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801U -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801U
KR19980065801U KR2019970010121U KR19970010121U KR19980065801U KR 19980065801 U KR19980065801 U KR 19980065801U KR 2019970010121 U KR2019970010121 U KR 2019970010121U KR 19970010121 U KR19970010121 U KR 19970010121U KR 19980065801 U KR19980065801 U KR 199800658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sliding member
coupled
insertion groove
protrud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기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10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801U/ko
Publication of KR19980065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801U/ko

Link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턱을 X 방향으로 저면에 형성하고, 상면에는 Y 방향으로 돌출턱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턱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저면에 형성된 수평대와, 다수의 체결공 들이 관통 형성된 수직대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키이홈 들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지지 브라켓을 X 또는 Y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인접 부재 들과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키이 너트;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가공 공작물의 고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부착 결합되는 고정 부재나, 가공 공작물의 가공 위치를 셋팅할 때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본 고안은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가공 공작물에 대응하여 이 들을 고정하거나 작업 위치를 결정하는 데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그 유니트(Jig Unit)는 대량으로 제작되는 가공 공작물을 균일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절삭 공구 등의 제어 및 안내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주로 기계 가공이나 용접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서 차체 패널(Panel)을 용접할 때 전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차량 조립용 지그 유니트의 실시예를 도 1 및 도 2 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서 보면, 종래의 지그 유니트(10)는, 수평대(2a)와 수직대(2b)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2)과, 상기 지지 브라켓(2)의 수직대(2b)의 취부면에 나사(3) 등에 의하여 가공 공작물(6)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2)의 수평대(2a)는 정반(1)위에 나사(5) 등으로 직접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브라켓(2)의 수직대(2b) 취부면에는 상기 고정 부재(4) 대신에 용접 등의 가공 위치 등을 셋팅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 핀(8)을 부착 사용하기도 하는 데, 이의 선단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거나 수직이나 수평 방향 등 어느 한 쪽 방향으로만 제한적으로 핀 부재(8a)를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 조립용 지그 유니트(Jig Unit)(10)는 지지 브라켓(2)의 수직대(2b) 취부면 위에 고정 부재(4)나 위치 결정 핀(8)을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시켜 차체 프레임 등의 가공물(6)을 고정하거나 용접 등의 작업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그 유니트(10)는 해당 차종에만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트의 종료 후에는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 처분할 수 밖에 없어서 차량의 대량 생산에 따른 조립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차종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가변 조절케하여 가공 공작물을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러 차종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가변 조절케하여 가공 작업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는, 상면에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턱을 X 방향으로 저면에 형성하고, 상면에는 Y 방향으로 돌출턱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턱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저면에 형성된 수평대와, 다수의 체결공 들이 관통 형성된 수직대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키이홈 들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지지 브라켓을 X 또는 Y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인접 부재 들과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키이 너트;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가공 공작물의 고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부착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는, 상면에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턱을 X 방향으로 저면에 형성하고, 상면에는 Y 방향으로 돌출턱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턱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저면에 형성된 수평대와, 다수의 체결공 들이 관통 형성된 수직대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키이홈 들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지지 브라켓을 X 또는 Y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인접 부재 들과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키이 너트; 및 가공 공작물의 가공 위치를 셋팅할 때 다양한 가공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결정하게 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 조립용 지그 유니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차량 조립용 지그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결합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A - A 선 단면도.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지지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의 위치 결정 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15 : 체결 수단, 16 : 가공 공작물,
20 : 베이스 부재, 22, 24, 42, 44 : 키이홈,
26, 61 : 삽입홈, 30, 50 : 키이 너트,
40 : 슬라이딩 부재, 46, 48 : 돌출턱,
60, 600 : 지지 브라켓, 62, 620 : 수평대,
64, 640 : 수직대, 65, 66, 650 : 체결공,
70 : 고정 부재, 80 : 위치 결정 수단,
82 : 회전 부재, 82a, 82b : 안착공,
84 : 핀 하우징, 86 : 셋팅 핀,
100 : 가변 지그 유니트, 630 : 장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도 4 의 A - A 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100)는, 정반(11) 위에 베이스 부재(20)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상면 중앙에는 X 방향으로 삽입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6)의 양 옆에 동일 방향으로 키이홈(22)(24)이 키이 너트(3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20) 위에는 슬라이딩 부재(40)가 X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데,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저면에는 삽입홈(26)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턱(46)을 X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반면, 그 상면에는 Y 방향으로 다른 돌출턱(4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48)의 양옆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른 키이홈(42)(44)이 다른 키이 너트(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Y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40) 위에는 지지 브라켓(60)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60)은 그 저면에 슬라이딩 부재(40)의 돌출턱(48)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61)이 형성된 수평대(62)와, 다수의 체결공(65)(66) 들이 관통 형성된 수직대(6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평대(62) 및 수직대(64)는 높이가 서로 다른 삼각 지지대(68)(69)로 덧대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이 너트(30)(50) 들의 상면 양단에는 각 각 체결공(32)(52)이 형성되어, 나사 등의 체결 수단(13)(15)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20) 위에 슬라이딩 부재(40)를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부재(40) 위에서 지지 브라켓(60)를 Y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 브라켓(60)의 체결공(66)에는 가공 공작물(16)을 지지하며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70)가 체결 수단(17)에 의하여 부착 결합된다.
한편, 도 6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600)의 수평대(620) 위에 만곡된 복수의 장공(630)을 일정 간격을 두고 더 구비시키면, 지지 브라켓(600) 자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가공 공작물(16)의 고정 위치를 좌, 우로 변동시킬 수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및 도 8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호 80 은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이는 가공 공작물(16)의 가공 위치를 셋팅(Setting)할 때 다양한 가공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결정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위치 결정 수단(80)은 지지 브라켓(60)의 체결공(66)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82)와, 상기 회전 부재(82)에 신축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핀 하우징(84)과, 상기 핀 하우징(84)의 선단에 신축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셋팅 핀(86)을 포함한다.
여기서, 핀 하우징(84)의 일측에는 체결공(84a)을 형성하여 셋팅 핀(86)의 길이를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88)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핀 하우징(84) 자체의 길이도 회전 부재(82)에 형성된 체결공(82c) 내에 다른 고정 수단(87)을 삽입시켜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 부재(82)의 외주면에는 핀 하우징(84)이 삽입 고정되는 안착공(82a)(82b)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면, 더욱 더 가변적으로 공작물의 작업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물론, 도 7 에서와 같은 지지 브라켓(600)에 위치 결정 수단(80)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100)는, 고정 부재(70)로써 차체 패널 등의 가공 공작물(16)을 용접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하여 고정시킬 때 여러 작업 방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40)나 지지 브라켓(60)(600)을 X 방향 이나 Y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차종의 프로젝터가 종료하여 크기가 다른 가공 공작물(16)로 대치되더라도 여기에 맞는 고정 부재(70)만 간단히 교체시키면 된다.
한편, 가공 공작물(16)의 작업 위치를 셋팅할 때에도 상기 지지 브라켓(60)(600)에 고정 부재(70)를 대신하여 위치 결정 수단(80)을 교체 사용하면, 종래와 같이 한 방향으로만 고정된 위치 결정핀을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하던 번거러움을 해소하여 장착된 상태에서 그대로 길이 및 방향을 다양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공 공작물을 일정하게 고정시키거나 작업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때 공작물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대응하도록 적절히 가변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재사용에 따른 경제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상면에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턱을 X 방향으로 저면에 형성하고, 상면에는 Y 방향으로 돌출턱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턱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저면에 형성된 수평대와, 다수의 체결공 들이 관통 형성된 수직대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키이홈 들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지지 브라켓을 X 또는 Y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인접 부재 들과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키이 너트;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가공 공작물의 고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부착 결합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평대 위에 만곡된 복수의 장공을 일정 간격을 두고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3. 상면에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홈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출턱을 X 방향으로 저면에 형성하고, 상면에는 Y 방향으로 돌출턱 및 복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턱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저면에 형성된 수평대와, 다수의 체결공 들이 관통 형성된 수직대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키이홈 들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지지 브라켓을 X 또는 Y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인접 부재 들과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키이 너트; 및 가공 공작물의 가공 위치를 셋팅할 때 다양한 가공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결정하게 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신축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의 선단에 신축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셋팅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핀 하우징이 삽입 고정되는 안착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평대 위에 만곡된 복수의 장공을 일정 간격을 두고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KR2019970010121U 1997-05-08 1997-05-08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KR199800658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121U KR19980065801U (ko) 1997-05-08 1997-05-08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121U KR19980065801U (ko) 1997-05-08 1997-05-08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801U true KR19980065801U (ko) 1998-12-05

Family

ID=6968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121U KR19980065801U (ko) 1997-05-08 1997-05-08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80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84B1 (ko) * 2013-07-16 2014-10-16 길엔지니어링(주) 헤드램프 조립 지그장치
KR102186588B1 (ko) * 2019-09-19 2020-12-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찰교반용접용 백킹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460019B1 (ko) * 2021-10-28 2022-12-02 박원학 머신센터용 가공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84B1 (ko) * 2013-07-16 2014-10-16 길엔지니어링(주) 헤드램프 조립 지그장치
KR102186588B1 (ko) * 2019-09-19 2020-12-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찰교반용접용 백킹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460019B1 (ko) * 2021-10-28 2022-12-02 박원학 머신센터용 가공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348A (en) Adjustable clamping stand for supporting automobile panels
US5924827A (en) Drill press having pivotable table
JPH08118174A (ja) 取付補助部材
US4078474A (en) Three dimensional duplicator assembly
KR19980065801U (ko) 차량 조립용 가변 지그 유니트
JP2930712B2 (ja) パラレル―及びアングルストッパ
US4564181A (en) Bench
US5318392A (en) Adjustable fence for drill press
US4591305A (en) Milling fixture with a manual top spindle molder
JP2779247B2 (ja) 割り出し装置
CN207771388U (zh) 一种适用于机床的v型辅助安装机构
JP7128513B2 (ja) 工具
JPH0645842Y2 (ja) 測長装置
KR100187819B1 (ko) 자동차의 점토 모델 가공용 지그
CN219684297U (zh) 一种便于装夹的紫外激光打标机
KR970003153Y1 (ko) 밀링용 치구
KR920005797Y1 (ko) 탁상 절단기의 가공물 고정장치
KR200181725Y1 (ko) 액정 모니터의 경사조절용 픽처 구조
JPS61236409A (ja) 治具
JPH1110427A (ja) 眼鏡レンズ用溝切削機械
KR200330854Y1 (ko) 외각 면취장치
KR100195025B1 (ko) 차량실내등 브라켓트 셋팅게이지
JPH06262415A (ja) 携帯電動ドリル用誘導定規
KR19980034770U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범용 차체 지그
JPH04350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