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071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071A
KR19980064071A KR1019970068079A KR19970068079A KR19980064071A KR 19980064071 A KR19980064071 A KR 19980064071A KR 1019970068079 A KR1019970068079 A KR 1019970068079A KR 19970068079 A KR19970068079 A KR 19970068079A KR 19980064071 A KR19980064071 A KR 1998006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chamber
exhaust
accommodation cha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437B1 (ko
Inventor
자코아키히코
사이토가즈오
고데라사다키
모리타아키히로
후지요시도시유키
고바야시도시나리
스에쓰구나오키
아이다겐지
Original Assignee
다카노야스아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3727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746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395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34626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야스아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6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소기 본체(1)의 전방에 집진실(5)을 배치함과 동시에, 후방에 전동송풍기수용실(7)과 코드릴케이스(49)(code reel case)를 상,하에 배치하고, 전동송풍기수용실 후방에 배기실(43)을 형성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전동송풍기(6)를 모터케이스(36)로 덮고, 모터케이스의 외부둘레 한쪽에 개방구(38)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동송풍기수용실의 개방구의 반대측에 코드릴케이스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를 형성하고, 다시, 코드릴케이스(49)의 후방의 벽에 코드릴케이스의 내부와 배기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슬릿(slit)을 형성한 전기청소기.

Description

전기 청소기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청소기의 소음(騷音)을 저감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내에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고, 청소기본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통해서 배기구에서 폐기하도록 되어 있는 바, 근년에와서는 흡입력의 하이파워가 요망됨에 따라서 전동송풍기의 구동음이나 회전음 등으로 소음이 증대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다.
그래서, 전기청소기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57-27244호 공보(A47L 9/00)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송풍기의 배기유로를 소용돌이형으로 형성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한 구성으로 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동송풍기 수용실 내에서의 전동송풍기의 배기유로를 단순하게 길게 구성하고 있는데 불과하며 소음의 저감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워진 것으로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기 청소기의 단면도.
도2는 위의 요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3은 위의 요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4는 위의 상부케이스를 떼낸 상태의 상면도.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A-A 단면의 화살표시로 본 도면.
도6은 도4에 있어서의 B-B 단면의 화살표시로 본 도면.
도7은 위 도면의 하부케이스의 상면도.
도8은 위 도면의 코드릴케이스(code reel case)의 상부부재의 측면도.
도9는 위 코드릴케이스의 상부부재의 상면도.
도10은 위 브레이크 아암(brake arm)을 장착한 상태의 상부부재의 상면도.
도11은 위 하부케이스의 단면도.
도12는 위 필터커버(filter cover)의 평면도.
도13은 위 도면의 요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14는 위 도면의 범퍼(bumper)의 상면도.
도15는 위 도면의 범퍼의 측면도.
도16은 위 도면의 범퍼의 단면도.
도17은 청소기본체의 배면도.
도18은 위의 배기구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9는 위의 차음판의 평면도.
도20은 위의 핸들을 눕힌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21은 위의 핸들을 이르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22는 청소기본체의 측면도.
도23은 청소기본체의 상면도.
도24는 위의 핸들을 이르킨 상태를 나타내는 청소기본체의 측면도.
도25는 위의 핸들을 이르킨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break)한 청소기본 체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청소기본체
5. 집진실
6. 전동송풍기
7. 전동송풍기 수용실
8. 연통구
9. 흡기구
13. 원통형 리브(rib)
14. 흡입구
36. 모터케이스
38. 개방구(開口)
43. 배기실
45. 통기구멍
46. 개방구부
48. 코드릴(code reel)
49. 코드릴 수용부(code reel case)
58. 코드 인출구
60. 연통구멍
61. 흡기 슬릿(slit)
65. 배기구
66. 필터
67. 피복부재
69. 차음판
69. 배기용 개방구
70. 사다리부(ladder)
본 발명의 제1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 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치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 수용부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와 상기 코드릴 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모터케이스의 개방구측에, 상기 개방구부보다 작게 코드릴 수용부내에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 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치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 수용부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와 상기 코드릴 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간격을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 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치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 수용부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와 상기 코드릴 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과 모터케이스의 간격의 단면적보다 코드릴 수용부의 연통구멍의 면적을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 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치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 수용부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와 상기 코드릴 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의 구멍의 면적보다 배기실의 단면적을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상방에, 전동송풍기 수용실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케이스커버와, 상기 청소기본체 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측쪽으로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아래쪽에 배설되어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 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에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된 개방구부와, 상기 개방구로부터 개방구부를 향해서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사이를 전동송풍기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개방구부로부터 상기 배기구로 연이어 통하는 배기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상방에 전동송풍기 수용실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케이스커버와, 상기 청소기본체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측쪽으로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배설되어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케이스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이 모터케이스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에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되어, 상기 코드릴케이스와 연이어 통화는 개방구부와, 상기 개방구로부터 개방구부를 향해서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사이를 전동송풍기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케이스에 형성되어 배기실로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 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치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을 향해서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사이를 전동송풍기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코드릴수용부의 코드인출구를 상기 청소기본체의 개방구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8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된 코드릴수용부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와, 상기 개방구로부터 개방구부를 향해서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사이를 전동송풍기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로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내면의 개방구부측에 비통기성부재(非通氣性部材)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수단은 전방에 집진실, 후방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 후방에 구획 형성된 배기실과,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되어 코드릴수용부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와, 상기 개방구로부터 개방구부를 향해서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사이를 전동송풍기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로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배기실의, 상기 모터케이스의 개방구측에 배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수단은 내부를 격리벽으로 집진실과 전동송풍기 수용실로 구획한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에 형성되어 집진실로 연이어 통하는 흡입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로 수용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격리벽에 형성되어 집진실과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구의 둘레테두리에,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를 향해서 링 형태의 통형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의 수단은 내부를 격리벽으로 집진실과 전동송풍기 수용실로 구획한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에 형성되어 집진실로 연이어 통하는 흡입구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로 수용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격리벽에 형성되어 집진실과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구를, 전동송풍기의 흡입구에 대하여 하방측으로 형성하고, 전동송풍기의 흡입구의 상방측을 폐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의 수단은 집진실과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수용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청소기본체에 형성된 배기구를 구비하며, 복수의 배기용개방구를 갖고 배기용개방구 사이의 사다리부(ladder)를 상기 배기구로 거의 마주보게 하는 차음판을, 배기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의 수단은,집진실과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수용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청소기본체에 형성된 배기구와 그 배기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의 배기실측에 복수의 배기용개방구를 가지며 배기용개방구 사이의 사다리부(ladder)를 배기구로 거의 마주보게 하는 차음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의 수단은 집진실과 전동송풍기 수용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방진쿠션(cushion)을 끼워서 수용되고 지지되는 전동송풍기를 구비하며, 상기 방진쿠션과 청소기본체의 사이에 지지부재를 끼우며, 그 지지부재를 경도(硬度)또는 이종(異種)의 재료인 복수종류의 재료를 겹으로 합쳐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따라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1은 상,하케이스(2),(3), 후에 설명할 집진뚜껑(21), 케이스커버(31), 수용실뚜껑(23) 및 코드릴케이스(49)로 구성되는 청소기본체로서, 상기의 상,하부케이스(2),(3)으로 형성되는 공간내를 격리벽(4)로서 전,후부로 구획하고, 전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집진주머니를 장착, 분리가 자유롭게 수용하는 집진실(5)를 형성하고, 후방에 전동송풍기(6)을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형성하고 있다.
8은 상기의 격리벽(4)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통구로서, 이 연통구(8)에 의해서 집진실(5)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다.
상기 연통구(8)은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에 대하여 하방측에 형성되고,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의 상부를 격리벽(4)로 폐쇄하고 있다.
10은 상기 격리벽(4)에 장착, 분리가 자유롭게 장착되어 집진실(5)내에 배치되는 필터커버로서, 필터(11)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 필터커버(10)은 격리벽(4)의 연통구(8)에 마주보고 개방구(12)를 형성하고, 상부를 폐쇄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의 상부를 격리벽(4) 및 필터커버(10)으로서 폐쇄하게 되므로 전동송풍기(6)의 흡입구(9)로부터 앞상방으로 새어 나오는 소음을 차단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13은, 상기 격리벽(4)의 후면에 전동송풍기(6)을 향해서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와 거의 동중심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리브(rib)로서, 그 끝부를 전동송풍기(6)의 흡입구(9)에 근접시켜, 전동송풍기(6)에서 집진실(5)를 향해서 발생하는 소음이 둘레방향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더욱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14는 상기 하케이스(3)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실(5)에 연이어 통하는 흡입구로서 도시하지 않은 가요성호스(flexible hose)가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흡입구(14)는 격리벽(4)의 연통구(8)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흡입구(14), 연통구(8) 및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가 거의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흡입구(14)에서 흡입된 공기가 효율좋게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로 흡인되도록 되어 있다.
15는 상기 하케이스(3)의 전방부측방에 배치되는 범퍼(bumper)로서, 후에 설명할 집진뚜껑(21)의 폐쇄시 집진뚜껑(21)에 맞접촉하여 집진뚜껑(21)의 개방구테두리를 밀폐시키는 시일부(16)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17은 상기 범퍼(15)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서, 하부케이스(3)에 일체로 형성된 리브(18)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리브(18)에, 흡입구(14)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단자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판을 접속하는 리이드선(lead wire)(19)의 유지부(2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범퍼(15)의 상부는 상부케이스(2)로 덮혀 있으며,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의 사이에서 범퍼(15)를 끼워 지지하여 범퍼(15)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범퍼(15)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케이스(2)에 의해 리이드선(19)나 리브(18)등을 덮어서 리이드선(19)등이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있다.
21은 상기 집진실(5)의 상방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는 집진뚜껑이다.
22는 상기 집진뚜껑(21)에 형성된 부속장치(attachment)수용실로서, 도시하지 않은 틈새용흡입기구 등, 부속품이 수용되어, 수용실뚜껑(23)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집진뚜껑(21)에 부속장치수용실(22)를 형성함과 동시에 수용실뚜껑(23)을 설치하므로서 집진뚜껑(21)에서 사용자를 향해서 새나오는 소음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여 사용자가 받는 불쾌감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은 하부케이스(3)에 세워 설치된 입벽(24) 및 상부케이스(2)에서 내려서 형성한 하수벽(25)를 맞닿게 하여 구획 형성되어 있다.
26은 상기 하부케이스(3)의 입벽(24)의 외부측에 입벽(24)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벽으로서, 이 외벽(26)은 상부케이스(2)의 하수벽(25)의 기초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부케이스(2),(3)을 조합한 상태로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측면부가 공간부를 갖는 두겹벽의 구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상면에는 펠트(felt)등으로 된 흡음재(27)이 점착되어 있고, 상기 하수벽(25)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외부측에도 펠트 등으로 된 흡음재(28)이 점착되어 있다.
29는 상기 외벽(26)에 형성된 바퀴유지부로서, 바퀴유지부(29)에 바퀴(30)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퀴(30)은 전동송풍기(6)의 측면부를 거의 덮을 정도의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31은 상기 상부케이스(2)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상부에 상기 상부케이스(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케이스커버로서, 이 케이스커버(31)을 배치하므로서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상방을 두겹벽의 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31)의 내면에는 펠트등으로된 흡음재(32)를 점착하고 있다.
33은 상기 전동송풍기(6)의 전면에 배치된 정류판으로서, 상기 전동송풍기(6)을 지지하는 완충체(34)와 전동송풍기(6)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며, 이 정류판(33)의 중앙부에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통형태부(35)를 형성하고, 전동송풍기(6)으로 가는 공기가 원활하게 전동송풍기의 흡기구로 흡인되도록 안내하고 있다.
36은 상기 전동송풍기(6)의 후방부를 덮는 합성수지제 모터케이스로서 전면의 개방구끝을 상기한 완충체(34)의 후방끝부에 설치하므로서, 전동송풍기(6)을 완충체(34)와 모터케이스(36)으로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37은 상기 전동송풍기(6)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탄성재료로서, 상기 모터케이스(36)의 후방끝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다음에 설명하게 될 칸막이판(42)에 지지되어 전동송풍기(6)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38은 상기 모터케이스(36)의 측면의 일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저면의 한쪽으로 대향하여 형성된 개방구로서, 전동송풍기(6)의 배출공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한쪽을 향해서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구(38)에서 배출된 배기는 모터케이스(36)의 외부둘레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의 사이를 선회하여 후에 설명할 개방구부(46)을 통해서 코드릴수용부(49)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39는 상기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 대향하여 배치된 펠트 등으로 된 흡음재로서, 상기 개방구(38)에서 배출된 배기를 모터케이스(36)의 외부둘레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유로를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모터케이스(36)의 외부둘레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 측벽, 즉 상부케이스(2)의 하수벽(25) 및 하부케이스(3)의 입벽(24)와의 간격은 모터케이스(36)의 외부둘레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 상부벽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케이스(36)외부둘레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므로서 배출공기를 수속(收束)또는 확산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40은 상기 모터케이스(36)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걸어맞춤부로서, 상부케이스(2)에서 내려뜨려서 형성한 걸어맞춤부(41)에 근접하고 있으며, 낙하등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걸어맞는부(40)이 걸어멈추는부(41)에 맞닿도록 하므로서 전동송풍기(6)의 이동을 저지하고, 낙하등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청소기본체(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42는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후부벽을 구성하는 칸막이판으로서, 이 칸막이판(42)에 의해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후방에 배기실(43)을 구획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칸막이판(42)로 전동송풍기(6)에서 후방으로 향해서 투과하는 소음을 차단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칸막이판(42)는 탄성체(37)을 지지하고, 축경 등으로 인한 전동송풍기(6)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판(42)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측에는 펠트 등의 흡음재(44)가 점착되어, 청소기본체(1)의 후방으로 새어나오는 전동송풍기(6)의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45는 상기한 하부케이스(3)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구멍으로서,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통기구멍(45)를 통해서 후에 설명할 코드릴수용부(49)로 유입하도록 하므로서 코드릴(48)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46은 상기 하부케이스(3)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저면의 다른측에 형성된 개방구부로서 상기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서 토출되어, 모터케이스(36)의 외부둘레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유로를 선회한 전동송풍기(6)의 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후방에서 보아 역소용돌이 형으로 선회한다)가, 개방구부(46)을 통해서 후에 설명할 코드릴수용부(49)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47은 상기한 하부케이스(3)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하방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코드릴(48)을 수직축회전으로 수용한 코드릴수용부(4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코드릴수용부(49)는, 상부,하부부재(50),(51)로 되어 있으며, 상기 코드릴(48)을 상,하부부재(50),(51)로 덮고 코드릴케이스(49)를 구성한 상태로 청소기본체(1)의 오목부(47)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52는 상기 코드릴케이스(49)의 상부부재(50)에 수평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브레이크아암(brake arm)으로서, 상기 청소기본체(1)에 배치된 코드릴버튼(53)을 조작하므로서 브레이크아암(52)가 요동조작되어 코드릴(48)의 브레이크롤러(54)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감겨지도록 되어 있으며, 브리이크아암(52)는 코드릴(48)을 오목부(47)에 배치한 상태로 상기 하부케이스(3)의 개방구부(46)의 청소기본체(1)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55는 상기 상부부재(50)에 형성된 돌기부로서 브레이크아암(52)의 브레이크롤러(54) 지지부(56)에 걸어맞추고 있으며, 코드릴버튼(53)을 조작한 경우에, 브레이크아암(52)에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브리이크아암(5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57은 상기 하부케이스(3)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저부의 브레이크아암(52)를덮는 위치에 배치되는 비통기성을 갖는 커버부재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음재(消音材)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모터케이스(36)과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유로를 선회한 전동송풍기(6)의 배출공기가 커버부재(57)에 충돌하므로서 커버부재(57)에 의해 소음됨과 동시에, 배기를 커버부재(57)로 개방구부(46)측으로 안내하여 코드릴(48)의 브레이크아암(52)에 배기가 직접 충돌하지 않고 개방구부(46)를 향해서 효율좋게 안내하여 집중적으로 코드릴수용부(49)내로 유입시켜, 선회한 공기가 브레이크아암(52)에 충돌하게 됨으로서 공기가 난기류로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아암(52)를 비통기성의 소음재로 덮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브레이크아암(52)를 덮는 부분을 하부케이스(3)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하부케이스(3)의 브레이크아암(52)를 덮는 부분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측에 소음재를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릴수용부(49)는 오목부(47)에 배치한 상태로, 코드인출구(58)이 하부케이스(3)의 개방구부(46)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모터케이스(36)과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사이를 선회하는 공기의 코드릴수용부(49)측으로의 출구인 개방구부(46)이 코드인출구(58)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게 되기 때문에, 코드릴케이스(49)내에 유입한 공기가 코드인출구(58)에서 청소기본체(1)밖으로 유츨하기 어렵게 되므로, 배기유로의 단락(短絡)을 방지하여 소음의 억제효율이 저하하지 않는다.
상기 코드릴(48)의 상부측벽에는 복수의 구멍(59)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케이스(3)의 개방구부(46) 및 구멍(59)를 통해서 전동송풍기(6)의 배기를 코드릴(48)내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드릴수용부(49)를 청소기본체(1)의 오목부(47)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모터케이스(36), 하부케이스(3) 및 코드릴수용부(49)에 의해서 전동송풍기(6)의 하방을 3중벽의 구조로 하고 있다.
60은 상기 코드릴케이스(49)의 상부부재(50)에 형성된 연통구멍, 61은 상기 코드릴케이스(49)의 상부부재(50)의 집진실(5)측 벽면에 형성된 흡기 슬릿(slit)으로서, 상기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서 토출된 전동송풍기(6)의 배기의 일부가, 상기 하부케이스(3)의 개방구부(46)을 통해서 오목부(47)로 유입하고, 다시 연통구멍(60) 및 흡기 슬릿(61)을 통해서 코드릴수용부(49)내로 유입한다.
이때, 모터케이스(36)과 전동송풍기 수용실(7)사이의 단면적보다 연통구멍(60) 및 흡기 슬릿(61)의 면적이 작게 되어 있어서, 전동송풍기(6)의 배출공기가 연통구멍(60) 및 흡기 슬릿(61)에서 수속(convergence)되고, 코드릴수용부(49)내에서 확산(diffusion)되기 때문에 소음이 저감된다.
62는 상기 코드릴수용부(49)의 상부부재(50)의 배기실(43)측에 형성된 배기 슬릿으로서, 그 배기 슬릿(62)를 통해서 코드릴수용부(49)내와 배기실(43)을 연이어 통하게 하고 있으며, 배기가 코드릴수용부(49)내에서 배기실(43)을 향할 때, 배기가 배기 슬릿(62)에 의해 수속된 후, 배기실(43)에서 확산되기 때문에 소음이 저감된다.
63은 상기 배기실(43)저부의 청소기본체(1)배면측에 배기 슬릿(62)와 대향하여 점착된 펠트 등으로 된 흡음재로서, 배기 슬릿(62)에서 배출되는 배기를 흡음재(63)에 충돌시키므로서 소음이 저감하도록 되어 있다.
64는 상기한 칸막이판(42)의 배기실(43)측에 점착된 펠트 등으로 된 흡음재이다.
65는 상기 청소기본체(1)의 배기실(43)후방부에 거의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다수의 배기구로서, 이 배기구(65)의 청소기본체(1)내부측에 형성된 필터(66)을 배치하고 있다.
67은 상기 배기실(43)배면측에 점착되는 난통기성(難通氣性)피복부재로서, 배기구(65)의 필터(66)의 내면측일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하부케이스(3)의 개방구부(46)측도 덮어 씌우게 되어 있고, 상기 코드릴수용부(49)에서 배기 슬릿(62)를 통해서 배기실(43)으로 유입하는 공기가, 배기구(65)의 개방구부(46)측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청소기본체(1)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실(43)전체에 배기를 분산시켜서 감쇠시킨 후, 배기구(65)에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소음의 저감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복부재(67)로서 조모펠트(hair felt)를 사용하고 있다.
68은 상기 필터(66)의 배기실(43)측에 배치되는 거의 투명한 합성수지로 된 차음판으로서, 여러개의 배기용개방구(69)를 형성하고 있고, 배기용개방구(69)사이의 사다리부(ladder)(70)을 상기 배기구(65)에 거의 마주보게 되도록 하고 있으며, 배기를 배기용개방구(69)에서 필터(66)을 거쳐서 배기구(65)로부터 배기를 함과 동시에, 배기구(65)에서 새어나오려는 소음을 차음판(68)의 사다리부(70)으로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음판(68)의 배기용개방구(69)는 피복부재(67)로 덮혀 있는 부분까지 연장설치되고, 피복부재(67)을 통과하는 배기를 필터(66)을 통해서 배기구(65)에서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서, 배기효율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71은 상기 상부케이스(2)에 케이스커버(31)을 장착한 상태로 청소기본체(1)의 상면에서 측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계단부로서, 이 계단부(71)측면의 집진뚜껑(21)측에는 케이스커버(31)에 긴구멍(7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케이스(2)에 긴구멍(72)에 대향하여 지지부(73)이 형성되어 있다.
74는 상기 계단부(71)상면의 집진뚜껑(21)측에 형성된 원호형(arc)의 홈으로서, 다음에 설명할 핸들(75)의 회전축(76)측의 끝부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75는 상기 긴구멍(72) 및 지지부(73)에 회전축(76)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여 계단부(71)에 배치되는 핸들로서, 핸들(75)를 넘어뜨린 상태로, 청소기본체(1)의 상면에서 측면에 걸친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75)는 기립동작시에, 회전축(76)측의 끝부가 상부케이스(2)상면에 형성된 원호형홈(74)내를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핸들(75)의 기립시, 회전축(76)측의 끝부가 원호형홈(74)내에 위치하므로서 핸들(75)에 회전축(76)이 긴구멍(72) 및 지지부(73)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핸들(75)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송풍기(6)을 구동시키면, 흡입구(14)에서 흡입된 공기는 집진실(5)를 통과하여 전동송풍기(6)으로 흡입되어 전동송풍기(6)을 냉각시키고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서 토출된다.
개방구(38)에서 토출된 배기는, 소음재(흡음재)(39)에 충돌하고,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과 모터케이스(36)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유로를 선회하도록 안내된다.
개방구(38)에서 토출된 배기를 소음재(39)에 충돌시키고 있으므로,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서 새어나오는 전동송풍기(6)의 소음을 효율좋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에 소음재(27)을 점착하고 있으므로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어서 배기를 부드럽게 선회시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소음재(27)에서 소음(消音)을 할 수 있으므로 소음(騷音)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모터케이스(36)에서 토출된 배기는, 그 일부분이 전동송풍기 수용실(7)저면의 통기구멍(45)와 코드릴수용부(49)의 연통구멍(57)을 통해서 코드릴수용부(49)내로 안내됨과 동시에, 대부분은 모터케이스(36)과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사이를 선회하여 전동송풍기 수용실(7)저면의 개방구부(46)을 거쳐 오목부(47)로 유입하고, 코드릴수용부(49)의 흡기 슬릿(61) 및 연통구멍(60)을 거쳐서 코드릴케이스(49)내로 도입된다.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측의 통기구멍(45)에서 코드릴수용부(49)로 도입된 배기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저면의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은 반대측에 형성된 개방구부(46)에서 도입된 배기에 의해 코드릴(48)전체가 고루게 냉각되고, 그 후에 코드릴수용부(49)내에 안내된 배기는 코드릴수용부(49)의 배기 슬릿(62)로부터 토출된다.
배기 슬릿(62)에서 토출된 배기는 배기실(43)의 배면측에 점착한 소음재(흡음재)(63)에 충돌하여 흡음되어, 청소기본체(1)배면의 배기구(65)에서 배출된다.
격리벽(4)의 전동송풍기(6)측의 면에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에 근접하는 원통형 리브(13)을 형성하므로서, 격리벽(4)와 전동송풍기(6)의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소음이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의 상부를 격리벽(4) 및 필터커버(10)으로 폐쇄함과 동시에, 집진뚜껑(21)에 부속장치수용실(22)와 수용실뚜껑(23)을 형성하므로서,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에서 사용자를 향해서 앞상방으로 새어나오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고, 사용자가 느끼는 소음을 저감시켜 불쾌감을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모터케이스(36)에 의해 전동송풍기(6)을 덮어 씌우고, 전동송풍기(6)의 측방을 상,하부케에스(2),(3)의 입벽과 하수벽(24),(25) 및 외벽(26)으로 덮어서 두겹의 벽구조로 하고, 전동송풍기(6)의 상방을 상부케이스(2) 및 케이스커버(31)에 의해 두겹의 벽구조로 함과 동시에, 전동송풍기(6)의 하방을 하부케이스(3)과 코드릴수용부(49)를 구성하는 상,하부부재(50),(51)에 의해 세겹의 벽구조로 하고 있으며, 다시, 상기 두겹벽의 구조 및 세겹벽의 구조에 모터케이스(36)을 포함하여 전동송풍기(6)의 주위를 모두 세겹 또는 네겹의 벽으로 구성하므로서 전동송풍기(6)의 소음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모터케이스(36)의 외부둘레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유로를 선회시키므로서 유로를 길게 하여 소음을 억제하고, 배기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므로서 소음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배기의 일부를 전동송풍기 수용실(7)저면의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측에 형성한 통기구멍(45)에서 코드릴수용부(49)내로 안내함과 동시에, 이 배기의 대부분은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 개방구부(46)에서 코드릴수용부(49)내로 안내하여 코드릴(48)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가 있다.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에서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로 배출될 때에, 전동송풍기(6)의 배기가 확산됨과 동시에, 전동송풍기 수용실(7)측벽과 모터케이스(36)의 사이에서 전동송풍기 수용실(7)상부벽의 사이를 향할때에 유로의 단면적이 좁아져서 배기가 수속(수렴)되고, 다시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다른쪽벽과 모터케이스(36)사이에서 확산되면서, 전동송풍기 수용실(7)내벽과 모터케이스(36)사이를 선회한다.
그리고, 전동송풍기(6)의 배기는 다시, 하부케이스(3)에 형성된 개방구부(46) 및 코드릴수용부(49)의 연통구멍(60)을 통해서 코드릴수용부(49)내로 도입될때에 수렴되고, 코드릴수용부(49)내에서 확산된 후, 코드릴수용부(49)의 배기 슬릿(62)를 통해서 배기실(43)으로 유입할때에 수렴되며, 다시 배기실(43)내에서 확산되어 배기구(65)에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배기의 확산과 수렴을 번갈아서 반복하므로서 전동송풍기(6)의 배기로 인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코드릴수용부(49)내에 전동송풍기(6)의 배기를 안내하여 코드릴(48)을 냉각시킨 다음, 전동송풍기 수용실(7)후방의 배기실(43)으로 배출하므로서, 좁은 공간에서 큰 공간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공기의 유속(流速)을 저하시킬 수 있고, 그래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구(65)에 차음판(68)의 사다리부(70)을 거의 마주보게 하고 있으므로, 배기구(65)에서의 소음의 누출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배기실(43)으로부터의 배기는, 배기용개방구(69)에서 필터(66)을 거쳐서 배기구(65)에서 배기되므로, 차음판(68)에 의한 배기의 방해는 없다.
또, 차음판(68)은 거의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본체(1)의 배면에서 볼 때, 차음판(68)이 눈에 띄지 않고, 따라서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1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코드릴수용부와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의 유로를 길게하여 소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코드릴수용부에 있어서, 코드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모터케이스의 개방구에서 토출되는 배기의 대부분은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간극을 선회하는 한편, 전동송풍기 수용실도 모터케이스 개방구측에 형성한 통기구멍을 통해서 코드릴수용부에 유입하기 때문에 코드릴을 충분히 냉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2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코드릴수용부와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의 유로를 길게하여 소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코드릴수용부에 있어서, 코드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간격을 변화시키므로서, 배기를 수속(수렴), 확산시킬 수 있게 되어, 전동송풍기의 배기로 인한 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3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코드릴수용부와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의 유로를 길게하여 소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코드릴수용부에 있어서, 코드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모터케이스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간격의 단면적보다 코드릴수용부의 연통구멍의 개방구 면적을 작게 하였기 때문에, 전동송풍기의 배기가 코드릴수용부로 유입할 때 수속되고, 코드릴수용부에서 확산되게 하므로서 전동송풍기의 배기로 인한 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4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코드릴수용부와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의 유로를 길게하여 소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코드릴수용부에 있어서, 코드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 코드릴수용부의 구멍의 면적보다, 배기실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므로서,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코드릴수용부에서 배기실로 유입할 때에 확산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송풍기의 배기로 인한 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5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의 유로를 길게 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전동송풍기를 모터케이스로 덮고,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상방, 측방, 후방, 하방을 각각 2중벽으로 구성하므로서 전동송풍기의 주위를 3중의 벽으로 덮어서, 전동송풍기의 투과음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6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코드릴수용부 및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의 유로를 길게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동시에 효율적으로 코드릴을 냉각할 수가 있다.
또, 전동송풍기를 모터케이스로 덮고,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상방, 측방, 후방, 하방을 각각 2중벽으로 구성하므로서, 전동송풍기의 주의를 적어도 3중의 벽으로 덮어서, 전동송풍기의 배기로 인한 투과음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7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유로를 길게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코드릴수용부의 코드인출구를 청소기본체의 개방구부와 반대측에 위치하게 하므로서, 전동송풍기의 배기의 코드릴수용부로 들어가는 유입구가 코드인출부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배기가 코드인출구에서 청소기본체의 밖으로 유출하기 어렵게 되므로 배기유로의 단락을 방지하여 배기의 소음억제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8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유로를 길게 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배기구의 개방구부측에, 비통기성 피복부재를 배치하므로서, 코드릴수용부에서 구멍을 통해 배기실로 유입하는 공기가, 배기실내에 확산되지 않고 배기구의 개방구부 근방 부분에서 청소기본체의 밖으로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실내에서 배기가 확산되게 하므로서 배기의 유속이 감쇠되기 때문에 배기구에 있어서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9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 수용실내에서 선회시킨 후, 배기실로 안내하므로서, 배기유로를 길게 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배기실의 한쪽측에 배기구를 형성하므서, 코드릴수용부에서 구멍을 통하여 배기실로 유입하는 공기가, 배기실내에 확산되지 않고 배기구의 개방구부 근방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청소기본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실내에서 배기가 확산되어 배기의 유속이 감쇠되기 때문에, 배기구에 있어서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10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에서 흡인되는 공기가 팬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음과, 팬모터가 발생시켜 전동송풍기의 흡입구에 방출되는 소리는 바깥쪽으로 확산되지 않고 칸막이판에 설치된 통형체의 좁은 공간에 모여진 소리가 통형체에 충돌한 후, 넓은 공간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음향의 쳄버효과(cavity effect)와 더불어 방사음은 감쇠되어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11의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전동송풍기의 흡입구에서 사용자에게 향하는 소음의 누설을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12의 구성에 의하면, 배기를 저해하지 않고, 배기구에서의 소음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바늘과 같은 이물이 배기구에서 청소기본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3의 구성에 의하면, 배기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배기를 저해하지 않고 배기구로부터의 소음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바늘 등, 이물이 배기구로부터 청소기본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14의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전동송풍기의 진동이 청소기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4)

  1.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43)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36)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수용부(49)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와, 상기 코드릴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43)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46)측보다 작게 코드릴수용부내에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4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43)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36)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수용부(49)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와, 상기 코드릴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43)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모터케이스(36)와 전동송풍기실(7)의 간격을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7)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43)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36)에 형성된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수용부(49)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와, 상기 코드릴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43)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7)과 모터케이스(36)의 간격의 단면적보다 코드릴수용부(49)의 연통구멍(60)의 면적을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인접하여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43)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36)에 형성된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한쪽으로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다른쪽에 형성되며, 상기 코드릴수용부(49)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와, 상기 코드릴수용부에 형성되어 배기실(43)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연통구멍(60)의 면적보다 배기실(43)의 단면적을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수용실(7)상방에, 전동송풍기수용실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케이스커버와, 상기 청소기본체(1)내의 전동송풍기수용실(7)측쪽으로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아래쪽에 배설되어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전동송풍기수용실의 한쪽에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의 다른쪽에 형성된 개방구(38)와, 상기 개방구(38)에서 개방구부(46)를 향해서 모터케이스(36)와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사이를 전동송풍기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개방구부(46)에 연이어 통하는 배기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상방에, 전동송풍기 수용실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케이스커버와, 상기 청소기본체(1)내의 전동송풍기수용실(7)측쪽으로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배치되는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후방에 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1)의 배기실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어 씌우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한쪽에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다른쪽에 형성되어, 상기 코드릴수용부(49)와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와, 상기 개방구(38)에서 개방구부(46)를 향해서 모터케이스(36)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사이를 전동송풍기(6)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수용부(49)에 형성되어 배기실(43)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상기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 수용실(7)에 인접하여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깃리(43)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36)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한쪽에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다른쪽을 향해서 모터케이스(36)와 전동송풍기 수용실의 사이를 전동송풍기(6)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수용부(49)에 형성되어, 배기실(43)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코드릴케이스(49)의 코드인출구(58)를 상기 청소기본체91)의 개방구부(46)와 반대되는 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8.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상기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수용실(7)에 인접하여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배깃리(43)에 형성된 배기구(65)와,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36)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한쪽에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다른쪽에 형성되어 코드릴수용부(49)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와, 상기 개방구(38)에서 개방구부(46)를 향해서 모터케이스(36)와 전동송풍기수용실의 사이를 전동송풍기(6)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수용부(49)에 형성되어 배기실(43)에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배기구(65)내면의 개방구부(46)측에 비통기성부재(非通氣性部材)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9. 전방에 집진실(5), 후방에 전동송풍기(6)를 수용하는 전동송풍기수용실(7)을 형성하는 청소기본체(1)와, 상기 청소기본체(1)의 전동송풍기수용실(7)에 인접하여 코드릴(48)을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코드릴수용부(49)와, 상기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후방에 구획형성된 배기실(43)과, 적어도 상기 전동송풍기(6)의 배기측을 덮는 모터케이스(36)와, 그 모터케이스(36)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한쪽에 마주보는 개방구(38)와, 전동송풍기수용실(7)의 다른쪽에 형성되어 코드릴수용부(49)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46)와 상기 개방구에서 개방구부(46)를 향해서 모터케이스(36)와, 전동송풍기 수용실(7)의 사이를 전동송풍기(6)의 배출공기가 선회하는 선회유로와, 상기 코드릴수용부(49)에 형성되어 배기실(43)과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배기실(43)의 상기 모터케이스(36)의 개방구(38)측에 배기구(6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0. 내부를 격리벽에 의해 집진실(5)과 전동송풍기 수용실(7)로 구획한 청소기본체(1)와, 이 청소기본체에 형성되어 집진실로 연이어 통하는 흡입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에 수용되는 전동송풍기(6)와, 상기 격리벽에 형성되어 집진실(5)과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구(8)를 구비하며, 이 연통구(8)의 둘레테두리에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를 향해서 링형태의 통형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11. 내부를 격리벽에 의해 집진실(5)과 전동송풍기수용실(7)로 구획한 청소기본체(1)와, 이 청소기본체에 형성되어 집진실로 연이어 통하는 흡입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 수용실(7)에 수용되는 전동송풍기(6)와, 상기 격리벽에 형성되어 집진실(5)과 전동송풍기 수용실(7)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연통구(8)를 구비하며, 상기 연통구(8)를, 전동송풍기(6)의 흡기구(9)에 대하여 하방측으로 형성하고, 전동송풍기의 흡기구의 상방측을 폐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12. 집진실(5)과 전동송풍기수용실(7)을 갖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수용되는 전동송풍기(6)와, 상기 청소기본체(1)에 형성된 배기구(65)를 구비하며, 복수의 배기용개방구(69)를 갖고 배기용개방구(69)사이의 사다리부(ladder)(70)를 상기 배기구(65)에 거의 마주보게 하고 있는 차음판(68)을, 배기구(65)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13. 집진실(5)과 전동송풍기수용실(7)을 갖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수용되는 전동송풍기(6)와, 상기 청소기본체에 형성된 배기구(65)와, 그 배기구(65)에 배치되는 필터(66)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66)의 배기측에 복수의 배기용개방구(69)의 사다리부(70)를 거의 마주보게 하는 차음판(68)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4. 집진실(5)과 전동송풍기수용실(7)을 갖는 청소기본체(1)와, 그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 수용실에, 방진쿠션(cushion)을 끼워서 수용 지지되는 전동송풍기를 구비하며, 상기 방진쿠션과 청소기본체의 사이에 지지부재를 끼우며, 그 지지부재를, 경도(硬度)또는 이종(異種)의 재료인 복수종류의 재료를 겹으로 합쳐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청소기.
KR1019970068079A 1996-12-17 1997-12-12 전기청소기 KR100256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7274 1996-12-17
JP8337274A JPH10174667A (ja) 1996-12-17 1996-12-17 電気掃除機
JP96-337274 1996-12-17
JP97-039555 1997-02-24
JP39555 1997-02-24
JP9039555A JPH10234626A (ja) 1997-02-24 1997-02-24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071A true KR19980064071A (ko) 1998-10-07
KR100256437B1 KR100256437B1 (ko) 2000-05-15

Family

ID=2637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079A KR100256437B1 (ko) 1996-12-17 1997-12-12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56437B1 (ko)
CN (1) CN1149049C (ko)
TW (1) TW41747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3378B2 (ja) * 2004-02-03 2010-04-21 日立工機株式会社 送風機
KR20140004219U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부강샘스 진공청소기
CN105494353B (zh) * 2015-12-29 2018-04-20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一种含磺酰草吡唑与嘧啶肟草醚的混合除草剂
CN105494354B (zh) * 2015-12-29 2018-02-16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一种含磺酰草吡唑与乙羧氟草醚的混合除草剂
CN105494376A (zh) * 2015-12-29 2016-04-20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一种含磺酰草吡唑与唑啉草酯的混合除草剂
JP7330720B2 (ja) * 2019-03-05 2023-08-22 株式会社マキタ 背負い式集じん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185Y1 (ko) * 1994-05-27 1999-06-1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소음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7335A (zh) 1998-07-15
CN1149049C (zh) 2004-05-12
TW417477U (en) 2001-01-01
KR100256437B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6336B1 (en) Vacuum cleaner with silencing device
AU2005327466B2 (en) Removable internal air diffuser
KR20000075708A (ko)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KR20180010703A (ko) 진공 청소기
KR100256437B1 (ko) 전기청소기
KR100404040B1 (ko) 전기청소기
JP3113601B2 (ja) 電気掃除機
EP0453296B1 (en) Vacuum cleaner
KR100349292B1 (ko) 전기 청소기
JPH10234626A (ja) 電気掃除機
JPH10234627A (ja) 電気掃除機
JPH10216053A (ja) 電気掃除機
KR10104482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체임버
JP2001218713A (ja) 電気掃除機
JPH11104047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760454B2 (ja) 電気掃除機
KR970002796Y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消音)장치
KR100213365B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KR10023351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기 유로구조
JPH10216052A (ja) 電気掃除機
KR20040096024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장치
JP2001061725A (ja) 床用吸込具
JP2003325389A (ja) 電気掃除機
KR200167702Y1 (ko) 진공청소기
JP5931455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