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537A -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537A
KR19980059537A KR1019960078879A KR19960078879A KR19980059537A KR 19980059537 A KR19980059537 A KR 19980059537A KR 1019960078879 A KR1019960078879 A KR 1019960078879A KR 19960078879 A KR19960078879 A KR 19960078879A KR 19980059537 A KR19980059537 A KR 19980059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vehicle
driving
control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6560B1 (ko
Inventor
박봉재
Original Assignee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1996007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5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가 도로상황이나 주행조건에 따라 표준이나 스포츠모드로 전환하여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2)이 체결되어 있는 서스펜션(3)의 본체(4) 내부 상측과 작동봉(5)의 상부에 전자석(6)(7)을 극성이 서로 다르게 하여 설치하고 자동차에는 전자식 자이로(8)와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를 설치하여 서스펜션(3)에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전자석에 의하여 서스펜션이 작동되므로서 소음이 없고 순간적인 작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노즈다이브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자동차가 주행상태에 따라 스스로 차체의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하므로서 승차감과 안전성을 향상시켜 자동차의 품질을 고급화 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운전자가 운전에 정신을 집중하므로서 안전운전을 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semi active suspens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제어 시스템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제어식 서스펜션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자 제어식 서스펜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 2 : 스프링
3 : 서스펜션 4 : 본체
5 : 작동봉 6,7 : 전자석
8 : 전자식 자이로
본 발명은 자동차가 도로상황이나 주행조건에 따라 표준이나 스포츠모드로 전환하여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 전자식 자이로와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suspension central unit)를 설치하여 자동차가 스스로 상태를 파악하여 급제동시에 자세를 유지하고 롤링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노즈다이브(nose dive)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체와 타이어를 연결하는 현가장치(suspension)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현가장치는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작동을 조절하는 쇽업소버 및 타이어의 작동을 제압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자동차가 주행중 도로의 사정이나 주행조건에 의하여 타이어에 상, 하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이 현가장치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면서 차체가 안전성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히 스프링과 쇽업소버에 의한 현가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쿠션을 유지하므로서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으며 차량의 높낮이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차고가 높을 경우 고속주행시 승차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차고가 낮을 경우 도로면에 굴곡이 있거나 비포장도로일 경우 차체가 지면에 닿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로의 상황이나 주행조건에 따라 표준이나 스포츠모드로 전환하여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는 있었으나, 이 장치는 단계별로 유압을 사용하여 차량의 높이와 스프링의 강성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전환방법이 반자동이기 때문에 도로상황이나 주행조건에 따라 유연하게 대체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모드의 전환이 늦으므로서 주행조건의 급변동시 별 도움이 못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에 전자식 자이로와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를 설치하여 차량이 스스로의 주행조건을 감지하여 모드를 전환하므로서 승차감을 최고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자동차에 있어서, 스프링(2)이 체결되어 있는 서스펜션(3)의 본체(4)의 내부 상측과 작동봉(5)의 상부에 전자석(6)(7)을 극성이 서로 다르게 하여 설치하고 자동차에는 전자식자이로(8)와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를 설치하여 서스펜션(3)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주행중 평탄한 도로 즉 포장된 고속도로를 주행할 경우 전자식 자이로(8)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이 정보를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에 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보가 감지되면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서스펜션(3)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서스펜션본체(4)와 작동봉(5)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6)(7)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에 의하여 전자석(6)(7)이 작동되면 본체(1)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6)과 작동봉(5)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7)의 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붙으려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봉(5)이 외부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2)을 압착하면서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서스펜션(3)의 본체(4)와 작동봉(5)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6)(7)에 의하여 서스펜션(3)의 높낮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차체가 가라앉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을 하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으로부터 차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승차감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노면이 불규칙하여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전자식 자이로(8)에 의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가 다시 감지하게 되며 이 정보를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에 보내게 되며 이와 동시에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에 의하여 서스펜션(3)의 전자석(6)(7)에 보내지는 전원이 차단되며, 이로 인하여 서스펜션(3)의 외부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2)에 의하여 본체(4)와 작동봉(5)이 원상복귀 되므로서 차체가 다시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즉 차고의 높이를 높게 하므로서 노면의 불규칙 바운드에 의하여 차체가 흔들릴 경우 차체가 지면에 닫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가 주행중 급정지를 할 경우 브레이크작동에 의하여 차체가 앞으로 숙여지게 되는 노즈다이브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바, 이때 전자식 자이로(8)와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에 의하여 다시 전자석(6)(7)이 순식간에 작동되면서 차체를 높이게 되어 노즈다이브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전자식 자이로와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를 실치하여 차량이 스스로의 주행조건을 감지하여 모드를 전환하므로서 승차감을 최고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전자석에 의하여 서스펜션이 작동되므로서 소음이 없고 순간적인 작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노즈다이브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자동차가 주행상태에 따라 스스로 차체의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하므로서 승차감과 안전성을 향상시켜 자동차의 품질을 고급화 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운전자가 운전에 정신을 집중하므로서 안전운전을 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스프링(2)이 체결되어 있는 서스펜션(3)의 본체(4) 내부 상측과 작동봉(5)의 상부에 전자석(6)(7)을 극성이 서로 다르게 하여 설치하고 자동차에는 전자식 자이로(8)와 서스펜션 컨트롤 유니트(1)를 설치하여 서스펜션(3)에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semi active suspension system) .
KR1019960078879A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KR100216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879A KR100216560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879A KR100216560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537A true KR19980059537A (ko) 1998-10-07
KR100216560B1 KR100216560B1 (ko) 1999-08-16

Family

ID=1949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879A KR100216560B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792A (ko) 2018-01-09 2019-07-17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자기 유변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위치와 속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041A (ko) * 2002-05-15 2003-11-21 안종철 전자석을 이용한 급제동 완충용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792A (ko) 2018-01-09 2019-07-17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자기 유변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위치와 속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6560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8929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100216560B1 (ko)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JPH07251622A (ja) 車高調整機能付リーフスプリング式サスペンション
EP1101636A1 (en) Stabilizing arrangement for vehicle suspensions
JP2946856B2 (ja) 自動車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
KR100371419B1 (ko) 차량의 현가장치
JPS6232084Y2 (ko)
KR100820412B1 (ko) 자동차 전자제어식 현가장치의 제어방법
KR0183125B1 (ko) 주행상태에 따른 차체 높이 조절 장치
KR100197501B1 (ko) 속도 감응식 현가장치
JPS6337724B2 (ko)
KR100203835B1 (ko) 자동차 수평 조절장치
JP2934371B2 (ja) 車体角度の制御装置
KR19980030176A (ko) 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KR200303231Y1 (ko)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쇽업소버
JPS641129Y2 (ko)
KR200193982Y1 (ko) 자동차용 엔진브레이크 보조 리어 스포일러
KR100204902B1 (ko) 자동차의 안티 다이브 장치
JPS6342647Y2 (ko)
JP2566128Y2 (ja) 車両用懸架装置
JPH0617603Y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90035247A (ko) 반능동형 현가장치
KR19980051535U (ko) 충격흡수장치
KR200152251Y1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JPH02367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