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360U -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 Google Patents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360U
KR19990021360U KR2019970034857U KR19970034857U KR19990021360U KR 19990021360 U KR19990021360 U KR 19990021360U KR 2019970034857 U KR2019970034857 U KR 2019970034857U KR 19970034857 U KR19970034857 U KR 19970034857U KR 19990021360 U KR19990021360 U KR 199900213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lever
detent pin
selec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호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360U/en
Publication of KR19990021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60U/en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와, 디텐트플레이트(20)와, 디텐트핀(36a)이 형성된 승강로드(36)를 갖는 중공축(34)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텐트핀(36a)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레버(50)와, 상기 록킹레버(50)를 회전시켜 상기 디텐트핀(36a)의 이동을 허용하는 솔레노이드(60)로 구성되는 급발진 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콘솔케이스(2)가 덮여지는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케이스(2)의 상면에는 바닥면에 관통공(6)을 갖는 작동홈(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홈(4)의 관통공(6)에는 압축스프링(110)을 개재하여 그 끝부분이 상기 록킹레버(50)의 상면과 맞닿도록 버튼(100)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100)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록킹레버(50)를 회전시켜 디텐트핀(36a)의 이동을 허용하며, 아울러 상기 작동홈(4)의 측벽에는 상기 버튼(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편(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 키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으로도 록킹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내부로 먼지 및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 lever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comprising: a hollow shaft (34) having a base plate (10), a detent plate (20), and a lifting rod (36) on which a detent pin (36a) is formed. And a locking lever 50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detent pin 36a, and a solenoid 60 for allowing movement of the detent pin 36a by rotating the locking lever 50. In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dden oscillation prevention device that is covered with a console case (2) at the top, the operating groove (4) having a through hole (6) in the bottom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case (2) Is formed, and the button 1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 of the operation groove 4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50 via the compression spring 110.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the locking lever 50 is rotated so that the detent pin 36a Acceptable and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of the working groove 4 is provided with the button 100 is not to exit the engaging pieces (4a)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otate the locking lever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using a car key, bu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water from entering into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Description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본 고안은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 lever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자동차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여기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는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화물의 운송 및 이동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As is well known, an automobile use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burns fuel in an engine and converts thermal energy generated therein into kinetic energy, and is used as a means of transporting and moving cargo.

이러한 자동차는 엔진의 구동력을 적절히 제어하여 차축(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변속장치는 엔진의 초기구동시에는 충분한 기동력을 갖지 못하므로 초기구동시에 엔진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구동토오크를 크게하거나 속도증가시에 감속비를 변환 또는 증속시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작하게 된다. 이러한 변속장치는 여러종류가 개발되어 있는 바, 그 예를 들면, 수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등이 있다. 상기 수동변속장치는 각각의 주행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기어비를 선택하게 되는 것으로 조작이 어려워 숙련된 운전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자동변속장치는 차량의 주행속도 및 부하상태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컴퓨터의 전자제어신호 및 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각종 밸브등에 의해 유성기어 조립체가 적절하게 제어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을 실시토록 하는 것으로 수동변속기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며, 출력효율이 떨어지고,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나 주행중 변속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이 간편하다는 큰 장점을 갖고 있어 최근에 급속히 그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 이외에도 최근에는 변속시 변속단을 제거하여 변속충격이 전혀없도록 하는 이른바 무단변속기가 개발되어 있다.Such automobiles include a transmission for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and transmitting it to the axle (drive wheel). Since the gearbox does not have sufficient maneuvering power during the initial driving of the engine, it reduc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during the initial driving to increase the driving torque, or converts or increases the reduction ratio when the speed is increased so that it can be properly op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do. Many types of such transmission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manual transmissions and automatic transmissions. The manual transmission is difficult to operate as the driver selects a gear ratio according to each driving condition, and thus requires a skilled driving technique.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transmission device is suitable for the planetary gear assembly is properly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signal of the computer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driving speed and load state of the vehicle, and various valves that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signal.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more complicated than the manual transmission, the output efficiency is low, and it is expensive, but it is easy to operate because it does not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for shifting while driving. The range of use is expanding rapidly. In addition to this, in recent years, a so-call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s been developed to remove the shift stage so that there is no shift shock at the time of shifting.

자동변속기는 엔진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기계적인 클러치장치가 없고 유체커플링을 이용한 토오크컨버터를 이용하고 있어 운전석에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페달만이 제공되고 동력단속에 필요한 클러치페달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페달의 조작만으로 차량의 전진주행속도를 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변속기 또한, 전진 또는 후진등의 차량의 주행방향결정 및 중립, 주행, 주차등의 동력전달여부의 결정은 운전자가 직접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자동변속차량에는 셀렉트레버 제어장치가 제공된다.The automatic transmission does not have a mechanical clutch device that transmits or blocks engine power to the transmission, and uses a torque converter using a fluid coupling. Therefore, only the accelerator pedal and brake pedal are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and the clutch pedal necessary for power control is not provided. . Therefore, only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However, the automatic transmission also determin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uch as forward or reverse,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o transmit power such as neutral, driving, parking, etc. should be selected by the driver. Therefore, a select lever control device is provided for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는 셀렉트레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셀렉트레버는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셀렉트포지션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로드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승강로드는 별도의 작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며 셀렉트포지션에서의 이동이 행해진다. 셀렉트포지션은 주로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수직상태로 배열되는 디텐트플레이트상에 형성된다. 한편,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콘솔케이스가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를 보호하도록 설치된다.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includes a select lever, and the select lever includes a lifting rod that moves along a plurality of select positions formed by a step, and the lifting rod is lifted by a separate operating means and moves in the select position. This is done. The select position is mainly formed on the detent plate arranged vertically on the base plate. On the other hand,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the upper console case is installed to protect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도 1을 참고로하여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디텐트플레이트(20)가 고정된다. 디텐트플레이트(20)는 면상에 각각 소정의 단차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셀렉트포지션{주차위치(P), 후진위치(R), 중립위치(N), 주행위치(D), 2속위치(2), 저속위치(L)}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셀렉트포지션 상부의 디텐트플레이트(20)상에는 각각의 셀렉트포지션과 대응하는 수의 록킹홀(22)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is, the detent plate 20 is fixed to the base plate 10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The detent plate 20 includes a plurality of select positions {parking position (P), reverse position (R), neutral position (N), travel position (D), and second speed position (divided by predetermined steps on the surface). 2) The low speed position L 'is sequentially formed. The number of locking holes 2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lect positions is formed on the detent plate 20 above the select position.

또한, 디텐트플레이트(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셀렉트레버조립체가(30)가 구비되어 있다. 셀렉트레버조립체(30)는 디텐트플레이트(2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2)과, 하단이 회전축(32)상에 고정되며 하부에 절개부(34a)가 형성되는 중공축(34)이 제공된다. 중공축(34)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파지하게 되는 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며, 중공축(34)의 내측에는 항시 상부로 향하는 힘을 갖도록 탄성지지되는 승강로드(36)가 설치되며, 승강로드(36)는 노브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에 의해 중공축(34)의 하부로 이동된다. 또한, 승강로드(36)의 하단에는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셀렉트포지션을 따라 이동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셀렉트포지션상에 위치하는 디텐트핀(36a)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공축(34)상에는 하우징(40)이 고정되고, 하우징(40)내에는 항시 디텐트플레이트(20)를 향해 돌출되도록 스프링에 탄지되는 록킹볼(42)이 제공된다. 록킹볼(42)은 록킹홀(22)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중공축(34)의 회전시 록킹볼(42)을 록킹홀(22)을 지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elect lever assembly 30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detent plate 20. The select lever assembly 30 has a rotating shaft 32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etent plate 20, and a hollow shaft having a lower end fixed on the rotating shaft 32 and having a cutout 34a formed therein. 34) is provided. A knob (not shown) to be gripped by the driver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34, and a lifting rod 36 elastically supported to have a force directed to the upper portion is always installed inside the hollow shaft 34. The lifting rod 36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shaft 34 by a button provided on the knob. In addition, a detent pin 36a which protrud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moves along the select position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36, and is positioned on at least one select position. In addition, the housing 40 is fixed on the hollow shaft 34, the locking ball 42 is supported on the spring so as to project toward the detent plate 20 at all times. The locking ball 42 is fix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22 and is formed to pass the locking ball 42 through the locking hole 22 when the hollow shaft 34 is rotated.

한편, 상기 디텐트플레이트(20)의 일측에는 오조작으로 인해 셀렉트레버조립체(30)가 주차위치(P)에서 후진위치(R)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진 급발진 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디텐트핀(36a)과 간섭되어 주차위치에서 셀렉트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레버(50)가 설치되며, 특정의 신호(브레이크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록킹레버(50)를 이동시켜 승강로드(36)의 디텐트핀(36a)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6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detent plate 20 is provided with a reverse sudden start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select lever assembly 30 is moved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o the reverse position (R) due to a misoperation. That is, a locking lever 50 is installed which interferes with the detent pin 36a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elect lever in the parking position. The locking lever 50 is operated by a specific signal (brake signal) to move and lift the locking lever 50. A solenoid 60 is installed to allow the detent pin 36a of the rod 36 to disengage.

도 2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록킹레버(5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텐트플레이트(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고정공(54)을 갖는 고정편(5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셀렉트레버(30)의 디텐트핀(36a)을 간섭하는 걸림고리(5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리(56)는 디텐트플레이트(20)에 형성된 셀렉트포지션{주차위치(P)}의 하부에 항상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60)는 고정 브래킷(62)에 의해 디텐트플레이트(20)에 수직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전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로드(64)에는 코일스프링(67)을 개재하여 연질러버(66)가 끼워진다. 이 때, 이동로드(64)는 연질러버(66)를 관통하여 상부가 연질러버(66)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끼워지며, 연질러버(66)의 단부는 록킹레버(50)에 형성된 고정편(52)의 고정공(54)에 끼워진다. 또한, 고정공(54)의 일측으로 돌출된 연질러버(66)에는 경질러버(68)가 끼워짐과 동시에 와셔(69)가 이동로드(64)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공(5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이동로드(64)는 코일스프링(67)으로 인해 항상 상부로 탄지되며, 이에 따라 록킹레버(50)의 걸림고리(56)는 셀렉트포지션{주치위치(P)}의 하부에 위치하여 디텐트핀(36a)이 주차위치(P)에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간섭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의 신호(브레이크 신호)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60)의 이동로드(64)는 코일스프링(67)력을 제압하고 하강하며 이와 동시에 록킹레버(50)도 회전되고 걸림고리(56) 또한 주차위치(P)의 하부에서 이동하여 디텐트핀(36a)이 주차위치(P)에서 이동하도록 하였다. 한편,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는 차체(1)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콘솔케이스(2)가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를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브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셀렉트레버는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로드(36)는 중립위치(N)와 주행위치(D)간의 이동은 별도의 조작없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또한, 셀렉트포지션의 1속위치(L)로부터 2속위치(2) 및 중립위치(N)으로의 이동도 걸림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진위치(R)에서 주행위치(D)로 이동하는 것 또한 제한받지 않게 된다. 그러나 오조작으로 인해 주행중 급격한 주행상태가 변경되는 것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특정한 방향 및 위치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즉, 중립위치(N) 또는 주행위치(D)에서 2속위치(2)나 1속위치(L) 또는 후진위치(R) 및 주차위치(P)로 이동하는 것은 승강로드(36)의 디텐트핀(36a)이 각각의 셀렉트포지션의 단차에 의해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노브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눌러 승강로드(36)의 디텐트핀(36a)이 셀렉트포지션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노브를 이동시켜야만 선택된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locking lever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shape is fixed to be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detent plate 20, the fixing piece having a fixing hole 54 on one side ( 52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ring 56 that interferes with the detent pin 36a of the select lever 30. The locking ring 56 is formed so as to always be located below the select position (parking position P) formed in the detent plate 20. The solenoid 60 is fixed to the detent plate 20 by the fixing bracket 62 in a vertical state. The solenoid 6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via a coil spring 67. The running burr 66 is fitted. At this time, the moving rod 64 is fitt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running lever 66 to protrude to one side of the running lever 66, the end of the running lever 66 is fixed to the locking lever (50) 52 is fitted into the fixing hole 54. In addition, the squeeze lever 66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fixing hole 54 is fitted with the squeezing burr 68 and at the same time the washer 69 is fitted to the end of the moving rod 64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hole 54. It was not.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rod 64 is always carried upward by the coil spring 67, so that the locking ring 56 of the locking lever 50 is locat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select position (main position P). The tent pin 36a interferes with the parking position P from being moved. In this state, when a specific signal (brake signal) is applied, the moving rod 64 of the solenoid 60 suppresses and descends the coil spring 67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lever 50 also rotates and the engaging ring 56 is applied. Also, the detent pin 36a moves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o move from the parking position P. On the other hand,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1), the upper console case 2 is installed to protect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When the knob is pulled forward or backward, the select lever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32. At this time, the lifting rod 36 moves smoothly between the neutral position (N) and the driving position (D) without any manipulation. Further, the movement from the first speed position L of the select position to the second speed position 2 and the neutral position N can also be moved without jamming. And the movement from the reverse position (R) to the driving position (D) is also not limited. However, movement in a specific direction and position is limited in order to prevent sudden driving state change during driving due to misoperation. That is, moving from the neutral position (N) or the traveling position (D) to the second speed position (2) or the first speed position (L) or the reverse position (R) and the parking position (P) is the The tent pin 36a is caught by the step of each select position, and movement is restricted. Therefore, when such a movement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selected position only by pressing the button provided on the knob and moving the knob while the detent pin 36a of the lifting rod 36 is separated from the select position.

특히, 주차위치(P)에서는 진입은 물론 이탈시에도 필히 노브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눌러야만 다른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브레이크를 밟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로드(36)의 디텐트핀(36a)은 록킹레버(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주차위치(P)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이동시에는 브레이크를 밟아 솔레노이드(60)가 록킹레버(50)를 이동시켜 디텐트핀(36a)를 고정상태에서 해제하여야 한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주차위치에서 다른위치로 자유롭게 변속될 경우 차량의 급후진 또는 급발진의 우려가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완수단이다.In particular, in the parking position (P), even when entering or exiting,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button installed on the knob to move to another position. In this case, when the brake is not pressed, the deceleration of the lifting rod 36 The tent pin 36a is restricted in movement by the locking lever 50. Therefore, when moving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o another position, it should be assumed that the solenoid 60 must release the detent pin 36a from the fixed state by moving the locking lever 50 by pressing the brake. This is a supplementary means install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ecause there is a risk of sudden backward or sudden start of the vehicle when freely shifted from the parking position to another posi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는 상기 후진 급발진 방지장치의 록킹레버(50)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아 디텐트핀(36a)이 주차위치(P)에서 다른위치로 이동하지 못하여 변속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lector control apparatus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locking lever 50 of the reverse sudden start prevention device does not rotate smoothly, the detent pin 36a is moved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o another pos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ifting operation is not made smoothly because it does not move to.

즉, 상기 록킹레버(50)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반면, 상기 솔레노이드(60)의 이동로드(64)는 직선운동하는 바, 직선운동과 회전운동간의 발생되는 기구적인 마찰 및 간섭은 상기 연질러버(66)가 감쇄시키고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경시변화로 인해 연질러버(66)의 내구력이 약화되어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50)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아 셀렉트레버조립체(30)의 디텐트핀(36a)이 주차위치(P)에서 이탈되지 못하여 변속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었다.That is, while the locking lever 50 rotates about the hinge point, the moving rod 64 of the solenoid 60 moves linearly, and the mechanical friction and inter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linear and the rotary motions are The grinder 66 is attenuated. However, due to the change over time due to long-term use,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ng lever 66 is weakened and thus loses its function. As a result, the locking lever 50 does not rotate smoothly, so that the detent pin of the select lever assembly 30 is reduc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hift oper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because 36a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arking position P. FIG.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해결수단을 설치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케이스(2)에 자동차의 키(K)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구멍(2a)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구멍(2a)에 자동차 키(K)를 꽂아 삽입하므로써, 자동차 키(K)의 끝부분이 록킹레버(50)의 상면을 눌러주어 록킹레버(50)를 강제로 회전시켜 록킹을 해제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해결수단은 자동차 주행중에는 사용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다시말해, 시동을 켜 놓은 상태에서 록킹레버(50)가 회전되지 않을 때에는 시동을 끄고 자동차 키(K)를 시동키홈에서 빼내어 시동을 끈 후 상기 콘솔케이스(2)의 절개구멍(2a)에 자동차 키(K)를 꽂아 록킹을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절개구멍(2a)으로 먼지, 수분 등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어 록킹레버(50)의 작동을 더욱 어렵게하는 요인이 되어 왔던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as installed a separate solution.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incision hole 2a into which the car key K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console case 2, and the car key K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hole 2a. Thus, the end of the car key K pressed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50 to forcibly rotate the locking lever 50 to release the locking. However, such a solu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umbersome to use while driving a car. In other words, when the locking lever 50 does not rotate while the ignition is on, turn off the ignition, remove the car key K from the ignition keyway, turn off the ignition, and then turn off the ignition. There was a hassle to unlock the lock by inserting the key (K). In addition, other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moisture, and the like are introduced into the cutting hole 2a, which has been a factor that make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lever 50 more difficult.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키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으로도 록킹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내부로 먼지 및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not only to rotate the locking lever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using a car key, but also to the inside of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such as dust and moisture. It is to provide a select lever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도 1은 종래의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 구성을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ntrol lever select lever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도 2는 종래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작동레버와 솔레노이드간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n operating lever and a solenoid of a conventional select lever control devi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ortion of the select lever control apparatus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 콘솔케이스 4: 작동홈2: console case 4: operating groove

4a: 걸림편 6: 관통공4a: Hanging Piece 6: Through Hole

10: 베이스플레이트 20: 디텐트플레이트10: base plate 20: detent plate

20a: 가이드편 30: 셀렉트레버조립체20a: guide piece 30: select lever assembly

34: 중공축 36: 승강로드34: hollow shaft 36: lifting rod

36a: 디텐트핀 50: 록킹레버36a: Detent Pin 50: Locking Lever

60: 솔레노이드 100: 버튼60: solenoid 100: button

10: 압축스프링10: compression spring

베이스플레이트와, 디텐트플레이트와, 디텐트핀이 형성된 승강로드를 갖는 중공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텐트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레버와, 상기 록킹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디텐트핀의 이동을 허용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급발진 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콘솔케이스가 덮여지는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케이스의 상면에는 바닥면에 관통공을 갖는 작동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홈의 관통공에는 압축스프링을 개재하여 그 끝부분이 상기 록킹레버의 상면과 맞닿도록 버튼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록킹레버를 회전시켜 디텐트핀의 이동을 허용하며, 아울러 상기 작동홈의 측벽에는 상기 버튼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llow shaft having a base plate, a detent plate, and a lifting rod having a detent pin formed therein, the locking leve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detent pin, and the locking lever rotated to move the detent pin. In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dden oscillation prevention device consisting of a solenoid to allow the upper portion of the console case is covere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case is formed with an operation groove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bottom surface, A butt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operating groove via a compression spring so that the end thereof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The button is pressed to rotate the locking lever to allow movement of the detent pin. In addition, the side wall of the opera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iece is formed so that the button is not separa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vehicle select lev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omi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by the same description do.).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에 따르면, 디텐트플레이트(20)는 면상에 각각 소정의 단차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셀렉트포지션{주차위치(P), 후진위치(R), 중립위치(N), 주행위치(D), 2속위치(2), 저속위치(L)}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셀렉트포지션에는 디텐트플레이트(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셀렉트레버조립체의 디텐트핀(36a)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지션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디텐트핀(36a)은 셀렉트레버조립체의 노브에 설치된 버튼에 의해 승강 및 하강된다. 그리고 디텐트플레이트(20)의 일측에는 디텐트핀(36a)과 간섭되어 주차위치에서 셀렉트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레버(50)가 설치되며, 특정의 신호(브레이크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록킹레버(50)를 이동시켜 승강로드(36)의 디텐트핀(36a)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60)가 설치된다. 록킹레버(5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텐트플레이트(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고정공(54)을 갖는 고정편(5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셀렉트레버(30)의 디텐트핀(36a)을 간섭하는 걸림고리(5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리(56)는 디텐트플레이트(20)에 형성된 셀렉트포지션{주차위치(P)}의 하부에 항상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솔레노이드(60)는 고정 브래킷(62)에 의해 디텐트플레이트(20)에 수직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전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로드(64)에는 코일스프링(67)을 개재하여 연질러버(66)가 끼워진다. 이 때, 이동로드(64)는 연질러버(66)를 관통하여 상부가 연질러버(66)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끼워지며, 연질러버(66)의 단부는 록킹레버(50)에 형성된 고정편(52)의 고정공(54)에 끼워진다. 또한, 고정공(54)의 일측으로 돌출된 연질러버(66)에는 경질러버(68)가 끼워짐과 동시에 와셔(69)가 이동로드(64)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공(5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이동로드(64)는 코일스프링(67)으로 인해 항상 상부로 탄지되며, 이에 따라 록킹레버(50)의 걸림고리(56)는 셀렉트포지션{주치위치(P)}의 하부에 위치하여 디텐트핀(36a)이 주차위치(P)에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간섭한다. 이와 같은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콘솔케이스(2)가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를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콘솔케이스(2)의 상면에는 바닥면에 관통공(6)을 갖는 작동홈(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홈(4)의 관통공(6)에는 압축스프링(110)을 개재하여 그 끝부분이 상기 록킹레버(50)의 상면과 맞닿도록 버튼(100)이 삽입된다. 압축스프링(110)은 일단은 작동홈(14)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타단은 버튼(10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단턱부(102)에 지지되어 버튼(100)을 항시 상부로 지지한다. 한편, 버튼(100)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록킹레버(50)는 회전되며, 이에 따라 디텐트핀(36a)은 주차위치(P)에서 후진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홈(14)의 측벽에는 상기 버튼(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편(4a)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select lever control apparatus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detent plate 20 has a plurality of select positions {parking position (P), reverse position (R), neutral position (N), travel position (D), two separated on the surface by predetermined steps, respectively. The inner position (2) and the low speed position (L)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select position of the detent pin (36a) of the select lever assembly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detent plate (20) is at least one of And is positioned on the position. The detent pin 36a is raised and lowered by a button provided on the knob of the select lever assembly. A locking lever 5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etent plate 20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elect lever in the parking position by interfering with the detent pin 36a, and is operated by a specific signal (brake signal) to be locked. A solenoid 60 is installed to move the lever 50 so as to allow the detent pin 36a of the lifting rod 36 to disengage. The locking lever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etent plate 20 so as to be rotatable. A fixing piece 52 having a fixing hole 54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selected. A locking ring 56 that interferes with the detent pin 36a of the lever 30 is formed. The locking ring 56 is configured to always be located below the select position (parking position P) formed in the detent plate 20. The solenoid 60 is fixed to the detent plate 20 by the fixing bracket 62 in a vertical state. The solenoid 6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via a coil spring 67. The running burr 66 is fitted. At this time, the moving rod 64 is fitt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running lever 66 to protrude to one side of the running lever 66, the end of the running lever 66 is fixed to the locking lever (50) 52 is fitted into the fixing hole 54. In addition, the squeeze lever 66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fixing hole 54 is fitted with the squeezing burr 68 and at the same time the washer 69 is fitted to the end of the moving rod 64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hole 54. It was not.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rod 64 is always carried upward by the coil spring 67, so that the locking ring 56 of the locking lever 50 is locat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select position (main position P). The tent pin 36a interferes with the parking position P from being moved. Such a select lever control devic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nd the console case 2 is installed to protect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An operating groove 4 having a through hole 6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console case 2, and a compression spring 110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6 of the operating groove 4. The button 100 is inserted such that its end abu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50.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110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groove 14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 102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100 to support the button 100 at all times.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lever 50 is rotated by the button 100 being pressed, and thus the detent pin 36a is moved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o the backward position. He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engaging piece (4a)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operation groove 14 so that the button 100 is not separated.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주차위치(P)의 상태에서 특정의 신호(브레이크 신호)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60)의 이동로드(64)는 코일스프링(67)력을 제압하고 하강하며 이와 동시에 록킹레버(50)도 회전되고 걸림고리(56) 또한 주차위치(P)의 하부에서 이동하여 디텐트핀(36a)이 주차위치(P)에서 이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록킹레버(50)가 회전하지 않아 디텐트핀(36a)이 주차위치(P)에서 이탈되지 못할 때에는 콘솔케이스(12)의 상면에 노출된 버튼(100)을 눌러주어 그 끝부분이 록킹레버(50)의 상면을 가압하여 록킹레버(50)를 회전하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디텐트핀(36a)은 주차위치(P)에서 이탈하여 후진위치(R)로 이동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signal (brake signal) is applied in the state of the parking position P, the moving rod 64 of the solenoid 60 overpowers and descends the coil spring 67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lever ( 50 is also rotated and the locking ring 56 is also 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arking position (P) to move the detent pin (36a) in the parking position (P). However, when the locking lever 50 does not rotate and the detent pin 36a cannot be released from the parking position P,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50 is pressed by pressing the button 100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case 12.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50 was pressed to rotate the locking lever 50. Therefore, the detent pin 36a is moved away from the parking position P and moved to the reverse position R. F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는 자동차 키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으로도 록킹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의 내부로 먼지 및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elect lever control apparatus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otate the locking lever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using a car key, but also introduce dust and moisture into the select lever control apparatus. It is effectiv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Claims (1)

베이스플레이트(10)와, 디텐트플레이트(20)와, 디텐트핀(36a)이 형성된 승강로드(36)를 갖는 중공축(34)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텐트핀(36a)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레버(50)와, 상기 록킹레버(50)를 회전시켜 상기 디텐트핀(36a)의 이동을 허용하는 솔레노이드(60)로 구성되는 급발진 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콘솔케이스(2)가 덮여지는 셀렉트레버 제어장치에 있어서,A hollow shaft 34 having a base plate 10, a detent plate 20, and a lifting rod 36 on which a detent pin 36a is formed,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detent pin 36a. Consists of a locking lever 50 and a sudden start prevention device consisting of a solenoid 60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detent pin (36a) by rotating the locking lever 50 to the upper console case ( In the select lever control device 2) is covered, 상기 콘솔케이스(2)의 상면에는 바닥면에 관통공(6)을 갖는 작동홈(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홈(4)의 관통공(6)에는 압축스프링(110)을 개재하여 그 끝부분이 상기 록킹레버(50)의 상면과 맞닿도록 버튼(100)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100)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록킹레버(50)를 회전시켜 디텐트핀(36a)의 이동을 허용하며, 아울러 상기 작동홈(14)의 측벽에는 상기 버튼(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편(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차량의 셀렉트레버 제어장치.An operating groove 4 having a through hole 6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console case 2, and a compression spring 110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6 of the operating groove 4. The button 100 is inserted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5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50. As the button 100 is pressed, the locking lever 50 is rotated to move the detent pin 36a. And a latching portion (4a)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operation groove (14) so that the button (100) is not separated.
KR2019970034857U 1997-11-29 1997-11-29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9002136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57U KR19990021360U (en) 1997-11-29 1997-11-29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57U KR19990021360U (en) 1997-11-29 1997-11-29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60U true KR19990021360U (en) 1999-06-25

Family

ID=6969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57U KR19990021360U (en) 1997-11-29 1997-11-29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36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6262A (en) Transmission safety locking lever apparatus
JPH0429154Y2 (en)
CA2003963C (e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US5950782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locking a selector mechanism of an automatically operating change-speed gearbox
KR100298049B1 (en) Locking/unlocking method of selec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US20030000329A1 (en) Gear shif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KR19990021360U (en)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200222106Y1 (en)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90021326U (en) Select lever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90019397A (en)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200156592Y1 (en) A selecting lever device of auto transmission
KR200156591Y1 (en) A locking lever fixing structure of auto transmission selecting device
KR19980068100U (en)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200156595Y1 (en) Select lever device of a car
KR200156590Y1 (en) Select lever device of a car
KR19990021357U (en) Emergency start prevention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80068101U (en) Selec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9990021310U (en) Select lever locking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0196794B1 (en) Backward operation fail safe device
KR200167723Y1 (en) Erroneous reverse shifting prevention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KR0115798Y1 (en) Emergency device
KR920008649B1 (en) Automatic safety device of transmission
KR19990021309U (en) Select lever locking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KR20000021272U (en) Safety system of select lever for vehicle
KR200159151Y1 (en) Erroneous feverse shifting preventing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