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707A - 무선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707A
KR19980052707A KR1019960071726A KR19960071726A KR19980052707A KR 19980052707 A KR19980052707 A KR 19980052707A KR 1019960071726 A KR1019960071726 A KR 1019960071726A KR 19960071726 A KR19960071726 A KR 19960071726A KR 19980052707 A KR19980052707 A KR 1998005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fixed
unique code
channel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707A/ko
Publication of KR1998005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707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하나의 휴대장치가 다수의 고정장치를 공유하도록 다수의 상기 고정장치의 고유코드들을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무선 전화기에서, 고정장치를 멀티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다수의 고정장치들이 멀티 등록 모드가 될 시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키가 입력될 시 고유코드을 송신하는 과정과, 휴대장치가 멀티 고정 허가 모드가 될때마다 수신되는 상기 고유코드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로 채널 형성 요구시 상기 휴대 장치와 상기 고정장치간에 구비된 상기 고유코드가 동일할 시 채널이 형성되며, 착신시 착신된 상기 고정장치의 고유코드와 특정 영역의 상기 고유코드가 동일한 상기 휴대장치가 채널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이룬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하나의 휴대장치에 다수의 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를 구현한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휴대장치로 다수의 고정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고정 장치와 휴대 장치로 구현된다. 이에 휴대 장치로 인해 사용자는 공간의 제한 없이 어느 곳에서나 통화할 수가 있다. 이때 휴대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의 거리 및 장애물 등으로 인해 착발신이 가능한 효용범위가 있다.
이에 종래의 경우 고정장치 1대로 휴대장치를 여러대 사용하였다. 즉, 휴대장치가 멀티사용하므로, 상기 고정 장치가 단 하나의 국선이 할당되어 있을 경우, 하나의 휴대장치가 국선을 사용할 때 다른 휴대장치는 사용이 불가하다. 여러개의 국선을 사용하는 사무실 혹은 공장등에서 고정장치를 기준으로 통화가능영역이내에서만 휴대장치는 사용할 수 있어 이동이 많이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휴대장치가 다수의 고정장치를 공유하기 위해 다수의 상기 고정장치의 고유코드들을 상기 휴대장치가 모두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위한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의 멀티 사용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멀티 등록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멀티 등록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장치 200을 살펴보면, 제어부 12는 고정장치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휴대장치 100가 설정된 시간동안 통화중일 시 통화중상태 문의 데이터를 송출하고, 휴대장치 100로부터 응답데이타를 받아 통화로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 13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휴대장치 100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키입력부 14는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제어부 12로 출력한다. RF송신부 11은 상기 제어부 12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 변조하여 안테나 54를 통해 전파 출력한다. RF수신부 9는 상기 안테나 54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음성대역의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12로 출력한다. 송수신 제어부 8은 상기 제어부 12로부터 출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의한 송수신 주파수로 상기 RF송신부 11과 RF수신부 9을 제어한다. 라인 인터페이스부 17은 상기 제어부 12의 제어에 의해 전화라인(T,R)과 고정장치를 인터페싱한다. 네트웍크 제어부 16은 상기 RF송,수신부 11 및 9,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 17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 12의 제어에 의해 음성 통화로를 형성한다. 표시부 15은 상기 키입력 상태와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휴대장치 100을 살펴보면, 제어부 3은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 7은 휴대장치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키입력부 2는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제어부 3로 출력한다. RF송신부 4는 상기 제어부 3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 20으로 부터 출력되는 송신 음성신호를 안테나 22를 통해 출력한다. RF수신부 6은 상기 안테나 2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 21로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3으로 출력한다. 송수신 제어부 5는 상기 제어부 3로 부터 출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의한 송수신 주파수로 상기 RF송신부 4과 RF수신부 6을 제어한다. 표시부 1은 상기 키의 입력 상태와 휴대장치 100의 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의 멀티 사용을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전화라인 tel1~tel3과 접속된 다수의 제1-제n고정장치 200-1~200-n와 휴대장치 100의 멀티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휴대장치 100은 상기 다수의 고정장치들을 통해서 통화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멀티 등록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3a의 흐름에 따른 동작이 수행된 후, 즉 멀티고정 등록시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동작이 먼저 실행된 후에 도 3b에 도시된 멀티고정 등록의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 200이 대기 상태에서 키입력부 14를 통해 멀티 등록 모드가 될시 제어부 12는 멀티고정허가키가 입력됨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멀티 고정허가키는 비밀키로서 각각의 고정장치 200마다, 혹은 한 사업체마다 다르게 설정된다. 이에 상기 단계 313에서 멀티 고정 허가키가 입력될 시 제어부 12는 비밀번호키가 단계 314에서 입력됨을 확인한다. 이에 메모리 13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비밀번호와 상기 단계 314의 비밀번호키가 동일 할 시 제어부 12는 RF송신부 11을 통해 고정장치 200의 고유코드를 송신한다. 한편 단계 313에서 멀티 고정 허가키가 입력되지 않고, 단계 316에서 휴대 장치 등록키가 입력될 시 단계 315에서의 고유코드는 송신된다. 이때 상기 휴대 장치 등록키는 종래의 경우로서 하나의 고정장치에 다수의 휴대장치가 사용되어지는 경우 필요한 키이다. 또한 멀티 고정 허가키는 다수의 고정장치에 하나의 휴대장치가 사용되어지는 경우에 필요한 키이다. 따라서 이때 상기 고유코드는 각각의 고정장치 100마다 다르게 부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멀티 등록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411에서 제어부 3은 상수 N에 1을 대입한다. 이후 단계 412의 대기 상태에서 키입력부 2의 멀티 고정 허가 키에 의거하여 멀티 고정 허가 모드가 될 시 단계 413은 단계 414로 전이된다. 이후 단계 414에서 상기 고정장치 200으로 부터 단계 315의 고유코드가 수신될 시 단계 415에서 상수 N번지 즉, 1번지의 메모리에 상기 고유코드를 저장한다. 이때 도 3a의 경우, 즉 비밀번호 등록이 없는 경우에 휴대장치가 고정 멀티 허가상태이고 고정장치가 싱글(single), 즉 멀티 휴대 허가상태라면 휴대장치에서는 연속 2회 확인 후 413단계에서의 판단을 멀티고정 허가모드를 해제하여 멀티 휴대 허가로 자동 전환된다. 그리고 단계 416에서 상수 N은 2가 된다. 상기 고유코드가 수신될 때마다 제어부 3은 메모리 7의 각기 다른 영역에 상기 고유코드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단계 417에서 휴대 장치 등록 모드가 될 시 제어부 3은 고유코드 수신을 확인하여 단계 419에서 일정영역 즉, 고정 메모리 번지에 상기 고유코드는 저장된다.
이후 상기 휴대장치 100이 상기 고정 장치로 채널 형성 요구시 상기 휴대장치 100과 상기 고정장치 200의 고유코드가 동일한지를 검색하여 동일할 시 채널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휴대장치 100은 상기 고정장치 200을 통해 통화로가 형성된다. 또한 착신시 상기 휴대장치 100의 고정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코드에 의거하여 착신서비스는 수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휴대장치 100에 다수의 고정장치 200이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의 제한없이 사용자는 편리하게 전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무선 전화기에서, 고정장치를 멀티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장치들이 멀티 등록 모드가 될 시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키가 입력될 시 고유코드을 송신하는 과정과,
    휴대장치가 멀티 고정 허가 모드가 될때마다 수신되는 상기 고유코드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로 채널 형성 요구시 상기 휴대 장치와 상기 고정장치간에 구비된 상기 고유코드가 동일할 시 채널이 형성되며, 착신시 착신된 상기 고정장치의 고유코드와 특정 영역의 상기 고유코드가 동일한 상기 휴대장치가 채널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는,
    다수의 상기 고정장치들마다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3. 무선 전화기에서, 고정장치를 멀티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장치들이 멀티 등록 모드에서, 멀티 고정 허가키가 입력될 시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고유코드을 송신하며, 휴대장치등록키가 입력될 시 상기 고유코드를 송신하는 과정과,
    휴대장치가 멀티 고정 허가 모드가 될때마다 수신되는 상기 고유코드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휴대장치 등록모드에서는 상기 고유코드가 수신될 경우 일정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로 채널 형성 요구시 상기 휴대 장치와 상기 고정장치간에 구비된 상기 고유코드가 동일할 시 채널이 형성되며, 착신시 착신된 상기 고정장치의 고유코드와 상기 일정 영역의 상기 고유코드가 동일한 상기 휴대장치가 채널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는,
    다수의 상기 고정장치들마다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고정 허가 모드에서는 하나의 상기 휴대장치에 상기 고정장치가 다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장치 등록모드에서는 하나의 상기 고정장치에 상기 휴대장치가 다수로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KR1019960071726A 1996-12-24 1996-12-24 무선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KR19980052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26A KR19980052707A (ko) 1996-12-24 1996-12-24 무선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26A KR19980052707A (ko) 1996-12-24 1996-12-24 무선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707A true KR19980052707A (ko) 1998-09-25

Family

ID=6638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726A KR19980052707A (ko) 1996-12-24 1996-12-24 무선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7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9769B1 (en) Method for in-progress telephone call transfer between a wireless telephone and a wired telephone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link
US5509052A (en) Base storage of handset's base registrations
KR100228911B1 (ko) 시분할 방식의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인터컴 방법
KR20020046772A (ko)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US5765111A (en) Selective mobile station calling method for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system
US6208868B1 (en) Expanded communication metho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9980052707A (ko) 무선전화기의 멀티 사용 방법
US5293419A (en) Simultaneous voice-call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KR20020029690A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JP3228164B2 (ja) 会議通信装置
KR100322272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선택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100444237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101068082B1 (ko) 다운로딩 데이터 실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10018710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매너모드 전환방법
KR100566997B1 (ko) 디이시티 시스템의 단말기능 및 베이스기능 겸용 무선장치
JPH0122383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100247053B1 (ko)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JP29658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
JPH0426485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3499771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632666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チャンネル切替装置
JP2000278403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