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216A - 전자 사진용 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용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216A
KR19980064216A KR1019970069577A KR19970069577A KR19980064216A KR 19980064216 A KR19980064216 A KR 19980064216A KR 1019970069577 A KR1019970069577 A KR 1019970069577A KR 19970069577 A KR19970069577 A KR 19970069577A KR 19980064216 A KR19980064216 A KR 19980064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pigment
layer
photosensitive member
none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키신지로
Original Assignee
나까사또요시히꼬
후지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사또요시히꼬, 후지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사또요시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6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4Inert intermediate or cover layers for charge-receiving layers
    • G03G5/142Inert intermediate layers
    • G03G5/144Inert intermediate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섭광을 광원으로 하는 경우에도 간섭 줄무늬 및 화상 결함이 없는 매우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전성 기판 및 감광층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한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다른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무기 안료 입자를 포함하고, 제 1 무기 안료 입자의 1차 입자 직경이 0.1㎛ 이하이고, 제 2 무기 안료 입자의 1차 입자 직경이 0.1 내지 1.0㎛이며, 제 2 무기 안료 입자가 상기 중간층에 10중량% 이상 함유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사진용 감광체
본 발명은, 간섭광을 광원으로 하는 전자사진 응용기기에 탑재되는 적층형 유기 감광체에 있어서, 간섭 줄무늬(interference fringe) 및 화상 결함이 없이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칼슨법(Carlson method)을 이용한 복사기, 프린터, 팩스 등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응용장치에 사용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셀렌, 셀렌 합금,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등과 같은 종래의 무기계의 광도전성 재료를 사용한 것이 많았다. 최근에는, 무공해성, 필름 형성의 용이성, 경량성 등의 이점을 살려, 유기계의 광도전성 재료를 사용한 감광체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각 층을 각각의 기능에 가장 적합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감도를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희망하는 노광광의 파장에 따른 분광 감도를 설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많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운송층을 분리한 소위 기능분리형 유기감광체가 주로 사용되었다.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기능분리형 유기감광체의 대부분은, 도전성 기판 상에, 전하 발생층, 전하 운송층을 순서대로 적층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감광체는 전하발생제를 결합제와 함께 용매에 분산, 용해시킨 도포액을 도포, 건조시켜, 전하 발생층을 형성시키고, 계속해서 그 위에 전하 운송제를 결합제와 함께 용매에 용해한 도포액을 도포, 건조하여 전하 운송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기판 상에 전하 발생층, 전하 운송층을 직접 적층해도, 감광체로서의 기본적인 성능은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하 발생층은 광을 흡수해서 발생하는 전하 운반체를 기판 및 전하 운송층 중으로 신속하게 주입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0.5㎛ 이하로 매우 얇고, 따라서 기판 표면에 흠집이나 얼룩, 부착물 등이 있으면, 핀 홀이나 필름 불균일 등의 필름 결함을 발생하고, 화상상의 흑점이나 농도 불균일 등의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기판과 전하 발생층 사이에 있어서의 전하 주입 방지성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판으로부터 주입되는 홀(hole)에 의해, 감광체의 전하 보유율이 저하되고, 백지상에 바램 현상(fogging)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전하 발생층의 전하 발생층의 불균일, 또는 기판으로부터의 홀 주입에 의한 화상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전성 기판과 감광층 사이에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중간층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용제 가용성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카제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지들을 이용한 중간층은,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얇은 필름, 예를 들면 0.1㎛ 이하의 박막이라도 충분히 그 성능을 다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목적, 즉 도전성 기판의 표면 결함이나 표면의 얼룩을 피복하고, 전하 발생층의 불균일을 없애기 위해서는 0.5㎛ 이상의 막 두께가 필요하고, 기판의 표면 조도, 오염의 상태에 따라서는 1㎛ 이상의 막 두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막 두께의 중간층을 형성시키게 되면, 전하 발생층에서 발생한 운반체의 주입성이 나빠지고, 반복 사용했을 때, 잔류 전위의 상승이 발생하여 인쇄 농도의 저하 등의 화상 결함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되는 환경 변화에 대해 전기 특성이 대폭으로 변동하여, 특히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 사용했을 경우, 중간층이 흡수한 수분의 해리에 의해서 전기 저항이 크게 변동하고, 화상 백지상에 바램 현상(fogging)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이와 같은 막 두께이면서, 전기 저항이 낮고, 주위의 환경 변화에 대해서도 전기 저항의 변화가 작은 중간층의 재료로서,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의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2-193152호 공보, 특개평 3-288157호 공보, 특개평 4-31870호 공보에는 화학 구조가 확인된 용제 가용성 폴리아미드 수지가 기술되어 있으며, 또한 특개평 2-59458호 공보, 특개평 3-81778호 공보, 특개평 2-281262호 공보 등에는 전기 저항이 환경 변화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폴리아미드 수지용 첨가제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3-145652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3-81778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2-281262호 공보 등에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다른 수지를 혼합하여 전기저항을 조정하고, 환경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 밖의 재료로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하는 예(일본국 특개평2-238459호 공보),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사용하는 예(일본국 특개평2-115858호 공보, 특개평2-280170호 공보), 폴리 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한 예(일본국 특개평2-105349호 공보), 폴리글리콜 에테르를 사용하는 예(일본국 특개평2-79859호 공보)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간층을 레이저 빔 프린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광층의 굴절률과 막 두께 및 광원 파장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 모양의 화상 불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중간층에 무기 안료 충전제, 예를 들면, 미립자형상 산화 알루미늄을 첨가하는 것(일본국 특개평3-24558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으며, 아크릴멜라민 중에 다량의 금홍석형 산화 티타늄을 배합하는 것(일본국 특개평2-67565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충전제의 분산성 및 전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순도 99% 이상의 예추석형 산화 티타늄을 사용한 두께 2 내지 10㎛의 중간층이 제안되며, 또한 분산성 및 저저항의 면에서, 금홍석형 산화 티타늄보다 예추석형 산화 티타늄 쪽이 바람직한 것(일본국 특개평4-172361호 공보)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소60-144754호 공보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2 내지 0.6㎛인 조분 성분과 평균 입자 직경이 0.1㎛ 이하인 미분 성분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미분과 결착수지에 의한 중간층이 제안되어 있으나, 간섭광에 대한 간섭 줄무늬의 발생 방지에 대해서는 불충분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도전성 기판과 감광층 사이에 설치하는 중간층으로서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는데, 레이저 광과 같은 간섭광을 광원으로 하는 전자사진 응용기기에 탑재되는 적층형 유기 감광체에 있어서, 간섭 줄무늬 및 화상 결함이 없고, 보다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오늘날 강력히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섭광을 광원으로 하는 경우라도, 간섭 줄무늬 및 화상 결함이 없고, 매우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판 및 감광층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한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다른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진 제 1 및 제 2 무기 안료 입자를 포함하고, 제 1 무기 안료 입자의 1차 입자 직경이 0.1㎛ 이하이며, 제 2 무기 안료 입자의 1차 입자 직경이 0.1 내지 1.0㎛이며, 제 2 무기 안료 입자가 상기 중간층 중에 10중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무기 안료 입자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첨가량이 5중량%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무기 안료 입자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첨가량 합계가 15 내지 9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량 합계가 30 내지 80중량%이다.
레이저 광과 같은 간섭광에 의해 화상 기입을 행할 경우, 종래의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중간층에서는 입사광이 기판에 반사되어, 간섭 줄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도전성 기판의 표면이 중간층에 의해 충분히 은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광 산란이 최대가 되는 입자 직경은, 그 광 파장의 1/2 정도이기 때문에, 1차 입자직경이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의 무기 안료를 10중량% 이상 중간층에 함유시킴으로써 충분한 광 산란 작용을 얻을 수 있고, 간섭 줄무늬가 없는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차 입자 직경이 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의 무기 안료를 함유시킴으로써 도전성 기판 표면의 결함부를 충분히 피막시키고, 또한 중간층 표면의 평활성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전하의 주입성이 우수한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중간층은, 도전성 기판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또는 전하 발생층을 중간층 위에 설치할 경우에 요구되는, 중간층의 용제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착 수지가 사용된다. 결착 수지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수지는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에폭시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 케탈계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구아나민수지, 푸란수지 등과 같은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수지, 폴리아미드수지 등을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중간층을 갖는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레이저 빔 프린터에 사용하는 경우는, 감광층의 굴절률과 막 두께 및 광원 파장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모양의 화상 불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에 무기 안료 충전제를 첨가한다. 이와 같은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알루미나, 실리카 등이 있다. 특히, 레이저광과 같은 간섭광으로 화상의 기입을 행하는 레이저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굴절률이 큰 백색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광산란이 최대가 되는 입자 직경은, 그 광 파장의 1/2 정도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무기 안료의 최소한 1종류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1 내지 1.0㎛이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가 필요하다. 또한, 도전성 기판 표면의 반사광을 충분히 은폐하기 위해, 이러한 1차 입자 직경이 0.1 내지 1.0㎛인 무기 안료의 첨가량은 10중량% 이상이 요구된다.
또한, 도전성 기판 표면의 결함을 충분히 피복하고, 중간층 표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해, 중간층에 함유시키는 무기안료의 최소한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이다.
상기 1차 입자 직경이 0.1㎛ 이하인 무기 안료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첨가량이 5중량% 이상이고, 또한 1차 입자 직경이 0.1㎛ 이하인 무기 안료와 1차 입자 직경이 0.1 내지 1.0㎛인 무기 안료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첨가량 합계가 15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량 합계는 30 내지 8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간층에 사용되는 결착 수지의 첨가량으로서는, 무기 안료의 총 중량부를 100중량부로 하여, 5 내지 999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간층의 막 두께로서는, 필름 형성시 도포막의 균일성을 고려하여 0.3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중간층의 필름 형성시에, 무기 안료는 페인트 교반기, 롤 밀, 볼 밀, 어트라이터(attriter), 샌드 그라인더 등에 의해 분산 매질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합으로 수득된 조성물을 도전성 기판상에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조성물의 희박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침지법, 독터 블레이드법(doctor blade method), 바 코터법(bar coater method), 롤 전사법(roll copying method), 스프레이법(spray method) 등의 공지된 방법이 이용되는데, 원통 형상의 도전성 기판으로의 도포는 침지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전성 기판으로는 공지된 알루미늄 합금인 JIS 3003계, JIS 5000계, JIS 6000계, 그 밖의 금속, 도전성이 부여된 수지, 필름, 종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기판은 알루미늄의 압출 가공, 드로잉 가공, 또는 수지의 사출 형성에 의해 소정의 치수 정밀도로 마무리된다. 이 도전성 기판의 표면은, 필요에 따라, 다이아몬드 바이트 등에 의한 절삭 가공 등에 의해 적당한 표면 조도로 마무리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절삭 가공을 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후에는, 드로잉 가공, 또는 절삭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 등을 제거하고, 청정한 도전성 기판 표면을 얻기 위해 세정된다. 이 때, 종래의 트리클렌(trichlene), 플레온(fleon) 등의 염소계 유기 용제에서부터 약알칼리성 세제 등의 수성 세제가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는, 상술한 중간층의 위에 전하 발생층을 형성시킨다. 전하 발생 재료로서는 광원의 파장에 감광도를 갖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프탈로시아닌 안료, 아조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인디고 안료, 페릴렌 안료, 다환 퀴논 안료, 안트안트론(anthanthrone) 안료, 벤즈이미다졸 안료 등의 유기 안료 도전재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재료를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페녹시수지 등의 각종 결착 수지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사용된다. 이 때의 혼합 비율은, 결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500 중량부로 사용되고, 막두께는 통상 0.1 내지 0.6㎛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하 발생층상에 적층되는 전하 운송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나민계 화합물, 스티릴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부타디엔계 화합물 등의 전하 운송 재료를, 이들과 상호 용융성이 양호한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스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수지,폴리스티렌 수지 등과 함께 용해시켜, 건조 막 두께 10 내지 40㎛로 도포한다.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레벨링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어떤 제한도 받지 않는다.
무기 안료 입자의 제조
4염화 티타늄을 원료로 해서 제조한 염화 티타늄을 분류하여, 1차 입자 직경 0.01 내지 0.1㎛의 산화 티타늄A, 1차 입자 직경 0.1 내지 1㎛의 산화 티타늄B, 1차 입자 직경 1 내지 5㎛의 산화 티타늄C를 제조하였다. 또한, 산화 티타늄의 1차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촬영한 사진의 입자 직경을 계측하여, 그 평균값을 취했다.
실시예 1
외경 30mm, 길이 255mm의 알루미늄 도전성 기판상에 중간층으로서, 멜라민 수지(상품명: 유반 2020, 미츠이 도아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10중량부를 메탄올 50 중량부와 염화 메틸렌 50중량부의 혼합액에 용해시키고, 산화 티타늄A를 10중량부 및 산화 티타늄B를 10중량부 첨가하여, 제조한 용액을 도포하고, 140℃에서 15분간 건조시켜, 10㎛의 중간층을 형성시켰다.
그런후, 상기 중간층상에, X형 프탈로시아닌 2 중량부와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용액 98 중량부를 혼합시켜, 볼 밀 처리로 3시간 분산시킨 후, 중간층상에 침지 홀로 도포하여, 10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전하 발생층으로 했다.
이어서, 히드라존 화합물(상품명: CTC191, 아난고우료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10중량부와 폴리카보네이트(상품명: L-1225, 테이징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10중량부를 디클로로메탄 80중량부로 균일하게 용해하고, 이것을 상기 전하 발생층상에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100℃에서 30분 건조하여 막 두께 20㎛의 전하운송층을 형성시켜서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멜라민수지 대신에, 나일론 수지(상품명: CM4000, 도레 가부시끼가이샤 제품)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산화티타늄A 대신에 산화 티타늄E(상품명: TTO-55,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1차 입자 직경 0.02 내지 0.05㎛)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산화 티타늄B 대신에 산화 티타늄F(상품명: TA-300, 후지티탄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1차 입자 직경 0.3㎛)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산화티타늄A를 첨가하지 않고 중간층용 도포액을 제조하여, 이것을 사용하여 중간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산화티타늄B를 첨가하지 않고 중간층용 도포액을 제조하여, 이를 이용하여 중간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산화티타늄A 대신에 산화티타늄C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산화티타늄B 대신에 산화티타늄C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조한 감광체를 레이저 빔 프린터에 탑재하여, 25℃·50% RH의 환경하에서, 10℃·20% RH의 저온 저습 환경하에서, 또는 30℃·90% RH의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 인쇄 테스트를 행한 결과, 및 각 환경하에서 5만장의 연속 인쇄를 실시했을 때의 인쇄 결과는 각각 하기의 표 1 내지 3에 기재하였다.
초기의 화상 5만장 후의 화상
간섭줄무늬 백지상의 흑점 통조판의 블랙농도(solid black dencity) 간섭줄무늬 백지상의흑점 통조판의블랙농도
실시예1 없음 발생없음 1.42 없음 발생없음 1.40
실시예2 없음 발생없음 1.42 없음 발생없음 1.42
실시예3 없음 발생없음 1.41 없음 발생없음 1.40
실시예4 없음 발생없음 1.42 없음 발생없음 1.39
비교예1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9 없음 미세 흑점발생 1.30
비교예2 있음 발생없음 1.39 있음 발생없음 1.37
비교예3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9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3
비교예4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4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3
주) 온도: 25℃, 상대 습도: 50%RH (농도: 맥베스 농도계(Macbeth densitometer)에 의한 측정값, 이하도 마찬가지임)
초기의 화상 5만장 후의 화상
간섭줄무늬 백지상의 흑점 통조판의 블랙농도 간섭줄무늬 백지상의흑점 통조판의 블랙농도
실시예1 없음 발생없음 1.39 없음 발생없음 1.38
실시예2 없음 발생없음 1.41 없음 발생없음 1.40
실시예3 없음 발생없음 1.40 없음 발생없음 1.40
실시예4 없음 발생없음 1.41 없음 발생없음 1.39
비교예1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9 없음 미세 흑점발생 1.29
비교예2 있음 발생없음 1.39 있음 발생없음 1.35
비교예3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9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2
비교예4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4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0
주) 온도: 10℃, 상대 습도: 20% RH
초기의 화상 5만장 후의 화상
간섭줄무늬 백지상의 흑점 통조판의 블랙농도 간섭줄무늬 백지상의흑점 통조판의 블랙농도
실시예1 없음 발생없음 1.40 없음 발생없음 1.40
실시예2 없음 발생없음 1.40 없음 발생없음 1.39
실시예3 없음 발생없음 1.39 없음 발생없음 1.39
실시예4 없음 발생없음 1.41 없음 발생없음 1.40
비교예1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6 없음 미세 흑점발생 1.31
비교예2 있음 발생없음 1.38 있음 발생없음 1.35
비교예3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8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29
비교예4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37 없음 미세 흑점 발생 1.28
주) 온도: 30℃, 상대 습도: 90% RH
표 1 내지 3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감광체는, 저온 저습, 상온,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서 간섭 줄무늬의 발생, 흑점의 발생, 인쇄 농도의 저하가 없는 양호한 화질이며, 반복 사용한 경우에도 화상 결함의 발생은 없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의하면, 간섭광을 광원으로 하는 경우에도, 간섭 줄무늬 및 화상 결함이 없고, 매우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도전성 기판 및 감광층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한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다른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진 제 1 및 제 2 무기 안료 입자를 포함하고, 제 1 무기 안료 입자의 1차 입자 직경이 0.1㎛ 이하이며, 제 2 무기 안료 입자의 1차 입자 직경이 0.1 내지 1.0㎛이며, 제 2 무기 안료 입자가 상기 중간층 중에 10중량% 이상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무기 안료 입자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첨가량이 5중량%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무기 안료 입자의 중간층에 있어서의 첨가량 합계가 15 내지 9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량 합계가 30 내지 8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KR1019970069577A 1996-12-17 1997-12-17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19980064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36693A JPH10177267A (ja) 1996-12-17 1996-12-17 電子写真用感光体
JP1996-336693 1996-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216A true KR19980064216A (ko) 1998-10-07

Family

ID=1830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577A KR19980064216A (ko) 1996-12-17 1997-12-17 전자 사진용 감광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65311A (ko)
JP (1) JPH10177267A (ko)
KR (1) KR19980064216A (ko)
CN (1) CN1185594A (ko)
DE (1) DE19753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4914B2 (ja) * 1998-08-24 2004-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0206710A (ja) 1999-01-08 2000-07-28 Sharp Corp 電子写真感光体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法
US6291120B1 (en) 1999-05-14 2001-09-18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coating composition for charge generating layer
JP3786333B2 (ja) * 1999-10-05 2006-06-1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
US6261729B1 (en) 2000-04-07 2001-07-17 Xerox Corporation Blocking layer with linear phenolic resin
US6156468A (en) * 2000-05-22 2000-12-05 Xerox Corporation Blocking layer with light scattering particles having rough surface
JP2002131961A (ja) * 2000-10-26 2002-05-09 Kyocera Mita Corp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77149B2 (en) * 2001-03-23 2004-08-17 Ricoh Company Limite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therefor
JP2002287395A (ja) * 2001-03-26 2002-10-03 Sharp Corp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電子写真装置
US6864027B2 (en) * 2001-09-17 2005-03-08 Ricoh Company Limited Coating liquid f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photoreceptor
JP4042646B2 (ja) * 2003-07-22 2008-02-0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5091840A (ja) * 2003-09-18 2005-04-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7267915B2 (en) * 2004-07-09 2007-09-11 Eastman Kodak Company Photoconductive element having an amorphous polymeric barrier layer
JP4456951B2 (ja) * 2004-07-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56952B2 (ja) * 2004-07-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4456953B2 (ja) * 2004-07-16 2010-04-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531282B2 (en) * 2005-02-21 2009-05-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Organic photorecepto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cess cartridge
JP4564909B2 (ja) * 2005-09-21 2010-10-2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装置及び電子写真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070172752A1 (en) * 2006-01-24 2007-07-26 Tatsuya Niimi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WO2007114388A1 (ja) * 2006-03-30 2007-10-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5123621B2 (ja) * 2007-09-12 2013-01-23 株式会社リコー 像担持体、並びに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489773B2 (ja) * 2010-02-19 2014-05-14 三菱樹脂株式会社 感光体ベル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45828B2 (ja) * 2010-03-26 2014-07-09 三菱樹脂株式会社 感光体ベル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4754A (ja) * 1984-01-05 1985-07-31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感光体用基材
EP0609511B1 (en) * 1992-12-01 1998-03-1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5340676A (en) * 1993-03-18 1994-08-23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element comprising an electrically-conductive layer containing water-insoluble polymer particles
US5714248A (en) * 1996-08-12 1998-02-03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ic imaging member for contact charging and imaging proces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594A (zh) 1998-06-24
JPH10177267A (ja) 1998-06-30
DE19753683A1 (de) 1998-06-18
US5965311A (en) 199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4216A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100496799B1 (ko) 전자사진용감광체및그제조방법
US5401600A (en) Photosensitive body for electrophotography
DE60036348T2 (de) Bildformungselement mit einer partiell elektroleitfähigen Beschichtung
EP0611999A1 (en) Reusable positive-charging organic photoconductor containing phthalocyanine pigment and cross-linking binder
JPH06313977A (ja) 電子写真感光体
DE602005000420T2 (de) Zwischenschicht mit reversibler Farbänderung für elektrophotographische Photorezeptoren
JP2006171759A (ja) 画像形成部材
JP2006251487A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H1195472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KR100456859B1 (ko)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그 제조방법
DE19829055A1 (de) Fotoleiter für Elektrofotografie und elektrofotografisches Gerät, das diesen verwendet
US5780193A (en)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with conductive boron polymer
DE4411732A1 (de) Elektrophotographischer Photoleiter
JP4778914B2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662529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JP2000171997A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43040B (zh) 電子照片感光體及使用此之畫像形成裝置
JPS6380262A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14010158A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688449B2 (ja) 電子写真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H0915887A (ja) 電子写真用有機感光体
JPH06250428A (ja) 電子写真感光体
JPS6155107B2 (ko)
JP2015114350A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