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976Y1 -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976Y1
KR0115976Y1 KR2019940031419U KR19940031419U KR0115976Y1 KR 0115976 Y1 KR0115976 Y1 KR 0115976Y1 KR 2019940031419 U KR2019940031419 U KR 2019940031419U KR 19940031419 U KR19940031419 U KR 19940031419U KR 0115976 Y1 KR0115976 Y1 KR 0115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current
vehicle
detection senso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072U (ko
Inventor
장지덕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40031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976Y1/ko
Publication of KR960017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광도에 따라 광도가 변하는 차량용광도가변 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가 눌러지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램프를 점등시키는 차량용 등화장치에 있어서, 주변의 광도를 검출하여 광도에 반비례하는 저항값을 갖는 조도검출센서(Rs)와; 조도검출센서(Rs)의 출력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콘텐서(C); 콘덴서(C)와 상기 조도검출센서(Rs)를 접속하기 위한 제1저항(Rs); 제1저항(Rs)을 통한 상기 조도검출센서의 전압에 의해 전류를 증폭시켜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증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주변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어두운 곳에서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시안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제1도는 종래의 차량용 등화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조도검출부 10 : 제1전류증폭기
20 : 제2전류증폭기 30 : 제1램프부
40 : 제2램프부 SW1,2 : 제1,2스위치
Rs : 조도검출센서저항
본 고안은 차량용 등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주위의 조도에 따라 램프의 광도를 가변시키는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등화장치(이하, 램프라고 한다)에는 조명용으로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및 계기판등이 있고, 표시용으로 차고등, 차폭등, 주차등, 번호판등, 후미등이 있고, 신호용으로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이 있고, 그 외에도 연료등 장식 등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램프들은 운전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여 등화를 제어하는 바, 상기 램프들 중에는 광도가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램프로서 차폭등, 브레이크등 등을 들 수 있다. 제 1도는 종래의 차량용 등화장치중 일부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제1스위치(SW1)에 의해 구동되는 전방의 좌,우 차폭램프(LP1,LP2), 후방의 좌,우 차폭램프(LP3,LP4), 번호판램프(LP5)와, 제2스위치(SW2)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브레이크램프(LP6,LP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스위치(SW1)는 라이트 스위치로서, 밧데리(BAT)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방의 좌, 우차측등(LP1, LP2)과 후방의 좌,우후미등(LP3, LP4)과 번호판등(LP5)을 동시에 점멸한다. 제2스위치(SW2)는 브레이크등 스위치로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전원(IG)으로 구동되는 후방의 좌우 브레이크등(LP6,LP7)을 점멸하는 스위치이다. 상기에 설명한 등화장치에 있어서 특히, 야간 운행시, 차폭등과 브레이크 등의 광도가 보행자나 후방 운전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거나 사물식별을 어렵게 할수 있다. 그런, 이들 등화장치의 광도는 운전자가 사물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공도는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이들 등화장치는 라이트를 켠 차량의 근접으로 차량주변이 밝아지면 광도가 약해지게 조절하고, 상기 차량이 멀어져 주변이 어두워지면 광도가 커지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1도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등화장치는 그 광도를 주변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조도검출센서의 의해 검출된 조도에 따라 램프의 광도를 가변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는 스위치가 연결되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램프를 점등시키는 차량용 등화장치에 있어서,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여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조도검출부; 제1스위치의 연결에 따라 점등되는 제1램프부; 제2스위치의 연결에 따라 점등되는 제2램프부; 상기 조도검출부의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1램프부의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1램프부의 광도를 조졸하는 제1전류증폭기; 및 상기 조도검출부의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2램프부의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2램프부의 광도를 조졸하는 제2전류증폭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여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조도검출부(5)와; 라이트 스위치인 제1스위치(SW1)와; 상기 제1스위치(SW1)에 의해 점멸되는 제1램프부(30); 상기 조도검출부(5)의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1램프부(30)의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1램프부(30)의 광도를 조절하는 제1전류중폭기(10); 브레이크등 스위치인 제2스위치(SW2); 상기 제2스위치(SW2)에 의해 점멸되는 제2램프부(40); 및 상기 조도검출(5)의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2램프부(40)의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2램프부(40)의 광도를 조절하는 제2전류증폭기(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도검출부(5)는 주변의 광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검출센서(Rs), 상기 조도검출센서(Rs)의 출력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콘덴서(C), 상기 조도검출센서(Rs)와 상기 콘덴서(C)를 접속시키는 제1저항(Ra), 전원전압을 분배시켜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에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2저항(Rb)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는 상용화된 다알링톤회로를 구현한 것으로서, 그 예로RCA npn 다양링톤 전력 트랜지스터를 들 수 있다. 제1램프부(30)의 각 램프는 전방의 좌,우차폭등(LP1,LP2)과 후방의 좌,우후미동(LP3,LP4)과 번호판등(LP5)이고, 제2램프부(40)의 각 램프는 후방의 좌,우 브레이크등(LP6, LO7)이다. 상기 광검출센서(Rs)는 주변광도에 따라 반비례로 저항값을 갖는 소자로서, 주변이 밝으면 저항값이 작아지고, 주변이 어두우면 저항값이 커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2전류증폭부(10,20)의 입력전압은, 다일링톤회로의 특성상 입력임피던스가 커서 제1저항(Ra)의 전류흐름을 무시하면 Rs/(Rs + Rb)X1G(전원전압으로서 약12.5V)가 된다. 따라서, 주위가 밝아 조도검출센서(Rs)의 저항값이 작아지면,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의 입력전압은 작아지고, 주위가 어두워지면 조도검출센서(Rs)의 저항값이 커져,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의 입력전압이 커진다.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는 입력임피던스가 크고 출력임피던스가 적으며 전류증폭률이 큰 다알링톤회로로서, 베이스단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으로 콜렉터단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베이스단의 입력전압이 크면 콜렉터단의 출력전류가 커진다. 라이트를 켠 차량의 근접으로 주변의 밝아지면, 조도검출센서(Rs)의 저항값이 작아지고,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의 입력전압이 작아져서 제1및 제2램프부(30,40)의 전류를 감소시킨다. 그러면, 램프의 광도가 약해져서 주변차량운전자의 시력을 보호 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이 어두워져서 조도검출센서(Rs)의 저항값이 커지고,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의 입력전압이 커지면 제1 및 제2램프부(30,40)의 전류를 증폭시킨다. 그러면 램프의 광도가 커져 운전가가 사물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제2저항(Rb)은 가변저항으로서, 조도검출센서(Rs)에 유입되는 소정의 광량을 기준으로 정할 때, 램프의 광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조도검출센서(Rs)에 의해 조절되는 광도의 전체폭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주변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어두운 곳에서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시안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스위치가 연결되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램프를 점동시키는 차량용 등화장치에 있어서,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여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조도검출부(5)와; 제1스위치의 연결에 따라 점등되는 제1램프부(30); 제2스위치가 연결에 따라 점등되는 제2램프부(40); 상기 조도검출부(5)의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1램프부(30)의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1램프부(30)의 광도를 조절하는 제1전류증폭기(10); 및 상기조도검출부(5)의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2램프부(40)의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제2램프부(40)의 광도를 조절하는 제2전류증폭기(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검출부(5)는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검출센서(Rs)와, 상기 조도검출센서(Rs)의 출력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콘덴서(C)와, 상기 조도검출센서(Rs)와 상기 콘덴서(C)를 접속시키는 제1저항(Ra)과, 전원전압을 분배시켜 제1 및 제2전류증폭부(10,20)에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2저항(R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증폭부는 다알링톤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검출센서(Rs)는 차량의 후방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광도 가변 등화장치.
KR2019940031419U 1994-11-26 1994-11-26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KR0115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419U KR0115976Y1 (ko) 1994-11-26 1994-11-26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419U KR0115976Y1 (ko) 1994-11-26 1994-11-26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72U KR960017072U (ko) 1996-06-17
KR0115976Y1 true KR0115976Y1 (ko) 1998-04-17

Family

ID=1939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419U KR0115976Y1 (ko) 1994-11-26 1994-11-26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9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539A (ko) * 1996-12-19 1998-09-15 신영주 표시등용 광도 조절기
KR101417446B1 (ko) * 2012-12-03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램프의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539A (ko) * 1996-12-19 1998-09-15 신영주 표시등용 광도 조절기
KR101417446B1 (ko) * 2012-12-03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램프의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72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405A (en) Photoelectrically controlled corner light system for a vehicle
JPH1029462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KR0115976Y1 (ko) 차량용 광도 가변 동화장치
JPS5871230A (ja) 車両用ヘツドライトコントロ−ル装置
JPH0521486Y2 (ko)
KR0139429Y1 (ko) 조도적응식 차량의 미등/전조등 제어회로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0126090Y1 (ko) 자동차의 조도순응식 등화회로
KR0167918B1 (ko) 자동 전조등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9980052057A (ko) 자동차 전조등의 하이빔 및 로우빔 절환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0120323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방향 자동조절 장치
KR100203489B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장치
KR960033900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자동점등 시스템
KR200140882Y1 (ko)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조절 장치
JPS6326971Y2 (ko)
KR970002127B1 (ko) 자동차전조등의 자동제어시스템
KR19980035637A (ko) 자동차 미등제어장치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19980063854U (ko) 미등과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회로
KR016753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자동광량조절장치
KR100527937B1 (ko) 자동차용 디지털시계의 조명 제어장치
JPH11105623A (ja) 自動車用ストップランプ制御装置
KR19980036984U (ko) 자동차의 주차등 제어장치
KR970065130A (ko) 자동차의 자동 등화 장치
KR970037334A (ko) 차량 조명등 자동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