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696U -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696U
KR19980052696U KR2019960065875U KR19960065875U KR19980052696U KR 19980052696 U KR19980052696 U KR 19980052696U KR 2019960065875 U KR2019960065875 U KR 2019960065875U KR 19960065875 U KR19960065875 U KR 19960065875U KR 19980052696 U KR19980052696 U KR 199800526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unting structure
connection terminal
battery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봉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5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696U/ko
Publication of KR199800526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69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양측에 결합부(3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0) 중앙에는 볼트(40)가 체결되는 설치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3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체결홈(11)이 밧데리단자(10)에 형성하여,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의 상부 좌우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밧데리단자에 일측부가 전장품에 연결된 케이블(20)을 연결시 결합부(30)를 접촉시킨 후 볼트(40)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전장품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상기 케이블(20)을 밧데리단자에 착탈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 짐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밧데리의 밧데리단자에 결합되는 밧데리케이블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는 일측부가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결합부의 일측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는 결합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볼트가 체결된 결합부는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는, 밧데리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밧데리단자에 결합부가 상기 밧데리단자에 볼트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개구부에는 케이블이 볼트체결되며 차량을 구동하는 엔진의 시동 및 전화 조명장치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용 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는 밧데리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밧데리단자에 결합부를 삽입시킨 후,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 설치된 볼트를 사용하여 결합부를 취부하고, 상기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된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결합부와 케이블을 밧데리단자에 취부하기 위해서는 이중의 체결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서, 복잡하고, 조립시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좌우 양측에 결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중앙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체결홈을 밧데리단자에 형성하여, 밧데리단자에 케이블을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취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밧데리단자11 : 체결홈
20 : 케이블30 : 결합부
31 : 설치홈40 : 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차량용 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는 도 1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결합부(3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0) 중앙에는 볼트(40)가 체결되는 설치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3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체결홈(11)이 밧데리단자(10)에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케이블(20)의 일축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0)를 밧데리단자(10)에 접촉시킨 후, 상기 결합부(30)에 형성된 설치홈(31)을 통해 밧데리단자(10)의 체결홈(11)에 볼트(40)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엔진의 시동 및 전원장치 등에 공급하는 전장품에 전원이 공급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의 상부 좌우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밧데리단자에 일측부가 전장품에 연결된 케이블(20)을 연결시 결합부(30)를 접촉시킨 후 볼트(40)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전장품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상기 케이블(20)을 밧데리단자에 착탈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 짐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좌우 양측에 결합부(3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0) 중앙에는 볼트(40)가 체결되는 설치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31)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체결홈(11)이 밧데리단자(10)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KR2019960065875U 1996-12-31 1996-12-31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KR199800526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875U KR19980052696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875U KR19980052696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96U true KR19980052696U (ko) 1998-10-07

Family

ID=5400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875U KR19980052696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6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2696U (ko) 차량용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KR19980062183A (ko) 차량용 밧데리 연결단자의 취부구조
KR200198944Y1 (ko) 배터리 터미널
CN112825458A (zh) 电力转换装置
CN220042395U (zh) 一种充电枪防尘帽固定结构
KR20160002187U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CN220233505U (zh) 一种电机电控接线装置
CN210426434U (zh) 一种连接结构优化的凸轮轴位置传感器
KR100235706B1 (ko) 차량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KR19990041290U (ko) 퓨즈박스의 고정장치
KR200190991Y1 (ko)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KR200187920Y1 (ko) 발전기의 터미널 조립구조
KR200264117Y1 (ko) 알루미늄배선용 인장클램프의 접속클램프 연결 장치
KR19980033359U (ko) 차량용 밧데리 연결단자구조
KR200166215Y1 (ko) 테일게이트의 와이어 연결 구조
KR0136222Y1 (ko) 시동모터용 터미날 아답터
KR19990006472U (ko) 자동차용 배터리터미널 어셈블리
KR200270824Y1 (ko)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KR19990053305A (ko) 자동차용 배터리단자구조
KR19980019866U (ko) 밧데리 단자 및 밧데리 단자 클램프 구조
KR100231863B1 (ko) 차량의 밧데리용 터미널의 취부구조
CN201061084Y (zh) 农业工程车辆用中央控制电器盒
KR19980030240A (ko) 배터리 일체형 메인퓨즈박스
KR200180572Y1 (ko) 차량용 배터리와 케이블 결합구조
KR19990024970U (ko) 배터리 케이블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