의 하단에는 상기 중공축(42)을 관통하는 승강로드(44)의 상단에 핀(48a)고정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승강로드(44)를 작동시키는 셀렉트노브(48)가 승강가능하게 제공된다.The select lever assembly 40 is provided with a hollow shaft 42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0 as shown in FIG. 3. A knob 46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42 to be gripped by the driver, and an elevating rod 44 having a force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44a and protrudes downward at the inside of the hollow shaft 42. Is installed.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rod 44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nt plate 20 and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on at least one select pos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knob 46, a select knob 48 for operating the elevating rod 44 by moving the pin 48a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44 penetrating the hollow shaft 42.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상기 서포트플레이트(3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홀(22)로 삽입되어 승강로드(44)의 회전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셀렉트레버조립체(40)가 특정범위 내에서만 회전을 이루도록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디텐트핀(36)이 고정되어 있다.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2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lifting rod 44 and at the same time the selector assembly 40 to limit the rotation angle such that the rotation only within a specific range The tent pin 36 is fixed.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서포트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록킹핀(38)과 간섭되어 주차위치에서 승강로드(44)의 이탈을 제한하는 주차록킹레버(60)가 설치된다. 그리고 특정의 신호(브레이크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주차록킹레버(60)를 회동시켜 승강로드(44)의 이탈을 허용토록 하는 솔레노이드(62)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 is provided with a parking locking lever 60 to interfere with the locking pin 38 fixed to the support plate 30 to limit the separation of the lifting rod 44 in the parking position. A solenoid 62 is provided which is operated by a specific signal (brake signal) to allow the parking lock lever 60 to rotate and allow the lifting rod 44 to escap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셀렉트레버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브(46)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셀렉트레버조립체(40)는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로드(44)는 중립위치(N)와 주행위치(D)간의 이동은 별도의 조작없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또한, 셀렉트포지션의 1속위치(L)로부터 2속위치(2) 및 중립위치(N)으로의 이동도 걸림없이 이동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후진위치(R)에서 주행위치(D)로 이동하는 것 또한 제한받지 않게 된다. 그러나 오조작으로 인해 주행중 급격한 주행상태가 변경되는 것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특정한 방향 및 위치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즉, 중립위치(N) 또는 주행위치(D)에서 2속위치(2)나 1속위치(L) 또는 후진위치(R) 및 주차위치(P)로 이동하는 것은 승강로드(44)가 각각의 셀렉트포지션의 단차에 의해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셀렉트노브(48)를 잡아당기겨 승강로드(44)의 선단이 셀렉트포지션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노브(46)를 이동시키여야만 선택된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select lev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When the knob 46 is pulled forward or backward, the select lever assembly 4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32. At this time, the lifting rod 44 moves smoothly without any manipulation between the neutral position (N) and the driving position (D). Further, the movement from the first speed position L of the select position to the second speed position 2 and the neutral position N can also be moved without jamming. And the movement from the reverse position (R) to the driving position (D) is also not limited. However, movement in a specific direction and position is limited in order to prevent sudden driving state change during driving due to misoperation. That is, moving from the neutral position (N) or the traveling position (D) to the second speed position (2) or the first speed position (L) or the reverse position (R) and the parking position (P) is the lifting rod (44), respectively. The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step of the select position of. Therefore, in the case where such movement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selected position only by pulling the select knob 48 and moving the knob 46 with the tip of the lifting rod 44 separated from the select position. .

특히, 주차위치(P)에서는 진입은 물론 이탈시에도 필히 셀렉트노브(48)를 잡아당겨야만 다른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브레이크를 밝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로드(44)는 주차록킹레버(6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주차위치(P)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이동시에는 브레이크를 밟아 솔레노이드(62)가 주차록킹레버(60)를 회전시켜 승강로드(44)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야 한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주차위치에서 다른위치로 변속히 자유로이 될 경우 차량의 급후진 또는 급발진의 우려가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완수단이다.In particular, in the parking position (P), it is possible to move to another position only by pulling the select knob 48 even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lifting rod 44 is parked when the brake is not bright. Rotation is limited by the locking lever 60. Therefore, when moving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o another position, it should be assumed that the solenoid 62 must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lifting rod 44 by rotating the parking locking lever 60 by pressing the brake. This is a supplementary means install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ecause there is a risk of sudden backward or sudden star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freely shifted from the parking position to another position.

이러한 '노브형식'의 셀렉트레버장치는 노브(46)를 잡은 상태에서 검지를 비롯한 장지,약지등을 동시에 이용하여 셀렉트노브(48)를 상부로 당기는 것에 의해 승강로드를 작동시킬 수 있게되므로 다소 셀렉트동작이 불편함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노브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만을 이용하여 승강로드의 작동이 가능한 '버튼형식'이 개발되어 있다.This 'knob-type' select lever device is somewhat selected because the lifting rod can be operated by pulling the select knob 48 upward by simultaneously using the index finger, the midd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while holding the knob 46. The operation is inconvenient. Therefore, a 'button type' has been developed that can operate the lifting rod using only the thumb while holding the knob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에는 '버튼형식'은 셀렉트포지션이 디덴트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노브형식'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button type' has a problem in that the select position is not applicable to the 'knob typ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ent plate.

즉, 버튼형식은 버튼의 가압에 의해 승강로드가 하강하게 되므로 종래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셀렉트포지션이 디탠트플레이트의 상단에 형성되는 노브형식에는 적용할 수 없게된다. 이러한 문제는 차종 또는 변속기의 형식에 따라 설계자가 적절한 것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및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상호간의 호환성이 결여되어 있어 이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다시말해 노브형식이 채용된 변속기에서 버튼형식을 채용할 경우에는 셀렉트레버 조립체를 비롯한 베이스플레이트 및 그 지지물 등을 모두 교체해야 하므로 셀렉트레버의 사양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lifting rod is lowered by the pressing of the button, it is not applicable to the knob type in which the select posi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etent plate as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This problem is accompanied by a problem in which the designer has to select the appropriate one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or the transmission and the lack of mutual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driver, which cannot be satisfied.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dopting the button type in the transmission employing the knob type, it is necessary to replace all of the base plate and its support including the select lever assembly, so that the specification of the select lever is not easily chang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노브형식에 버튼을 채용하여 디덴트플레이트의 형태에 관계없이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select lever devic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that can provide compatibilit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dedent plate by adopting a button in a knob type. have.

도 1은 종래의 셀렉트레버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lect lever device configuration

도 2는 종래의 셀렉트레버장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lect lever device configuration

도 3은 종래의 승강로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2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ventional lifting ro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셀렉트레버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the selec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셀렉트레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5A and 5B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lec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베이스플레이트 12: 슬리브10: base plate 12: sleeve

20: 디텐트플레이트 22: 가이드홀20: detent plate 22: guide hole

22a: 확장부 30: 서포트플레이트22a: extension part 30: support plate

32: 회전축 32a: 고정너트32: rotating shaft 32a: fixing nut

34: 부쉬 36: 디텐트핀34: Bush 36: Detent Pin

100: 중공축 110: 승강로드100: hollow shaft 110: lifting rod

112: 스프링 120: 작동캠112: spring 120: operating cam

122: 캠홈 130: 노브122: cam groove 130: knob

140: 버튼 142: 캠돌기140: button 142: cam projection

144: 작동공 146: 스프링144: operator 146: spr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브가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슬리브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고정되며 상단에 단차에 의해 구분되는 셀렉트포지션(P,R,N,D,2,L)들이 형성되는 디텐트플레이트와; 하단이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하며 상단에 중공축이 연결되는 서포트플레이트와; 중공축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스프링탄지되는 승강로드와; 중공축의 상부에 제공되며 하부로 연장되어 중공축의 주연을 감싸는 노브와; 노브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승강로드와 연결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몰입되는 캠홈이 형성되는 작동캠과; 노브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가압에 의해 상기 캠홈과 간섭하여 승강로드를 상승시키는 캠돌기를 갖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se plate is fixed to the sleeve; A detent plate fixed to the base plate by a sleeve and having select positions (P, R, N, D, 2, and L) separated by a step at an upper end thereof; A support plate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sleeve and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hollow shaft connected to the upper end; A lifting rod spring-loaded to protrude downward in the hollow shaft; A knob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and extending downwar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hollow shaft; An actuating cam which is installed to be liftable in a knob, and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rod and having a cam groove immersed radially inward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knob, it can be achieved by the select lever devic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consisting of a button having a cam projection for raising the lifting rod to interfere with the cam groove by press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selec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셀렉트레버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중공축(100)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로드(110)가 구비된다. 중공축(100)의 상단에는 승강로드(110)가 항시 하방으로 돌출되려는 힘을 갖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12)이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112)에 의해 승강로드(110)의 하단은 선택된 어느 하나의 셀렉트포지션에 가압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lect le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fting rod 1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100 to be elevated. The upper end of the hollow shaft 100 is provided with a spring 11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rod 110 has a force to always protrude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rod 110 by the spring 112 is to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lected one of the selected positions.

상기 중공축(100)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파지하게 되는 노브(130)가 제공된다. 노브(130)는 촉감이 부드러운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하부로 연장되어 중공축(100)의 주연을 감싸고 있게 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100 is provided with a knob 130 to be gripped by the driver. Knob 130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and is extended to the bottom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hollow shaft (100).

한편, 중공축(100)의 상부에는 승강로드(110)의 상단과 연결되어 나사결합되는 작동캠(120)이 승강가능하게 제공된다. 작동캠(120)의 일측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몰입되는 캠홈(122)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1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cam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110 is screw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cam 120 is formed a cam groove 122 immersed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노브(130)의 일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삽입되어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작동캠(120)의 관통을 허용하는 작동공(144)이 형성되는 버튼(140)이 설치된다. 작동공(144)의 일측 상세하게는 상기 캠홈(12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캠홈(122)과 간섭되는 캠돌기(142)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130)의 내단에는 버튼(140)을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46)이 설치되어 있다.A button 14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radially inwardly from one side of the knob 130 to penetrate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position adjacent to an end thereof to form an operation hole 144 that allows penetration of the operation cam 120. . One side of the operation hole 144 in detail corresponding to the cam groove 122, the cam protrusion 142 is formed to interfere with the cam groove 122. The inner end of the knob 130 is provided with a spring 146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button 140 in the protruding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미작동시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축(100)내의 스프링(112)이 승강로드(110)를 하부로 밀고 있으므로 승강로드(110)의 하단이 선택된 셀렉트포지션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튼(140)을 누르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돌기(142)와 캠홈(122)이 간섭되어 작동캠(12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노브(130)내의 스프링(146)은 압축되며 버튼(140)의 진입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캠(120)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로드(110)는 중공축(10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며 하단이 셀렉트포지션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버튼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노브(13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셀렉트동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pring 112 in the hollow shaft 100 pushes the lifting rod 110 downward when not in operation,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110 is selected. It keeps in contact with. When the button 140 is presse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B, the cam protrusion 142 and the cam groove 122 interfere with each other to raise the operation cam 120. At this time, the spring 146 in the knob 130 is compressed and allows the entry of the button 140. Therefore, the lifting rod 110 connected to the operation cam 120 ri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hollow shaft 100 and the lower end is separated from the select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the driver to move the knob 130 forward or backward while the button is pressed, so that the driver can perform a desired select operation.

물론, 주차위치(P)에서 다른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신호가 인가되어야만 이동이 가능하다.Of course, when moving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o another position can be moved only when a brake signal is applied as in the prior a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 는 노브형식에 버튼을 채용가능케 하므로써 셀렉트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elect lever devic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elect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allowing a button to be adopted in the knob type.

Claims (2)

슬리브(130)가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A base plate 10 to which the sleeve 130 is fixed; 슬리브(130)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해 고정되며 상단에 단차에 의해 구분되는 셀렉트포지션(P,R,N,D,2,L)들이 형성되는 디텐트플레이트(20)와;A detent plate 20 fixed to the base plate 10 by the sleeve 130 and having select positions P, R, N, D, 2, and L formed on the top thereof separated by a step; 하단이 슬리브(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32)에 고정되어 회전축(32)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하며 상단에 중공축(100)이 연결되는 서포트플레이트(30)와;A support plate 30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rotating shaft 32 rotatably coupled to the sleeve 12 and rotating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32 and having a hollow shaft 1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reof; 중공축(100)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스프링(112)탄지되는 승강로드(110)와;A lifting rod 110 supported by a spring 112 to protrude downward in the hollow shaft 100; 중공축(100)의 상부에 제공되며 하부로 연장되어 중공축(100)의 주연을 감싸는 노브(130)와;A knob 13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100 and extending downward to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hollow shaft 100; 노브(130)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승강로드(110)와 연결되고 외부면 일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몰입되는 캠홈(122)이 형성되는 작동캠(120)과;It is installed so as to be lifted in the knob 130,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od 110, the operation cam 1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ne side is immersed in the radially inward from the top to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nd; 노브(130)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가압에 의해 상기 캠홈(122)과 간섭하여 승강로드(110)를 상승시키는 캠돌기(142)를 갖는 버튼(140);으로 이루어진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knob 130, the button 140 having a cam protrusion 142 for raising the lifting rod 110 by interfering with the cam groove 122 by pressing; Select lever device for variable speed vehic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40)은 단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작동캠(120)의 수직방향의 관통을 허용하는 작동공(144)이 형성되고, 노브(130)내에 제공되는 스프링(146)에 의해 노브(13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140 is formed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end of the operating hole 144 to allow the vertical penetration of the operation cam 120, the spring 146 provided in the knob 130 The select lever devic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upport in the direction projecting from the knob (130).
KR2019970012724U 1997-05-30 1997-05-30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8006810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724U KR19980068100U (en) 1997-05-30 1997-05-30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724U KR19980068100U (en) 1997-05-30 1997-05-30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100U true KR19980068100U (en) 1998-12-05

Family

ID=6967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724U KR19980068100U (en) 1997-05-30 1997-05-30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10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322A (e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CA2003963C (e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US6332524B1 (en) Shift lock device for vehicle
US5456131A (en) Vehicle transmission operation apparatus
WO1999030937A3 (en) Motor vehicle gearbox selector device
US4846322A (en) Park position shift selector mechanism and method
KR19980068100U (en)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200156591Y1 (en) A locking lever fixing structure of auto transmission selecting device
KR200156592Y1 (en) A selecting lever device of auto transmission
KR100298049B1 (en) Locking/unlocking method of selec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200222106Y1 (en)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200156590Y1 (en) Select lever device of a car
KR19990021326U (en)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200156595Y1 (en) Select lever device of a car
KR19990021360U (en)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80068101U (en)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90019397A (en)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00264650B1 (en) Shift lever
KR100196794B1 (en) Backward operation fail safe device
KR100219369B1 (en) Selecting lever device of auto transmission
KR19990021310U (en) Select lever locking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JPH029382Y2 (en)
KR0173994B1 (en) Transmission
KR200166702Y1 (en) Link of transmisstion
KR19990021357U (en) Emergency start prevention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