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190U - 레일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레일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190U
KR19980056190U KR2019970000127U KR19970000127U KR19980056190U KR 19980056190 U KR19980056190 U KR 19980056190U KR 2019970000127 U KR2019970000127 U KR 2019970000127U KR 19970000127 U KR19970000127 U KR 19970000127U KR 19980056190 U KR19980056190 U KR 19980056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grip
rail
fast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7751Y1 (ko
Inventor
도꾸나가마사또
Original Assignee
도꾸나가마사또
산슈산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나가마사또, 산슈산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꾸나가마사또
Priority to KR2019970000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75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형 크레인 등의 레일을 체결고정하는 체결장치이며, 이 체결장치는 수대와 그립 및 체결용 볼트, 너트로부터 구성되며, 수대와 체결용 볼트와의 계류를 구면접촉에 따라서 행하는 것에 의해 그립에 의한 레일의 압박시에 그립의 경사에 따라서 체결용 볼트도 경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그립과 너트가 항상 면접촉에 의한 강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레일체결장치
본 고안은 천정형 크레인 등의 각종 크레인을 이동하기 위하여 부설되는 레일을 고정하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면 9 에 나타냄과 같이 크레인거어더(a)에 부설되는 레일(b)은 크레인거어더(a)의 양측에 수대(c,c)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며, 레일(b)의 기부 양측을 그립(d,d)에 의해서 체결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그립(d)에는 볼트삽통공(e)이 관통되며, 볼트(f)의 두부(g)가 수대(c)에 계류된 상태로 그립(d)의 볼트삽통공(e)에 볼트(f)가 삽통되며, 너트(h)에 의하여 체부하는 것에 의해 그립(d)의 선단부에서 레일(b)의 기부 양측부의 고정을 행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볼트(f)와 그립(d)이 직교하는 상태로 되는 것이 조건이 된다.
그러나 도면 10 에 나타냄과 같이 레일(b)의 레벨조정에 의해 그립(d)이 상향이 되었을 경우에는 볼트(f)와 그립(d)과의 각도에 편차가 생겨 충분한 체결을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크레인이 가동중에는 레일(b)에 항상 하중이 걸리는 것으로 부터 그 영향으로 레일(b) 직하의 크레인거어더(a)에 처짐이 생기며 볼트(f)와 그립(d)과의 각도에 편차가 생긴다. 그 때문에 충분한 체결이 유지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볼트를 그립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자유자재하게 각도조정할 수 있는 기구로 한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수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수대의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의 그립의 평면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의 그립의 단면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의 체결용 볼트, 너트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수대의 용접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은 본 고안의 레일체결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의 레일체결상태의 부분확대설명도.
도 9 는 종래의 레일체결장치의 설명도.
도 10 은 종래의 체결장치에 의한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대,2 - 볼트계류용홈부,
3 - 양각부,4 - 그립계류용홈부,
5 - 반구면부,6 - 그립,
10 - 체결용 볼트·너트,15 - 크레인거어더,
16 - 레일,17 - 조정판.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체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그 요지는 궤조측 선단이 직선상으로 형성되며, 또 양각부를 가지며,이 양각부에는 그립계류용홈부 및 상기 양각부간에는 볼트계류용홈부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이 볼트계류용홈부의 이면에 반구면부가 형성되는 수대와, 그 양측단에 레일압박부 및 수대계류용 돌조부가 설치되며, 다시 볼트삽통공이 관통해서 설치되는 그립과 그 두부가 상기 수대의 반구면부와 상사형의 구면부가 형성되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부터 되는 체결용 볼트·너트로부터 구성되며, 상기 그립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항상 볼트를 그립과 직교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일체결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한 레일의 체결장치를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작하면서 상술한다.
도면 1 및 도면 2 에 나타냄과 같이, 본 고안의 수대(1)는 그 선단측이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마제형상을 나타내며 그 대략 중앙에 볼트계류용홈부(2)가 설치된다.
그리고, 양각부(3,3)에는 그립계류용홈부(4,4)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상기 볼트계류용홈부(2)의 이면에는 반구면부(5)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면 3 및 도면 4 에 나타냄과 같이 본 고안의 그립(6)은 그 양측단에 레일압박부(7)와 수대계류용 돌조부(8)가 각각 설치되며, 다시 그립(6)의 중심선상에는 볼트삽통공(9)이 관통하여 설치된 구성이다.
도면 5 에 나타냄과 같이 본 고안의 체결용 볼트·너트(10)는 볼트(11), 와셔(12) 및 너트(13)로부터 구성되며, 다시 상기 볼트(11)의 두부(14)가 상기 수대(1)의 반구면부(5)와 상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되는 본 고안의 체결장치에서는 도면 6 및 도면 7 에 나타냄과 같이 크레인거어더(15)의 양측에 레일(16)을 끼우는 상태로 수대(1)를 용접에 의해 고착한다.
그리고, 크레인거어더(15)상의 레일(16)의 중심위치결정을 조정판(17)에 의해서 행하며, 다시, 라이너(18)에 의해서 레벨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볼트(11)를 볼트계류용홈부(2)에 삽입하여 다시 같은 볼트(11)에 그립(6)의 볼트삽통공(9)을 삽통하며, 그립(6)의 수대계류용 돌조부(8)를 수대(1)의 그립계류용 홈부(4)에 계류시켜, 상기 그립(6)의 레일압박부(7)를 레일(16)의 기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너트(10)에 의해서 체결을 행하며, 레일압박부(7)에 의해서 레일(16)의 고정을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면 8 에 나타냄과 같이, 그립(6)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볼트(11)는 수대(1)의 반구면부(5)와 볼트(11)의 두부가 서로 구면끼리이기 때문에,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너트(13)와 그립(6)면 및 볼트(11) 두부와 수대(1)가 밀착한 상태에서의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서술하여 온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레일의 레벨에 따라서 그립과 볼트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다종의 레일체결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볼트와 수대와의 접촉이 항상 면 접촉으로 되기 때문에 체결할 때의 부하가 구면 전체에 균일하며 강고한 체결과 볼트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크레인거어더의 처짐에 대하여, 볼트도 추종하는 것으로부터 항상 볼트와 그립이 직교하며, 충분한 체결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그 궤조측 선단이 직선상으로 형성되며, 또 양각부를 갖고, 이 양각부에는 그립계류용 홈부 및 상기 양각부에는 볼트계류용 홈부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이 볼트계류용 홈부의 이면에 반구면부가 형성되는 수대와, 그 양측단에 레일압박부 및 수대계류용 돌조부가 설치되며, 다시 볼트삽통공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그립과, 그 두부가 상기 수대의 반구면부와 상사형의 구면부가 형성되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부터 되는 체결용 볼트·너트로부터 구성되며, 상기 그립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항상 볼트를 그립과 직교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일체결장치.
KR2019970000127U 1997-01-08 1997-01-08 레일체결장치 KR200277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127U KR200277751Y1 (ko) 1997-01-08 1997-01-08 레일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127U KR200277751Y1 (ko) 1997-01-08 1997-01-08 레일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190U true KR19980056190U (ko) 1998-10-15
KR200277751Y1 KR200277751Y1 (ko) 2002-11-23

Family

ID=5389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127U KR200277751Y1 (ko) 1997-01-08 1997-01-08 레일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7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99B1 (ko) * 2008-09-17 2009-12-14 (주)우일궤도 레일 고정장치
WO2020101105A1 (ko) * 2018-11-16 2020-05-22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레일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99B1 (ko) * 2008-09-17 2009-12-14 (주)우일궤도 레일 고정장치
WO2020101105A1 (ko) * 2018-11-16 2020-05-22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레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751Y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479E (en) Cable tray hold-down device
KR101627778B1 (ko) 레일 고정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텐션클램프
US6766929B2 (en) Load carrier for roof rails
KR20020080276A (ko) 거더 고정용 고정장치
US5040916A (en) Scaffold fitting
KR200277751Y1 (ko) 레일체결장치
US20030021625A1 (en) Interconnection of two wood beams that are joined together while forming an at least approximately right angle
US4889282A (en) Rail clip assembly
US4790425A (en) Chain scraper conveyor having centrally guided tension chain and catches attached thereto
JP3705585B2 (ja) トレモロ装置を備えた電気ギター
JP2002173939A (ja) 斜面安定化工法および斜面安定化構造
KR100329814B1 (ko) 철도 체결장치
US4295770A (en) Hookbolt adapter
JP3230214B2 (ja) レールの高さ調整固定装置
TW369582B (en) Movement limiting device for bridge bearing
KR200312052Y1 (ko) 판넬이 지지대헤드 결합되어 볼트조임이 용이토록 된이중바닥판
US5494213A (en) Rail to plate interconnecting rail spike
JPS6237879Y2 (ko)
KR200256805Y1 (ko) 철도교량 침목 체결장치
JPH10183577A (ja) 防舷材フレーム用受衝パッドの固定構造
US4484706A (en) Resilient rail fastener
JPS633569Y2 (ko)
KR200235136Y1 (ko) 고정볼트의 풀림 방지장치
US4681052A (en) Inhaul boom end for sailboard boom assembly
JPH0728161Y2 (ja) ポイント転換機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