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499U -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499U
KR19980062499U KR2019970006843U KR19970006843U KR19980062499U KR 19980062499 U KR19980062499 U KR 19980062499U KR 2019970006843 U KR2019970006843 U KR 2019970006843U KR 19970006843 U KR19970006843 U KR 19970006843U KR 19980062499 U KR19980062499 U KR 199800624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ndshield glass
switch
relay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6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499U/ko
Publication of KR19980062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499U/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를 작동시키지 않고 주행하던 중에 값자기 윈드실드글래스에 오염물질이 떨어져서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가려질때 윈드실드글래스에서 변화되는 가시도를 광센서로 감지하여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태에서 와이퍼를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와이퍼는 운전자가 콤비네이션스위치 형태로 제작된 와이퍼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으며, 특히 운전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는 우천시 와이퍼 작동에 신경을 쓰다 보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10)의 내측과 외측에 발광부(12a)와 수광부(12b)로 이루어진 광센서(12)를 설치하고, 상기 수광부(12b)의 일측에는 릴레이(14)의 구동코일(14a)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릴레이(14)의 스위치(14b)중 상시접속접점인 a접점에는 컴비네이션스위치(16)를 매개로 와이퍼모터(18)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릴레이(14)의 스위치(14b)중 상시개방접점인 b접점에는 와이퍼모터(18)를 직접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갑자기 윈드실드글래스(10)에 오염물질이 튀기면 자동으로 와이퍼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고안임.

Description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본 고안은 와이퍼를 작동시키지 않고 주행하던 중에 값자기 윈드실드글래스에 오염물질이 떨어져서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가려질때 와이퍼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윈드실드글래스에 오염물질이 낙하하여 흘러내릴때 윈드실드글래스에서 변화되는 가시도를 광센서로 감지하여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태에서 와이퍼를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는 비가 오거나 눈발이 내릴 때 윈드실드글래스에 떨어지는 물방울이나 빗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윈드실드와이퍼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퍼는 운전자의 작동스위치(컴비네이션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어 윈드실드글래스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퍼가 일정 각도씩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부채꼴로 선회하면서 윈드실드글래스에 맺히는 물방울과 눈발등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와이퍼는 운전자가 윈드실드글래스에 떨어지는 빗방울의 양이나 또는 먼지등의 오염물질이 끼어 시야확보에 지장을 받는다고 판단될 때 콤비네이션스위치 형태로 제작된 와이퍼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와이퍼작동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어 와이퍼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우천중이 아닌 상황에서는 시야확보에 지장을 받을 일이 없기 때문에 운전자는 와이퍼를 작동시키지 않고 주행하게 되는데, 간혹 비가 멈춘 직후 주행할때 또는 물이 고여 있는 곳을 통과할때 선행차량이나 옆차량으로 부터 고여있는 물이 튀기어 윈드실드글래스에서 흘러내릴때 운전자는 시야확보에 지장을 받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와이퍼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면 전방 장애물과 충돌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운전에 숙달된 자라 할지라도 시야가 가려지는 시점과 와이퍼를 작동시키는 시점간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어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키지 않고 주행하던 중에 와이퍼가 설치된 윈드실드글래스를 통한 시야확보에 지장을 받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와이퍼가 작동되도록 하여 시계가 불투명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의 내외측에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을 설치하여 투과되는 빛의 양에 따라 윈드실드글래스에 묻은 이물질의 정도를 판단하는 광감지수단과, 상기 광감지수단에 의거 작동되는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거 작동되는 와이퍼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센서의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센서의 비상 상황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윈드실드글래스, 12 - 광센서,
12a - 발광부, 12b - 수광부,
14 - 릴레이, 16 - 컴비네이션스위치,
18 - 와이퍼모터, 20 - 본네트,
22 - 이물질.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10)의 내측과 외측에 발광부(12a)와 수광부(12b)로 이루어진 광센서(12)를 설치하고, 상기 수광부(12b)의 일측에는 릴레이(14)의 구동코일(14a)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릴레이(14)의 스위치(14b)중 상시접속접점인 a접점에는 컴비네이션스위치(16)를 매개로 와이퍼모터(18)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릴레이(14)의 스위치(14b)중 상시개방접점인 b접점에는 와이퍼모터(18)를 직접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광센서(12)는 발광부(12a)와 수광부(12b)로 구성되어 발광부(1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실드글래스(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수광부(12b)는 윈드실드글래스(10)의 외측에 본네트(20)위에 설치되어 내측의 발광부(12a)에서 발산되는 빛이 외측의 수광부(12b)로 입사되는 양에 따라 이물질이 윈드실드글래스(10)에 묻은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수광부(12b)는 발광부(12a)로 부터 발산된 빛이 많이 입사될 때에는 오프 그리고 적게 입사될 때에는 온상태로 접속되는 일종의 스위칭소자이다.
따라서 윈드실드글래스(10)에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발광부(12a)에서 발산된 빛이 윈드실드글래스(10)를 많이 투과하여 수광부(12b)로 입사됨으로써 수광부(12b)가 오프되어지고, 이와는 달리 윈드실드글래스(10)에 이물질이 많이 묻어 있을 때에는 발광부(12a)에서 발산된 빛이 윈드실드글래스(10)를 투과하는 양이 작아지므로 수광부(12b)로 입사되는 양이 적어지게 되고 결국 수광부(12b)가 온상태로 접속된다.
수광부(12a)가 오프되어 있을때 릴레이(14)의 스위치(14b)는 상시접속접점인 a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컴비네이션스위치(16) 조작에 따라 와이퍼모터(18)가 구동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수광부(12a)가 온상태로 접속되어 있을때에는 릴레이(14)의 구동코일(14a)이 여자됨으로써 스위치(14b)가 상시개방접점인 b접점으로 접속되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운전자의 컴비네이션스위치(16) 조작에 관계없이 와이퍼모터(18)에 직접 구동전원(IG)이 인가됨으로써 와이퍼가 구동되어지게 된다.
구동전원(IG)은 이그니션스위치가 1단 또는 2단으로 접속될때 자동차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센서의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윈드실드글래스(10)에 이물질이 묻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광부(12a)에서 발광된 빛이 거의 윈드실드글래스(10)를 투과하여 수광부(12b)로 입사됨으로써 수광부(12a)가 오프상태를 유지함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센서의 비상 상황에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윈드실드글래스(10)에 이물질(22)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발광부(12a)에서 발광된 빛이 이물질(22)에 의해 산란되어 다른 방향으로 굴절되거나 차단되어 윈드실드글래스(10)를 투과하여 수광부(12b)로 입사되는 양이 작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광부(12)가 온상태로 접속됨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갑자기 선행차량이나 옆차량에 의한 오염물질이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의 가시도를 변화시킬때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와이퍼가 자동으로 구동되므로 순간적인 시계불량상태를 신속하게 극복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윈드실드글래스(10)의 내측과 외측에 발광부(12a)와 수광부(12b)로 이루어진 광센서(12)를 설치하고, 상기 수광부(12b)의 일측에는 릴레이(14)의 구동코일(14a)을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릴레이(14)의 스위치(14b)중 상시접속접점인 a접점에는 컴비네이션스위치(16)를 매개로 와이퍼모터(18)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릴레이(14)의 스위치(14b)중 상시개방접점인 b접점에는 와이퍼모터(18)를 직접 연결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KR2019970006843U 1997-04-03 1997-04-03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KR199800624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43U KR19980062499U (ko) 1997-04-03 1997-04-03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43U KR19980062499U (ko) 1997-04-03 1997-04-03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99U true KR19980062499U (ko) 1998-11-16

Family

ID=6968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843U KR19980062499U (ko) 1997-04-03 1997-04-03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49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6824B1 (en) Optical sensor
KR20070001155U (ko)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
JP5227255B2 (ja) ワイパ装置
KR19980062499U (ko) 자동차의 와이퍼 비상 작동장치
EP4230831A1 (en) Device for the automatic closing of vehicle windows, roofs and sunroofs under adverse meteorological phenomena
KR100445157B1 (ko) 자동차의 글래스 자동 세척장치
JPH115514A (ja) ワイパー自動制御装置
JP2602249Y2 (ja) 車両のリアワイパー制御装置
KR100187098B1 (ko) 자동차 앞유리창의 자동 서리제거 시스템
KR200405585Y1 (ko) 차량의 리어 글라스 와이퍼 자동 작동장치
KR100376836B1 (ko) 자동 파킹회로를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
KR200331447Y1 (ko) 전구가 설치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0153249B1 (ko) 와이퍼작동시 전조등 자동 작동장치와 그 방법
KR100187113B1 (ko) 자동 성에 제거장치
KR20000039345A (ko) 차량의 눈부심 방지 장치
JPS63210692A (ja) 車載用水滴検出装置
KR20050006827A (ko) 차량용 와이퍼의 자동 구동장치
JPH11157418A (ja) ワイパ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9980022589U (ko) 우천시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장치
KR19980034181U (ko) 강우시 리어 와이퍼 자동작동장치
KR0112964Y1 (ko) 자동차용 라이트스위치의 미작동시 경고장치
KR0165779B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20210061481A (ko) 비상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와이퍼
KR19980051409A (ko) 와이퍼작동시 조명기기 연동 점등방법
JPH09109840A (ja) 車両用ワイパ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