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290U -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 Google Patents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290U
KR19980062290U KR2019970006601U KR19970006601U KR19980062290U KR 19980062290 U KR19980062290 U KR 19980062290U KR 2019970006601 U KR2019970006601 U KR 2019970006601U KR 19970006601 U KR19970006601 U KR 19970006601U KR 19980062290 U KR19980062290 U KR 19980062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pring
ignition distributor
cap
r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욱한
Priority to KR2019970006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290U/ko
Publication of KR19980062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290U/ko

Links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점화배전기의 로터와 로터축간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에서는 로터축과 로터의 결합면에 스프링을 개입시켜 유격발생을 억제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로터가 안정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하우징(10)과 캡(11)의 내부에서 캡(11)의 중앙에 위치한 카본피스(12)로 부터 점화코일에서 유도된 고압의 전류를 인가받아 회전하면서 캡(11)에 방사형으로 고정된 세그먼트(15)로 최종 인가하여 실린더내에서 압축된 혼합기를 연소시켜주는 로터(14)로 구성되는 점화배전기(20)에 있어서;
상기 점화배전기(20)의 로터(14)와 로터축(13)의 결합면에 스프링(25)을 개입시켜 로터(14)와 로터축(13)간의 유격과 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의 로터리 회전방향이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스프링으로 잡아줌으로서 전류의 인가를 정확하게 하여 배전기의 성능을 향상시켜 엔진시동성이 탁월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배전기의 로터축과 로터간의 고정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프링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점화배전기는 엔진의 실린더내에서 압축되어 있는 연료와 공기 즉 혼합기를 전기적인 불꽃을 발생시켜 점화플러그를 통하여 연소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차점화배전기(2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하우징(10)과 상부의 캡(11)이 결합된 내부에 점화코일에서 유도된 고압의 전류가 캡(11)의 중앙에 위치한 카본피스(12)로 유입되어 로터축(13)의 상부에 고정된 로터(14)로 인가되고, 로터(14)는 회전을 하면서 캡(11)에 방사형으로 고정된 세그먼트(15)로 인입된 전류를 최종적으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로터(14)의 하방에는 로터(14)가 세그먼트(15)의 전류인가시기(점화시기)를 결정하여 주도록 시그널휠(16)과 옵티컬센서(17)로 이루어진 센서부(18)가 마련되어 점화배전기(20)가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점화배전기의 로터와 로터축상간의 결합이 별도의 체결구성이 없이 압입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로터축의 상단부에는 절삭된 평활면을 가지도록 하고 로터의 하방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일면에는 평활면과 접할 수 있는 연접면을 구성하여 상호 치합이 되도록 하고, 로터축 회전시 로터는 평활면과 연접면간의 결합으로 유동치 않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였을 경우나 외압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로터축의 평활면과 로터의 연접면 상간의 유격이 발생하여 로터가 회전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캡에 방사형으로 고정된 세그먼트로의 전류인가를 정확하게 할 수 없어 점화배전기의 기능이 상실되어 시동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시동성이 약화될 경우에는 연소실내의 혼합기 연소가 불안정하여 엔진의 출력이 감소하고, 배출되는 배기가스내에 유해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배출됨으로서 대기오염의 원인제공을 하기도 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로터축과 로터의 결합면에 유격발생을 억제하고 유동방지를 위한 스프링을 개입시켜 로터가 안정된 상태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점화배전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로터를 발췌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스프링을 발췌한 사시도.
제5도는 스프링의 결합상태 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11:캡
13:로터축
14:로터
20:점화배전기
25:스프링
28,28':고정구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점화배전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로터를 발췌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스프링을 발췌한 사시도, 제5도는 스프링의 결합상태 평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하우징(10)과 캡(11)의 내부에서 캡(11)의 중앙에 위치한 카본피스(12)로부터 점화코일에서 유도된 고압의 전류를 인가받아 회전하면서 캡(11)에 방사형으로 고정된 세그먼트(15)로 최종 인가하여 실린더내에서 압축된 혼합기를 연소시켜주는 로터(14)로 구성되는 점화배전기(20)에 있어서;
상기 점화배전기(20)의 로터(14)와 로터축(13)의 결합면에 스프링(25)을 개입시켜 로터(14)와 로터축(13)간의 유격과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25)은 양단부에는 절곡부(26)를 가지고 중앙에는 돌출부(27)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하고, 상기 절곡부(26)의 종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고정구(28,28')를 절곡부(26)와 일체로 형성되게 돌출시켜 로터(14)의 움직임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로터축(13)상에 로터(14)를 압입할 시 로터(14)의 하방에 결성된 결합공(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접면(31)상에 스프링(25)을 밀착시킨 후 로터축(13)에 형성된 평활면(32)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결정을 한 후 압입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될 경우에는 로터(14)와 로터축(13)의 연접면(31) 및 평활면(32)에 개입된 스프링(25)의 절곡부(26)는 연접면(31)과 밀착되고, 돌출부(27)는 평활면(32)과 연접되어 스프링(25)이 가지는 탄성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로터(14)가 견고한 상태를 고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25)의 절곡부(26)에 일체로 더 형성한 고정구(28,28')는 로터(14)와 로터축(13)에 형성된 연접면(31)과 평활면(32)의 가장자리부위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로터(14)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격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로터의 회전방향이거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스프링으로 잡아줌으로서 전류의 인가를 정확하게 하여 배전기의 성능을 향상시켜 엔진시동성이 탁월하도록하여주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하우징(10)과 캡(11)의 내부에서 캡(11)의 중앙에 위치한 카본피스(12)로 부터 점화코일에서 유도된 고압의 전류를 인가받아 회전하면서 캡(11)에 방사형으로 고정된 세그먼트(15)로 최종 인가하여 실린더내에서 압축된 혼합기를 연소시켜주는 로터(14)로 구성되는 점화배전기(20)에 있어서;
    상기 점화배전기(20)의 로터(14)와 로터축(13)의 결합면에 스프링(25)을 개입시켜 로터(14)와 로터축(13)간의 유격과 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5)은 양단분에는 절곡부(26)를 가지고 중앙에는 돌출부(27)를 가지는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5)의 절곡부(26) 종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고정구(28,28')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KR2019970006601U 1997-03-26 1997-03-26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KR199800622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601U KR19980062290U (ko) 1997-03-26 1997-03-26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601U KR19980062290U (ko) 1997-03-26 1997-03-26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290U true KR19980062290U (ko) 1998-11-16

Family

ID=6967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601U KR19980062290U (ko) 1997-03-26 1997-03-26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29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8584C (zh) 内燃机用点火装置
EP1253688B1 (en) Ignition apparatus for use in internal combusiton engine
JPH029067Y2 (ko)
KR19980062290U (ko)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로터고정용 스프링
JPH0216064Y2 (ko)
JP3841680B2 (ja) 内燃機関
KR19990000993U (ko) 자동차 점화배전기용 시그널휠과 로터샤프트의 결합구조
JP3127671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CN114069943B (zh) 用于电机的定位垫圈、固定装置以及固定电机的方法
KR200174439Y1 (ko) 자동차용 점화 플러그 장착 구조
KR100412877B1 (ko) 차량엔진의 자동 노크 부싱 구조
JP3835046B2 (ja) エンジンのプラグ取り付け構造
KR950004296A (ko) 내연기관용 동시점화식 점화코일구조
KR200342846Y1 (ko) 배전기의 디스크 조립구조
KR200184819Y1 (ko) 인젝션 펌프의 타이머용 공구
KR100469841B1 (ko) 자동차의 캠센서 설치구조
KR19980064964U (ko) 자동차 점화배전기의 로터전극용 서브플레이트
JP3056878U (ja) 内燃機関のための点火装置
KR19980064975U (ko) 자동차용 점화배전기의 센서와 커버의 결합구조
KR200192887Y1 (ko) 시동 전동기의 솔레노이드 장치
JP2003193950A (ja) 内燃機関及びカバー
JPS63116414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19980044055U (ko) 내연기관용 배전기의 인서트
JPH10227275A (ja) 内燃機関用配電器
KR19980051132U (ko) 차량용 에어인테이크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