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062U - 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062U
KR19980063062U KR2019970007503U KR19970007503U KR19980063062U KR 19980063062 U KR19980063062 U KR 19980063062U KR 2019970007503 U KR2019970007503 U KR 2019970007503U KR 19970007503 U KR19970007503 U KR 19970007503U KR 19980063062 U KR19980063062 U KR 199800630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sector
cart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광
Original Assignee
엄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성광 filed Critical 엄성광
Priority to KR2019970007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062U/ko
Publication of KR19980063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062U/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하중의 수하물 등을 이동하기 위한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장소, 즉, 카트를 사용하기 어려운 계단 등에서 운반물(B)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견인하기 위한 손잡이부(2a)가 구비되고, 이 프레임(2)의 하부에는 적재된 운반물(B)의 하중을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용 바퀴(4)와, 계단과 같은 장애물 통과시 가변 작동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용 바퀴(13)가 구비된 구조로 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2)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지지되는 이송용 바퀴(4)와 상기 운반물(B)의 하중 이동에 따라 적절히 가변 접지되는 완충용 바퀴(13)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바퀴 구동에 의한 견인이 불가능하였던 계단 등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운반물(B)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물(B)이 파손될 염려가 없고, 그 적용범위가 매우 다양한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반용 카트
본 고안은 경하중의 수하물 등을 운반하기 위한 휴대용 카트(Car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장소, 즉, 카트를 사용하기 어려운 계단 등에서 운반물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카트는 가방과 같은 수하물이 고정되는 손잡이 겸용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이송을 위한 바퀴로 이루어져 있다. 근자에는 여행용 가방 특히, 기내용 가방 등에 상기와 같은 손잡이 겸용 프레임 및 바퀴를 장착하여 이송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제품들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반용 카트는 평지에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건물의 계단을 오르내릴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트를 들어올린 상태로 이송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돌출턱이 있거나 노면 상태가 불량한 도로 및 계단 등에서 과중한 수하물이 적재된 카트를 무리하게 견인하게 되면, 반복적인 외부 충격에 의해 내용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지에서의 이송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노면상의 돌출 장애물 등을 무난히 통과할 수 있는 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주행 상태의 사시도,
도 1b는 절첩 후 입설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프레임과 지주를 연결하는 절첩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절첩 수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는 주행 상태로 고정된 경우에 대한 상호 결합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b는 절첩 작동봉을 가압하여 고정해제한 후 절첩시킨 경우에 대한 상호 결합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지주의 선회작동 및 안내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따른 보조 지주 및 완충용 바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5a는 운반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평지를 주행하거나 카트를 입설할 경우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b는 운반물의 하중이 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단 등을 주행하는 경우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를 사용하여 계단을 오르게 되는 경우에 대한 일련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연속 작동 상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를 사용하여 계단을 내려오게 되는 경우에 대한 일련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연속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운반물C ; 카트
H ; 절첩 수단2 ; 프레임
2a ; 손잡이부3 ; 완충식 지주
3a ; 완충 스프링4 ; 이송용 바퀴
5 ; 절첩 작동봉5a ; 로킹섹터
5b ; 키홈5c ; 키
5d ; 슬라이딩홈5e, 8a, 9a ; 섹터 결합링
6 ; 케이스6a ; 스프링 시트
6b ; 안내돌기 7 ; 스프링
8 ; 프레임 결합섹터8b ; 체결용 보울트
9 ; 선회각 고정섹터10 ; 덮개
10a; 봉 삽입구멍10b; 키 안내홈
11 ; 스파이럴 스프링 커버11a; 스파이럴 스프링
12 ; 보조 지주13 ; 완충용 바퀴
14 ; 보조 지주 가이더14a; 가이드 홈
15 ; 와이어 커버15a; 와이어
16 ; 회전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는 운반물을 적재하기 위한 프레임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견인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이 프레임의 하부에는 적재된 운반물의 하중을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용 바퀴와, 계단과 같은 장애물 통과시 가변 작동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용 바퀴가 구비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는 프레임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이르는 위치에 완충 스프링을 내장한 완충식 지주가 상기 프레임을 소정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완충식 지주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이송용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스파이럴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이송용 바퀴쪽으로 선회하려는 성향을 갖는 보조 지주가 결합되고, 이 보조 지주의 하단에는 완충용 바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완충식 지주간의 연결부에는 절첩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용 바퀴는 그 보조 지주의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양단 측부에 결착된 소정 길이의 보조 지주 가이더 내에서 그 행정만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어 운반물의 하중이나 노면의 여건에 따라 승강되거나 전후로 절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C)는 운반물(B)을 적재함과 아울러 견인하기 위한 손잡이부(2a)가 구비된 역 U자형 프레임(2)의 중간 하측부에 완충식 지주(3)가 상기 프레임(2)에 대해 소정 각도(대략, 25∼30°정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완충식 지주(3)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이송용 바퀴(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완충식 지주(3)의 내부에는 완충 스프링(3a)이 내장되어 있어 이송용 바퀴(4)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의 양단부에 일정 길이의 파이프를 내외로 중첩 결합시켜 손잡이부(2a)쪽의 내측 파이프가 외측 파이프 내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프레임(2)의 길이를 신축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2)과 완충식 지주(3)의 결합부에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 작동봉(5)을 가압함에 따라 작동되는 절첩 수단(H)을 체결용 보울트(8b) 등으로 접속하여 상기 완충식 지주(3)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절첩 수단(H)은 원통용기 형상의 케이스(6)와; 이 케이스(6) 내측 저면의 스프링 시트(6a)에 안착되는 스프링(7)과; 원통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6)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예각의 로킹섹터(5a)가 일단부에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이 일단은 상기 스프링(7)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그 타단부에는 키홈(5b)이 형성되어 이 키홈(5b)속으로 키(5c)가 결착되어 있는 절첩 작동봉(5c)과;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절첩 작동봉(5)에 끼워지고 상기 프레임(2) 상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로킹섹터(5a)와 유사한 형상의 프레임 결합섹터(8)와;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절첩 작동봉(5)에 끼워지고 상기 완충식 지주(3)가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6)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로킹섹터(5a) 및 프레임 결합섹터(8)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둔각을 이루는 선회각 고정섹터(9)와; 상기 선회각 고정섹터(9)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절첩 작동봉(5)이 돌출될 수 있는 봉 삽입구멍(10a)을 구비한 덮개(1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케이스(6)의 내주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돌기(6b)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섹터(5a)의 외주면 상에는 그 두께 형성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5d)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홈(5d)과 안내돌기(6b)가 서로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절첩 작동봉(5)가 축방향으로 전후진할 때 상기 안내돌기(6b)에 의해 각도 변화없이 안내되고, 상기 각 섹터(5a)(8)(9)의 중심부에는 상기 절첩 작동봉(5)을 삽입 수용하기 위한 섹터 결합링(5e)(8a)(9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의 봉 삽입구멍(10a) 일측에는 키(5c)가 출입할 수 있는 키 안내홈(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의 하단부에는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이송용 바퀴(4)쪽으로 선회하려는 성향을 갖는 보조 지주(12)가 결합되고, 이 보조 지주(12)의 하단에는 완충용 바퀴(1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보조 지주(12)는 그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2)의 양단 측부에 결착된 소정 길이-즉, 상기 이송용 바퀴(4)를 포함한 완충식 지주(3)가 상기 프레임(2)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었을 경우 상기 완충용 바퀴(13)가 상기 이송용 바퀴(4)와 동일하게 접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지주(12)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의 보조 지주 가이더(14) 내에서 가이드 홈(14a)을 따라 그 행정 만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2)의 양단에는 한 쌍의 스파이럴 스프링 커버(11) 및 와이어 커버(15)가 회전축(16)에 의해 관통되어 각각 결합되고, 이들 커버(11)(15) 내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1a) 및 와이어(15a)를 단일 회전축(16) 상에서 상호 역방향으로 권취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와이어(15a)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게 되며, 양쪽 와이어 커버(15) 밖으로 도출된 상기 와이어(15a)의 일단이 상기 보조 지주(1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것이다.
상기 구조에 의한 본 고안의 운반용 카트는 도 6a 내지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 등을 오르내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즉, 도 6a 내지 도 6e는 프레임(2) 상에 운반물을 적재한 후 계단을 오르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이송용 바퀴(4) 및 완충용 바퀴(13)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프레임(2) 상에 운반물(B)을 적재한 후 계단을 내려오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이송용 바퀴(4) 및 완충용 바퀴(13)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면에 의거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카트(C)가 계단을 오르게 되는 경우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바퀴(4)와 완충용 바퀴(13)가 적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운반물(B)의 하중을 분산 수용한 상태로 평지를 따라 이동하다가 계단에 이르렀을 때 도 6b에서와 같이 선행 이동중인 이송용 바퀴(4)는 계단의 수직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완충용 바퀴(13)는 계속해서 평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바퀴(4)가 계단의 수직면을 벗어나 다음 계단면으로 진입하는 순간, 상기 완충용 바퀴(13)에 분산되어 있던 운반물(B)의 하중이 상기 이송용 바퀴(4)쪽으로 편중되면서 보조 지주(12)에는 미소한 하중만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이 상기 와이어(15a)에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 커버(15) 중심 방향으로 와이어(15a)를 권취하면서 상기 보조 지주 가이더(14) 내에 있던 보조 지주(12)를 순간적으로 당겨 주게 되고, 따라서 상기 완충용 바퀴(13)는 계단의 수직면에 닿은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용 바퀴(4)는 상부 계단면을 계속 진행함에 따라 수직면을 타고 상승하던 완충용 바퀴(13)에는 점진적으로 큰 하중이 부하되고, 상기 완충용 바퀴(13)가 지속적으로 수직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지주(12)는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을 극복하게 되어 프레임(2)의 길이방향 위치까지 점차 펴지게 된다. 계속 진행되어 도 6d에서와 같이 또 다시 이송용 바퀴(4)가 다음 계단의 수직면에 도달하게 되면, 도 6e에서와 같이 상기 완충용 바퀴(13)는 처음 계단의 수직면을 벗어나 다음 계단면에 도달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 진행됨으로써 계단을 한 단계 한 단계씩 오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상기 카트(C)가 계단을 내려오게 되는 경우에는,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바퀴(4)와 완충용 바퀴(13)가 적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운반물(B)의 하중을 분산 수용한 상태로 평지를 따라 이동하다가 계단에 이르렀을 때 도 7b에서와 같이 손잡이부(2a)가 하방향으로 견인되므로 운반물(B)을 포함한 프레임(2)이 선행 이동중인 이송용 바퀴(4)를 중심점으로 거의 수평 상태에 이를 때까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완충용 바퀴(13)에는 하중이 점차 제거되므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이 상기 와이어(15a)에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 커버(15) 중심 방향으로 와이어(15a)를 권취하면서 상기 보조 지주 가이더(14) 내에 있던 보조 지주(12)가 당겨진 상태로 이동된다. 도 7c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바퀴(4)가 다음 계단면으로 하강하게 되는 시점에 이르면 상기 완충용 바퀴(13)에는 하중이 집중되면서 보조 지주(12)는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을 극복하게 되어 프레임(2)의 길이방향 위치까지 순간적으로 펴지게 된다. 계속해서 도 7d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바퀴(4)가 첫 번째 계단면에 접지된 후 그 계단면을 따라 진행되면 상기 완충용 바퀴(13)는 계단 시작점을 벗어나 자유로운 상태로 됨과 동시에 다시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의 영향을 받게 되어 보조 지주(13)가 이송용 바퀴(4)쪽으로 당겨지면서 이 이송용 바퀴(4)가 접지된 계단면 상에 안착된다. 또 다시 이송용 바퀴(4)가 다음 계단면에 하강하게 되면 완충용 바퀴(13)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 진행함으로써 계단을 한 단계 한 단계씩 내려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두가지 경우에서 이송용 바퀴(4) 및 완충용 바퀴(13)는 완충식 지주(3) 및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는 경 수하물의 운송 이외에도 도 1b에서와 같이 여행용 가방의 내측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유모차 등에도 응용이 가능하여 그 용도가 다양하며, 특히 상기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용 바퀴(4) 및 완충용 바퀴(13)를 프레임(2)의 길이 방향으로 절첩시켜 수직 방향으로 입설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그 절첩부의 작동 원리를 주행중의 고정 상태와 보관시의 절첩 상태로 분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주행 상태로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 완충식 지주(3)를 프레임(2)으로부터 최대 각도로 벌려주는 동작만을 취하면 된다. 이러한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 결합섹터(8)의 내측일면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로킹섹터(5a)가 스프링(7)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 결합섹터(8)와 선회각 고정섹터(9) 사이의 개방부로 돌출되어 나오면서 상기 프레임 결합섹터(8)와 선회각 고정섹터(9)의 위치를 고정 지지하게 됨으로써 완료된다.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 절첩 상태로 전환할 경우에는 돌출되어 있는 절첩 작동봉(5)을 최대한 삽입될 때까지 손으로 가압해주는 동작만을 취하면 된다. 이러한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 결합섹터(8)와 선회각 고정섹터(9) 사이를 지지하고 있던 상기 로킹섹터(5a)가 케이스(6)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상기 선회각 고정섹터(9)는 자중에 의해 선회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 결합섹터(8)와 밀접하게 됨으로써 완료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C)는 원터치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운반용 카트는 운반물(B)이 적재되는 프레임(2)으로부터 소정각도로 지지되는 이송용 바퀴(4)와 상기 운반물(B)의 하중 이동에 따라 적절히 가변 접지되는 완충용 바퀴(13)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바퀴 구동에 의한 견인이 불가능하였던 계단 등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운반물(B)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력은 상기 이송용 바퀴(4) 및 완충용 바퀴(13)를 지지하는 완충식 지주(3) 및 스파이럴 스프링(11a)에 의해 완충 흡수됨으로써 상기 운반물(B)이 파손될 염려가 없고, 여행용 가방의 내측면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유모차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상기 이송용 바퀴(4) 및 완충용 바퀴(13)를 프레임(2)의 길이 방향으로 절첩시켜 수직 방향으로 입설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운반물(B)을 적재하기 위한 프레임(2)과 이송을 위한 바퀴로 이루어진 카트(C)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견인하기 위한 손잡이부(2a)가 구비되고, 이 프레임(2)의 하부에는 적재된 운반물(B)의 하중을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용 바퀴(4)와, 계단과 같은 장애물 통과시 가변 작동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용 바퀴(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이르는 위치에는 완충 스프링(3a)을 내장한 완충식 지주(3)가 상기 프레임(2)을 소정 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완충식 지주(3)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이송용 바퀴(4)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2)의 하단부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1a)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이송용 바퀴(4)쪽으로 선회하려는 성향을 갖는 보조 지주(12)가 결합되고, 이 보조 지주(12)의 하단에는 완충용 바퀴(1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주(12)는 그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2)의 양단 측부에 결착된 소정 길이의 보조 지주 가이더(14) 내에서 그 행정만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2)의 양단에는 한 쌍의 스파이럴 스프링 커버(11) 및 와이어 커버(15)가 회전축(16)에 의해 관통되어 각각 결합되고, 이들 커버(11)(15) 내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1a) 및 와이어(15a)가 상호 역방향으로 상기 회전축(16) 상에 권취되어 장착되며, 양쪽 와이어 커버(15) 밖으로 도출된 상기 와이어(15a)의 일단이 상기 보조 지주(1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과 완충식 지주(3)의 결합부에는 절첩 작동봉(5)을 가압함에 따라 작동되는 절첩 수단(H)이 접속되어 완충식 지주(3)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수단(H)은 원통용기 형상의 케이스(6)와; 이 케이스(6)의 내측 저면에 안착되는 스프링(7)과; 원통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6)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예각의 로킹섹터(5a)가 일단부에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7)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절첩 작동봉(5)과;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절첩 작동봉(5)에 끼워지고 상기 프레임(2) 상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로킹섹터(5a)와 유사한 형상의 프레임 결합섹터(8)와;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절첩 작동봉(5)에 끼워지고 상기 완충식 지주(3)가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6)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로킹섹터(5a) 및 프레임 결합섹터(8)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둔각을 이루는 선회각 고정섹터(9)와; 상기 선회각 고정섹터(9)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절첩 작동봉(5)이 돌출될 수 있는 봉 삽입구멍(10a)을 구비한 덮개(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KR2019970007503U 1997-04-11 1997-04-11 운반용 카트 KR199800630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03U KR19980063062U (ko) 1997-04-11 1997-04-11 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503U KR19980063062U (ko) 1997-04-11 1997-04-11 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062U true KR19980063062U (ko) 1998-11-16

Family

ID=6967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503U KR19980063062U (ko) 1997-04-11 1997-04-11 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0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6972A (zh) * 2022-07-08 2022-11-2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自动刹车的手拖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6972A (zh) * 2022-07-08 2022-11-2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自动刹车的手拖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6314B1 (en) Foldable cart system and method
CN1925768B (zh) 通过轮子滑行的行李箱
CN101262792B (zh) 改进的行李箱
US5984326A (en) Roller mechanism for container or cart
US4736959A (en) Convertible carriage
CN1265569A (zh) 可牵引的装载箱相关申请的相互关系
CN112693516B (zh) 婴儿车
US4310166A (en) Transport apparatus especially for goods, capable of travelling over stairs
CN106005169A (zh) 一种可折叠的便携式电动三轮车
KR101617602B1 (ko) 휠 캠버 변화에 의한 들어올림 효과를 갖는 팔레트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식 롤링 디바이스
KR19980063062U (ko) 운반용 카트
WO2023032409A1 (ja) 運搬器具
EP2184215A1 (en) Shopping trolley
CN215244944U (zh) 一种物流用可折叠推车
CN106170425A (zh) 可折叠的儿童车支架或玩具娃娃车支架
KR102165003B1 (ko)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US6227788B1 (en) Side loading transport apparatus for swathers and the like
JP2002326504A (ja) 手押し車のキャスタ構造および手押し車
RU2090421C1 (ru) Ручная тележка
US3830418A (en) Package carrier
CN214776038U (zh) 一种折叠手推车
CN108791411A (zh) 减震的平板车
JPH04110270A (ja) 携帯可能な折畳式荷車
CN220764414U (zh) 一种推车
CN212047478U (zh) 一种折叠式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