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207U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207U
KR19980057207U KR2019970001364U KR19970001364U KR19980057207U KR 19980057207 U KR19980057207 U KR 19980057207U KR 2019970001364 U KR2019970001364 U KR 2019970001364U KR 19970001364 U KR19970001364 U KR 19970001364U KR 19980057207 U KR19980057207 U KR 199800572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vacuum cleaner
intake pip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치환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70001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207U/ko
Publication of KR19980057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207U/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모타와; 본체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도관과; 상기 흡기도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하여 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입된 공기중 일부를 본체 밖으로 분사시키는 공기분사도관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채용함으로써,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구석진부분까지도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이 닿지 않는 구석진 곳의 먼지까지도 제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중의 일 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청소기(10)는 본체(11)와, 본체(11) 내부에 장착되며 그 주축에는 팬이 부착된 모타(15)와, 본체(11)의 일측에 부착되어 공기의 흡입통로가 되는 흡기도관(12)과, 본체(11)에 장착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4)와, 필터(14)를 통과한 공기를 본체(11)밖으로 내보내는 통로가 되는 배기도관(13)를 구비하여 된다. 특히, 흡기도관(12)의 선단부에는 브러쉬(1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진공청소기(10)의 모타(15)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타(11)가 구동되면, 모타(15)의 회전축에 부착된 팬이 회전하게 되고, 팬의 회전에 따라 본체(11) 일측에 부착된 흡기도관(12)를 통해 먼지등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기도관(12)의 선단부에 부착된 브러쉬(16)는 바닥의 먼지 등을 털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며, 털어내진 먼지 등이 흡기도관(12)를 통해 본체(11) 내부로 흡입된다. 본체(1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14)를 통과하면서 먼지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배기도관(13)를 통해 본체(11) 밖으로 나가게 된다.
상기한 진공청소기(10)는 쌓여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흡기도관(12)의 선단부에 부착된 브러쉬(16)를 이용하여 먼지를 털어낸 후, 흡기도관(12)을 통해 먼지등을 흡입하였지만, 브러쉬(16)가 닿지 못하는 작은 구석진 틈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브러쉬를 대면 안되는 곳, 예컨대, 컴퓨터 내부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에 유입된 공기중 일부를 본체밖으로 분사시켜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20...진공청소기11,21...본체
12,22...흡기도관13,23...배기도관
14,24...필터25...공기분사도관
15,26...모타16...브러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모타와; 본체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도관과; 상기 흡기도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배기도관을 구비하여 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된 공기중 일부를 본체 밖으로 분사시키는 공기분사도관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도관과 흡기도관은 일체이며, 그 사이에 설치된 분리벽에 의하여 나뉘어진다.
또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흡기도관의 단면적이 공기분사도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20)는 본체(21)의 내부에 모타(26)를 장착하고, 모타(26)의 주축에는 팬(미도시)이 부착된다. 상기 본체(21)의 일측에는 공기 유입통로가 되는 중공형 흡기도관(22)이 결합되며, 흡기도관(22)의 반대방향으로 본체(21)의 타측에는 공기 배출통로가 되는 배기도관(23)이 형성된다. 이 배기도관(23)의 전면에는 필터(24)가 부착되어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등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배기도관(23)의 단부에는 중공형 공기분사도관(25)이 결합되어 공기배출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배기도관(23)의 연장선으로 본체(21) 밖으로 연장된 공기분사도관(25)은 상기 흡기도관(22)과 같은 길이로 결합되며, 분리벽(27)에 의해 흡기도관(22)과 나뉘어진다. 이때, 흡기도관(22)의 단면적이 공기분사도관(25)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2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진공청소기(2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타(26)가 구동되면, 모타(26)의 주축에 부착된 팬이 회전하게 된다. 팬의 회전과 더불어 본체(21)의 일측에 부착된 흡기도관(22)를 통해 먼지등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흡입된 공기는 본체(21) 내부에 장착된 필터(24)를 거치면서 먼지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고, 걸러진 공기는 배기도관(23)를 통해 공기분사도관(25)으로 유입된다. 공기분사도관(25)으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그 분사력에 의해 바닥의 먼지를 털어내게 된다. 특히, 손이 닿지 않는 구석진 곳의 먼지등을 털어내기가 용이하다. 왜냐하면,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분사로 인해 생기는 분사력에 의해 먼지를 털어내므로 브러쉬가 접근할 수 없는 곳까지 털어낼 수 있다. 혹은, 이 분사력에 의해 먼지등이 날릴 위험도 있겠지만, 공기분사도관(25)과 일체로 형성된 흡기도관(22)의 단면적이 크므로 먼지등이 날리지 않고 흡기도관(22)를 통해 본체(21)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한 진공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석구석의 먼지까지도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20)는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분사도관(25)를 통해 나오는 공기분사에 의해 먼지를 털어내므로 손이 닿지 않는 구석진 틈 까지도 공기를 분사시켜 먼지를 털어내고, 이 먼지를 흡기도관(22)을 통해 본체(21)내부로 흡입하기 때문에 구석구석의 먼지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먼지가 날리지 않게 청소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20)는 흡기도관(22)과 일체로 형성되며, 분리벽(27)에 의해 흡기도관(22)과 나뉘어진 공기분사도관(25)을 통해 본체(21) 밖으로 나오는 공기분사에 의해 먼지를 털어내고, 이 털어낸 먼지를 흡기도관(22)을 통해 흡입하여 본체(21)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기도관(22)의 단면적이 공기분사도관(25)의 단면적보다 크므로 공기분사도관(25)에 의해 먼지가 털어내지면, 곧 바로 흡기도관(22)을 통해 흡입되므로 공기분사도관(25)에 의해 털어낸 먼지가 날릴 위험은 없다. 그래서, 먼지가 날리지 않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모타와; 본체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도관과; 상기 흡기도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배기도관을 구비하여 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된 공기중 일부를 본체 밖으로 분사시키는 공기분사도관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도관과 흡기도관은 일체이며, 그 사이에 설치된 분리벽에 의하여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도관의 단면적이 공기분사도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19970001364U 1997-01-30 1997-01-30 진공 청소기 KR199800572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64U KR19980057207U (ko) 1997-01-30 1997-01-30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64U KR19980057207U (ko) 1997-01-30 1997-01-30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207U true KR19980057207U (ko) 1998-10-15

Family

ID=6968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364U KR19980057207U (ko) 1997-01-30 1997-01-30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2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313A (ko) * 2000-01-04 2000-07-05 김영호 분사호스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KR20230021420A (ko) * 2021-08-05 2023-02-14 김정훈 미세먼지 제거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313A (ko) * 2000-01-04 2000-07-05 김영호 분사호스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KR20230021420A (ko) * 2021-08-05 2023-02-14 김정훈 미세먼지 제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23175T1 (de) Staubsauger
GB2385514A (en)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filter and filter sweeper
KR19980057207U (ko) 진공 청소기
JPH0615714U (ja) 集塵機用パルスジェット式除塵装置
JP5012683B2 (ja) 電気掃除機
JP3108583B2 (ja) 循環掃除方法及び掃除機
US20030126715A1 (en) Closed loop vacuum cleaner
CN102273982A (zh) 吸尘器集尘装置
KR19990056344A (ko) 진공청소기
KR100400567B1 (ko) 진공청소기
KR20070005430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JPH08166151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100199933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20000001454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불기겸용 흡입구의 구조
JPS6083632A (ja) 電気掃除機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KR20090071234A (ko) 진공청소기
JP3035409U (ja) 渦巻き掃除機
JP2008035886A (ja) 電気掃除機
KR20000075317A (ko) 진공청소기의 오염물 집진 확인장치
KR200220648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덕트
KR200299351Y1 (ko) 다용도 진공 청소기
KR20020095577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90071233A (ko) 진공청소기
KR200299353Y1 (ko) 공기 분출식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