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212U -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 Google Patents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212U
KR19980056212U KR2019970000152U KR19970000152U KR19980056212U KR 19980056212 U KR19980056212 U KR 19980056212U KR 2019970000152 U KR2019970000152 U KR 2019970000152U KR 19970000152 U KR19970000152 U KR 19970000152U KR 19980056212 U KR19980056212 U KR 199800562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upport
guide path
rack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진
Original Assignee
정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진 filed Critical 정화진
Priority to KR2019970000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212U/ko
Publication of KR19980056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212U/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버스노선 진행방향의 표시대
2. 고안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도로망이 복잡한 도시에서 버스를 타려고할때 행선지의 방향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버스의 앞유리에 보스의 진행 방향의 노선표시를 버스노선을 가리키는 방향지시대를 설치하므로서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로 진행하는 버스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버스노선을 가리키는 방향지시대(10)의 전면판(10a)에 랙(15)을 형성하며, 지지대(1)를 형성하는 안내로(4)의 상부저지턱(5)(5a)에는 접점편(14)(14a)을 설치하며, 안내로(4)의 내부중앙부에는 랙(15)과 풀림되는 피니언(16)을 축착한 정역회전감속모우터(17)을 고정설치하여 감속모우터(17)를 구동하는 구동스위치(도시생략)와 상기 접점편(14)(14a)이 릴레이회로가 구성되도록 전기적으로 결선하여 구동스위치만 좌·우로 전환시켜 주므로서 방향지시대(10)의 운용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버스의 승객이 원하는 행선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버스의 앞유리에 부착 설치하여 사용함.

Description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2 : 배면부
3, 3a : 진공흡착구4 : 안내로
5, 5a, 6, 6a : 상하부저지턱7 : 요입부
8 : 걸림턱9, 9a : 화살표부
10 : 방향지시대10a : 전면판
11, 11a : 금속편12 : 굴림로울러
13, 13a : 자석14, 14a : 접점편
15 : 랙16 : 피니언
17 : 정역회전감속모우터
본 고안은 버스노선 방향 지시대에 랙을 형성하여 지지대내에 설치한 역회전모우터의 피니언과 기어풀림시켜 결합하여 구성한 버스노선 진행방향 표시대에 관한 것으로 역회전모우터와 지시대의 내부에 a접점과 b접점의 릴레이회로로 구성한 버튼 스위치만 눌러주므로서 사용시에 버스노선 방향 지시대의 운용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제안된 것이다.
종래에는 버스운전석 전면에 버스노선을 문자만으로 부착 고정하였으므로 버스노선의 지역이나 방향감각이 어두운 사람에게는 버스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없으며, 또한 본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5510호 (93년 4월 8일 출원)에 있어서는 화살표부를 형성한 좌·우 회전 지시간을 회전시키면서 버스의 진행방향을 지시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화살표부에 의하여 버스운행 방향의 인식은 용이하지만 좌·우 회전시간의 조작이 번거로우며, 운행중에 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급정거시에는 좌·우 회전지시간의 유동이 심하여 운전자나 승객의 시야를 불편하거나 제품이 쉽게 손상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6-4418호 (96년 3월 11일 출원)에 있어서는 버스노선 방향지시대를 좌·우로 수평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제품의 안전성은 양호하나 사용시에 수동조작을 하여야 되는 번거로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종래의 결점을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의 배면부(2)에는 진공흡착구(3)(3a)를 착설고정하며,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안내로(4)의 중앙상하부에는 상하부저지턱(5)(5a)(6)(6a)을 돌설하며, 안내로(4)의 내부 중앙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요입부(7)를 형성하는 구조의 지지대(1)를 형성하였으며, 양단부에 걸림턱(8)을 형성한 화살표부(9)(9a)를 형성하며, 전면판(10a)의 양측으로 금속편(11)(11a)을 착설고정시켜 형성한 버스노선을 가리키는 방향지시대(10)를 상기 지지대(1)의 내부에 형성한 안내로(4)내에서 좌·우로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안내로(4)의 하부에는 굴림로울러(12)를 설하며, 안내로(4)의 내주벽 양측으로는 자석(13)(13a)을 각각 부착하며, 안내로(4)의 중앙 상하부에 돌설한 상하부저지턱(5)(5a)(6)(6a)의 상부저지턱(5)(5a)에는 접점편(14)(14a)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방향지시대(10)의 전면판(10a)에는 랙(15)을 형성하며, 지지대(1)에 형성한 요입부(6)에는 랙(15)과 풀림되는 피니언(16)을 축착시킨 정역회전감속모우터(17)을 고정설치하여 상기 정역회전모우터(17)의 구동스위치(도시생략)와 상기 상부저지턱(5)(5a)에 설치한 접점편(14)(14a)과 릴레이회로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결선하여서 된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버스노선표시부, 19는 버스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도면의 제 14 도와 같이 버스의 운전석 앞에 부착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접점편(14)(14a)와 릴레이회로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결선시킨 정역회전감속모우터(17)의 구동스위치(도시생략)를 우측으로 전환 시켜주므로서 감속모우터(17)가 정회전하면서 피니언(16)에 풀림됨 랙(15)에 의하여 방향지시대(10)가 지지대(1)의 안내로(4) 내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타측 화살표부(9a)를 형성하는 걸림턱(8)에 압지되어 접점된 상태의 타측접점편(14a)이 떨어짐과 동시에 릴레이회로를 구성되어 감속모우터(17)가 정회전하면서 방향지시대(10)를 수평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방향지시대(10)는 굴림로울러(12)에 의하여 흔들림이나 소음이 없이 안전하게 이동되어 타측의 화살표부(9a)는 버스(19)가 진행하는 방향의 지역을 표시하는 버스노선표시부(18)를 가리키게 됨과 동시에 일측의 화살표부(9)를 형성하는 걸림턱(8)이 일측의 접점편(14)을 압지함에 따라 전기적으로 릴레이회로가 구성되면서 구동스위치(도시생략)가 OFF됨에 따라 정역회전감속모우터(17)가 정지되어 방향지시대(10)의 수평이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버스가 종점까지 갔다가 돌아올 때에는 정역회전감속모우터(17)의 구동스위치(도시생략)를 좌측으로 전환시켜 주게되면 정역회전감속모우터(17)은 역회전하면서 상기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방향지시대(10)는 좌측으로 수평이동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정역회전감속모우터를 구동하는 구동스위치만 좌·우측으로 전환시켜 주므로서 접점편과 전기적으로 릴레이회로로서 결선시킨 통상의 a접점 및 b접점 기능에 의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버스노선을 가리키는 방향지시대의 운용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방향지시대가 흔들림이나 소음이 없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지대(1)의 배면부(2)에는 진공흡착구(3)(3a)를 착설고정하며,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안내로(4)를 형성하되, 안내로(4)의 중앙상하부에는 상하부저지턱(5)(5a)(6)(6a)을 돌설하며, 전면판(2a)의 내부 중앙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요입부(7)를 형성하는 구조의 지지대(1)를 형성하였으며, 양단부에 걸림턱(8)을 형성한 화살표부(9)(9a)를 형성하며, 전면판(10a)의 양측으로 금속편(11)(11a)을 착설고정시켜 형성한 버스노선을 가리키는 방향지시대(10)를 상기 지지대(1)의 내부에 형성한 안내로(4)내에서 좌·우로 이동 자재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4)의 하부에는 굴림로울러(12)를 설하며, 안내로(4)의 내주벽 양측으로는 자석(13)(13a)을 각각 부착하며, 안내로(4)의 중앙 상하부에 돌설한 상하부저지턱(5)(5a)(6)(6a)의 상부저지턱(5)(5a)에는 접점편(14)(14a)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방향지시대(10)의 전면판(10a)에는 랙(15)을 형성하며, 지지대(1)에 형성한 요입부(6)에는 랙(15)과 풀림되는 피니언(16)을 축착시킨 정역회전감속모우터(17)을 고정설치하여 상기 정역회전모우터(17)의 구동스위치(도시생략)와 상기 상부저지턱(5)(5a)에 설치한 접점편(14)(14a)과 릴레이회로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결선하여서 된 버스노선 진행 방향 표시대.
KR2019970000152U 1997-01-08 1997-01-08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KR199800562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152U KR19980056212U (ko) 1997-01-08 1997-01-08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152U KR19980056212U (ko) 1997-01-08 1997-01-08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212U true KR19980056212U (ko) 1998-10-15

Family

ID=6967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152U KR19980056212U (ko) 1997-01-08 1997-01-08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2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181B1 (ko) * 2023-05-19 2023-09-21 (주) 엠파워 가변 속도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181B1 (ko) * 2023-05-19 2023-09-21 (주) 엠파워 가변 속도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8532B1 (en) Vehicle steering wheel
JP3573656B2 (ja) 作業機の運転部構造
US8387739B2 (en) Shift device
CN205769065U (zh) 一种带有显示屏的方向盘
KR19980056212U (ko) 버스 노선진행 방향 표시대
JP4135650B2 (ja) 表示装置付き車載装置
CN101846174B (zh) 用于车辆变速器换挡的手动操作装置
JPS6234834A (ja) 車両用バツクミラ−
JP2004182141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EP0807553A2 (en) A control device for an acoustic indicator, particularly for the steering wheel of a motor vehicle
JP2001334838A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0140615B1 (ko) 차량의 룸미러
KR100581107B1 (ko)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JPH0354041A (ja) 車両用表示装置
JPS59192623A (ja) 車両用計器盤
JPS6092935A (ja) 自動車の計器板
JPH08282505A (ja) 小型車両
JPH11216214A (ja) ゴルフカート
KR19980046559U (ko) 후방 시계 확보용 미러
KR100255612B1 (ko) 어린이용으로 이용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시트 벨트
KR100231552B1 (ko) 자동차의 후사경의 빗물 제거장치
JPS5820468Y2 (ja) 歩行型作業車
KR0117348Y1 (ko) 자동차용 실외후사경
JPH04297355A (ja) 車両のワイパ−装置
KR950002988Y1 (ko) 지프차용 자동개폐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