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354U -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354U
KR19980063354U KR2019970007855U KR19970007855U KR19980063354U KR 19980063354 U KR19980063354 U KR 19980063354U KR 2019970007855 U KR2019970007855 U KR 2019970007855U KR 19970007855 U KR19970007855 U KR 19970007855U KR 19980063354 U KR19980063354 U KR 199800633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microwave oven
generation control
control circu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07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354U/ko
Publication of KR19980063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54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가지의 요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전자레인지에서 전자레인지 상단부에 발열용기가 장착되어 있는 여부를 감지하여 고주파발생장치로부터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고주파발생제어회로는, 전자레인지 외측에 장착되는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과; 전원 공급될 때,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발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고주파발생수단으로 공급되는 주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을 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제 1 도의 상단부에 발열용기를 장착하고 있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도.
제 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제 3A 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전자레인지의 상단부에 발열용기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연결 구성도.
제 3B 도는 본 고안에 따 전자레인지의 상단부에 발열용기가 장착되지 않았을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 4A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의 제 1 실시예.
제 4B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의 제 2 실시예.
제 4C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의 제 3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실3 : 턴 테이블
5 : 조리용기7 : 고주파발생장치
9 : 발열용기11 : 전파흡수체
20,39 : 1차 안전스위치21,41 : 전원공급부
23,37 : 고압 트랜스25,47 : 릴레이
27,35 : 마이크로컴퓨터29,49 : 2차 안전장치
30 : 마이크로스위치31 : 레버
33 : 전선43,45 : 스위치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가지의 요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전자레인지에서 전자레인지 상단부에 발열용기가 장착되어 있는 여부를 감지하여 고주파발생장치로부터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두 가지 요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일반적인 구성을 제 1 도에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리실(1) 내부의 턴 테이블(3) 상에 조리를 하기 위한 음식물을 담은 조리용기(5)가 놓여 있고, 전자레인지(100)의 상단부에 전파흡수체(fervite rubber : 11)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파 흡수체(11)의 상단에 열전달 효과가 뛰어난 알루미늄 판으로 이루어진 발열용기(9)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 내부로 고주파를 분사시키는 고주파발생장치(7)가 조리실(1)의 일측벽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 가지 요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전자레인지를 사용자가 동작시켰을 때, 고주파발생장치(7)에서 발생된 고주파의 일부는 조리실(1) 내부의 중앙에 놓여 있는 조리용기(5)에 담겨있는 음식물로 전달되어 가열된다. 이때 턴테이블(3)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조리용기(5)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조리용기(5)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고주파에너지가 전달됨에 의해서 최적의 요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주파 발생장치(7)에서 발생된 고주파의 일부는 조리실(1)의 상단부에 장착된 전파흡수체(11)로 전달되어, 상기 전파흡수체(11)가 발열하게 되거, 이 발열된 열은 열전달 효과가 뛰어난 발열용기(9)의 알루미늄판을 통하여 용기(9) 내부의 음식물로 전달되어 요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두가지 요리가 동시에 수행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 고주파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발생장치(7)의 구동동작은 제 2 도에 도시된 회로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 실행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하는 1차 안전스위치(20)와, 전자레인지(100) 도아(door)의 개폐동작에 의해서 연동하여 온/오프 절환하는 2차 안전스위치(29)가 모두 온 상태가 이루어질때, 고압 변압기(23)의 전류 통로가 형성되어서 전원공급부(21)에는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고압 변압기(23)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서 전자레인지(100)의 고주파발생장치(7)가 동작하게 된다. 즉, 도면상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고압 변압기(23)에 전류가 공급되면 고압 변압기(23)에서 승압된 고압이 고주파발생장치(7)로 공급되어, 상기 고주파발생장치(7)는 이 공급전원에 의하여 고주파 발생한다.
즉,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는 사용자가 전자레인지를 동작시킨 후에도 전자레인지의 도아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2중 안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주파발생장치(7)의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 및 전자레인지의 도아 개폐 여부에 의해서만 제어될 뿐, 발열용기의 장착 여부에는 무관하게 이루어졌다.
그래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가지 요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조리실(1) 상단부에 발열용기(9)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 2 도에 의한 고주파발생장치의 제어회로도에서는 정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오동작에 의해서 발열용기(9)를 장착하지 않고, 전자레인지(100)를 동작시켰을 때, 조리실(1) 상단부로 전자파가 누설됨에 의해서 사용자에 치명적인 위험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고,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장치는, 전자레인지 외측에 장착되는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과; 전원 공급될 때,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발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고주파발생수단으로 공급되는 주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장치는, 종래 사용자의 동작 실행 및 전자레인지의 도아의 개폐 여부에 의해서 고주파발생장치를 제어하였던 것을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안전스위치를 더 추가하여 사용자의 오동작에 의한 고주파 누출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안전스위치는, 고압 변압기와 전원공급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하여, 발열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주전원 자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안전스위치는, 종래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동작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릴레이에 연동 동작되도록 하여, 발열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컴퓨터에 제어에 의해서 릴레이가 오프되도록하여 고압 트랜스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가지 방법은 동시에 적용시켜서 이중안전장치를 구현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A 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전자레인지의 상단부에 발열용기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연결 구성도이고, 제 3B 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전자레인지의 상단부에 발열용기가 장착되지 않았을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또한, 기본 구성은 제 1 도에 도시하고 있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포함한다.
우선 제 1 도 및 제 3 도는 참조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는 턴 테이블(3) 상단에 음식물을 담은 조리용기(5)가 놓여 있고, 조리실(1)의 상단부에 전파흡수체(fervite rubber : 11)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파흡수체(11)의 상단에 열던달 효과가 뛰어난 알루미늄 판으로 이루어진 발열용기(9)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용기(9)가 전자레인지(100)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장착된 발열용기(9)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하는 마이크로스위치(30)가 장착된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는 마이크로스위치 레버(31)에 의해서 절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레버(31)는 장착된 발열용기(9)의 둘레부분에 의해서 눌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된 발열용기(9)에 의해 레버(31)가 눌러졌을 때,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는 전기적으로 도통한 상태가 되고, 이때의 상태를 전선(33)을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35)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 내부로 고주파를 분사시키는 고주파발생장치(7)가 조리실(1)의 일측벽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발생장치(7)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구성은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 4A 도를 참조해서 접속관계를 설명하면, 전원공급부(41)의 일측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전자레인지 동작실행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하는 제 1 차 안전스위치(39)와, 상기 제 1 차 안전스위치(39)와 직렬로 연결되고 발열용기(9)의 장착여부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마이크로스위치(30)에 따라서 연동 동작하는 스위치(43)와, 상기 스위치(43)와 직렬로 연결된 고압 트랜스(3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41)의 다른 일측과 고압 트랜스(23) 사이에 연결된 릴레이(25)가 포함된다. 상기 릴레이(25)는 전자레인지 도아의 개폐동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2차 안전스위치(49)의 동작상태 감지여부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35)에 제어하게 동작하게 되며, 상기 고압 트랜스(37)를 동작시키기 위한 릴레이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에 의한 두가지 요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에서 첨부한 제 3A도 및 제 3B 도를 참조해서 발열용기의 장착여부에 의한 마이크로스위치(30)의 동작에 따른 고주파발생제어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3A 도를 참조하여 발열용기(9)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조리실(1)의 상단에 부착된 전파흡수체(11)의 상부에 발열용기(9)가 장착된 경우, 상기 발열용기(9)의 둘레부분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의 레버(31)를 누르게 되고, 상기 레버(31)가 눌리워지면 마이크로스위치(30)는 전기적으로 도통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35)에 전달하고, 이때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와 연동 동작되도록 되는 제 4 도에 도시된 스위치(43)는 온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제 4A 도에 도시된 제 1차 안전스위치(39)와 스위치(43)가 모두 온 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 트랜스(37)에 전류 통로가 형성되고, 제 2 차 안전스위치(49)의 온 동작에 의해서 마이크로컴퓨터(35)의 제어하에 고압 트랜스의 릴레이(47)가 여자상태가 되면서 상기 고압 트랜스(37)는 높은 전압을 발생한다.
그리고 도면 상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고압 트랜스(37)로부터 발생된 전압은 제 1 도에 도시된 고주파발생장치(7)로 인가되어, 상기 고주파발생장치(7)는 고주파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 3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용기(9)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전자레인지의 연결부위에 장착된 마이크로스위치 레버(31)는 눌리워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마이크로스위치(3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35)로 발열용기(9)가 장착되지 않았다는 신호를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에 연동 동작하는 스위치(43)도 오프상태를 계속 유지시키며, 이로 인하여 고압 트랜스(37)에 공급되는 주 전원의 전류 통로가 차단 되므로서 고주파발생장치(7)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없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실행 및 전자레인지의 도아의 개폐여부 더불어 발열용기의 장착어부에 의해서 고주파발생장치가 동작되도록 하며, 이때 발열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서는 주 전원 자체가 차단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 제 4B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발생제어회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B 도에서는 발열용기(9)의 장착 유무 감지 스위치인 마이크로스위치(30)와 연동 동작하는 스위치(45)가 결국 마이크로컴퓨터(35)에 의해 제어되는 고압 트랜스의 릴레이(47)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전자레인지의 도아 개폐 감지 스위치인 2차 안전 스위치(49)와, 상기 스위치(45)가 모두 온 상태가 되었다고 인지되었을 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5)는 릴레이(47)를 동작시키므로서, 고압 트랜스(37)를 구동시키고 있다.
다음, 제 4C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발생제어회로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 4C 도에서는, 발열용기(9)의 장착 유무 감지 스위치에 의한 2중 안전장치를 구현한 방법으로서, 제 4A 도의 실시예 및 제 4B 도의 실시예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다.
즉, 발열용기(9)의 장착 유무 감지 마이크로스위치(30)에 의해서 고압 트랜스(37)로 공급되는 주 전원 자체를 차단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35)에 의해서 구동되는 고압 트랜스(37)의 릴레이(47)가 오프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레인진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는, 두가지 요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전자레인지의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에 따라서 고주파발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므로서, 발열용기 없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의 누출을 방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전자레인지 외측에 장착되는 발열용기의 장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과;
    전원 공급될 때,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발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고주파발생수단으로 공급되는 주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고주파발생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KR2019970007855U 1997-04-16 1997-04-16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KR199800633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55U KR19980063354U (ko) 1997-04-16 1997-04-16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55U KR19980063354U (ko) 1997-04-16 1997-04-16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54U true KR19980063354U (ko) 1998-11-16

Family

ID=6968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855U KR19980063354U (ko) 1997-04-16 1997-04-16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35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5440B2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200901B1 (ko) 전자렌지의 턴 테이블 제어회로
KR19980063354U (ko) 전자레인지의 고주파발생제어회로
EP3646671B1 (en) Microwave oven having an extra-low-voltage safety mechanism
EP0450846A2 (en) Power source circuit for microwave oven
KR100306633B1 (ko) 도어 개폐에 따라 고압트랜스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도전부재를 구비한 전자렌지
JP2019216014A (ja) 加熱調理器
JP2509589B2 (ja) 調理器
KR100271360B1 (ko) 전자렌지의 전원제어장치 및 전원제어방법
KR200159989Y1 (ko) 전자식 전자렌지의 트레이 제어장치
JPH08317857A (ja) ジャー炊飯器
KR100762322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의 안전장치
KR19980050215U (ko) 전자렌지의 인터로크 안전스위치
KR200147435Y1 (ko) 전자식 전자렌지의 냉각팬 제어장치
JPH06163154A (ja) 電子レンジ
KR100505249B1 (ko) 인버터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09934A (ko) 도어 안전 회로
KR940000173B1 (ko) 가열조리기
KR860001694Y1 (ko) 전자레인지의 오동작 방지회로
KR100231033B1 (ko) 전자렌지의 안전장치
KR20020021953A (ko) 댐퍼를 이용한 화재 안전 장치
KR900005035Y1 (ko)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 이상발진 방지회로
KR20000008741U (ko) 전자렌지의 과열 경보장치
JPH01235188A (ja) 複合調理器
JPH01235187A (ja) 複合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