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209U - 펌프의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펌프의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209U
KR19980054209U KR2019960067401U KR19960067401U KR19980054209U KR 19980054209 U KR19980054209 U KR 19980054209U KR 2019960067401 U KR2019960067401 U KR 2019960067401U KR 19960067401 U KR19960067401 U KR 19960067401U KR 19980054209 U KR19980054209 U KR 199800542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ressure
unit
stop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67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209U/ko
Publication of KR19980054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209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2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수량의 증감에 따른 펌프의 기동 및 정지시의 급격한 압력 변동을 줄이고 펌프의 잦은 기동 및 정지에 따른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펌프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입부와 병렬연결되어 토출부에 용수를 공급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동일용량의 펌프와, 상기 펌프들과 병렬구성되어 적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소용량 펌프와, 상기 토출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얻어지는 토출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와 소용량 펌프의 운전 및 정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들의 기동 및 정지시의 압력변동을 완충하여 유량이 적을 경우 상기 펌프들의 기동회수를 줄여 주는 압력탱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프트한 기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며, 압력탱크의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가동시 에너지의 절감과 펌프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펌프의 급수장치
본 고안은 펌프의 급수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프트한 기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며, 압력탱크의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가동시 에너지의 절감과 펌프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용량 펌프를 설치하는 펌프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의 급수장치는, 흡입부에 다수개의 펌프를 병렬연결하고, 토출부에 압력센서를 장착하여 얻어지는 토출압력 값에 따라 펌프의 운전 및 정지를 결정하며, 사용수량에 따라 펌프의 기동대수를 증감하여 운행한다.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 및 그 운전방법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흡입부와 병렬연결되어 토출부에 용수를 공급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동일용량의 펌프부와, 상기 토출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의 전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얻어지는 토출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의 운전 및 정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들의 기동 및 정지시의 압력변동을 완충하여 유량이 적을 경우 상기 펌프부의 기동회수를 줄여 주는 압력탱크로 이루어지는 펌프의 급수장치 및 그 운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와 병렬구성되어 적은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소용량 펌프를 채용하여, 소프트한 기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고 압력탱크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가동시 에너지의 절감과 펌프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부와 병렬연결되어 토출부에 용수를 공급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동일용량의 펌프부(10)와, 상기 토출부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0)와, 상기 압력센서(20)에서 얻어지는 토출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10)의 운전 및 정지를 결정하는 제어부(40)와,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부(10)의 기동 및 정지시의 압력변동을 완충하여 유량이 적을 경우 상기 펌프부(10)들의 기동회수를 줄여 주는 압력탱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의 운전방식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 및 그 운전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수량의 증감에 따른 토출부의 압력의 변화를 토출부내에 설치되어있는 상기 압력센서(20)를 통하여 검출하는 이를 제어부(40)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압력센서(20)를 통하여 감지되는 토출부의 압력이 임의로 설정된 기동압력 값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부(10)의 펌프를 1대씩 추가 운전하고, 또한, 상기 압력센서(20)를 통하여 검출되는 토출부의 압력이 임의로 설정된 정지압력 값보다 높으면 운전중인 상기 펌프부(10)의 펌프를 1대씩 감축 운행한다.
이때, 토출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압력탱크(30)는 상기 펌프부(10)의 기동 및 정지시의 압력변동을 완충하며, 유량이 적을때는 내부의 충전수를 사용하여 급수하므로써 상기 펌프부(10)의 기동빈도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는 대용량의 펌퍼가 추가 웅행되거나 감축 운행 되므로 펌프의 기동이나 정지시에 급격한 압력이 번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압력변동이 많아짐에 따라 펌프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이때 발생한 압력변동의 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압력탱크가 필요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사용수량이 현재 가동중인 펌프의 대수로 공급할 수 있는 수량보다 조금 많을 경우에는 추가로 1대의 펌프가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므로 빈번한 대용량 펌퍼의 기동 반복에 따른 전력의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프트한 기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고 압력탱크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가동시 에너지의 절감과 펌프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펌프의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의 운전방식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의 운전방식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펌프부20 : 압력센서
30 : 압력탱크40 : 제어부
50 : 소용량 펌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의 운전방식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 및 그 운전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와 연결되어 토출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다수개로 구성된 동일 용량의 펌프부(10)와, 상기 펌프부(10)와 병렬 연결되어 적은 유량을 공급하는 소용량 펌프(50)와, 토출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0)와, 상기 압력센서(20)에서 얻어지는 토출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10)의 운전 및 정지를 결정하는 제어부(40)와,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부(10)의 기동 및 정지시의 압력변동을 완충하여 유량이 적을 경우 내부의 충전수를 사용하여 급수시켜 상기 펌프부(10)와 소용량 펌프(50)의 기동빈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압력탱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수량의 증감을 따른 토출압력의 변화를 토출부를 설치된 압력센서(20)를 통하여 검출하는 제어부(40)에 전달하여 상기 펌프부(10)와 상기 소용량 펌프(50)를 운전하거나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수량이 증가할 경우와 감소하는 경우에 따라 제어를 달리한다.
먼저, 사용수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상기 펌프부(10)의 펌프 1에서 펌프 3까지의 동일 용량을 펌프보다 충분히 작은 소용량 펌프(50)를 우선적으로 기동하고, 사용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대용량의 펌프가 추가로 운전될 경우에는 상기 소용량 펌프(50)를 정지시킨다.
또한, 사용수량이 감소할 경우에는 상기 소용량 펌프(50)를 우선적으로 정지시키고 사용수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펌프부(10)의 대용량 펌프가 추가로 정지될때는 상기 소용량 펌프(50)를 기동한다. 이때, 토출부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압력 탱크(30)는 상기 펌프부(10)와 상기 소용량 펌프(50)의 기동과 정지시의 압력변동을 완충하고, 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내부의 충전수를 이용하여 급수하여 상기 펌프부(10)와 소용량 펌프(50)의 기동빈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는 상기 펌프부(10)의 기동과 정지시의 급격한 압력의 변동을 상기 소용량 펌프(50)를 사용하여 압력변동의 폭을 줄여 소프트한 기동과 정지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토출부에 설치되는 상기 압력탱크(30)의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펌프부(10)의 동일 용량을 가진 큰용량의 펌프가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동작을 상기 소용량 펌프(50)로 대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대용량 펌프부(10)의 기동 및 반복빈도를 줄여줌으로서 상기 펌프부의 펌프 수명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급수장치에 의하면, 펌프부의 기동과 정지시의 급격한 압력의 변동을 소용량 펌프를 사용하여 압력변동의 폭을 줄여 소프트한 기동과 정지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토출부에 설치되는 상기 압력탱크로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상기 펌프부의 큰용량의 펌프가 기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동작을 소용량 펌프로 대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대용량 펌프의 기동 및 반복 빈도를 줄여 주어서 펌프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용수를 공급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동일 용량의 펌프부와, 상기 펌프부에 병렬연결되는 소용량 펌프와, 토출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얻어지는 토출압력 값에 따라 상기 펌프부와 소용량 펌프의 운전 및 정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들의 기동 및 정지시의 압력변동을 완충하는 압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펌프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용량 펌프의 흡입부와 병렬연결되어 토출부에 용수를 공급하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펌프부와 병렬연결되어,
    사용수량이 증가 할 경우는 소용량 펌프가 우선 기동되고,
    펌프부의 큰용량의 펌프가 추가 운전 될 경우는 소용량 펌프를 정지하고,
    사용수량이 감소 할 경우에는 소용량 펌프를 우선 정지하고,
    펌프부의 큰용량의 펌프가 정지 할 때는 소용량 펌프를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급수장치.
KR2019960067401U 1996-12-31 1996-12-31 펌프의 급수장치 KR199800542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401U KR19980054209U (ko) 1996-12-31 1996-12-31 펌프의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401U KR19980054209U (ko) 1996-12-31 1996-12-31 펌프의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209U true KR19980054209U (ko) 1998-10-07

Family

ID=5400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401U KR19980054209U (ko) 1996-12-31 1996-12-31 펌프의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2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53B1 (ko) * 2007-12-06 2010-07-14 조효연 펌프
KR20170086789A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대소 용량 조합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별 대기전력 저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53B1 (ko) * 2007-12-06 2010-07-14 조효연 펌프
KR20170086789A (ko) *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대소 용량 조합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펌프별 대기전력 저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18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pumping station
JP6184792B2 (ja) 給水装置
US4968218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output of a screw compressor
KR19980054209U (ko) 펌프의 급수장치
CN103256213A (zh) 压缩机系统及其运转控制方法
JP2009108822A (ja) 空気圧縮装置の制御装置
CN106150994A (zh) 一种水泵控制方法及使用该方法的控制器、水泵
JPH08284872A (ja) 給水装置
US41792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supply
JPH10103251A (ja) 自動給水装置
JP3241963B2 (ja) 可変速給水装置
JPH0123674B2 (ko)
KR20000046874A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의 인버터 교대운전 제어회로및 방법
JPH08100884A (ja) 循環給油装置における戻油制御方法および戻油制御機構
JP4122451B2 (ja) 圧縮空気製造システム
JP2987617B2 (ja) 真空揚水装置
JP2007085251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H07268914A (ja) 水中ポンプと受水槽一体型加圧給水システム
KR100193942B1 (ko) 부스터 장치
JP4399655B2 (ja) 圧縮空気製造設備
CN2326641Y (zh) 恒压供水装置
JPH07279885A (ja) インバ−タ−切り替え式加圧給水システム
KR970010508B1 (ko) 가압식 급수 펌프장치
KR970075384A (ko) 펌프의 자동급수 제어장치
KR970010511B1 (ko) 자동급수 가압장치의 펌프사용율 조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