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286A -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 Google Patents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286A
KR19980057286A KR1019960076560A KR19960076560A KR19980057286A KR 19980057286 A KR19980057286 A KR 19980057286A KR 1019960076560 A KR1019960076560 A KR 1019960076560A KR 19960076560 A KR19960076560 A KR 19960076560A KR 19980057286 A KR19980057286 A KR 19980057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mold
support pin
sand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629B1 (ko
Inventor
최용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6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곽통에 고정 지지핀을 설치한 다음, 주물작업 후에 탈형시 이 고정 지지핀을 뽑아내어 분리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킨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대 역할을 하며, 상부면에 모델(14)이 배치되는 주형도마(12)와, 주형도마(12)상에 배치된 모델(14)위에 도포되는 모래 도포층과, 도포된 사형을 감싸는 외곽통(16)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사형틀에는 외곽통(16)을 구성하는 각각의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 지지핀(24)이 설치되어 있어, 탈형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본 발명은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곽통에 고정 지지핀을 설치한 다음, 주물작업 후에 탈형시 이 고정 지지핀을 뽑아내어 분리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킨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양산에 앞서서 통상의 기계가공에 따른 투자비와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사출금형을 만들어 적은 수량의 시작차나 특수차를 제작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작차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주물을 만드는 주조(casting)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종래의 주조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사형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사형틀을 이용한 주물가공 순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형틀은 받침대 역할을 하며, 상부면에 모델(model)(4)이 배치되는 주형도마(2)와, 주형도마(2)상에 배치된 모델(4)위에 도포되는 모래 도포층(8)과, 도포층(8)형상을 유지하는 외곽통(6)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고로 종래의 주조과정을 설명하면, 도 2에 단면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도마(2)위에 모델(4)을 배치한 다음 모래를 도포한 상태에서 외곽통(6)을 씌운다. 다음,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델(4)을 탈거한 후에,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틀을 반전시킨 상태에서, 용해된 쇳물을 공간부(8a)에 주입한다. 주입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통(6)과 주물(10)을 분리하여 제작을 완료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에서는 주물을 분리하는 탈형 작업시에 외곽통과 모래가 잘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해머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사형을 타격하여 분리시키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외곽통에 고정 지지핀을 설치함으로써, 주물 작업후에 주물과 외곽통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 역할을 하며, 상부면에 모델이 배치되는 주형도마와, 주형도마 상에 배치된 모델위에 도포되는 모래 도포층과, 도포된 사형을 감싸는 외곽통으로 구성된 사형틀에 있어서, 외곽통을 구성하는 각각의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 지지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조작업 후에 고정 지지핀을 뽑아낸 다음 주물을 형틀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에, 탈형이 쉽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사형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사형틀을 이용한 주물가공 순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형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형틀을 이용한 주물가공 순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주형도마14:모델
16:외곽통18, 20:제 1, 2도포층
22:분리용 천24:고정 지지핀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형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형틀을 이용한 주물가공 순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형틀 구조에 비교하여 볼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사형틀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곽통(16)의 전후 및 좌우측면에는 고정 지지핀(24)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주형도마(12)상에 올려져 있는 모델(14)이 배치된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도마(12)상에 배치된 모델(14)위에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모래를 도포하게 되는데, 이때, 모델(14)의 상부에는 제 1도포층(18)을 형성한 다음, 이 제 1도포층(18)위에 천이나 거적등으로 만든 분리용 천(22)을 배치한 후에, 모래를 추가로 도포하여 제 2도포층(20)을 형성한다. 또한, 제 1도포층(18)과 제 2도포층(20)을 형성한 다음에는 형틀과의 이탈을 막기 위해 외곽통(16)에 미리 설치한 다수의 고정 지지핀(24)을 제 1도포층(18)과 제 2도포층(20)에 삽입한다. 따라서, 형틀을 반전시키는 경우에도, 도포층(18), (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형틀을 형성한 다음에는 다음의 도 6에 도시한 순서대로 주물을 제작하면 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델(14)을 탈거한 후에,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틀을 반전시킨 상태에서, 내부의 공간부(18a)에 용해된 쇳물을 주입한다. 주물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핀(24)을 분리해 내면, 분리용 천(22)에 의해 제 1도포층(18)과 제 2도포층(20)이 쉽게 분리됨으로써, 주물(26)을 형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고정 지지핀(24)의 분리 후에, 제 1도포층(18)과 제 2도포층(20)에는 각각 삽입홈(18a), (20a)이 남게 되며, 제 2도포층(20)을 분리한 후에는 삽입홈(18a)으로부터 해머로 가격하여 제 1도포층(18)만 부수면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조작업 후에 고정 지지핀을 뽑아낸 다음 주물을 형틀로부터 분리하기 때문에, 탈형이 쉽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받침대 역할을 하며, 상부면에 모델(14)이 배치되는 주형도마(12)와, 상기 주형도마(12)상에 배치된 모델(14)위에 도포되는 모래 도포층과, 도포된 사형을 감싸는 외곽통(16)으로 구성된 사형틀에 있어서, 상기 외곽통(16)을 구성하는 각각의 측면에는 다수의 고정 지지핀(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14)상에 도포되는 모래는 하부의 제 1도포층(18)과, 분리용 천(22)에 의해 상기 제 1도포층(18)의 상부에 경계를 이루며 도포되는 제 2도포층(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KR1019960076560A 1996-12-30 1996-12-30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KR10021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60A KR100217629B1 (ko) 1996-12-30 1996-12-30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560A KR100217629B1 (ko) 1996-12-30 1996-12-30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286A true KR19980057286A (ko) 1998-09-25
KR100217629B1 KR100217629B1 (ko) 1999-09-01

Family

ID=1949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560A KR100217629B1 (ko) 1996-12-30 1996-12-30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6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447A (ko) 2020-08-21 2022-03-02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리프팅 장치
KR20230023173A (ko) 2021-08-10 2023-02-17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리프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447A (ko) 2020-08-21 2022-03-02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의 리프팅 장치
KR20230023173A (ko) 2021-08-10 2023-02-17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7629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71924A (ja) クローズドデッキタイプシリンダブロック鋳造装置と該装置に用いられる砂中子との組合せ
CN103121083B (zh) V型气缸体铸造分芯工艺
US4705092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n integral type crankshaft bearing cap
KR100217629B1 (ko) 고정 지지핀을 구비한 사형틀
JP4990356B2 (ja) 鋳物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309479A (ja) シリンダブロック製造用砂中子
JPH05104197A (ja) ゴルフヘツド鋳造用ワツクスパタンの製造方法
JP2002254136A (ja) 多気筒シリンダーブロック中子造型用コアーボックス
KR20100089171A (ko) 왁스모형 금형어셈블리
KR100427310B1 (ko) 금형의 주조방법
JP2653841B2 (ja) 鋳物の製造方法
ITPN940026A1 (it) Procedimento di colata per la produzione di un assieme combinato di blocco cilindri e testata motore per un motore a due pistoni e stampo per la realizzazione di detto procedimento
KR200452338Y1 (ko) 터널식 파팅 라인을 갖는 써모스탯 하우징 주조용 코어
KR20120089922A (ko) 알루미늄 도어 패널용 진공 다이캐스팅 금형
JPH1034281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ハウジングの製造法
KR20040043803A (ko) 알루미늄 실린더 블록 주조방법
KR200283404Y1 (ko)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JP2891039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
JPH0780210B2 (ja) 3色レンズの製造方法
JPH0563260B2 (ko)
KR20030073395A (ko) 사형주조방법
US6827122B2 (en)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a two-stroke engine casing of a radio control model
JPS63264248A (ja) 中空カムシヤフトの製造方法
KR100240581B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펌프 하우징 제조방법
CN111250674A (zh) 一种能实现高平行度的压铸模具结构和压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