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359U -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359U
KR19980060359U KR2019970004398U KR19970004398U KR19980060359U KR 19980060359 U KR19980060359 U KR 19980060359U KR 2019970004398 U KR2019970004398 U KR 2019970004398U KR 19970004398 U KR19970004398 U KR 19970004398U KR 19980060359 U KR19980060359 U KR 199800603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taillight
vehicle
automatic control
tai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3930Y1 (ko
Inventor
전배식
Original Assignee
전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배식 filed Critical 전배식
Priority to KR2019970004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93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주행시에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미등을 자동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주는 미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주행시에 미등을 운전자가 수동 조작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때문에, 흐린날씨나 터널 진출입시, 이른아침, 초저녁 등의 미등을 점등시킬 필요가 있을때마다 일일이 미등 스위치를 조작해야하므로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자동차 주변의 주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수단과, 감지된 조도를 기준조도와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 결과 감지된 조도가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는 미등을 자동적으로 온시켜주고, 상기 감지된 조도가 기준조도 이상일 경우에는 미등을 자동적으로 오프시켜 주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차량 주변의 환경(조도)에 따라 미등을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주는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에 의하면 미등의 점등과 소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편리하고, 운전자에게 최적의 전방시계를 확보해줄 수 있는 효과를 확보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미등을 자동적으로 점등(온) 또는 소등(오프)시켜주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른 아침이나 초저녁, 흐린 날씨나 터널 진출입시 등에 자동차 주변이 어두워지면 미등을 운전자가 수동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점등시켜 주고, 밝은 상태가 되면 미등을 자동적으로 소등시켜 줌으로써 운전자의 양호한 시계 확보와 운전 조작의 편리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의 미등은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었다.
그러므로, 이른아침이나 초저녁, 흐린날씨, 터널 진출입시와 같이 미등의 점등이 필요한 경우에 운전자의 판단과 수동조작이 요구되어 불편하고, 운전자가 자동차 주행 이외에 주변의 어둡고 밝은 정도까지 신경을 집중해야 하는 부담을 주게 되었으며, 미등을 켜는 것을 잊은 경우에는 전방 시계가 불량해져서 안전운전에 장애가 초래되고, 또 미등은 자기 차량의 위치를 다른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데도 그 기능을 십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조도를 미등 점소등 기준조도와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미등을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고, 자동차 주변 조도에 따라 미등을 자동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주는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 주변 조도에 따라 미등을 자동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또 전방 시계의 확보와 운전시 미등 조작에 따르는 부담을 없애주며,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시예 회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미등 온오프시의 동작 파형도
본 고안의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감지수단으로서 CDS(R0)와 미등(L1)의 점등 또는 소등의 기준조도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저항(R1, R2)과, 상기 CDS(R0)의 조도감지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감지도 설정수단으로서 가변저항(VR1) 및 저항(R3)과, 상기 CDS(R0)로 감지된 조도(Vs)와 상기 저항(R1, R2)으로 설정된 기준조도(Vref)를 비교하는 수단으로서 비교기(A1)와, 상기 비교기(A1)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미등)L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수단으로서 비교기(A1) 출력신호에 의해서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Q2) 및 릴레이(Ry)와, 상기 비교기(A1)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미등(L1)이 점등 또는 소등될때 외부광에 의한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비교기 출력신호를 지연시키는 수단으로서 콘덴서(C1)와, 미등 작동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LED(L0)로 구성되며, D1은 다이오드, TNR은 써지흡수소자, B+는 전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에 의한 미등 자동제어동작을 상기 도 1 과, 도 2 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항(R1)(R2)에 의해서 전원(B+)전압이 분압되어 비교기(A1)의 (-)입력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기준조도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가변저항(VR1)을 조절하면 저항(R3)과 가변저항(VR1) 및 CDS(R0)으로 분압되는 비교기(A1)의 (+)입력단 전압(Vs)이 적절하게 가변되어 설정된다.
이 전압(Vs)은 미등(L1)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민감도를 결정하게 되어, 너무 밝은데도 미등이 점등되거나, 또는 너무 어두운데도 미등이 점등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CDS(R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주변조도가 크면 클수록 CDS(R0)의 내부저항값은 작아지고, 주변 조도가 작으면 작을수록 CDS(R0)의 내부 저항값은 증가한다.
그러므로, 밝은 대낮에는 CDS(R0)의 내부 저항값이 거의 '0'에 가까운 값이되어 VsVref의 조건 상태에 놓이게 된다.
VsVref이므로 비교기(A1)의 출력신호는 하이(H)신호가 되고, 이 하이(H)신호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트랜지스터(Q2)도 오프되어 릴레이(Ry)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미등(L1)에는 전원(B+)이 인가되지 않아 미등(L1)이 소등상태에 놓인다.
그러나, 이른아침, 초저녁, 흐린날씨, 터널의 진입과 같이 주변 조도가 떨어져서 VsVref가 되면 비교기(A1)의 출력신호는 로우(L)가 된다.
비교기(A1)의 출력신호가 로우(L)가 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온되므로 트랜지스터(Q2)도 온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온되면 릴레이(Ry)가 온되어 미등(L1)에 전원(B+)이 공급되므로 미등(L1)이 점등된다.
그리고 이때 LED(L0)도 온되어 운전자에게 미등이 점등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후에 자동차 주변이 다시 밝아져서(예를 들면 터널을 빠져나온 경우) 주변조도가 증가하고, 이 것에 의해서 VsVref가 되면 비교기(A1)의 출력은 다시 하이(H)가 되어 트랜지스터(Q1,Q2)를 오프시키고, 릴레이(Ry)가 오프되어 미등(L1)은 소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이 자동차 주변의 조도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기(A1)의 출력신호가 하이(H)에서 로우(L)로 변화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온될때 콘덴서(C1)가 충전되는 소정 시간 이후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위가 하이레벨로 되고, 비교기(A1)의 출력신호가 로우(L)에서 하이(H)로 변화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될때 콘덴서(C1)가 방전되는 시간 동안은 트랜지스터(Q2)가 온상태를 더 유지함으로써, 다른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 등의 외부광이 순간적으로 CDS(R0)에 조사되었을 경우나, 매우 짧은 순간 CDS(R0) 주변조도가 감소되었다가 다시 증가되는 환경에서는 불필요하게 미등(L1)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미등을 자동적으로 온 오프시켜 주기 때문에 편리하고, 항상 양호한 전방 시계를 확보해줄 수 있다.
또, 미등 작동의 민감도를 운전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해 줄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미등이 자동적으로 점등되기 때문에 자기 차량을 주변 운전자에게 인식시켜 주는 안전주행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수단과, 미등의 점등과 소등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조도를 설정하는 기준조도 설정수단과, 상기 조도 감지수단과 기준조도 설정수단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미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켜주는 구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감지와 비교에 따른 미등의 점등 또는 소등 감도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감도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한 구동제어수단의 미등구동제어 실행시간을 소정시간 지연시켜주는 지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의 자동 점등과 소등 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2019970004398U 1997-03-10 1997-03-10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200163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98U KR200163930Y1 (ko) 1997-03-10 1997-03-10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98U KR200163930Y1 (ko) 1997-03-10 1997-03-10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59U true KR19980060359U (ko) 1998-11-05
KR200163930Y1 KR200163930Y1 (ko) 2000-03-02

Family

ID=1949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398U KR200163930Y1 (ko) 1997-03-10 1997-03-10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9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930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405A (en) Photoelectrically controlled corner light system for a vehicle
KR19980060359U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200299668Y1 (ko)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KR900001711Y1 (ko) 자동차 미등 및 전조동 자동점멸(on/off) 제어장치
KR0115976Y1 (ko)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KR100187418B1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포그램프의 스위칭회로
JPS6253255A (ja) 自動車のオ−トライトコントロ−ル装置
KR20040009539A (ko) 차량용 전조등,미등의 자동제어장치
KR950008721Y1 (ko) 미등 및 번호판 표시등 자동 점멸장치
KR0141393B1 (ko) 자동차의 광도 자동 조절 안개등 장치
KR0135518Y1 (ko) 빛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켜지는 등화 시스템
KR970004949Y1 (ko) 자동차 트렁크 조명램프의 제어장치
JP2571799Y2 (ja) 自動車用ライト自動点消灯ユニット
KR970037334A (ko) 차량 조명등 자동 제어 장치
CN113665475A (zh) 一种汽车车灯的控制方法及装置
JPH0132592Y2 (ko)
KR100195490B1 (ko) 차량의 미등자동점소등장치
KR0166469B1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70037445A (ko) 차량용 안개등 자동점소등장치
KR970006394Y1 (ko) 차량용 실내등 자동 제어 장치
KR200164115Y1 (ko)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JPH01140020A (ja) 調光装置
KR19980039290U (ko) 헤드램프 자동점멸장치
KR19980036984U (ko) 자동차의 주차등 제어장치
JPH1035356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