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101A - 엔진마운트 - Google Patents

엔진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101A
KR19980054101A KR1019960073231A KR19960073231A KR19980054101A KR 19980054101 A KR19980054101 A KR 19980054101A KR 1019960073231 A KR1019960073231 A KR 1019960073231A KR 19960073231 A KR19960073231 A KR 19960073231A KR 19980054101 A KR19980054101 A KR 1998005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hamber
bellows
ai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공섭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7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101A/ko
Publication of KR1998005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101A/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터는 엔진의 진동에 따라 주액실에 충만된 유체가 오리피스를 통해 부액실로 이동하면서 팽창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오리피스와 벨로우즈를 결착함과 동시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에 결착된 격막부재로 이루어진 엔진마운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시 상기 벨로우즈(16)의 급격한 팽창을 공기의 압축력에 의해 감쇠시키도록 상기 브라켓(17)의 일측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은 공기실을 밀폐하고 브라켓에 작은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엔진의 진동으로 인한 주액실의 수축과 더불어 급격히 팽창하는 부액실에 대응하는 공기실의 압축력의 증가로 엔진의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마운터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엔진을 지지하는 엔진 마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중의 엔진은 피스톤과 컨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주기적인 변화 및 트랭크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변화 등에 의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진동이 나타나지만 특히 실린더수가 적은 엔진은 실린더수가 많은 것보다, 또 저속시에는 고속시보다 진동이 커진다. 자동차의 엔진은 섀시프레임 또는 보디에 지지되어 있으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진동이 섀시나 보디에 전달되어 승차감이 나빠지지 않도록 엔진(E)의 양측에 다수개의 엔진마운터(10)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엔진마운터(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의 바로 하단에 체결부재(99)에 의해 결착된 고무부재(11)와, 상기 고무부재(11)의 하단에 결착되어 내부에 설치된 오리피스(12)와 함께 유체(0)가 충만되는 주액실(13)을 형성하는 격막부재(14)와, 상기 오리피스(12)의 제1 및 제2오리피스홀(12a)(12b)을 통해 엔진(E)의 진동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0)가 이동되면서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부액실(15)을 형성하는 벨로우즈(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엔진마운터(10)의 격막부재(14)가 체결부재(99)를 매개로 브라켓(17)에 마운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엔진마운터(10)는 엔진의 진동에 따라 상기 주액실(13)이 압축되면서 그 유체(0)가 상기 제1오리피스홀(12a)을 통해 부액실(15)로 이동하면서 상기 벨로우즈(16)를 그 하측으로 팽창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측으로 팽창함과 동시에 옆으로 이동하면서 부액실(15)의 유체(0)가 제2오리피스홀(12b)을 통해 주액실(13)로 이동하면서 엔진의 진동 및 충격이 감쇠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엔진 마운터는 주액실(13)에서 부액실(15)로 유체(0)가 이동시 벨로우즈(16)의 급격한 팽창을 그 외측 공간에서 억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진동에 따라 주액실에서 부액실로 유체가 이동시 벨로우즈의 급격한 팽창을 감쇠시키도록 한 엔진마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터는 엔진의 진동에 따라 주액실에 충만된 유체가 오리피스를 통해 부액실로 이동하면서 팽창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오리피스와 벨로우즈를 결착함과 동시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에 결착된 격막부재로 이루어진 엔진마운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시 상기 벨로우즈의 급격한 팽창을 공기의 압축력에 의해 감쇠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엔진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종래의 엔진마운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주액실15:부액실
16:벨로우즈17:브라켓
17a:공기구멍18:공기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엔진마운터(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의 바로 하단에 체결부재(99)에 의해 결착된 고무부재(11)와, 상기 고무부재(11)의 하단에 결착되어 내부에 설치된 오리피스(12)와 함께 유체(0)가 충만되는 주액실(13)을 형성하는 격막부재(14)와, 상기 오리피스(12)의 제1 및 제2오리피스홀(12a)(12b)을 통해 엔진(E)의 진동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0)가 이동되면서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부액실(15)을 형성하는 벨로우즈(16)과, 엔진의 진동시 상기 벨로우즈(16)의 급격한 팽창을 공기의 압축력에 의해 감쇠시키도록 상기 브라켓(17)의 일측에 공기구멍(17a)이 형성된 공기실(18)과, 상기 격막부재(14)와 브라켓(17)과의 사이에 상기 벨로우즈(16)의 팽창에 의한 공기실(18)의 공기가 공기구멍(17a)외에 다른곳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된 패킹부재(19)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의 진동에 따라 상기 주액실(13)이 압축되면서 그 유체(0)가 상기 제1오리피스홀(12a)을 통해 부액실(15)로 이동하면서 상기 벨로우즈(16)를 그 하측으로 팽창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벨로우즈(16)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실(18)이 패킹부재(19)에 의해 밀폐되고 브라켓(17)에 형성된 작은 공기구멍(17a)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액실(15)의 급작스런 팽창에 의한 공기실(18)의 공기의 압축력은 증가하여 그 감쇠값이 크게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엔진의 진동 및 충격이 감쇠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터에 의하면, 공기실을 밀폐하고 브라켓에 작은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엔진의 진동으로 인한 주액실의 수축과 더불어 급격히 팽창하는 부액실에 대응하는 공기실의 압축력의 증가로 엔진의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Claims (1)

  1. 엔진의 진동에 따라 주액실에 충만된 유체가 오리피스를 통해 부액실로 이동하면서 팽창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오리피스와 벨로우즈를 결착함과 동시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브라켓에 결착된 격막부재로 이루어진 엔진마운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시 상기 벨로우즈의 급격한 팽창을 공기의 압축력에 의해 감쇠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공기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터.
KR1019960073231A 1996-12-27 1996-12-27 엔진마운트 KR19980054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231A KR19980054101A (ko) 1996-12-27 1996-12-27 엔진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3231A KR19980054101A (ko) 1996-12-27 1996-12-27 엔진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101A true KR19980054101A (ko) 1998-09-25

Family

ID=6638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231A KR19980054101A (ko) 1996-12-27 1996-12-27 엔진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66B1 (ko) * 2006-03-28 2007-10-26 주식회사 건화 트렐러보그 공기 감쇠식 엔진 마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66B1 (ko) * 2006-03-28 2007-10-26 주식회사 건화 트렐러보그 공기 감쇠식 엔진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21914A (ja) 液圧式軸受
JP3425429B2 (ja) エンジン−ギヤユニットのマウント
KR19980054101A (ko) 엔진마운트
KR200143946Y1 (ko)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501361B1 (ko) 차량의 반 능동 마운트 장치
KR19980061156A (ko) 엔진마운터
KR100435595B1 (ko) 유체식 마운팅 조립체
KR100192480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9723B1 (ko) 액체 봉입 방진장치
KR100192485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91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559631B1 (ko) 유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JP3423757B2 (ja) 防振装置
KR100246665B1 (ko) 감쇠력이 조절가능한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204898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192488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970001451Y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용 액체봉입 인슐레이터
KR100262083B1 (ko) 액체 봉입 마운트의 가동판 구조
KR100192486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9980032767U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9990010836U (ko) 액체봉입마운트
KR20070034727A (ko) 액봉입형 마운트
JPH09273586A (ja) 防振装置
KR19980045385A (ko) 자동차의 능동 엔진마운트
KR20070034719A (ko) 액봉입형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