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029U -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029U
KR19980067029U KR2019970011542U KR19970011542U KR19980067029U KR 19980067029 U KR19980067029 U KR 19980067029U KR 2019970011542 U KR2019970011542 U KR 2019970011542U KR 19970011542 U KR19970011542 U KR 19970011542U KR 19980067029 U KR19980067029 U KR 19980067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tower crane
safety device
trolley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6539Y1 (ko
Inventor
류동춘
이주호
김만수
Original Assignee
김정국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국,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정국
Priority to KR2019970011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53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0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2Safety gear for retaining load-engaging elements in the event of rope or cab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Abstract

본 고안은 타워 크레인에 장착 설치되어 물건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횡행와이어로프에 파단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 방지하고자 추가적으로 안전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횡행용 로프는 기계 장치의 동작으로 트롤리가 타워 크레인 붐위를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만약 와이어에 의해 물건을 들어올리는 훅크에 물이 달려 있을 시 와이어 로프가 파단이 되면 트롤리는 빠른 속도로 이동이 되어 주변에 강한 충격으로 부딪힐 수 있어 대형 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로축 프레임(18)에 우측 웨이트가 좌측 웨이트보다 무게가 나가는 형상인 피봇(16)을 힌지로 연착하되 상기의 피봇(16)을 와이어 로프(2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이다.

Description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본 고안은 타워 크레인 장착 설치되어 물건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횡행 와이어 로프에 파단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 방지하고자 추가적으로 안전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횡행용로프는 기계 장치의 동작으로 트롤리가 타워 크레인 붐위를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만약 와이어에 의해 물건을 들어 올리는 훅크에 물건이 달려 있을시 와이어 로프가 파단이 되면 트롤리는 빠른 속도로 이동이 되어 주변에 강한 충격으로 부딪힐 수 있어 대형 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 크레인에 사용되는 횡행 와이어 로프는 여러 개의 와이어로 1개의 가닥(strand)을 만들어 이것을 6개 이상 꼬아서 1개의 로프로 만든 것이다.
여러 가닥 중 중심에는 기름을 포함시킨 대마 신선을 집어 넣는다.
로프의 크기는 기름의 굵기로서 표시하고 속도는 6~10m/s, 최대 25m/s이며 재료에는 연철과 강철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로프는 내마모성과 내진동 피로성, 내굽힘성 및 피로성, 잔류강도 내판단강도를 가져야 하며 또한 드럼에 감거나 풀 때는 로프의 강도를 현저히 떨어뜨리는 킹크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로프는 건설 현상에서 주로 크레인과 연착되어 사용되는데 만약 작업중 와이어 로프가 파단이 되면 안전사고와 직렬되기 때문에 충분한 파단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타워 크레인은 횡행 기계 장치의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아 이를 트롤리에 연결시키고 기계 장치의 구동으로 붐위를 이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계 장치의 기동으로 붐의 박스 빔(10)위를 롤러(12)가 단수별 속도 조정을 행하는데 상기의 속도 조정은 에디커런트 브레이크로 하여 시스템 정지는 모터에 내장된 디스크 브레이크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로프는 타워 크레인에서 권상용 와이어 로프와 횡행용 와이어 로프가 사용되는데 횡행 로프에서는 기계 장치의 동작으로 트롤리가 타워 크레인 붐위를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횡행용 와이어 로프 파단시 트롤리는 붐위를 아주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만약 훅크에 물건이 달려 있을 시에는 가속도로 인해 주변 건물에 강한 충격으로 부딪힐 수 있으며 이것은 대형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타워 크레인 횡행용 와이어 로프의 구조는 이러한 안전 사고에 대해 아무런 대책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계 장치의 동작으로 트롤리가 타워 크레인 붐위를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만약 와이어에 의해 물건을 들어올리는 훅크에 물건이 달려 있을 시 와이어 로프가 파단이 되면 트롤리는 빠른 속도로 이동이 되어 주변에 강한 충격을 부딪힐 수 있어 대형 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타워 크레인에 안전 장치를 장착하여 원천적으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로축 프레임에 우측 웨이트가 좌측 웨이트보다 무게가 나가는 형상인 피봇을 힌지로 연착하되 상기의 피봇을 와이어 로프와 연결시켜 와이어 로프의 파단시 피봇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이 하부로 우측이 상부로 회전이 되어 붐의 브레싱의 진로를 막아 트롤리의 전진을 강제로 제어하여 시스템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하는 것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안전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타워 크레인 트롤리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안정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타워 크레인 트롤리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박스 빔
12:롤러
14:붐의 브레싱
16:피봇
18:프레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안전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타워 크레인 트롤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안전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타워 크레인 트롤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세로축 프레임(18)에 우측 웨이트가 좌측 웨이트보다 무게가 나가는 형상인 피봇(16)을 힌지로 연착하되 상기의 피봇(16)을 와이어 로프(2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기계 장치의 드럼과 트롤리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20)를 장착한다.
상기의 와이어 로프(20)가 킹크 현상이 발생하여 와이어 로프(20)가 파단이 되거나 물건인 중량물이 과하중으로 인해 와이어 로프(20)가 파단이 되면 트롤리는 붐위를 아주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데 상기와 같이 와이어 로프(20)가 파단이 되면 와이어 로프(20)가 연결이 되어 수평으로 무게중심을 잡던 피봇(16)이 와이어 로프(20)와 분리되면서 우측의 무게가 더 중량임으로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이 되고 좌측의 피봇(16)은 상부로 회전이 되어 상부로 회전 이동된 피봇(16)이 붐의 브레싱(14)의 진로를 막아 더 이상 트롤리가 전진할 수 없도록 강제적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피복은 프레임 좌우 장착하여 와이어 로프의 파단과 동시에 트롤리의 진행을 막아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거의 원가 상승없이 타워 크레인의 안전 시스템을 확보할 수 있어 타워 크레인을 주로 사용하는 건설 현상에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세로축 프레임(18)에 우측 웨이트가 좌측 웨이트보다 무게가 나가는 형상인 피봇(16)을 힌지로 연착하되 상기의 피봇(16)을 와이어 로프(20)와 연결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횡행 와이어 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KR2019970011542U 1997-05-22 1997-05-22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KR200146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42U KR200146539Y1 (ko) 1997-05-22 1997-05-22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42U KR200146539Y1 (ko) 1997-05-22 1997-05-22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29U true KR19980067029U (ko) 1998-12-05
KR200146539Y1 KR200146539Y1 (ko) 1999-06-15

Family

ID=1950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542U KR200146539Y1 (ko) 1997-05-22 1997-05-22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5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6539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223B1 (ko) 해상 시추선 상에서 로드를 호이스팅하는 시스템
CN1269718C (zh) 电梯和电梯牵引绳轮
EP1329412B1 (en) Elevator device
EP3097043B1 (en)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CN116119517B (zh) 一种港口起重机吊具自动防扭装置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CN214879790U (zh) 一种动臂塔式起重机
JP4713494B2 (ja) エレベータと装置
US4953721A (en)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KR200146539Y1 (ko) 타워 크레인 횡행와이어로프 파단시의 안전장치
WO2005080250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CN215558480U (zh) 一种具有双重保护装置的欧式起重机起升机构
CN213356618U (zh) 一种施工升降机
JP4675548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2101728U (zh) 一种双钢丝绳缠绕的冶金专用起重机
JP2006240819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WO200505645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307495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2357799A (zh) 一种火箭对接用吊车提升卷扬装置及方法
EP1325881B1 (en) Elevator device
CN215101663U (zh) 一种塔机变幅小车主滑轮防脱绳装置
CN111634813A (zh) 起重机起升机构
CN216512487U (zh) 一种起重机吊具的断绳防坠装置
CN217756662U (zh) 一种垂直孔洞空间载人升降装置
CN214989565U (zh) 一种导向轮位移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