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486B1 -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486B1
KR100192486B1 KR1019960061792A KR19960061792A KR100192486B1 KR 100192486 B1 KR100192486 B1 KR 100192486B1 KR 1019960061792 A KR1019960061792 A KR 1019960061792A KR 19960061792 A KR19960061792 A KR 19960061792A KR 100192486 B1 KR100192486 B1 KR 10019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unt
inner pipe
fluid
damping means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813A (ko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4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엔진과 차체 사이에 고정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나 소음 등을 저감시키도록 된 엔진마운트의 진동감쇠수단(7)으로 감쇠력의 발휘정도를 몸체(8)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11, 12)의 수량과 위치와 깊이등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진마운트의 특성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에는 몇 개의 단품만을 조립하면 되므로 제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을 탑재함에 있어 이를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엔진의 동작중 이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된 진동감쇠수단의 특성변위를 용이하게 구성하여 대/소변위의 진동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내부의 피스톤과 컨넥팅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인 변화와, 실린더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부분에서 발생되는 관성력, 커넥팅로드가 크랭크축의 좌우로 흔들림에 따라 발생되는 관성력 및, 크랭크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인 변화에 따른 것 등에 의해 동작중 진동과 소음이 유발된다.
이에 따라 엔진은, 동작중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거나, 엔진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엔진에 다수개(통상 3내지 4곳)의 지점으로 적절한 스프링강성을 지닌 고무로 제작된 엔진마운트를 장착시켜 엔진룸내에 탑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엔진마운트중에서 부쉬타입의 엔진마운트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파이프(21)의 외주면에 환형상으로 고무재의 완충부재(22)가 고착되고, 이 완충부재(22)의 외주면에 외측파이프(23)가 고착되어 끼워지며, 이 외측파이프(23)에는 차체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라켓트(2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부쉬타입의 엔진마운트는, 상기 브라켓트(24)가 차체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장착되고, 상기 내측파이프(21)로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끼워져 엔진에 고정된 브라켓트(도시안됨)와 동시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쉬타입의 엔진마운트는 엔진의 동작중 차체로 전달되는 대/소변위의 진동소음을 절연시킬 때 이를 전적으로 내측파이프(21)와 외측파이프(23) 사이에 개재된 완충부재(22)에만 의존하는데, 가해지는 진동이 완충부재(22)의 스프링강성보다 크게 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절연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엔진마운트에 특성으로 진동입력시 감쇠력을 발휘하는 정도를 조절하려면 새로운 엔진마운트를 제작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동작중 이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된 진동감쇠수단의 감쇠력 발휘정도의 특성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소변위의 엔진진동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쉬타입의 엔진마운트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오리피스구조물의 상세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측파이프 2 : 상부액실
3 : 하부액실 4 : 완충부재
5 : 외측파이프 6 : 어댑터
7 : 진동감쇠수단 8 : 몸체
9 : 축방향 홈 10, 21, 12 : 원주방향 홈
13 : 차단물 14 : 관통구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파이프의 외주면에 상부액실과 하부액실을 형성하도록 고착된 완충부재를 매개로 외측파이프가 설치되고, 이 내측파이프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어댑터를 매개로 감쇠력의 발생정도 조절이 용이한 진동감쇠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감쇠수단이 내측파이프의 내측벽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상하에 형성된 축방향 홈과, 이 축방향 홈을 연통시키도록 몸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원주방향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오리피스구조물의 상세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파이프(1)의 외주면에 상부액실(2)과 하부액실(3)을 내부에 형성하도록 고착된 고무재의 완충부재(4)를 매개로 외측파이프(5)가 설치되고, 이 내측파이프(1)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6)를 매개로 엔진의 대/소변위의 진동이 입력될 때 이를 감쇠시키도록 된 진동감쇠수단(7)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진동감쇠수단(7)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우브형 몸체(8)의 외주면 길이방향의 상하에 축방향 홈(9)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축방향 홈(9)의 상하를 연통시키도록 몸체(8)의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원주방향 홈(10, 11, 12)이 형성되어져, 이 진동감쇠수단(7)이 내측파이프(1) 내에 삽입될 경우 이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11, 12)들은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여 오리피스와 같은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감쇠수단(7)의 원주방향 홈(10, 11, 12)에는 이 홈의 깊이와 폭에 꼭 맞는 차단물(13)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이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11, 12) 및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이 함께 형성하는 폐단면의 오리피스와 같은 유로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파이프(1)에는 진동감쇠수단(7)의 원주방향 홈(10)과 연통되는 관통구(14)가 상하로 형성되어 이를 매개로 상부액실(2)과 하부액실(3)의 유체가 연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진동감쇠수단(7)으로 몸체(8)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11, 12)을 매개로 하여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과 함께 폐단면의 오리피스와 같은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본 발명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는,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대/소변위의 진동에 대해 상부액실(2)과 하부액실(3)을 진동감쇠수단(7)을 거쳐 유동되면서 발휘하게 되는 감쇠력의 정도를 상기 진동감쇠수단(7)의 몸체(8)에 형성되는 원주방향 홈(10, 11, 12)에 차단물(13)을 선택적으로 끼움으로써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감쇠력을 발휘하는 엔진마운트의 특성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진동감쇠수단(7)의 튜우브형 몸체(8)에 형성된 원주방향 홈(10, 11, 12) 중에서 홈(10, 11)에 차단물(13)을 각기 설치하면,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2) 및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이 형성하는 폐단면의 오리피스와 같은 유로의 전체길이가 최고로 길어져 이를 통해 상부액실(2)의 유체가 하부액실(3)로 유동될 때에는 큰 감쇠력을 얻어 대변위의 진동입력시에 이를 효과적으로 제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감쇠수단(7)의 튜우브형 몸체(8)에 형성된 원주방향 홈(10, 11, 12)중에서 홈(10)에만 차단물(13)을 설치하면,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1) 및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이 형성하는 폐단면의 오리피스와 같은 유로의 길이가 중간 정도로 유지되어 이를 통해 상부액실(2)의 유체가 하부액실(3)로 유동될 때에는 중간 정도의 감쇠력을 얻어 중간 정도변위의 진동입력시에 이를 효과적으로 제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감쇠수단(7)의 튜우브형 몸체(8)에 형성된 원주방향 홈(10, 11, 12) 중에서 어느 한곳에도 차단물(13)을 설치하지 않으면,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및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이 형성하는 폐단면의 오리피스와 같은 유로의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로 유지되어 이를 통해 상부액실(2)의 유체가 하부액실(3)로 유동될 때에는 가장 작은 정도의 감쇠력을 얻어 미소변위의 진동입력시에 이를 효과적으로 제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동감쇠수단(7)으로 몸체(8)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11, 12)은 이 홈의 수량과 위치와 깊이등으로 전체 오리피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유로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를 제조할 경우에는 내측파이프(1)에 완충부재(4)를 매개로 외측파이프(5)를 고착시키면서 이 내측파이프(1)에 어댑터(6)를 매개로 진동감쇠수단(7)을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에 의하면, 엔진의 하부와 차체사이에 고정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나 소음 등을 저감시키도록 된 엔진마운트에 진동감쇠수단(7)으로 감쇠력의 발휘정도를 몸체(8)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11, 12)의 수량과 위치와 깊이등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진마운트의 특성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에는 몇 개의 단품만을 조립하면 되므로 제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내측파이프(1)의 외주면에 상부액실(2)과 하부액실(3)을 형성하도록 고착된 완충부재(4)를 매개로 외측파이프(5)가 설치되고, 이 내측파이프(1)의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6)를 매개로 감쇠력의 발생정도 조절이 용이한 진동감쇠수단(7)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수단(7)이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몸체(8)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상하에 형성된 축방향 홈(9)과, 이 축방향 홈(9)을 연통시키도록 몸체(8)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원주방향 홈(10, 11, 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수단(7)의 원주방향 홈(10, 11, 12)에는 차단물(13)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이 축방향 홈(9)과 원주방향 홈(10, 11, 12) 및 내측파이프(1)의 내측벽이 함께 형성하는 유로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파이프(1)에는 진동감쇠수단(7)의 원주방향 홈(10)과 연통되는 관통구(14)가 상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19960061792A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792A KR100192486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792A KR100192486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13A KR19980043813A (ko) 1998-09-05
KR100192486B1 true KR100192486B1 (ko) 1999-06-15

Family

ID=1948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792A KR100192486B1 (ko) 1996-12-05 1996-12-05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4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13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5290B2 (ja) 内外筒型流体封入式パワーユニツトマウント
US4822010A (en) Fluid filled resilient bushing
EP2011721A2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vehicle body frame
JP2715699B2 (ja) ストラットサスペンションの上部取付構造
KR20130020195A (ko)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GB2065267A (en) Fluid-damped bushing
KR100491848B1 (ko) 엔진 기어 장치의 베어링
JPH04224333A (ja) ブッシュタイプの制振装置及びブッシュタイプの液体充填制振装置
US5082252A (en) Fluid-filled mount
JPS61206838A (ja) 流体入りブツシユ組立体
US5782462A (en) Hydraulically damped powertrain mount
CN113915284A (zh) 液压悬置
KR100828692B1 (ko) 차량용 롤로드 유닛
KR100192486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87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9980043807A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80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192485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
GB2318168A (en) Hydraulically damped mounting device
JPH11141595A (ja) 防振装置
KR100192491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0204898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9980061233A (ko) 전후방향의 진동억제형 엔진마운트
JP3714368B2 (ja) 液体封入式ブッシュ
JPH04125335A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