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675U - 리시버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리시버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675U
KR19980065675U KR2019970009923U KR19970009923U KR19980065675U KR 19980065675 U KR19980065675 U KR 19980065675U KR 2019970009923 U KR2019970009923 U KR 2019970009923U KR 19970009923 U KR19970009923 U KR 19970009923U KR 19980065675 U KR19980065675 U KR 199800656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p
refrigerant
hollow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웅
홍순래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70009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675U/ko
Publication of KR19980065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75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시버 드라이어가 개시된다. 이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공에 설치되어 냉매가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부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된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설치되며, 상기 흡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까지 연장된 냉매의 유출관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설치되며, 상기 흡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까지 연장된 냉매의 유입관을 포함하여 된다.

Description

리시버 드라이어.
본 고안은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냉각시스템에 이용되어 열교환매체로부터 수분과 이물을 흡수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기 위한 냉, 난방시스템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냉방시스템은 통상적인 냉동사이클에 의해 열교환 매체를 순환시켜 열교환을 행하게 되는데, 도 1은 이러한 냉방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냉방시스템은, 증발기(11), 압축기(12), 응축기(13), 리시버 드라이어(14), 교축밸브(15)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관(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열교환매체가 상술한 각각의 구성요소(11)(12)(13)(14)(15)(16)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사이클을 형성하면서 외부와 열전달을 행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열교환매체는 증발기(11)를 통과하면서 외부로부터 증발잠열을 흡수하여 기화된 후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고압의 열교환매체는 응축기(13)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11)로부터 흡수한 증발잠열과 압축기(12)의 일양에 해당하는 열이 방출되어 응축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된 열교환매체는 교축밸브(15)를 통과하여 기화점이 낮은 상태로 상기 증발기(11)에 공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순환 사이클을 이루면서 외부와 열교환을 행하게 된다.
하지만, 수분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열교환매체가 상술한 바와 같은 순환사이클을 통해서 순환할 때, 상기 이물질은 열교환매체에 비해 상변화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열교환매체가 상기 순환사이클을 순환하는 동안 전체적인 열전달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특히, 비압축성인 수분이 포함된 열교환매체가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될 때, 압축성이 나빠지게 되어 고온고압의 열교환매체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더우기, 압축기(12)가 과다한 부하를 받게 되면, 그 성능이 나빠지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응축기(13)와 교축밸브(15)를 연결하는 연결관(16)의 소정 부위에 리시버 드라이어(14)를 설치하여 열교환매체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도 2는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21)와, 이 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매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부(22)와, 상기 본체(2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냉매의 유입관(23) 및 유출관(24)이 형성된 상부캡(25)을 구비하여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1)의 내부는 상기 흡습부(22)에 의해 상부공간부(26)와 하부공간부(27)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흡습부(22)는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하부 배플(28a)(28b) 및 이 상,하부 배플(28a)(28b)사이에 흡습제(29)가 채워져서 냉매가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25)에는 냉매의 유입관(23) 및 유출관(24)이 설치되어 본체(21)의 내부에 냉매를 유,출입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23)은 상기 상부캡(25)의 외부로부터 본체(21) 상부공간부(26)의 소정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출관(24)의 일단은 흡습부(22)를 관통하여 본체(21)의 하부공간부(27)까지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냉매가 유입관(23)을 통해 상부공간부(26)로 유입된 후, 흡습부(22)를 통과하여 흐르면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 본체(21)의 하부공간부(27)로 모여서 유출관(24)을 통해 본체(21)의 외부로 유출된다.
하지만,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는, 몸체(21)의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인 일체형이므로, 그 성형 및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제조과정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본체(2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25)에 유입관(23) 및 유출관(24)이 같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각 시스템에서, 응축기(13)와 리시버 드라이어(14)를 연결하는 연결관(16)의 배열이 복잡해져서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용 냉각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도시한 일부절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제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증발기12.압축기
13.응축기14.리시버 드라이어
15.교축밸브16.연결관
21,31.본체22,32.흡습부
23,35.유입관24,33.유출관
25,34.상부캡26,37a.상부공간부
27,37b.하부공간부28a,38a.상부배플
28b,38b.하부배플29,39.흡습제
37.중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공에 설치되어 냉매가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부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된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설치되며, 상기 흡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까지 연장된 냉매의 유출관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에 설치되며, 상기 흡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까지 연장된 냉매의 유입관을 포함하여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리시버 드라이어는, 중공(37)을 가지는 원통형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중공(37)에 설치되는 흡습부(32)와, 상기 본체(31)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며 냉매의 유출관(33)을 구비한 상부캡(34)과, 상기 본체(31)의 개구된 하부에 결합되며 냉매의 유입관(35)을 구비한 하부캡(36)을 포함하여 된다.
상기 본체(31)는 그 내부에 중공(37)을 가지는 원통형으로서, 그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습부(32)가 상기 본체(31)의 중공(37)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37)을 상부공간부(37a)와 하부공간부(37b)로 구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습부(32)는 예컨대, 상기 중공(37)에 대응한 형상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을 가지는 상,하부 배플(38a)(38b)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중공(37)에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 배플(38a)(38b) 사이에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39)가 채워진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 배플(38a)(38b)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중공(37)에서 흡습부(32)의 위치는 상기 본체(31)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34)은 상기 본체(31)의 개방된 상부에 예컨대, 브레이징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31)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31)에는 냉매의 유출관(33)이 설치되는데, 그 일단은 상기 상부캡(33)의 상부에 돌출되며, 그 타단은 상기 본체(31)의 중공(37)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흡습부(32)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31)의 하부공간부(37b)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유출관(33)은 상기 본체(31)의 내부벽면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36)은 상기 본체(31)의 개구된 하부에 예컨대, 브레이징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31)의 개구된 하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36)에는 냉매의 유입관(35)이 설치되는데, 그 일단은 상기 하부캡(36)의 하부에 돌출되며, 그 타단은 상기 본체(31)의 중공(37)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흡습부(32)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공간부(37a)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35)은 상기 본체(31)의 내부벽면에 접촉되며, 상부공간부(37a)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각시스템에서, 증발기(11)에서 기화된 냉매가 압축기(12)에서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된 후 응축기(13)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액상으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3)를 통과한 냉매는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유입관(35)을 통하여 몸체(31)의 내부로 유입되어 흡습부(32)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후 유출관(33)을 통해 유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35)은 본체(31)의 상부공간부(37a)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그 출구가 본체(31)의 내부벽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이 출구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본체의 내부벽면을 타고 흘러내려서 거품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36)에 하부에 유입관(35)의 입구가 설치되며, 상부캡(34)의 상부에 유출관(3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관(35)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각시스템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관(35)을 별도의 연결관 없이 응축기(13)의 출구와 직접 연결시키며, 상기 유출관(33)을 증발기(15)와 연결되는 연결관(16)에 연결시킴으로써, 그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34)과, 상기 몸체(31)의 개구된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35)을 각기 달리 성형한 후 예컨대, 브레이징 등의 결합방법으로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개방된 상, 하부를 가지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부캡 및 하부캡으로 각각 구분되어 있으므로 그 성형 및 제작이 용이하다.
둘째,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셋째, 유입관이 본체 내부벽면을 따라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냉매가 본체의 내부벽면을 타로 흘러내리게 되어 거품 등이 발생하지 않아 그 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2)

  1.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통형 본체;
    상기 본체의 중공에 설치되어 냉매가 통과할 때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에 설치되며, 상기 흡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까지 연장된 냉매의 유출관;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 하부캡;
    상기 하부캡에 설치되며, 상기 흡습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까지 연장된 냉매의 유입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본체의 내부벽면를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KR2019970009923U 1997-05-06 1997-05-06 리시버 드라이어 KR199800656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23U KR19980065675U (ko) 1997-05-06 1997-05-06 리시버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23U KR19980065675U (ko) 1997-05-06 1997-05-06 리시버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75U true KR19980065675U (ko) 1998-12-05

Family

ID=6967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923U KR19980065675U (ko) 1997-05-06 1997-05-06 리시버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6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13826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US5787573A (en) Method of making air conditioner receiver dryer
KR19980065675U (ko) 리시버 드라이어
KR200436233Y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머플러
KR100340420B1 (ko) 건조기 일체형 과냉각 응축기
KR200347061Y1 (ko) 리시버드라이어 여과장치
KR200153779Y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열교환기
KR100864841B1 (ko) 열교환기 조립체
KR19980024698U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372350Y1 (ko) 리시버드라이어여과장치
KR20070025712A (ko) 에어컨 리시버 드라이어
KR10100102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응축기
KR200341734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KR200287956Y1 (ko) 자동차공기조화장치용리시버드라이어
KR200158736Y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340633Y1 (ko) 에어컨의 응축기용 수액기
KR19980066843U (ko) 공기조화 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9990032502U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00020713A (ko) 건조기 일체형 응축기
KR100427061B1 (ko) 자동차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70039843A (ko) 냉장고
KR100200660B1 (ko) 열교환 리시버 드라이어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에어 콘디셔너 장치
KR100200659B1 (ko) 열교환 리시버 드라이어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에어 콘디셔너 장치
KR20060096649A (ko) 에어컨용 수액기
KR100192264B1 (ko) 자동차 공기조화기 리시버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