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24A -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24A
KR19980066124A KR1019970001473A KR19970001473A KR19980066124A KR 19980066124 A KR19980066124 A KR 19980066124A KR 1019970001473 A KR1019970001473 A KR 1019970001473A KR 19970001473 A KR19970001473 A KR 19970001473A KR 19980066124 A KR19980066124 A KR 19980066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tz tube
burner
gas
optical fiber
natur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739B1 (ko
Inventor
오승헌
김진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739B1/ko
Priority to DE19800935A priority patent/DE19800935A1/de
Priority to FR9800496A priority patent/FR2758549B1/fr
Priority to CN98105648A priority patent/CN1195110A/zh
Priority to GB9801084A priority patent/GB2321243B/en
Priority to JP10008392A priority patent/JPH10203842A/ja
Publication of KR1998006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8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by glass deposition on a glass substrate, e.g. by inside-, modified-, plasma-, or plasma modifi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ICVD, MCVD, PCVD, PMCVD], i.e. by thin layer coating on the inside or outside of a glass tube or on a glass rod
    • C03B37/01807Reactant delivery systems, e.g. reactant deposition burners
    • C03B37/01815Reactant deposition burners or deposition he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7/00Glass deposition burners
    • C03B2207/36Fuel or oxidant details, e.g. flow rate, flow rate ratio, fuel additives
    • C03B2207/38Fuel combinations or non-standard fuels, e.g. H2+CH4, 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석영관을 가열하는 버너의 열원을 수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가스를 사용하여 폭발 위험성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같은 부피의 양으로 약 5배의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는 천연가스로 광섬유 모재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석영관의 가열중에 물(O)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석영관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산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석영관을 가열하고 응축하는 버너의 열원은 상기 석영관 표면의 수산기 함유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천연가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광섬유 제조방법에 적용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영관을 가열하는 버너의 열원을 수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가스를 사용하여 폭발 위험성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광섬유 중에서는 석영(이산화규소)을 주재료로 하고 굴절률 제어를 위해서 인, 게르마늄 등의 산화물을 혼입한 이른바 석영계 광섬유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상기 석영유리 광섬유의 모재 제조방법에는 크게 내부증착을 하는 내부화학기상퇴적법(modifi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MCVD)과 외부증착을 하는 기상축붙이기법(vapour phase axial deposition: VAD) 또는 외부기상축붙이기법(outside vapor deposition: OVD)으로 구분되는데, 이때 고품질의 석영계 광섬유를 제작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내부화학기상퇴적법이다. 상기 내부화학기상퇴적법은 석영관의 외부에서 열을 가열하여 석영관 내부의 케미칼(chemical)을 화학반응시켜 유리입자를 만듬과 동시에 상기 석영관 내부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내부화학기상퇴적법(MCVD)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준비된 석영관(10)을 유리선반(50)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용 척(52)으로 상기 석영관(10)의 양끝단을 물려서 고정시킨 후, 상기 석영관(10) 내부로 원료가스 공급계(56)에서 산소의 기류로 수송된 SiCl4나 GeCl4및 적정량의 첨가 화학 케미칼(chemical)로 조성된 원료가스(12)를 흘려주면서 상기 석영관(50)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열원인 수소와 산소를 버너(20)에 공급시키면서 상기 버너(20)로 석영관(10)의 외벽을 가열하면 상기 석영관(10) 내부에 가장 온도가 높은 고온영역(hot zone)(14)이 형성된다. 그후, 상기 원료가스(12)가 고온영역(14)을 지나면서 반응하여 입자화되어진다. 이때, 반응식은 SiCl4+ O2→ SiO2+ 2Cl2, GeCl4+ O2→ GeO2+ 2Cl2이다. 그후, 상기 입자들은 진행하다가 열적 연동(thermophoresis)에 의하여 온도가 낮은 앞쪽 석영관(10)의 안쪽면에 부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버너(20)를 원료가스(12)의 흐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적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면, 입자화되는 반응은 상기 버너(20)를 따라 계속 진행되고 따라서 상기 입자의 내부 부착도 상기 석영관(10)의 내측면에 계속 진행되어진다. 이어서 상기 버너(20)가 지나가는 부분은 버너(20)의 높은 열에 의하여 부착된 입자가 소결(sintering)되어 유리 상태로 변환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의 광섬유 모재는 위와 같은 반응에 의하여 석영관(10)의 내측면에 불순물 침투를 막아주는 크래드층(16)이 알맞은 두께로 먼저 형성된 후에 상기 원료가스(12)의 성분을 달리하여 상기 석영관(10) 내부로 흘려보내면 빛이 직접 도파되는 부분인 코아층(18)이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석영관(10)의 외측에서 23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석영관(10)을 수축시키는 콜랩스(collpase)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상기 석영관(10)을 막대 형태로 만드는 클로즈(close) 과정을 수행하므로서 광섬유 모재는 제조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부화학기상퇴적법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수소와 산소를 열원으로 공급받아 석영관을 가열하여 증착 및 응축시킨다. 이때 상기 버너가 석영관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버너와 연결된 설비에 녹이 형성되어져 수명이 단축되며, 또한 상기 물은 석영관 표면에 형성되는 수산기()의 함유량을 증가시켜 광섬유의 전송손실을 증대시키며, 상기 버너의 열원인 수소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의 제조원가를 향상시키며, 또한 상기 수소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취급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가스를 버너의 열원으로 사용하므로 석영관의 가열중에 물(O)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영관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산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너의 열원을 천연가스로 사용하므로 광섬유 모재의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폭발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천연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석영관을 가열하고 응축하는 버너의 열원은 상기 석영관 표면의 수산기 함유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천연가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화학 기상 퇴적법으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만들기 위한 석영관을 고정용 척에 고정시키는 제1과정과, 원료가스공급계에서 상기 석영관의 내부에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과정과, 가스유량제어부의 통제에 따라 열원인 산소와 천연가스를 버너에 공급하는 제3과정과, 상기 석영관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버너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통하여 석영관의 내벽에 소결투명화가 이루어지고 미립자의 퇴적물이 생성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을 반복시켜 상기 석영관의 내벽에 크래드층과 코아층을 증착시키는 제6과정과, 상기 버너는 상기 제6과정의 결과물을 다시 높은 온도로 가열해서 연화시키고 내부공간을 응축시키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내부화학기상퇴적법(modifi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MCVD)으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화학기상퇴적법(MCVD)으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할 때 천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증착 및 응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석영관12 : 원료가스
14 : 고온영역16 : 크래드층
18 : 코아층20 : 버너
22 : 산소24 : 천연가스
26a,26b : 가스유량제어부28 : 컴퓨터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화학기상퇴적법(MCVD)으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할 때 천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증착 및 응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버너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준비된 석영관(10)을 유리선반(50)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용 척(52)으로 상기 석영관(10)의 양끝단을 물려서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1에 도시된 원료가스 공급계(52)에서 상기 석영관(10) 내부로 산소의 기류로 수송된 SiCl4나 GeCl4,PO및 프레온(freon) 등의 적정량의 첨가 화학 케미칼(chemical)로 조성된 원료가스(12)를 흘려주면서 상기 석영관(50)을 50RPM(분당회전수)으로 회전시킨다. 그후, 컴퓨터 제어부(28)에 의해 통제되는 가스유량제어부(26b)는 상기 석영관(10)의 표면온도를 1900℃ 정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천연가스(24)를 60(l/분)∼70(l/분) 정도의 유량을 버너(20)에 공급시키고, 동시에 가스유량제어부(26a)는 상기 버너(20)에 공급된 천연가스(24)를 완전연소시키는 량만큼 산소(22)를 버너(20)에 공급시킨다. 이때 상기 천연가스(24)는 적은 유량으로 상기 석영관(10)의 증착 및 응축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메탄가스 또는 프로판가스 중에서 어느하나가 사용되어진다.
이어서, 상기 버너(20)를 석영관(10)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속도로 좌,우 이동시키면서 상기 석영관(10)의 외벽을 가열하면 상기 석영관(10) 내부에 가장 온도가 높은 고온영역(hot zone)(14)이 형성된다. 그후, 상기 원료가스(12)가 고온영역(14)을 지나면서 반응하여 입자화된다. 계속해서 입자화되는 반응은 상기 버너(20)를 따라 계속 진행되고 따라서 상기 입자의 내부 부착도 상기 석영관(10)의 내측면에 계속 진행되어진다. 이어서 상기 석영관(10)의 내측면에는 불순물 침투를 막아주는 크래드층(16)이 알맞은 두께로 형성되며, 다시 상기 원료가스(12)의 성분을 달리하여 상기 석영관(10) 내부로 흘려보내면 빛이 직접 도파되는 부분인 코아층(18)이 형성된다.
그후, 증착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가스유량제어부(26b)는 약 100(l/분) 정도의 천연가스(24) 유량을 상기 버너(20)에 공급하고, 도1에 도시된 원료가스 공급계(56)는를 상기 석영관(10)의 내부에 공급시킨다. 이어서 상기 버너(20)는 2250℃∼235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석영관(10)의 길이방향으로 매분 8cm 속도로 이동하면서 석영관(10)의 내경을 2mm∼3mm 정도가 되도록 증착시킨다. 이때 상기 석영관(10)의 내부 압력은 1.1. 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버너(20)는 상기 석영관(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원료가스(12)의 성분에 따라 매분 4cm 속도 또는 매분 1.5cm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석영관(10)의 내부를 응축시킬 수도 있다.
그후, 반대쪽에서 상기 석영관(10)의 일측 끝을 오랫동안 가열하여 완전히 밀봉시킨 후에 상기 석영관(10)을 30RPM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버너(20)를 매분 0.8cm 속도로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상기 석영관(10) 전체를 응축시키면 상기 고품질의 광섬유 모재는 제조되어진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완성된 광섬유 모재의 표면에는 탄소성분과 황성분이 남게되는 경우도 발생되는데 이는 불산으로 식각시키면 완전히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은 버너의 열원을 수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가스를 사용하므로서 가스비용을 약1/5로 감소시켜 광섬유 모재의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산소/수소 버너의 점화시에 발생하는 폭발음이 일어나지 않아 쾌적한 작업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천연가스를 버너의 열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물이 발생하지 않아 설비가 깨끗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석영관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산기()의 함유량을 최소화시켜 광섬유의 전송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폭발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석영관을 가열하고 응축시키는 버너의 열원은 상기 석영관 표면의 수산기 함유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천연가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스는 적은 유량으로 증착 및 응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석유가스가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스는 적은 유량으로 응축 및 증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메탄가스 또는 프로판 가스가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4. 내부화학 기상 퇴적법으로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를 만들기 위한 석영관을 고정용 척에 고정시키는 제1과정, 원료가스공급계에서 상기 석영관의 내부에 원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과정, 가스유량제어부의 통제에 따라 열원인 산소와 천연가스를 버너에 공급하는 제3과정, 상기 석영관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버너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을 통하여 석영관의 내벽에 소결투명화가 이루어지고 미립자의 퇴적물이 생성되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을 반복시켜 상기 석영관의 내벽에 크래드층과 코아층을 증착시키는 제6과정, 상기 버너는 상기 제6과정의 결과물을 다시 높은 온도로 가열해서 연화시키고, 내부공간을 응축시키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스는 적은 유량으로 증착 및 응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액화석유가스 또는 메탄가스 또는 프로판가스가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버너는 상기 석영관의 표면온도를 1900℃로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유량제어부에서 천연가스를 60∼70(l/분)의 유량을 공급받아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가스유량제어부는 상기 천연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량만큼 상기 버너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 가스유량제어부는 100(l/분)의 천연가스를 상기 버너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2250℃∼2350℃의 온도를 유지하고, 매분 8cm 속도 또는 매분 4cm 속도 또는 매분 1.5cm 속도로 이동하면서 상기 석영관을 가열하여 응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 상기 버너는 석영관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밀봉시키기 위하여 30RPM 및 매분 0.8cm 속도로 이동하면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KR1019970001473A 1997-01-20 1997-01-20 광섬유모재제조방법 KR10028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473A KR100288739B1 (ko) 1997-01-20 1997-01-20 광섬유모재제조방법
DE19800935A DE19800935A1 (de) 1997-01-20 1998-01-13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orform optischer Fasern
FR9800496A FR2758549B1 (fr) 1997-01-20 1998-01-19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reforme de fibres optiques
CN98105648A CN1195110A (zh) 1997-01-20 1998-01-20 光学纤维预制体的制造方法
GB9801084A GB2321243B (en) 1997-01-20 1998-01-20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re preform
JP10008392A JPH10203842A (ja) 1997-01-20 1998-01-20 光ファイバ母材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473A KR100288739B1 (ko) 1997-01-20 1997-01-20 광섬유모재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24A true KR19980066124A (ko) 1998-10-15
KR100288739B1 KR100288739B1 (ko) 2001-05-02

Family

ID=1949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473A KR100288739B1 (ko) 1997-01-20 1997-01-20 광섬유모재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0203842A (ko)
KR (1) KR100288739B1 (ko)
CN (1) CN1195110A (ko)
DE (1) DE19800935A1 (ko)
FR (1) FR2758549B1 (ko)
GB (1) GB23212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070B1 (ko) * 2001-10-30 2003-09-19 엘지전선 주식회사 코어프리폼과 클래드 튜브 접합시 경계면에서의 수분침투방지방법
KR100490135B1 (ko) * 2001-11-12 2005-05-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비원율 개선을 통한 편광모드 분산 특성 향상을위한 광섬유 모재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2429B2 (ja) * 2001-02-19 2011-08-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US20050180675A1 (en) * 2004-02-12 2005-08-18 Panorama Flat Limited, A Western Austral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ructured waveguide including performance_enhancing bounding region
US20050180722A1 (en) * 2004-02-12 2005-08-18 Panorama Flat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ructured waveguide transport
US20050180723A1 (en) * 2004-02-12 2005-08-18 Panorama Flat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ructured waveguide including holding bounding region
CN104129915A (zh) * 2014-08-18 2014-11-05 苏州新协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预制棒的新型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472A (en) * 1979-02-22 1980-10-28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forming a substantially continuous optical waveguide
JPS5614443A (en) * 1979-07-17 1981-0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anufacture of preform for optical fiber
US4280829A (en) * 1980-05-12 1981-07-28 Corning Glass Works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al pressure of a bait tube
US4310339A (en) * 1980-06-02 1982-01-12 Corning Glass 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optical waveguide preform having a continuously removable starting member
JPS60122740A (ja) * 1983-12-07 1985-07-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用ス−トの製造方法
JPS6117432A (ja) * 1984-07-02 1986-0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JP3118822B2 (ja) * 1990-09-07 2000-12-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US5397372A (en) * 1993-11-30 1995-03-14 At&T Corp. MCVD method of making a low OH fiber preform with a hydrogen-free heat sour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070B1 (ko) * 2001-10-30 2003-09-19 엘지전선 주식회사 코어프리폼과 클래드 튜브 접합시 경계면에서의 수분침투방지방법
KR100490135B1 (ko) * 2001-11-12 2005-05-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비원율 개선을 통한 편광모드 분산 특성 향상을위한 광섬유 모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801084D0 (en) 1998-03-18
FR2758549B1 (fr) 1999-10-08
GB2321243B (en) 1999-08-25
KR100288739B1 (ko) 2001-05-02
CN1195110A (zh) 1998-10-07
FR2758549A1 (fr) 1998-07-24
JPH10203842A (ja) 1998-08-04
GB2321243A (en) 1998-07-22
DE19800935A1 (de) 199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7179A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preform for optical fiber
US20100287993A1 (en) Optical fiber manufacture
JP2007513862A (ja) アルカリがドープされた光ファイバ、その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の作成方法
US4504297A (en) Optical fiber preform manufacturing method
CN107107102B (zh) 增强的颗粒沉积系统和方法
US882012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base material
CN102320732A (zh) 一种制备光纤预制棒的方法
KR100288739B1 (ko) 광섬유모재제조방법
WO2002090273A1 (en) Method and use of a feedstock for making silica glass
CN1598629A (zh) 低耗光纤及制造光纤预制棒的方法
US20080028799A1 (en) Optical fiber preform manufacturing method
CN1111514C (zh) 一种制作大型光纤预制棒的方法
KR100277358B1 (ko) 화학기상증착방법에 의한 광섬유모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521958B1 (ko) 수정화학기상증착법에 있어서 이중토치를 이용한 광섬유모재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4124198B2 (ja) 脱水及び脱塩素工程を含むmcvd法を用いた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光ファイバ
CN1337367A (zh) 一种光纤预制棒的制造方法
KR100315475B1 (ko)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KR100802815B1 (ko) Mcvd 공정을 이용한 저 수산기 농도를 갖는 광섬유모재의 제조방법
CN109399909B (zh) 一种pcvd工艺制作低羟基光纤预制棒芯棒的方法
JPH06321553A (ja) フッ素ドープ石英ガラスの製造方法
KR100619332B1 (ko) 수정화학기상증착공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방법 및이의 제조를 위한 전기로
DK158719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formemneroer til optiske fibre
JPS63256545A (ja) 光フア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RU254671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ветоводов на основе кварцевого стекла, легированного дейтерием
JPH01201045A (ja) 酸化ゲルマニウム系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