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273A -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273A
KR19980064273A KR1019970070018A KR19970070018A KR19980064273A KR 19980064273 A KR19980064273 A KR 19980064273A KR 1019970070018 A KR1019970070018 A KR 1019970070018A KR 19970070018 A KR19970070018 A KR 19970070018A KR 19980064273 A KR19980064273 A KR 19980064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ip
probe
cover memb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토바가즈나리
지쿠하라히로후미
구사카베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모리타류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모리타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268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10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363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74693A/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타류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모리타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모리타류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8006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3Depth measuring of periodontal pockets; Prob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61B2562/0238Optical sens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transmission measurements on body tissue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진단용의 치근막 공동(空洞)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는 정면 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갖는 메인 핸드피스 유닛, 이 커버부재의 정면 단부에 설치되며, 이 커버부재의 세로방향으로 활동(滑動) 가능한 조작부재, 이 조작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정면 단부로부터 돌출된 가요성 슬리브 및 이 슬리브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며, 첨단에서 상기 슬리브의 첨단으로부터 노출 가능한 탐침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은 조작부재와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정면 단부 방향으로 미는 활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런 구성에 의해 탐침의 첨단이 치근막 공동의 바닥에 삽입되고, 슬리브의 첨단이 치경의 상변부에 접촉될 때, 탐침의 첨단과 슬리브의 첨단 사이의 위치 차이를 검출하여 환자의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측정할 때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본 발명은 치과 진단용의 치근막 공동(空洞)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근막 질병으로 야기된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은 치과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진단 활동 중 하나이다. 종래의 측정장치는 핸드피스의 첨단에 위치하는 탐침과 이 탐침을 커버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탐침과 상기 슬리브는 서로 비교적 활동(滑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탐침의 첨단이 치근막 공동의 바닥과 접촉하고, 슬리브의 첨단이 치경(잇몸)의 상변부에 접촉할 때 탐침의 첨단과 슬리브의 첨단 사이의 위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일본실용신안공보 53-14069, 일본특허공보 62-24098 및 실용신안공보 62-32018 참조).
그러나, 이런 종래의 장치에서는 탐침의 방향이 메인 핸드피스 유닛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탐침을 조작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환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핸드피스의 일부를 압열멸균기로 용이하게 살균할 수 없다. 또한, 매커니즘이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크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
부가적으로, 여러 가지 장치들이 필요에 따라 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로 제안되었다(일본공개특허공보 59-40102 참조). 그러나, 이런 장치들은 지정된 형식에 따라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없고, 데이터 처리와 같은 진단에 따른 사무 작업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살균될 수 있는 위생적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장치를 사용하여 진단하는데 따른 사무 작업을 합리화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handpiece)의 정면 단부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2는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전체 단면도,
도 3은 또한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전체 단면도,
도 4는 핸드피스의 후면 단부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의 선 A-A에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핸드피스의 정면 단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2의 선 B-B에서 취한 단면도,
도 8은 측정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9는 별도로 제공된 제어유닛의 전체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10은 제어유닛의 메인 유닛의 외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a는 제어유닛에 사용된 검사결과 테이블 형식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b는 제어유닛에 사용된 검사결과 테이블 형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제어유닛의 표시부상의 표시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제어유닛의 기본적인 구강 검사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및
도 14는 또한 제어유닛의 기본적인 구강 검사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피스 1A : 메인 핸드피스 유닛
1B : 커버 부재 2 : 활성수단
3 : 센서 4 : 코드(cord)
5 : 탐침 6 : 슬리브
7 : 조작부재 29 : 링형 조작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는 정면 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갖는 메인 핸드피스 유닛, 이 커버부재의 정면 단부에 설치되며, 이 커버부재의 세로방향으로 활동(滑動) 가능한 조작부재, 이 조작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정면 단부로부터 돌출된 가요성 슬리브 및 이 슬리브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며, 첨단에서 상기 슬리브의 첨단으로부터 노출 가능한 탐침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은 조작부재와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정면 단부 방향으로 미는 활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수단은 푸싱(pushing) 부재를 가지며, 푸싱 부재와 가동부가 접촉하여 정면 단부 방향으로 가동부가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슬리브의 첨단이 탐침의 첨단이 정렬되거나 또는 거의 정렬되는 위치에서 가동부의 움직임을 멈추기 위해 한정수단을 갖는다. 이 한정수단은 메인 핸드피스 유닛에 제공되며, 지정된 위치에서 정면 단부 방향으로 푸싱 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구조에서는 탐침의 첨단이 치근막 공동의 바닥에 삽입되고, 슬리브의 첨단이 치경의 상변부와 접촉할 때 탐침의 첨단과 슬리브의 첨단 사이의 위치 차이를 검출하여 환자의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측정할 때 조작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는 메인 핸드피스 유닛에 제공된 고정부, 활성수단의 푸싱 부재에 연결되며 푸싱 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한 이동부의 변위를 검출하고, 슬리브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이런 구조에서는 치근막 공동의 깊이에 대한 측정결과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부재는 메인 핸드피스 유닛의 세로축에 대하여 슬리브 및 탐침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메인 핸드피스 유닛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런 구조에서는 치아의 방향에 따른 바람직한 방향으로 탐침이 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치근막 공동 측정은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게다가, 메인 핸드피스 유닛의 정면 단부와 다른 부재들을 덮는 커버부재는 떼어내서 살균될 수 있다. 특히, 내열재료로 구성된 커버부재, 탐침 및 조작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압열멸균기에 의한 살균이 고온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하고 위생적인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메인 핸드피스 유닛은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른 슬리브 첨단의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측정회로를 갖고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핸드피스가 전지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다. 게다가, 측정회로는 메인 핸드피스 유닛과는 별개로 제공된 제어유닛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드피스를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별도로 제공되는 제어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되는 치아의 치아 수와 각 측정위치에서의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나타내는 지정된 형식으로 측정회로에 의해 얻어진 계산결과가 용이하게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기능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처리와 같은 서무 작업의 수고를 줄일 수 있고, 대용량의 제어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왼쪽과 오른쪽은 정면측과 후면측으로 인용되고, 그에 따라서 정면 단부 및 후면 단부와 같은 용어들이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용부호 1은 메인 핸드피스 유닛(1A)과 이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의 정면 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연필모양의 핸드피스를 나타낸다. 인용부호 2는 활성수단을 나타내고, 인용부호 3은 센서를 나타낸다. 이들은 메인 핸드피스 유닛(1A)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의 연결을 위한 코드(cord)(4)가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의 후면 단부에 설치된다. 부가적으로 인용부호 5는 탐침을 나타내고, 인용부호 6은 슬리브를 나타내며, 인용부호 7은 조작부재를 나타낸다. 이들은 커버부재(1B)에 부착되어 있다.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은 파이프형 부재(12)가 코드(4)가 설치되는 베이스부(11)의 정면 단부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파이프형 부재(12)는 베이스부(11)의 정면 단부측 주변을 완전히 커버하고,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부재(1B)의 내측 및 외측 표면의 단면 형상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 형상은 C형 또는 U형과 같은 일부분을 깍아낸 비원형이거나 다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비원형일 수 있다.
인용부호 11a는 나사결합에 의해 베이스부(11)와 파이프형 부재(12)를 결합하는 나사부를 나타낸다. 파이프형 부재(12)의 직경은 나사부(11a) 전방에서 보다 작다. 피스톤형 활동부(滑動部)(13)는 소직경부에 활동(滑動)가능하게 삽입된다. 센서(3)의 이동부(3a)는 연결 로드(rod)(14)를 통해 활동부(13)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15)은 베이스부(11)의 정면 단부 표면과 활동부(13)의 후면 단부 표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한다. 활성수단(2)은 이런 부재들을 조합하여 정면 단부 방향으로 활동부(13)를 움직이기 위해 형성된다. 게다가 센서(3)의 이동부(3a)의 정면 주변부(3b)는 베이스부(11)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계단형 부분(12b)과 접촉한다. 이런 구조는 이동부(3a), 즉 활동부(13)가 정면 단부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정수단(2a)을 제공한다.
센서(3)는 이동부(3a)와 베이스부(11)에 고정된 고정부(3c)를 포함한다. 이 이동부(3a)는 내측에 광투과창(3d)을 갖는 가느다란 프레임 형태이다. 창(3d)에서 광선이 통하지 않는 눈금 표시(도시되지 않음)가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된다. 게다가 LED(3e)와 광트랜지스터(3f)를 포함하는 광커플러가 고정부(3c)에서 사용된다. 이동부(3a)는 LED(3e)와 광트랜지스터(3f) 사이에 위치한다(도 7 참조). 따라서 이동부(3a)가 고정부(3c)에 대하여 이동할 때 LED(3e)로부터 광트랜지스터(3f)로의 입사광은 눈금 표시에 의해 차단된다. 차단 횟수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이동부(3a)의 이동 거리는 비접촉상태에서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런 검출을 위한 측정회로는 후술된다. 센서(3)는 전기적으로 코드(4)를 통하여 제어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베이스부(11)내의 리드 와이어는 도시하지 않는다.
C형 링(21a)과 C형 링 고리(21)는 파이프형 부재(12)의 후면 단부의 외측 표면에 설치된다(도 4 참조). 커버부재(1B)는 나사부(21b)를 통해 C형 링 고리(21)의 정면 단부측에 고정된다. C형 링 고리(21)의 내측 표면과 커버부재(1B)는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의 파이프형 부재(12)의 외측 표면과 맞춰지도록 파이프형태이다. 파이프형 부재(12)는 C형 링 고리(21)와 커버부재(1B)로 완전히 덮여진다. C형 링 고리(21)는 C형 링(21a)을 통해 베이스부(11)와 꼭 맞물리기 때문에 커버부재(1B)는 베이스부(11)에 대하여 C형 링 고리(21)와 함께 회전가능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베이스부(1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인용부호 25는 정면을 둘러싸는 형태를 갖는 프레임(25a)을 갖는 캡을 나타낸다. 인용부호 26은 푸시 바(push bar), 인용부호 27은 슬리브 고리, 인용부호 28은 탐침 홀더(holder), 그리고 인용부호 29는 링형 조작부를 나타낸다. 조작부재(7)는 정면 플레이트(7a)와 결합된 거의 L자형인 부재이다. 정면 플레이트(7a)가 삽입되어 그 안에서 움직이도록 어느 정도의 공간이 프레임(25a)내에 제공된다. 프레임(25a)내에 정면 플레이트(7a)를 위치시키고, 푸시 바(26)가 뒤로부터 캡(25)에 제공된 구멍(25b)을 지나, 프레임(25a)내의 공간에 위치한 정면 플레이트(7a)의 나사부(7b)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조작부재(7)는 캡(25)과 결합된다. 게다가 조작부재(7)는 커버부재(1B)의 정면 단부에 캡(25)의 나사부(25c)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캡(25)과 함께 커버부재(1B)에 설치된다.
탐침(5)은 첨단쪽으로 갈수록 끝이 점점 가늘어지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서 구부러진다. 슬리브 고리(27)는 탐침(5)이 통과할 수 있도록 파이프형태를 갖고, 정면 플레이트(7a)에 부착된다. 탐침(5)은 탐침(5)의 베이스부를 정면측으로부터 슬리브 고리(27)로 삽입하고, 캡(25)에 제공된 탐침 홀더(28)에 탐침(5)을 더욱 삽입함으로써 커버부재(1B)의 정면 단부에 설치된다. 슬리브(6)는 빽빽이 감은 강철과 같은 얇은 금속선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구부리기 쉽다. 슬리브(6)의 첨단에서 회선 직경은 탐침(5)의 형태에 따라 줄어든다. 이 슬리브(6)는 슬리브 고리(27)의 지지 포트에 탐침(5)을 덮는 슬리브(6)의 베이스부를 삽입함으로써 조작부재(7)에 부착된다.
부가적으로, 링형 조작부(29)는 커버부재(1B)의 첨단 부분과 캡(25)을 둘러싸며,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게다가, 링형 조작부(29)는 조작부(29)의 양 단부와 조작부재(7)의 측면 주변부 사이에 형성된 요철부(29a)를 통해 조작부재(7)에 떼어낼 수 있게 맞물린다(도 5 참조).
살균되는 커버부재(1B), 조작부재(7), 캡(25) 및 링형 조작부(29)는 내열 재료로 구성되어 베이스부(11)로부터 탐침(5) 및 슬리브(6)와 함께 떼어내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압열멸균기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모든 부재를 포함하는 핸드피스의 대기상태를 보여준다. 특히, 활동부(3)는 활성수단(2)에 대한 푸싱 부재로서 기능한다. 코일 스프링(15)의 활성력에 의해 활동부(13)는 푸시 바(26)와 접촉하고, 이 푸시 바(26)를 앞쪽으로 밀어낸다. 캡(25)의 프레임(25a)내에 있는 앞뒤로 이동가능한 조작부재(7)는 정면 플레이트(7a)가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하는 프레임(25a)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미는 힘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된다. 탐침(5)과 슬리브(6)의 길이는 이들의 첨단(5a, 6a)의 위치가 이 상태에서 거의 동일하도록 결정된다.
도 3은 정면 플레이트(7a)가 캡(25)의 정면 플레이트(7a)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운영자가 링형 조작부(29)와 조작부재(7)를 조작하여 조작부재(7)가 뒤쪽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 조작에 의해 슬리브(6)는 탐침(5)에 비례하여 이동하며, 슬리브(6)의 첨단(6a)은 탐침(5)의 첨단(5a)으로부터 슬리브(6)의 이동량만큼 뒤에 위치하게 된다. 이 이동은 코일 스프링(15)의 활성력이 매끄러운 조작을 보장할만큼 충분히 약하기 때문에 매끄럽게 실행될 수 있다. 이 이동에 따라 활동부(13)는 푸시 바(26)에 의해 밀려 뒤쪽으로 이동되고, 연결 로드(14)를 통해 연결된 센서(3)의 이동부(3a)는 고정부(3c)에 비례하여 이동된다. 그 결과, 이동량에 따른 차단 신호가 고정부(3c)의 광트랜지스터(3f)로부터 출력된다.
치근막 공동 측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행해진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탐침(5)의 첨단부(5a)의 위치는 조작부재(7)의 조작에 의해 슬리브의 첨단부(6a)와 맞춰진다. 이 때 얻어진 이동부(3a)와 고정부(3c)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저장되어 원점으로 정의된다. 도 3에 도시된 조작부재(7)가 뒤쪽으로 상당히 이동된 상태에서 탐침(5)의 첨단(5a)은 환자의 치근막 공동의 바닥에 삽입되고, 슬리브(6)는 첨단(6a)이 치경의 상변부와 접촉하는 위치로 돌아간다. 이 때 얻어진 첨단(5a)과 첨단(6a) 사이의 위치 차이, 다시 말하면 원점에서 첨단(6a) 까지의 거리는 치근막 공동의 깊이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이 거리를 검출하여 치근막 공동의 깊이가 측정될 수 있다.
상기한 조작 절차를 취하여 이동부(3a)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측정회로는 도 8에 도시된 블록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용부호 35는 측정회로, 인용부호 36은 파형정형회로, 인용부호 37은 카운트 변경 검출회로, 인용부호 38은 카운터회로, 인용부호 39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조작 스위치부, 그리고 인용부호 40은 CPU를 갖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원점의 세팅은 첨단(5a)의 위치가 첨단(6a)의 위치와 맞춰지는 동안 조작 스위치부(39)의 지정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동부(3a)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신호가 또한 센서(3)로부터 출력된다. 슬리브(6)가 뒤쪽으로 이동할 때, 차단 신호가 센서(3)로부터 전송된다. 이 신호는 파형정형회로(36)에 의해 정형된다. 카운트 데이터의 변경은 카운트 변경 검출회로(37)에 의해 이동 방향에 따라 계산된다. 전체 카운트 값은 카운터회로(38)에 의해 얻어지고, 제어부(40)에 입력된다. 탐침(5)의 첨단(5a)이 치근막 공동의 바닥에 삽입되고, 슬리브(6)의 첨단(6a)이 치경의 상변부와 접촉하는 위치로 슬리브(6)의 첨단(6a)이 복귀될 때, 카운트 데이터는 차단 신호에 의해 변경된다. 카운트 데이터의 변경으로 전체 카운트 값이 얻어지고, 제어부(40)에 입력된다. 이 값을 기준으로 하여 슬리브(6) 첨단(6a)의 현재 위치, 즉 원점으로부터의 이동 거리가 계산될 수 있고, 치근막 공동의 깊이가 얻어질 수 있다.
첨단(5a)과 첨단(6a)의 정렬 위치가 상기한 설명에서 원점으로 정의되지만, 바람직한 위치를 원점으로 정의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차이는 측정 동안 보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6)가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고, 그 길이가 기존의 것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는 원점을 다시 세팅하지 않고 계산시에 보정된다.
인용부호 41은 표시부, 인용부호 42는 저장유닛, 인용부호 43은 프린터, 그리고 인용부호 44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나타낸다. 조작 스위치부(39)의 조작에 따라 진단 데이터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한 측정 결과가 표시, 저장 또는 프린트되거나 다른 컴퓨터 등으로 전송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용부호 35a는 도 8에 도시된 쇄선으로 둘러싸인 회로와 장치들을 포함하는 메인 제어유닛을 나타내고, 메인 핸드피스 유닛(1A)과는 별도로 배치된 하우징내에 수용된다. 이 경우에 센서(3)를 동작시키는 전원공급과 센서(3)의 출력은 메인 제어유닛(35a)에 핸드피스(1)를 연결하는 코드(4)를 통하여 인도되거나 전송된다. 메인 제어유닛(35a)은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로서 특별히 제작된 장치일 수도 있다. 그러나, 측정회로(35)의 대부분의 회로들은 치근막 공동 측정 외의 다른 측정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제어유닛(35a)은 다른 기능들을 가지며, 카운터 회로(38)와 같은 치근막 공동 측정회로를 부가적으로 갖는 의료 진단 장치일 수 있다. 다른 기능들을 갖는 메인 제어유닛(35a)의 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 기술된다.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이 코드(4)를 통해 메인 제어유닛(35a)에 연결되는 상기 시스템에서는 핸드피스(1)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핸드피스(1)의 조작성능은 코드(4)로의 연결 때문에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핸드피스(1)를 원점을 세팅하는 기능과 이 원점에 대한 슬리브(6) 첨단(6a)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측정하는 기능에 필요한 최소한의 회로를 갖는 제어 PC 보드를 설치하고, 핸드피스(1)에 작은 전지를 설치하여 핸드피스(1)를 전지식으로 구성할 때 상기 조작성능은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적절한 수단을 채택하여 측정이 끝나고, 핸드피스(1)를 또한 스탠드로서 사용되는 충전기에 위치시킬 때 임시 저장된 측정결과 데이터가 별도로 설치된 제어유닛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센서(3)의 구조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형태 외의 디지털 형태 또는 차동 변환기 형태와 같은 아날로그 형태 등의 적절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측정회로(35)는 센서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도시된 핸드피스(1)가 상기한 구조이면, 실제 사용할 때 다양한 기능들을 인도할 수 있다. 먼저, 슬리브(6)는 빽빽이 감은 얇은 금속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매우 유연하고, 탐침(5)이 구부러진 경우에도 조작부재(7)의 조작 동안 탐침(5)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이 방해받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가요성 슬리브(6)로서 예를 들면 얇은 벽을 갖고, 불소 수지로 구성된 파이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의 방향이 코드(4)와의 연결 때문에 용이하게 변경될 수 없을지라도 커버부재(1B)는 베이스부(11)에 대해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에 대해 슬리브(6)와 탐침(5)과 함께 적절히 회전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부재(1B)가 탐침(5)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캡(25)에 대해 탐침(5)만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탐침(5)은 치아의 방향에 따라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치근막 공동 측정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부재(7)에 떼어낼 수 있는 링형 조작부(29)를 설치함으로써 조작부재(7)는 조작부재(7)의 실제 방향에 관계없이 커버부재(1B)의 주변 전체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조작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29)는 필요가 없으면 떼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떤 방해도 야기되지 않는다.
게다가, 캡(25)은 커버부재(1B)의 첨단에 설치된다.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의 파이프형 부재(12)와 그 첨단에 위치한 활동부(13)는 커버부재(1B)로 완전히 덮여지고, 캡(25), 파이프형 부재(12) 및 활동부(13)는 측정 동안 환자의 입과 접촉하지 않으며, 환자의 타액, 피 등은 파이프형 부재(12)와 활동부(13)에 들어가지 않는다. 환자의 입과 접촉할 수도 있는 커버부재(1B), 조작부재(7) 및 캡(25)은 탐침(5) 및 슬리브(6)와 함께 베이스부(1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압열멸균기에 의해 용이하게 살균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조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장치를 얻는데 상당히 효율적이다. 게다가, 슬리브(6)는 슬리브 고리(27)에 간단히 삽입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고, 각 환자에게 사용한 후 쉽게 버릴 수 있다.
활동부(13)는 푸시 바(26)를 완전히 밀어내어 거기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1B), 슬리브(6) 및 탐침(5)이 메인 핸드피스 유닛(1A)에 대해 회전하거나 베이스부(11)로부터 떼어낼 때 활동부(13)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한정수단(2a)은 센서(3)의 이동부(3a)의 정면 주변부(3b)와 베이스부(11)의 계단형 부분(12b)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커버부재(1B) 등이 제거된 때에도 활동부(13)가 파이프형 부재(12)로부터 정면 단부쪽으로 갑자기 뛰어나가는 것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메인 제어유닛(35a)이 이하에 기술된다. 이 예는 모빌리티(mobility) 및 치태 억제의 검사뿐만 아니라 치근막 공동 측정에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메인 제어유닛(35a)은 복수의 진단 항목에 대한 검사결과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이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이 검사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용부호 51은 마이크로폰(51a)에 연결된 오디오입력회로, 인용부호 52는 스위치(52a, 52b)를 갖는 발판, 인용부호 53은 오디오 출력부, 그리고 인용부호 39a, 39b 등은 조작 스위치부(39)의 복수의 입력 스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장치들과 상기 회로들은 제어부(40)에 연결된다. 도 10은 메인 제어유닛(35a)의 외관을 보여준다. 하우징의 정면에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형성된 표시부(41)와 복수의 입력 키를 포함하는 조작 스위치부(39)가 제공된다. 도 9에서 쇄선으로 둘러싸인 회로는 이 하우징내에 수용된다. 이 예에서 프린터(43)는 메인 제어유닛(35a)내에 제공되지는 않는 외부 프린터이다.
인용부호 44a는 다른 장치로의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 입출력단을 나타낸다. 이 단은 통신수단(44)을 통하여 메인 제어유닛(35a)과, 개인용 컴퓨터와 호스트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제공된다. 이 통신수단(44)은 양방향 통신 또는 적어도 송수신 중 어느 한 쪽을 실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유선 및 무선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송수신회로와 같은 주요 부분은 메인 제어유닛(35a)에 수용될 수 있다. 프린터(43)는 또한 통신수단(44)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에 연결된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회로(51)는 예를 들면 치아 모빌리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자의 음성으로부터 얻어진 측정 결과, 즉 모빌리티 데이터는 제어부(40)에 입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치근막 공동의 깊이는 핸드피스(1)의 탐침(5) 첨단이 치근막 공동의 바닥에 삽입된 후 얻어진 탐침(5)의 첨단과 슬리브(6)의 첨단 사이의 위치 차이로서 검출될 수 있고, 이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슬리브(6)의 첨단이 치경의 상변부와 접촉하는 위치로 슬리브(6)의 첨단이 복귀한다. 검출 결과는 치근막 공동 측정회로(35)로부터 제어부(40)로 입력된다. 게다가, 예를 들어 치태 억제 검사 결과를 입력하기 위해 발판(52)이 사용된다. 스위치(52a, 52b)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치태의 존재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40)에 입력된다. 스위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입력 키(M0, M1, M2 및 M3)와 같은 조작 스위치부(39)의 스위치(39a, 39b, ...)에서 선택된 적당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된 각각의 검사결과는 조작 스위치부(39)의 입력 스위치(39a, 39b, ...) 등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41)에 표시되고, 저장유닛(42)에 저장되고, 프린터(43)로 프린트되거나 통신수단(44)에 의해 신호 입출력단(44a)으로부터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 출력된 후, 진단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상기한 입력 조작은 단지 하나의 예이다. 조작 스위치부(39)의 다양한 입력 키를 사용하여 다양한 입력 조작이 실행될 수 있다.
표시부(41)에 의한 표시와 프린터(43)에 의한 프린트 출력은 지정된 형식에 따라 실행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치과의사들에게 주지되어 있고, 의료보험을 요청하는 경우에 필요한 진료카드에 기록되도록 일본의 의료보험 시스템에 명시된 형식에 대한 예를 보여준다. 도 11A는 정밀 구강 검사에 대한 형식을 보여주며, 도 11B는 기본 구강 검사에 대한 형식을 보여준다. 검사결과는 이런 형식에 따라 프린트되기 때문에 치과의사들이 해야할 일은 프린트된 형식을 진료카드에 붙이는 것이 고작이고, 따라서 손으로 작성할 때의 많은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런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는 일본 외의 나라에서 사용될 때, 각 나라에 지정된 형식을 얻을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형식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영역(41a), 검사방법을 나타내는 영역(41b),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영역(41c) 및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영역(41d)을 가진다. 도 12는 측정 동안 얻어지는 표시부에 의한 표시의 예를 보여준다. 표시는 측정할 치아에 대해 지정된 형식에 따라 실행되기 때문에 측정은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다.
저장유닛(42)은 적어도 복수의 환자에 대한 검사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을 가지며, EEPROM과 같은 전원이 꺼진 후에도 저장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자로 형성된다. 이 예에서 저장유닛(42)은 4명의 환자에 대한 영역을 가진다. 사용할 저장영역은 조작 스위치부(39)의 M0, M1, M2 및 M3을 조작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예를 들면 전자 부저를 가지며, 검사 결과를 입력할 때 진료 항목 또는 검사 모드에 따라 여러 가지 신호음을 발생한다.
다음으로, 기본적인 검사 절차가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절차의 실행을 위해 조작될 키와 스위치들은 프로그램 등으로 지정된다. 후술하는 키와 스위치들의 조작은 단지 예일 뿐이며, 이들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피스(1)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필요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단계(S1)는 조정단계이며, 여기서 상기한 핸드피스(1)의 영점조정이 도 10에 도시된 CAL 키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조정이 완료된 후 다름 단계(S2)로 진행하기 위해 다시 CAL 키를 누른다. 예를 들어 핸드피스(1)가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형태이기 때문에 조정이 필요 없으면, 절차는 즉시 단계(S2)로 진행된다.
한 환자에 대한 이전의 검사결과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에 이미 저장되어 있고, 그 환자에 대한 검사결과를 판독하여 이 진단에 사용하는 경우에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는 단계(S2)에서 정해진다.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면, 데이터는 통신수단(44)에 의해 이 장치로 전송되고, 절차는 단계(S3)로 진행된다. 만약 필요하지 않다면, 절차는 즉시 단계(S3)로 진행된다.
단계(S3)는 진단 항목 중 하나, 즉 치태 억제, 모빌리티 및 치근막 공동의 깊이와 같은 검사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이 선택은 도 10에 도시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실행된다. 이후 절차는 선택 결과에 따라 단계(S4, S5 또는 S6)로 진행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1)의 영역(41a)은 정밀 구강 검사 형식의 일부, 즉 현재 검사하는 치아와 다음에 검사할 치아를 나타낸다. 초기에 영역(41a)의 표시에는 어떤 데이터도 나타나지 않으며, 선택된 항목에 대한 표시부와 그 항목에 대응하는 측정위치가 번쩍인다. 측정이 진행됨에 따라 이 번쩍이는 표시는 순차적으로 결과의 일정한 밝기의 표시로 변경된다. 현재 검사하는 치아에 대한 측정이 완료하면, 그 항목에 대한 표시부와 다음 치아에 대한 항목에 대응하는 측정위치가 자동적으로 번쩍이기 시작한다. 도 12는 검사가 아래턱의 치아에 대한 검사로부터 이동하여 위턱의 첫 번째 치아의 혀쪽에 위치한 중앙의 치근막 공동, 즉 위턱의 우상(右上) 영역의 여덟 번째 치아가 측정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가 번쩍이고, 이미 측정된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와 다음에 측정되는 위턱의 7번째 치아에 대한 표시는 데이터를 갖지 않는다.
치태 억제 검사가 선택되면 절차는 단계(S4)로 진행된다. 저장유닛(42)의 사용영역중 하나가 조작 스위치부(39)의 M0, M1, M2 및 M3 입력 키를 사용하여 선택되면, 영역(41c)의 선택된 사용영역에 대응하는 표시가 번쩍인다. 절차는 단계(S41)로 진행되고, 치태 입력 준비 표시가 나타난다. 다음 단계(S42)에서 치과의사는 바람직한 방법을 사용하여 치태 측정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발판(52)을 조작함으로써 측정 결과는 제어부(40)에 입력된다. 이후, 절차는 단계(S43)로 진행되고, 측정위치에 대한 치태 표시부는 입력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영역(41a)에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며, 다음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부가 번쩍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데이터가 입력인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부가 다음에 번쩍이며, 검사되는 치아의 치아수가 표시된다. 그러므로, 치과의사는 어느 치아의 어느 부분이 현재 검사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는 다음 조작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진단 항목과, 검사결과를 입력할 때의 검사모드에 따른 신호음이 오디오 출력부(53)로부터 인도되기 때문에 표시부(41)를 관찰하는 주기를 줄일 수 있고, 동작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런 방법에서 검사되는 치아에 대한 표시는 지정된 순서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며, 단계(S41) 내지 단계(S43)의 절차가 반복된다. 모든 치아에 대한 검사가 완료하면, 절차는 단계(S7)로 진행된다. 검사할 치아를 변경하거나 선택하기 위해 조작 스위치부(39)의 입력 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모빌리티 검사가 선택되고, 절차가 단계(S5)로 진행되면, 저장유닛(42)의 사용영역은 단계(S4)에서와 같이 선택되고, 모빌리티 입력 준비 표시가 단계(S51)에서 나타난다. 단계(S52)에서 치과의사는 바람직한 방법을 사용하여 모빌리티를 측정한다. 치과의사가 결과를 입력하기 위해 마이크로폰(51a)에 대고 말을 하면, 결과는 제어부(40)에 입력된다. 이후 절차는 단계(S53)로 진행된다. 이 결과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측정위치에 대응하는 모빌리티 표시부를 밝게 함으로써 영역(41a)에 표시되고, 다음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부가 번쩍인다. 이후 단계(S51) 내지 단계(53)의 절차가 반복된다. 모든 치아에 대한 검사가 지정된 순서로 완료된 후 절차는 단계(S7)로 진행된다.
치근막 공동 검사가 선택되고, 절차가 단계(S6)로 진행되면, 예를 들어 정밀 구강 검사 또는 기본 구강 검사가 조작 스위치(39)의 입력 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다. 정밀 구강 검사가 선택되면, 절차는 단계(S61)로 진행되고, 정밀 구강 검사 표시가 나타난다. 저장유닛(42)의 사용영역이 단계(S4)에서와 같이 선택되면, 치근막 측정 준비 표시가 단계(S62)에서 번쩍인다. 이 측정은 이 단계에서 핸드피스(1)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측정위치에 대한 측정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가 예를 들어 발판(52)의 조작에 의해 단계(S63)에서 입력되고, 이 측정결과는 측정회로(35)로부터 제어부(40)로 입력된다. 영역(41a)에서 측정위치에 대응하는 치근막 공동 깊이 표시부는 측정결과에 대한 표시로 변경되고, 치근막 공동의 깊이 값을 표시하기 위해 일정한 밝기를 유지한다.
출혈이 인식되면, 출혈 상태가 단계(S64)에서 입력되고, 출혈 입력 준비 표시가 나타난다. 절차는 단계(S65)로 진행되고, 다음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부가 번쩍인다. 도 12에 아래턱의 7번째 치아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입력 표시는 예를 들어 치근막 공동의 측정값의 수에 동그라미를 두름으로써 실행된다. 출혈이 없는 경우에는 비출혈 상태가 입력되고, 절차는 즉시 단계(S65)로 진행되며, 다음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부가 번쩍인다. 단계(S62) 내지 단계(S65)의 절차는 모든 치아에 대한 검사가 지정된 순서로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검사 후에 절차는 단계(S7)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S6)에서 기본 구강 검사 모드가 선택되면, 절차는 단계(S71)로 진행되고, 표시부(41)에서 표시는 도 11B에 도시된 기본 구강 검사 형식으로 변경된다. 첫 번째 검사의 치아 수에 대한 표시부는 어떤 데이터도 나타내지 않고, 선택된 항목에 대한 표시부가 번쩍인다. 저장유닛(42)의 사용영역이 단계(S4)에서와 같이 선택되면, 단계(S72)로 진행되고, 공동 측정 준비 표시가 나타나며, 핸드피스(1)를 사용하여 측정이 행해진다. 단계(S73)에서 측정위치에서 측정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영역(41a)의 측정위치에 대응하는 표시부는 측정결과의 표시로 변경되며, 치근막 공동의 깊이 값을 표시하기 위해 밝아진다.
게다가, 다음 단계(S74)에서 출혈과 관련된 입력과 표시는 단계(S64)의 것과 유사하다. 이 단계 후, 절차는 단계(S75)로 진행되며, 다음 측정위치에 대한 표시부가 번쩍인다. 모든 치아에 대한 치근막 공동 깊이 검사가 지정된 순서로 완료할 때까지 단계(S72) 내지 단계(S75)의 절차가 반복된다. 기본 구강 검사의 경우에 치근막 공동 검사와 모빌리티 검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치근막 공동 검사 후, 절차는 자동적으로 단계(S51)로 진행된다. 모든 치아에 대한 모빌리티 검사를 실행하기 위해 단계(S51) 내지 단계(S53)의 절차가 반복된다. 검사 후, 절차는 단계(S7)로 진행된다.
단계(S7)는 이 때의 검사 결과가 개인용 컴퓨터의 저장유닛과 같은 외부 저장유닛에 송신되고 저장되는지를 결정한다. 필요하다면 데이터는 통신수단(44)에 의해 전송되어 저장된다. 불필요하다면 절차는 즉시 단계(S8)로 진행된다.
단계(S8)는 조작 스위치부(39)의 프린트 키가 조작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조작되었다면, 상기한 모든 검사결과를 지정된 형식으로 프린트하고, 일련의 조작들이 종료한다. 만약 조작되지 않았다면, 즉시 절차가 종료한다. 외부 프린터가 프린터(43)로서 사용되면, 검사결과 데이터는 통신수단(44)을 통하여 외부 프린터로 전송되어 프린트된다.
현재 장치의 저장유닛(42)이 4명의 환자에 대한 검사결과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는 4명의 환자에 대하여 계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S8)에서 절차를 종료하는 대신에 다음 환자에 대한 검사가 계속되도록 절차는 단계(S3)로 복귀한다. 이 경우에 조작스위치부(39)의 키 M0이 먼저 조작되어 대응하는 사용영역이 선택되고, 이후에 M1, M2 및 M3에 대응하는 사용영역이 자동적으로 순서대로 선택된다.
데이터 삭제 조작이 실행되지 않는 한 저장유닛(42)에 저장된 데이터는 저장유닛(42)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와 호스트 컴퓨터와 같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고, 이로부터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 저장 유닛에 많은 환자에 대한 검사결과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나중에 저장유닛(42) 또는 외부 저장유닛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판독하고, 표시영역(41)에 데이터를 표시하며, 그 데이터를 프린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환자에 대한 검사 결과 데이터가 저장유닛(42) 또는 외부 저장유닛에 몇 달 동안 저장된 후 진료시에 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데이터를 재작성하며, 치근막 공동 측정이 병리학적으로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행해진 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방법을 여러 가지 데이터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임상적으로 필요한 여러 가지 처리를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단일 유닛은 치근막 공동, 치아 모빌리티 및 치태 억제와 같은 여러 가지 치근막 질병의 모든 검사결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력이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으로 하는 기록은 불필요하다. 부가적으로 이런 검사결과들은 지정된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고, 표 형태로 프린트된 결과들은 진료 카드에 붙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손으로 하는 기록에 대한 수고 및 시간이 줄어들고, 진단에 따른 임상 작업이 합리화될 수 있다.
게다가, 진단 항목, 검사되는 치아 및 치아의 검사결과가 표시부(41)에 지정된 형식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치과의사는 어느 치아의 어느 부분이 현재 검사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진료는 용이하게 행해지고, 조작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Claims (26)

  1. 정면 단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갖는 메인 핸드피스 유닛, 이 커버부재의 정면 단부에 설치되며, 이 커버부재의 세로방향으로 활동(滑動) 가능한 조작부재, 이 조작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정면 단부로부터 돌출된 가요성 슬리브 및 이 슬리브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며, 첨단에서 상기 슬리브의 첨단으로부터 노출 가능한 탐침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은 조작부재와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동부를 정면 단부 방향으로 미는 활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를 빽빽이 감은 얇은 금속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수단은 푸싱부재를 가지며, 이 푸싱부재를 상기 가동부에 접촉시켜 상기 가동부를 정면 단부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첨단이 상기 탐침의 첨단과 정렬되거나 거의 정렬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동부의 이동을 멈추기 위해 한정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내에 제공되고, 지정된 위치에서 정면 단부 방향으로 상기 푸싱부재의 이동을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수단의 활성력은 압착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에 제공되는 고정부, 상기 활성수단의 상기 푸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푸싱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변위를 검출하고, 상기 슬리브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의 세로축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탐침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사익 커버부재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탐침과 함께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의 세로축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탐침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은 상기 커버부재의 세로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조작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첨단에서 회선 직경은 상기 탐침의 형태에 따라 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커버부재, 탐침 및 조작부재는 내열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주변을 둘러싸는 링형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익 링형 조작부는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은 적어도 상기 슬리브의 첨단과 상기 탐침의 정렬 위치 또는 바람직한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원점으로부터 상기 슬리브 첨단의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측정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상기 메인 핸드피스 유닛과는 별도로 제공된 제어유닛은 적어도 상기 슬리브의 첨단과 상기 탐침의 첨단의 정렬 위치 또는 바람직한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상기 원점으로부터 상기 슬리브 첨단의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측정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측정되는 치아의 치아 수와 각 측정위치에서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나타내는 지정된 형식에 따라 상기 측정회로에 의해 얻어진 계산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복수의 환자에 대한 검사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어유닛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검사결과를 적어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2. 제 19 항,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검사결과의 입력시에 지정된 형식에 따라 치아의 각 측정위치에서 검사되는 치아와 치근막 공동의 깊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검사되는 치아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고, 선택된 치아의 수가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지정된 형식에 따라 모든 검사결과를 프린트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정밀 구강 검사와 비곤 구강 검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검사결과를 입력할 때에 신호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KR1019970070018A 1996-12-12 1997-12-11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KR199800642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352680 1996-12-12
JP35268096A JP3491006B2 (ja) 1996-12-12 1996-12-12 歯周ポケット測定装置
JP08-353635 1996-12-16
JP35363596A JPH10174693A (ja) 1996-12-16 1996-12-16 歯周検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273A true KR19980064273A (ko) 1998-10-07

Family

ID=2657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018A KR19980064273A (ko) 1996-12-12 1997-12-11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93209A (ko)
KR (1) KR19980064273A (ko)
CN (1) CN1093754C (ko)
DE (1) DE1975516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6843B1 (en) * 2000-07-24 2006-10-03 Quark, Inc. Method and system using non-uniform image blocks for rapid interactive viewing of digital images over a network
JP4590128B2 (ja) * 2001-05-18 2010-12-01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機能モジュール型の歯科用診療機器、この診療機器用の機能モジュール、この機能モジュールを用いる歯科用診療装置及び診療用機能モジュールユニット
US7554526B2 (en) 2003-10-23 2009-06-30 Beckmer Products, Inc. Foot-operated key pad
US7990366B2 (en) * 2003-10-23 2011-08-02 Beckmer Products, Inc. Foot-operated input device
WO2005040994A2 (en) * 2003-10-23 2005-05-06 Beckmer Products, Inc. Foot-operated key pad
US7354402B2 (en) * 2004-04-02 2008-04-08 Hoarau Yves R Intraoral data input tool
US20060015041A1 (en) * 2004-07-13 2006-01-19 Brian Neal Periodontal pocket depth recorder
US7223249B2 (en) * 2005-03-17 2007-05-29 Rosenberg Jeffrey 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depth of a gingival pocket
EP1852085A1 (fr) * 2006-05-03 2007-11-07 Bien-Air Holding SA Instrument à main à usage dentaire ou chirurgical
US9326836B2 (en) * 2008-05-31 2016-05-03 Florida Probe Corporation Single use periodontal probe
EP2452652A1 (en) 2010-11-10 2012-05-16 Straumann Holding AG Non-invasive method for semi-automatic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periodontal bone defects
CA2794231C (en) 2012-10-31 2018-08-14 Ioannidis Nektarios Periodontal probe with touch sensing
DK2941220T3 (da) 2012-12-24 2022-02-07 Dentlytec G P L Ltd Anordning og fremgangsmåde til subgingival måling
US9072574B2 (en) 2013-07-18 2015-07-07 Mike E. CALDERÓN Periosteal elevator and implant spacing instrument
WO2016113745A1 (en) 2015-01-18 2016-07-21 Dentlytec G.P.L.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ntal intraoral scanning
WO2016178212A1 (en) 2015-05-01 2016-11-10 Dentlytec G.P.L. Ltd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dental digital impressions
EP3405092A2 (en) 2016-01-18 2018-11-28 Dentlytec G.P.L. Ltd. Intraoral scanner
EP3509501A1 (en) 2016-09-10 2019-07-17 Ark Surgical Ltd. Laparoscopic workspace device
EP4154845A1 (en) 2017-07-04 2023-03-29 Dentlytec G.P.L. Ltd. Dental device with probe
US11690701B2 (en) 2017-07-26 2023-07-04 Dentlytec G.P.L. Ltd. Intraoral scanner
US11202560B2 (en) * 2018-11-29 2021-12-21 Medit Corp. Intraoral scanner
CN115300158B (zh) * 2022-08-04 2023-09-22 四川大学 一种精准角度定位牙周探针及角度定位评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8225A (en) * 1958-04-01 1962-10-16 Howard L Ward Probing instrument and depth indicator
US3330040A (en) * 1964-02-20 1967-07-11 Kahn Henry Method of determining the proper depth of penetration of a root canal file
US3559292A (en) * 1968-07-16 1971-02-02 Bernard Weissman Dental gauge
JPS5037295A (ko) * 1973-08-06 1975-04-07
JPS5314069Y2 (ko) * 1976-08-10 1978-04-14
JPS5940102A (ja) * 1982-08-30 1984-03-05 Morita Mfg Co Ltd 盲のう測定装置
JPS606510U (ja) * 1983-06-23 1985-01-17 株式会社 モリタ製作所 盲のう測定装置
JPS605144A (ja) * 1983-06-23 1985-01-11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盲のう測定装置
GB8507319D0 (en) * 1985-03-21 1985-05-01 Vs Remek Ltd Measuring instruments
US4764114A (en) * 1986-01-13 1988-08-16 Foster-Miller, Inc. Analysis system
DE3712054A1 (de) * 1987-04-09 1988-10-27 Dieter Dr Fuierer Messtaster zur erfassung der taschentiefe von zahnhalteapparaten (parodontien)
WO1989005117A1 (en) * 1987-12-02 1989-06-15 Arthur Wigell System and probe for intra-oral measurements
US4904184A (en) * 1989-01-17 1990-02-27 Murphy Gordon J Periodontal probe instrument
US4995403A (en) * 1989-02-24 1991-02-26 Bausch & Lomb Professional Dental Products, Inc. Periodontal probe
US4979898A (en) * 1989-04-13 1990-12-25 Abraham Rand Measuring instruments particularly useful as dental implements
US4960132A (en) * 1989-09-05 1990-10-02 Habekost Charles F Self-contained periodontal probe for remote recordations
CH682628A5 (de) * 1990-03-06 1993-10-29 Hans Joerg Gerber Einrichtung zum Messen der Tiefe von Zahnfleischtaschen bei Parodontitis.
US5144753A (en) * 1991-03-25 1992-09-08 Murphy Gordon J Probe instrument
US5318442A (en) * 1992-05-18 1994-06-07 Marjorie K. Jeffcoat Periodontal probe
GB2279120B (en) * 1993-06-16 1996-07-24 Aztec Dev Ltd Slidable assemblies and probe elements
DE9419769U1 (de) * 1994-11-22 1995-04-20 Jonkers Data Bv Vorrichtung für zahnmedizinische Untersuchungen mit einstellbarer Federk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4625A (zh) 1998-06-17
DE19755169C2 (de) 2002-10-31
DE19755169A1 (de) 1998-06-18
US5993209A (en) 1999-11-30
CN1093754C (zh)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4273A (ko) 치근막 공동 측정장치
JP5693959B2 (ja) 口腔内で測定を行なう測定装置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US4665621A (en) Measuring probe
US3943914A (en) Remote-recording periodontal depth probe
US5144753A (en) Probe instrument
CA1282236C (en) Electronic periodontal probe with a constant force applier
EP0384723B1 (en) Periodontal probe
EP0296520A2 (en) Recording perio probe
US4960132A (en) Self-contained periodontal probe for remote recordations
US4708647A (en) Periodontal probe instrument
US7354402B2 (en) Intraoral data input tool
JP3491006B2 (ja) 歯周ポケット測定装置
US4979898A (en) Measuring instruments particularly useful as dental implements
DK1986565T3 (en) Wireless root canal tip locator
CN210811693U (zh) 一种数字式牙周袋深度测量装置
CN211094932U (zh) 一种数字式牙周袋深度测量装置
US9326836B2 (en) Single use periodontal probe
EP0466767A1 (en) Periodontal probe with disc
TW202220628A (zh) 牙齦檢測裝置
CN211511859U (zh) 一种精准显示叩击力并可调控的数字化牙科叩诊锤
TWM609168U (zh) 牙齦檢測裝置
EP0384549A2 (en) Measuring probe
WO1989005117A1 (en) System and probe for intra-oral measurements
CN220025277U (zh) 一种新型光敏牙周探针
JP3244328B2 (ja) 生体凹部測深装置及び同装置に用いる測深用探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