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001A - 필름 형성 중합체 및 왁스 분산액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 배합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필름 형성 중합체 및 왁스 분산액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 배합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001A
KR19980064001A KR1019970067437A KR19970067437A KR19980064001A KR 19980064001 A KR19980064001 A KR 19980064001A KR 1019970067437 A KR1019970067437 A KR 1019970067437A KR 19970067437 A KR19970067437 A KR 19970067437A KR 19980064001 A KR19980064001 A KR 19980064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ax
film
aqueous dispersio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494B1 (ko
Inventor
드라뽀뜨리발레리
멜윌미리앙
바라이자벨
Original Assignee
로스트까뜨린느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4985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6400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스트까뜨린느, 로레알 filed Critical 로스트까뜨린느
Publication of KR1998006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는 화장 조성물로서,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왁스의 수성 분산액, 특히 왁스의 수성 미립 분산액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조성물에서의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왁스의 수성 분산액의 배합물의 용도, 특히 필름에 남는 힘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름 형성 중합체 및 왁스 분산액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 배합물의 용도
본 발명은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는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로는, 특히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함유하고, 특히 사람의 얼굴 및 몸에 사용하는 메이크업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르는 조성물, 예를 들면 입술용 조성물 및 파운데이션들은 일반적으로 스틱, 유연성 페이스트 또는 캐스트 페이스트의 형태이며, 오일, 페이스트성 화합물 및/또는 왁스와 같은 지방 물질들 및 필러 및 안료로 구성된 특별한 상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을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를 때에 묻어나는 (transferring) 단점이 있다. 이는 조성물이 접촉되는 곳, 예를 들면 유리, 컵, 의복 또는 피부와 같은 어떤 지지체 상에 적어도 일부가 침착되기 쉬움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침착하게 되면, 상기 조성물은 상기 지지체 상에 흔적을 남기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 상의 조성물의 좋지 못한 유지력을 가져오며, 조성물을 반복해서 발라야 하는 필요가 생긴다.
더구나, 어떤 품목의 의류 상에, 특히 블라우스의 칼라에 수용할 수 없는 흔적을 남기는 것은 모든 여성들이 그런 유형의 메이크업을 사용하지 않게 만든다.
이런 조성물들의 또다른 단점은 밀림 (migration)의 문제점으로, 이는 어떤 조성물들이 파운데이션의 경우에 피부의 주름살 및/또는 미세한 선에서 ; 입술 둘레의 미세한 선에서 ; 아이새도우의 경우에는 눈꺼풀의 접힌 부위에서 움직이게 하는 경향을 갖고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새도우의 경우에, 메이크업에서 줄무늬가 나타나고 이들 줄무늬들은 눈꺼풀이 움직임으로써 생긴다는 것도 관찰되었다. 이 모든 현상들은 명백히 사용하지 않으려 한다는, 심리적으로 불쾌한 효과를 초래한다.
수년 전부터, 수많은 화장품 제조업자들은 묻어나지 않는 (transfer -free) 화장 조성물, 특히 입술용 조성물 또는 파운데이션에 관심을 가져왔다. 즉, 특허출원 JP-A-6465805 호에는, 실리케이트 반복단위를 갖는 실리콘 수지 1 내지 70 중량 %, 휘발성 실리콘 오일 10 내지 98 중량 % 및 분말 충전물을 함유하는 묻어나지 않는 입술용 조성물 조성물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실리콘 오일이 증발되고 나면 입술 위에 생긴 필름이 시간이 경과되면 불편하게(메마르고 팽팽해지는 느낌) 된다는 결점을 가진다.
더욱 최근에, 특허출원 EP-A-602905호에서, 휘발성 실리콘 및 탄소원자수 12 이상의 측쇄 달린 에스테르화 사슬을 함유하는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묻어남이 없는 입술용 조성물이 고려되었다. 입술용 조성물 필름은 특히 발랐을 때 안락감이 결핍된, 특별하게는 너무 건조하다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휘발성 오일을 일부 실리콘 화합물과 배합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묻어남이 없는 결과를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의 적용 및 휘발성 분획의 증발 후에 수득된 필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매트하다는 (matt ; 윤택이 없고 뻑뻑한 느낌)는 단점을 가지는데, 따라서 광채가 결핍된 메이크업 효과를 준다.
따라서, 묻어남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화장 조성물, 즉 묻어남이 없는 화장 조성물에 남아있는 필요성은 동시에 우수한 화장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그래서, 중합체 시스템에서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이 제공되었다. 상기 시스템은, 필름을, 이것이 놓여질 지지체 상에서 수득되게 해야하며, 상기 필름은 다음과 같은 생리화학적 성질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약 200% 이상의 연신율, 및/또는 100 이하의 경도, 및/또는 200 MPa 이하의 영율 (탄성 모둘러스) (참고: EP-A-0793957 및 EP-A-0775483).
수득된 필름은 매우 상당히 묻어남에 있어 저항성을 가지며,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된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메이크업의 제거가 통상적인 메이크업 제거 제품을, 특히 일반적 메이크업 제거 제품을 사용할 때 어려울 수도 있거나, 또는 점성 필름이 입술 상에 심지어 건조 후에도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우수한 유지력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화장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것은 묻어남이 없고 그것이 접촉되어 위치하는 지지체에 자국을 남기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하여도 밀림이 없고, 동시에 입술 상에 점착성이 없는 우수한 화장 특성을 가지며, 또한 제거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주제는, 피부, 반점성 필름 및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고,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로서, 일종 이상의 왁스 수성 분산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 및 하나 이상의 왁스 수성 분산액을 포함하는, 묻어남이 없는 메이크업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고, 매우 우수한 유지력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고, 및/또는 밀림이 없고, 및/또는 자국을 남기지 않고, 및/또는 점착성이 없는 조성물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 수성 분산액 및 왁스 수성 분산액의 조합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는 조성물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유지력을 가지고, 및/또는 밀림이 없고, 및/또는 자국을 남기지 않고, 및/또는 윤택이 나는 필름을 수득하기 위하여,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 수성 분산액 및 왁스 수성 분산액의 조합의 용도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놀랍고도 예기치 못하게도, 왁스의 미립분산액과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와 배합함으로써,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고, 지지체에 잘 부착되고, 기름기가 없으며, 묻어나지 않는 성질 (심지어 비빌 때에도 묻어남이 전혀 없음)이 탁월한 필름을 수득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반면 표준 오일상 메이크업 제거 조성물 또는 메이크업 제거 오일로는 메이크업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벼운 조직감을 가지는 균질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며 하루종일 착용에도 안락성이 있다. 필름은 피부 상에서 부드럽고,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신축성이라는 것과 동시에, 전혀 점착성이 없으며; 그것이 자리잡고 있는 피부의 움직임을 따르며, 균열 및/또는 탈착이 없다. 그것은 특히 얼굴 입술에 완벽하게 부착된다.
더구나, 수득된 필름은 유리하게로 조성물 내의 구성분들의 종류에 따라 뿌옇게 (matt)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반점성 필름 및 점성 필름 상에, 특히 얼굴의 입술 상에 용이하게 발라지고, 쉽고도 균일하게 펼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반점성 필름 및 점성 필름의 보호 또는 메이크업 분야에서 특히 유리한 용도를 찾을 수 있다. 점성 필름이란 아래쪽 눈꺼풀의 안쪽 부분을 특히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반점성 필름 중에서는, 얼굴의 입술이 특히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얼굴의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 특별하게는 입술용 조성물 분야에서 바람직한 용도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아이-라이너, 파운데이션, 볼터치 또는 아이새도우의 분야에서 또다른 유리한 용도를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따라서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들의 수성 분산액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사용가능한 필름 형성 중합체들 중에서, 중축합형 또는 라디칼형 합성 중합체, 천연 근원의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중축합물 중에서, 따라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이온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아크릴계, 폴리우레탄-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우레아-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면,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다음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포함한다:
· 선형 또는 분지쇄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근원의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테르 근원의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 하나 이상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측쇄달린 또는 달리지 않은 실리콘 블록,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및/또는
· 플루오로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본 발명에서 정의된 폴리우레탄은, 분지쇄 또는 비분지쇄 폴리에스테르로부터,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관능성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디히드로, 디아미노 또는 히드록시아미노)와 반응에 의하여 변경되는 약한 결합의 수소를 함유하며 또한 카르복실산이나 카르복실레이트기, 또는 술폰산기나 술포네이트기, 또는 대안으로서 중성 3차 아미노기 또는 4차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알키드로부터 또한 수득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지방-사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언급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공지 방식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2가산들을 방향족 디올 또는 폴리올과 중축합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지방족 2가산으로서,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르산, 수바르산 또는 세박산을 사용할 수 있다.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대안으로서 프탄산 무수물과 같은 유도체를 방향족 2가산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4,4'-(1-메틸프로필리덴)비스페놀을 지방족 2가산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을 폴리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는, 폴리에스테르와 유사한 방식으로, 2가산을 디아민 또는 아미노알콜과 중축합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메타- 또는 파라-페닐렌디아민을 디아민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모노에탈올아민을 아미노 알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축합 동안 사용가능한, 음이온성기를 갖는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디메틸올프로피온산, 트리멜리트산 또는 트리멜리트산과 같은 유도체, 펜탄디올-3-술폰산의 소듐염 또는 5-술포-1,3-벤젠디카르복실산의 소듐염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사슬 폴리에스테르는 중축합 동안 지방-사슬 디올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는 지방산을 α,ω-디에폭시 말단화 축합물과 중축합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라디칼형 중합체는 특별하게는 아크릴계 및/또는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음이온성 라디칼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라디칼 중합 동안 사용가능한 음이온성기 함유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무수물 또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을 언급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및/또는 아미드에서 선택되는 단량체의 공중합으로부터 결과될 수도 있다. 에스테르형 단량체의 예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를 언급할 수도 있다. 아미드형 단량체로서, N-t-부틸아크릴아미드 및 N-t-옥틸아크릴아미드를 언급할 수도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를 가지며 호수성기,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종류를 함유하는 단량체,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에 의해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닐 중합체는 비닐 에스테르, 스티렌 및 부타디엔에서 선택된 단량체들의 단중합 또는 공중합으로부터 결과될 수도 있다. 비닐 에스테르의 예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비닐 피발레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및 비닐 t-부틸벤조에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아크릴계/실리콘 공중합체 또는 니트로셀룰로스/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개질된 천연 근원의 중합체는 셀락 수지, 산다락 고무, 데마라 수지, 엘레미 고무, 코팔 수지, 셀룰로스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및/또는 알키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미리 존재하는 입자들의 내부 및/또는 표면에 부분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디칼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켜 결과되는 중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름 형성 중합체로 구성된 수성 분산액은 당업계 기술인에 의해 일반 지식을 기초로하여, 특별하게는 에멀젼 중합 또는 예비형성된 중합체의 분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의 필름 형성 성질을 예를들어 그의 유리전이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개선하기 위하여, 분산액에 공지 유착제로부터 선택되는 유착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의 분산액이란 유착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분산액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성 분산액의 고형분 함량 (즉, 건조 물질)은 약 5 내지 60 중량 %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 % 이다. 수성 분산액에서 중합체의 입자 크기는 10 내지 500 nm이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nm일 수 있으며, 이것은 주목할만한 수준의 광채를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준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지 수용성 중합체를, 특히 만일 다소 실질질적인 양의 물을 필름에서 제거하는 것이 소망스럽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수용성 중합체의 양은, 당업계 기술인에 의해 그의 일반적인 지식을 근거로하여, 소망되는 기계적 성질을 조성물의 화장품으로서 허용되는 성질들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지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수용성 중합체들 중에서, 동물 또는 식물 근원의 단백질 유도체 및 더욱 특별하게는 케라틴 수화물 및 술폰계 케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예를 들면 비닐 에테르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및 크로톤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공중합체, 글리코아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및 이의 유도체, 아크릴계 중합체, 다당류, 및 셀룰로스 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를 언급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호수성 또는 소수성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중합체(들)과의 그의 혼화성을 위하여 선택되며 필름의 수-민감성에 해를 주지 않는 양으로 있다. 상기 가소제는 당업계 기술인에게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로부터 소망되는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런 약제들은 수용성 또는 수불용성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있을 수도 있다.
특별하게는, 하기와 같은 통상의 가소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언급할 수 있다.
- 글리세롤 에스테르,
-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및 특별하게는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 산 에스테르, 특별하게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시트레이트,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카르보네이트, 타르타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세바케이트,
- 옥시에틸렌화 오일과 같은 옥시에틸렌화 유도체, 특별하게는 캐스터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가소제의 양은, 당업계 기술인에 의해 그의 일반적인 지식을 근거로하여, 소망되는 기계적 성질을 조성물의 화장품으로서 허용되는 성질들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지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중합체, 임의의 유착제 및 임의의 가소제로 구성된 중합체 시스템은 그것이 위치되는 지지체 상에 필름이 수득될 수 있게해 주어야 한다.
실시예 전에 정의된 측정 조건 하에, 상기 필름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있음을 바람직하게는 확인한다.
· 약 200 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약 2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0%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약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55 미만의 경도.
조성물은 1 내지 60 중량 %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 % 의 필름 형성 중합체 고형분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수성 분산액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왁스의 수성 분산액, 바람직하게는 왁스의 수성 미립분산액을 더 함유한다. 왁스 미립분산액이란 용어는 상기 왁스 입자의 평균 크기가 약 1 마이크론 또는 그 미만인 왁스 입자들의 수성 분산액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왁스 미립분산액은 왁스의 콜로이드성 입자들의 안정한 분산액이며 특별하게는 문헌 [Microemulsions Theory and Practice, L.M.Prince, Academic Press (1977), p 21-32]에 기재되어 있다.
특별하게는, 이들 왁스 미립분산액은 왁스를 계면활성제 및 임의의 물의 존재 하에 용용시키고 이어서 가열수를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수득될 수도 있다. 유중수형 에멸젼의 중간 형성이 관찰되며, 이어서 상역전에 의해 수중유형 에멀젼을 최종적으로 수득한다. 냉각 후에, 왁스의 고형 콜로이드성 입자들의 안정한 미립분산액을 수득한다.
왁스 미립분산액 중의 입자들은 1 마이크론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마이크론 미만의 평균 크기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이 입자들은 본질적으로 왁스 또는 왁스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들은 소량의 오일상 및/또는 반죽상 지방 첨가물, 계면활성제 및/또는 통상의 지용성 첨가물/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왁스는 실온에서 고체이거나 딱딱한, 동물 왁스, 식물 왁스, 무기물 왁스 또는 합성 왁스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일부를 구성하는 왁스는 융점이 약 45℃ 초과, 특별하게는 55℃ 초과이고/이거나, 25 ℃ 에서 의 바늘 침입 지수가, US ASTM 표준 D5에 준하거나 프랑스 표준 NFT 004 에 준해 측정 시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일 수도 있다. 왁스는 물에 불용성이고, 지용성이다. 그것들은 불용성 필름만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필름 형성 침착이 형성되도록 한다.
특별하게는, 탄화수소 왁스로서 예를 들면 밀랍 및 충백랍; 쌀 왁스, 카르노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우리커리 (ouricurry) 왁스, 알팔파 왁스, 코르크 섬유 왁스, 수가르칸 왁스, 재팬 왁스, 수필름 왁스, 몬탄 왁스, 미정질 왁스류, 파라핀류, 오조케라이트, 폴리에틸렌 왁스류, 피셔-트롭쉬 (Fischer-Tropsch) 합성법으로 수득된 왁스류 및 왁스성 공중합체류, 또한 이들의 에스테르류를 언급할 수도 있다.
직쇄 또는 분지쇄 C8-C32 지방 사슬을 갖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오일의 촉매적 수소화로 수득된 왁스들을 또한 언급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수소화 요요바 오일, 수소화 해바라기 오일, 수소화 캐스터 오일 및 수소화 라놀린 오일을 언급할 수 있다.
실리콘 왁스류도 또한 언급할 수 있다.
왁스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자기-유화성 왁스들의 시판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결합되어 있는 카노바 왁스 및 파라핀 왁스를 함유하고 있는, 명칭 시르 오토 러스트란트 오에프알 (Cire Auto Lustrante OFR)로 티스코 (Tiscco)사에서 시판되는 왁스, 또는 케레신 (Ceresine)사에서 명칭 케락스 에이.오. 28/비 (Cerax A.O. 28/B)로 시판되는 지기-유화성 왁스를 예를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시판 혼합물들은 단순히 물을 첨가함으로써 왁스 미립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게 해준다.
바이크 세라 (Byk Cera)사의 아쿠아서 (Aquacer) 제품들을 또한 언급할 수 있는데, 특별하게는 천연 및 합성 왁스들과 음이온 유화제의 혼합물 (Aquacer 520), 폴리에틸렌 왁스와 비이온성 유화제의 혼합물 (Aquacer 514 또는 513), 중합체성 왁스와 음이온성 유화제의 혼합물 (Aquacer 511)이 있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파라핀 왁스와 비이온성 유화제인 존슨 폴리머 (Johnson Polymer)사의 존왁스 120 (Jonwax)의 혼합물을 또한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0 내지 40 중량 %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 % 의 추가의 왁스 고형분을 바람직하게 함유할 수도 있다. 그것은 또한 왁스 미립분산액 및 안정한 최종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기에 충분한 양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특별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 의 통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하기 화합물에서 선택된다: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특별하게는, 예를 들면 탄소원자수 12 내지 18의 임의 불포화된 지방산 염; 탄소원자수 12 내지 18의 알킬황산 및 알킬술폰산 또는 알킬 사슬이 탄소원자수 6 내지 18인 알킬아릴술폰산의 알칼리염 또는 유기 염기의 염류; 술페이트 에테르류.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류, 특별하게는, 폴리알콕실화 및/또는 폴리글리세롤화 계면활성제류, 특히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아미드류; 지방산 알콜 또는 알킬페놀류; 폴리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알칸디올류 및 알칸디올의 알킬 에테르류. 또한 트리글리세릴 알킬 카르보네이트류, 라놀린 알콜, 라놀린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옥시에틸렌화 또는 프로폭실화 유도체류를 언급할 수도 있다.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특별하게는 4급 암모늄 유도체류.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은 하나 또는 다수의 지방 (오일상 및/또는 페이스트상) 첨가물과 배합될 수도 있다. 특별하게는, 해바라기 오일 및 요요바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액형 파라핀과 같은 광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페트롤륨 젤리 및 라놀린; 플루오로 오일; 퍼플루오로기를 함유하는 탄화수소 오일; 지방 알콜 에스테르를 언급할 수도 있다.
미립자 왁스상 내로 UV 차단제와 같은 지용성 활성 성분, 지용성 비타민 및 지용성 화장 활성제를 도입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형태로 있을 수 있으며 특별하게는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의 형태 또는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조성물은 일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특별하게는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30 중량 % 의 비율로 포함하는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로 있다.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 또는 메이크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류물질, 예를 들면 수용성 염로 및/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료는 조성물에 최종 조성물 중량의 0 내지 20%의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비율로 존재한다. 이들은 통상 크기 또는 나노메터 크기의 백색 또는 유색의 무기 및/또는 유기물일 수 있다. 무기 안료 및 나노메터 안료 중에서,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세륨, 또한 산화아연을 언급할 수도 있다. 무기 안료 중에서, 카본 블랙 바륨, 스트론튬, 칼슘 및 알루미늄 레이크를 언급할 수도 있다.
수용성 염류 중에서, 관심이 있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염료, 예를 들면 판소(panceau)의 디소듐염, 알리자린 그린의 디소듐염, 퀴놀린 옐로우, 아마란트의 트리소듐염, 타르트라진의 디소듐염, 로다민의 모노소듐염, 푹신 (fuchsin)의 디소듐염, 잔트로필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도 있다.
증점제와 같은 임의의 공지 첨가제, 예를 들면 클레이, 고무, 실리카, 실룰로스 유도체,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폴리우레탄형 회합 중합체와 같은 합성 중합체; 크산탄 고무와 같은 천연 고무; 확산제; 분산제; 보존제; 발포방지제; 습윤제; UV 차단제; 방향제; 필러; 화장 활성제; 보습제; 비타민 및 이들의 유도체; 생물학적 물질 밈 이들의 유도체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명백하게, 당 분야 숙련가들은 이들 임의 첨가물 및/또는 이들의 양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질들이 고려되는 첨가에 의해 역효과를 주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주지 않도록 조심해서 선택할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명백하게, 피부, 점성 필름 및/또는 반점성 필름과 같은 지지체에 침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액체, 겔, 반고형 또는 유연성 페이스트 형태로 또는 심지어 스틱 또는 튜브와 같은 고형 형태로도 있을 수도 있다.
메이크업 제품로서, 특별하게는 입술용 조성물, 파운데이션, 볼연지, 아이새도우 또는 아이-라이너로서 또는 이의 제조용으로 용도가 특별하게 있다.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도포하는 보호 조성물, 반일광 조성물 또는 자기-선탠 조성물의 분야에서 의 용도가 또한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표준 메이크업 제거 조성물 및/또는 메이크업 제거 오일로써 용이하게 제거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A : 연신율 측정
ASTM 표준, 볼륨 06.01 D 2370-92 유기 코팅제의 인장성의 표준 시험법 에 따라 수득된 필름의 인장율을 측정한다.
B : 경도 측정
Persoz 진자를 이용하여, ASTM 표준 D-43-66 또는 NF-T 표준 30-016 (1981. 10) 에 따라, 필름 경도를 측정한다.
지지체 위에 퇴적된 필름을 건조 전에 약 3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지도로 한다. 24 시간 동안 30 ℃ 에서 50 % 의 상대 습도 하에서 건조시킨 후,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수득한 후, 30 ℃에서 50 % 의 상대 습도 하에서 경도를 측정한다.
C : 영율(탄성율) 측정
ASTM 표준, 볼륨 06.01 D 2370-92 유기 코팅제의 인장성의 표준 시험법 에 따라 영율 (탄성율)을 측정한다.
지지체 상에 퇴적된 필름을 건조 전에 약 3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7 일 동안 21 ℃ 에서 50 % 의 상대 습도 하에서 건조시킨 후,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수득한다. 측정된 샘플은 5 mm 의 폭과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진다. 턱(jaw) 간의 거리가 25 mm 이다. 견인 속도는 1000 mm/분이다.
실시예 1 의 내용에서도 10 mm/분의 견인 속도로 측정한다.
실시예 1
하기를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
- 조성물 중의 안료가 2 중량 % 가 되도록, 10 - 16 중량 % 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4.8 % 의 안료 페이스트, 및
- 하기 화합물등 :
조성물 A : Byk Cera 의 최종 조성물 Aquacer 513 중의 폴리에틸렌 왁스 (33 % 고형물) 의 미립분산액
조성물 B : Aquacer 511 중의 중합체 왁스 (23 % 고형물) 의 미립분산액
조성물 C : 폴리에틸렌 왁스 (33 % 고형물) 의 미립분산액 + 수용성 중합체 (10 % 고형물을 함유하는 PVC) 의 미립분산액
조성물 D : BASF 의 아크릴 중합체 (47 % 고형물) Luhydran LR8763 의 수성 분산액
조성물 E : 아크릴 중합체 (42 % 고형물) 의 수성 분산액 + Aquacer 511 중의 폴리에틸렌 왁스 (11 % 고형물) 의 미립분산액
조성물 F : 아크릴 중합체 (20 % 고형물) 의 수성 분산액 + Aquacer 511 중의 폴리에틸렌 왁스 (11 % 고형물) 의 미립분산액
조성물을 묻어남, 냉수와 오일을 이용한 메이크업 제거와 같은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는 10 명의 입술에 바른다.
결과가 다음과 같다 :
묻어남 냉수를 이용한 메이크업 제거 오일을 이용한 메이크업 제거
조성물 A -- +++ +++
조성물 B -- ++ ++
조성물 C -- +++ +
조성물 D -- --- +/-
조성물 E ++ --- ++
조성물 F --- ---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냉수를 이용했을 때 남아 있는 힘이 좋으나, 표준 오일성 메이크업 제거 조성물을 사용하면 제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입술에 발랐을 때 매우 광택이 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하기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
- Sanncor 의 폴리우레탄 (40 % 고형물) Sancure 861 의 수성 분산액 : 75 %
- Byk Cera 의 중합체 왁스 (25 % 고형물) Aquacer 27RC601 의 미립 분산액 : 20 %
- 안료 : 2 %
- 글리세롤 : 1.25 %
- 물 : qs 100 %
입술에 쉽게 발라지고, 묻어나지 않는 광택이 나는 필름을 형성하며, 쉽게 제거되는 립스틱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하기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
- BASF 의 아크릴 중합체 (47 % 고형물) Luhydran LR8763 의 수성 분산액 : 64 %
- Byk Cera 의 중합체 왁스 (25 % 고형물) Aquacer 511 의 미립 분산액 : 20 %
- 안료 : 2 %
- 글리세롤 : 1.25 %
- 물 : qs 100 %
입술에 쉽게 발라지고, 묻어나지 않는 빛나는 필름을 형성하며, 쉽게 제거되는 립스틱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립스틱 조성물은 입술에 쉽게 발라지고, 묻어나지 않는 빛나는 필름을 형성하며, 쉽게 제거된다.

Claims (43)

  1. 피부, 반점성 필름 및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고,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로서, 일종 이상의 왁스 수성 분산액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가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이온성 폴리우레탄 ; 폴리우레탄-아크릴계; 폴리우레탄-폴리비닐피롤리돈 ;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 폴리우레아 ; 폴리우레아-폴리우레탄 ;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지방 사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폭시 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및/또는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 니트로셀룰로스/아크릴계 공중합체 ; 개질되어 있을 수도 있는 천연근원 중합체 ;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및/또는 알키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미리 존재하는 입자들의 내부 및/또는 표면에 부분적으로, 일종 또는 그 이상의 라디칼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켜 결과되는 중합체 ;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 중의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크기가 10 내지 500 nm 인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에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
    · 약 20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약 200 %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110 미만의 경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 내지 60 중량 % 의 필름 형성 중합체 고형분을 수성 분산액 내에 함유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및 이의 유도체, 글리세롤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산 에스테르, 옥시에틸렌화 유도체 ;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일종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왁스 분산액의 입자의 평균 크기가 1 마이크론 미만인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왁스가 융점이 약 45℃ 초과이고/이거나, 25 ℃ 에서의 바늘 침입 지수가 3 내지 40 인 왁스들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왁스가 밀랍, 라놀린 왁스 및 충백랍 ; 쌀 왁스, 카르노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우리커리 (ouricurry) 왁스, 알팔파 왁스, 코르크 섬유 왁스, 수가르칸 왁스, 재팬 왁스, 수필름 왁스, 몬탄 왁스, 미정질 왁스류, 파라핀류, 오조케라이트 ; 폴리에틸렌 왁스류, 피셔-트롭쉬 (Fischer-Tropsch) 합성법으로 수득된 왁스류 ; 왁스성 공중합체류 및 이의 에스테르류 ; 직쇄 또는 분지쇄 C8-C32 지방 사슬을 갖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오일의 촉매적 수소화로 수득된 왁스류 ; 수소화 요요바 오일, 수소화 해바라기 오일, 수소화 캐스터 오일 및 수소화 라놀린 오일 ; 실리콘 왁스류 ;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0.1 내지 50 중량 % 의 왁스 고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왁스 분산액의 입자들은 오일상 및/또는 페이스트상 지방 첨가물, 계면활성제 및/또는 통상의 지용성 첨가/활성제를 또한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또한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종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면, 동물성 또는 식물성 근원의 단백질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 에테르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및 크로톤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공중합체, 글리코아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및 이의 유도체, 아크릴계 중합체, 다당류, 셀룰로스 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를 또한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염료물질도 또한 함유하는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염료물질이 수용성 염료 및/또는 안료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중유 또는 유중수형 에멀젼의 형태로 또는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있는 조성물.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립스틱,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새도우 또는 아이-라이너와 같은 메이크업 제품 ; 보호 조성물 ; 반일광 조성물 또는 자기-선탠 조성물의 형태로 있는 조성물.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른 후에, 매우 우수한 유지력을 가지며, 및/또는 묻어남이 없으며, 및/또는 밀림이 없으며, 및/또는 자국이 남지 않으며, 및/또는 점착성이 없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조성물.
  19.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 수성 분산액 및 일종 이상의 왁스 수성 분산액으로 된 묻어남이 없는 메이크업 조성물.
  20.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고, 매우 우수한 유지력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고/해주거나, 밀림이 없고/업거나, 자국을 남기지 않고/않거나, 윤택이 나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 수성 분산액 및 왁스 수성 분산액의 배합물.
  21. 매우 우수한 유지력을 가지고/가지거나, 밀림이 없고/없거나, 자국을 남기지 않고/않거나, 윤택이 나는 필름을 수득하기 위해, 피부, 반점성 필름 및/또는 점성 필름에 바를 수 있는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 수성 분산액 및 왁스 수성 분산액의 배합물.
  22. 제 20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배합물 :
    · 약 20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약 200 %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110 미만의 경도.
  23. 제 20 항에 있어서, 왁스 분산액의 입자의 평균 크기가 1 마이크론 미만인 배합물.
  24. 제 20 항에 있어서, 수용성 염료 및/또는 안료로부터 선택되는 염료 물질도 또한 함유하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배합물.
  25. 제 20 항에 있어서, 립스틱,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새도우 또는 아이-라이너와 같은 메이크업 제품 ; 보호 조성물 ; 반일광 조성물 또는 자기-선탠 조성물의 형태로 있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배합물.
  26. 제 3 항에 있어서, 수성 분산액 중의 필름 형성 중합체 입자의 크기가 20 내지 150 nm 인 조성물.
  27. 제 4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에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
    · 8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300%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70 미만의 경도.
  28. 제 27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에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
    · 8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300%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55 미만의 경도.
  29. 제 22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배합물 :
    · 8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300%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70 미만의 경도.
  30. 제 29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배합물 :
    · 8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300%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55 미만의 경도.
  31. 제 5 항에 있어서, 5 내지 30 중량 % 의 필름 형성 중합체 고형분을 수성 분산액 내에 함유하는 조성물.
  32. 제 6 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및 이의 유도체, 글리세롤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옥시에틸렌화 유도체 ;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일종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33. 제 7 항에 있어서, 왁스 분산액의 입자의 평균 크기가 0.5 마이크론 미만인 조성물.
  34. 제 10 항에 있어서, 1 내지 30 중량 % 의 왁스 고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35. 제 13 항에 있어서, 일종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면, 케라틴 수화물과 술폰계 케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 에테르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및 크로톤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공중합체, 글리코아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및 이의 유도체, 아크릴계 중합체, 다당류, 셀룰로스 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를 또한 포함하는 조성물.
  36. 제 21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배합물 :
    · 약 20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약 200 %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110 미만의 경도.
  37. 제 36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배합물 :
    · 8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300%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70 미만의 경도.
  38. 제 37 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 중합체 수성 분산액은 하기 물리화학적 조건들 중의 하나 이상을 갖는 필름을 수득할 수 있게 해주는 배합물 :
    · 80 MPa 미만의 영율, 및/또는
    · 300% 초과의 연신율, 및/또는
    · 55 미만의 경도.
  39. 제 23 항에 있어서, 왁스 분산액의 입자의 평균 크기가 0.5 마이크론 미만인 배합물.
  40. 제 21 항에 있어서, 왁스 분산액의 입자의 평균 크기가 1 마이크론 미만인 배합물.
  41. 제 33 항에 있어서, 왁스 분산액의 입자의 평균 크기가 0.5 마이크론 미만인 배합물.
  42. 제 21 항에 있어서, 수용성 염료 및/또는 안료로부터 선택되는 염료 물질도 또한 함유하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배합물.
  43. 제 21 항에 있어서, 립스틱,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새도우 또는 아이-라이너와 같은 메이크업 제품 ; 보호 조성물 ; 반일광 조성물 또는 자기-선탠 조성물의 형태로 있는 조성물에 사용되는 배합물.
KR1019970067437A 1996-12-11 1997-12-10 필름형성중합체및왁스분산액의배합물을함유하는화장조성물,및그배합물의용도 KR100278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5225 1996-12-11
FR9615225A FR2756731B1 (fr) 1996-12-11 1996-12-11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l'association d'un polymere filmogene et d'une dispersion de cire et utilisation de ladite associ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001A true KR19980064001A (ko) 1998-10-07
KR100278494B1 KR100278494B1 (ko) 2001-02-01

Family

ID=949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437A KR100278494B1 (ko) 1996-12-11 1997-12-10 필름형성중합체및왁스분산액의배합물을함유하는화장조성물,및그배합물의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847753B1 (ko)
JP (1) JP3184140B2 (ko)
KR (1) KR100278494B1 (ko)
AT (1) ATE201326T1 (ko)
BR (1) BR9706083A (ko)
CA (1) CA2222359C (ko)
DE (1) DE69704925T2 (ko)
ES (1) ES2159096T3 (ko)
FR (1) FR27567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788A (ko) * 2000-11-22 2002-07-12 조지안느 플로 마스카라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섬유-함유 베이스 조성물
KR20110047461A (ko) * 2009-10-30 2011-05-09 (주)아모레퍼시픽 주름 개선용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5682A (ko) * 2013-08-30 2015-03-11 (주)아모레퍼시픽 세안이 용이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2917A1 (fr) * 1998-09-09 2000-03-10 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a base de polymere filmogene
FR2792829B1 (fr) * 1999-04-28 2004-02-1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microdispersion de cire et un polymere colorant
FR2795950B1 (fr) * 1999-07-08 2003-05-09 Oreal Mascara comprenant un polyurethane et des fibres
US6517823B1 (en) 2000-01-27 2003-02-11 L'oreal S.A. High gloss mascara
FR2814365B1 (fr) * 2000-09-28 2002-12-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e phase grasse liquide structuree par des polyurethanes et/ou polyurees
FR2815850B1 (fr) * 2000-10-27 2003-02-1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FR2815849B1 (fr) * 2000-10-27 2003-02-28 Oreal Mascara comprenant une phase grasse liquide et une cire
FR2815854A1 (fr) * 2000-10-30 2002-05-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rocurant de bonnes proprietes de tenue et comprenant un copolymere a motif acide
WO2002047622A2 (fr) * 2000-12-12 2002-06-20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cire et un polymere
FR2818899B1 (fr) * 2001-01-04 2003-03-28 Oreal Utilisation du noir de carbone comme agent permettant de diminuer le collant et procede pour diminuer le collant
FR2818900B1 (fr) * 2001-01-04 2003-03-28 Oreal Utilisation du noir de carbone en tant qu'agent permettant d'ameliorer la resistance a l'eau d'une composition de maquill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FR2824267B1 (fr) 2001-05-04 2008-06-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FR2827166B1 (fr) * 2001-07-16 2003-12-26 Oreal Mascara comprenant des particules solides
US7189388B2 (en) 2001-07-16 2007-03-13 L'oreal S.A. Mascara comprising solid particles
US7138110B2 (en) 2001-07-16 2006-11-21 L'oreal S.A. Mascara comprising solid particles
FR2827167B1 (fr) * 2001-07-16 2004-06-11 Oreal Mascara comprenant des particules solides
US7211244B2 (en) 2001-07-16 2007-05-01 L'oreal, S.A. Mascara comprising solid particles
FR2827168B1 (fr) * 2001-07-16 2004-06-11 Oreal Mascara comprenant des particules solides
US8318187B2 (en) 2004-04-30 2012-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US9308397B2 (en) 2004-04-30 2016-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DE102005037546A1 (de) * 2005-08-09 2007-02-22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 mit UV-Lichtschutzfiltern
DE102006039110A1 (de) * 2006-08-16 2008-02-21 Beiersdorf Ag Mascara mit einem Gehalt an synthetischem Wachs (Synthetic Wax), Bienenwachs und synthetischen Esterwachsen
US8679464B2 (en) * 2008-04-11 2014-03-25 Kobo Products Inc. Ternary and quaternary wax-resin composites for use i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DE102017010930A1 (de) 2017-11-25 2019-05-29 Dr. 3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i. Gr. Topische Zubereitung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31287A (en) * 1991-05-07 1998-07-06 Rihardson Vicks Inc Photoprotection compositions.
FR2687569B1 (fr) * 1992-02-21 1995-06-0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maquillage des yeux, comprenant une microdispersion de cire.
FR2706126B1 (fr) * 1993-06-08 1995-07-21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ntenant un pseudo-latex ayant des propriétés de rémanence.
FR2708199B1 (fr) * 1993-07-28 1995-09-01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étiques et utilisations.
FR2712805B1 (fr) * 1993-11-24 1996-01-19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le maquillage sous forme d'un mascara contenant au moins une cire et un pseudo-latex.
FR2715063B1 (fr) * 1994-01-17 1996-03-22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le maquillage sous forme d'un mascara contenant au moins une cire et un pseudo-latex de dérivés de la cellulo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788A (ko) * 2000-11-22 2002-07-12 조지안느 플로 마스카라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섬유-함유 베이스 조성물
KR20110047461A (ko) * 2009-10-30 2011-05-09 (주)아모레퍼시픽 주름 개선용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5682A (ko) * 2013-08-30 2015-03-11 (주)아모레퍼시픽 세안이 용이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8494B1 (ko) 2001-02-01
EP0847753B1 (fr) 2001-05-23
CA2222359C (fr) 2005-03-29
EP0847753A3 (fr) 1998-08-19
JP3184140B2 (ja) 2001-07-09
CA2222359A1 (fr) 1998-06-11
ES2159096T3 (es) 2001-09-16
ATE201326T1 (de) 2001-06-15
FR2756731A1 (fr) 1998-06-12
FR2756731B1 (fr) 1999-01-08
JPH10175845A (ja) 1998-06-30
DE69704925T2 (de) 2001-09-06
BR9706083A (pt) 1999-04-27
EP0847753A2 (fr) 1998-06-17
DE69704925D1 (de)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494B1 (ko) 필름형성중합체및왁스분산액의배합물을함유하는화장조성물,및그배합물의용도
JP3570829B2 (ja) 重合系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該重合系の使用
US20020022009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ilm-forming polymer and an aqueous silicone emulsion
KR100975632B1 (ko) 제제, 특히 화장품 제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6010686A (en)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polymeric system, preparation of and use of this composition
TWI414318B (zh) 高光澤以凝膠為主之唇膏
US7785613B2 (en) Film-forming cosmetic composition
US200300396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le dispersion
JP2003521489A (ja) 高光沢マスカラ
EP1621229A1 (en) Shine enhancing film formers
JP2003508472A (ja) 特定のポリサッカライド樹脂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H10101521A (ja) 特定のコポリマー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該コポリマーの化粧品への使用
DE60118605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mit einem wachs und einem polymer
JP2002029931A (ja) 薄膜形成性化粧料
JPH1067646A (ja) ポリマー系を含む組成物と特に化粧品への該ポリマー系の使用
KR19980064002A (ko) 필름 형성 중합체 및 플루오로 왁스 분산액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 배합물의 용도
KR19980081810A (ko) 플루오르화된 중합체를 분산물 내 함유하는 중합체 시스템을함유하는 조성물, 및 특히 화장 조성물에서의 상기 시스템의용도
MXPA97005504A (en) Composition that comprises a polymeric system and use of said system mainly in cos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