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487A -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487A
KR19980052487A KR1019960071491A KR19960071491A KR19980052487A KR 19980052487 A KR19980052487 A KR 19980052487A KR 1019960071491 A KR1019960071491 A KR 1019960071491A KR 19960071491 A KR19960071491 A KR 19960071491A KR 19980052487 A KR19980052487 A KR 19980052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disease
acupuncture points
display mean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임
Original Assignee
조영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임 filed Critical 조영임
Priority to KR101996007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487A/ko
Publication of KR1998005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487A/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질환에 따라서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정확히 안내 하도록 된 경혈위치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소정 넓이를 갖는 기판상에는 인체의 질환에 따른 경혈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인체모형물을 설치하고, 상기 인체모형물에는 인체의 질환에 따른 모든 경혈위치 데이터가 입력된 중앙제어수단과, 인체의 질환명이나 혹은 질환증상 등의 내용을 입력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인체의 경혈위치나 혹은 경혈위치를 찾을수가 있는 데이터를 표시하여 주게한 표시수단들과, 그리고 상기 표시 수단들로부터 경혈위치 및 데이터를 표시 할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 인체의 질환데이터들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 것이다.
상기 각 수단에 의해 일반인들에게도 인체의 질환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알려 줄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본 발명은 수지침의 경혈(經穴)위치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각 질환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인체와 동일하게 형성한 모형물을 통해 알기 쉽게 표시 할 수 있도록한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술은 그 원리가 복잡하고 다양하여 개인들이 익히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되고 있다. 그래서 일반 대중들이 스스로 사용하고 보급하는 측면에서는 매우 국지(局地)적인 측면이 있다.
한편 침구(鍼灸)중에서 특별한 전문적인 침술 지식이 없더라도 일반 대중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수지침이다. 즉, 수지침은 손을 사람의 축소판으로 보고 인체의 질환에 따른 경혈점에 수지침으로 약한 자극을 주어 전신의 질환을 예방 관리하도록한 침술로서 이용하기가 쉽고 효과가 빠르며, 특히 위험부담이 적어 일반 가정의학으로 옛날로 부터 수많은 사람들의 연구에 의하여 계승, 발전 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과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전문가 들만이 볼수 있도록 한 전문적인 책자와, 그리고 영상물만이 보급됨에 불과하여 일반대중들이 용이하게 접근함에는 큰 어려움이 따른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인체의 모형물에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데이터들에 의하여 경혈점위치를 표시 하도록 된 표시부와, 그리고 경혈점위치를 표시함에 필요한 인체질환명을 입력하는 입력부들을 각각 설치한 것에 의해,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한 용이성과 아울러 시각성을 갖게 한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지침을 시술하기 위한 인체질환명의 원인, 증상 등을 설명하기 위한 음성표시수단을 갖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수지침의 경혈(經穴)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소정넓이로 형성한 기판에 입설한 인체모형물; 인체의 각 질환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經穴)위치에 대한 데이터들이 입력되며, 인체의 질환에 대한 데이터 입력시 상기 인체모형물들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기판에 내장된 제어수단; 상기 인체모형물의 내부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인체 질환명에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수지침의 경혈 위치를 상기 인체모형물의 소정위치에 점등하여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 상기 기판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인체의 질환증상을 입력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문자로서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 및 상기 제1, 제2표시수단들에 표시하기 위한 인체의 질환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표시수단으로부터 표시되는 인체의 질환내용을 음성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3표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에 입력된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의 일부를 표시한 도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인체모형물102:전시(全身)모형
106a, 106b:좌우손모형110:기판체
112:제어수단130a-130c:제1표시수단
140, 150:제2, 제3표시수단160, 180;제1, 제2입력수단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1은 사시도를, 도2는 그 정면도를, 그리고 도3은 그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의 외관은 인체모형물(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체모형물(100)은 사람의 전신구조를 외부에서 보이게 형성한 전신모형(102)과, 그리고 신체의 일부를 크게 확대 형성한 왼손모형(106a)과, 그리고 오른손모형(106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형물(100)은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표시하게될 후술하는 표시램프 등의 설치장소를 제공하게 되며, 또 그 전후면들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넓이를 갖는 기판체(110)의 위에 수직으로 입설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모형물(100)중 상기 전신모형(102)은 상기 기판체(11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왼손모형(106a)과 오른손모형(106b)은 상기 전신모형(10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왼손모형(106a)과 오른손모형(106b)은 정 배면중 어느 일측에서 볼 때 어느 한손은 손바닥부가 그리고 다른손은 손등이 보이도록 하고 있다. 이는 양손의 후술하게 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가 보다 잘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상기 왼손(106a)을 손바닥이 보이게 하고, 상기 오른손(106b)은 손등이 보이게 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 표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어느쪽을 먼저 전면에서 보이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모형물(100)과 기판체(110)에는 각각 도면부호(130a-130c)로 지시된 LED표시램프(이하 표시램프라고 한다)와, 그리고 도면부호(140)으로 지시된 LCD표시창(이하 표시창이라고 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표시램프들(130a-130b)은 상기 모형물(100)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열되어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표시하는 데에 제공된다. 즉, 상기 모형물(100)의 좌우손들(106a, 106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내장된 제1, 제2표시램프들(130a, 130b)은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표시하는 데에 제공되고, 반면에 상기 전신모형(102)의 내부에 내장된 제3표시램프(132c)는 상기 좌우손들(106a, 106b)의 경혈위치에 대한 인체의 질환위치를 표시함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램프들(130a-130c)은 후술하는 키보드(160)의 조작에 의하여 인체의 질환명에 대한 코드를 입력하게 될시 그 질환에 따라서 연관되는 표시램프들이 동시에 점등하게 된다.
상기 표시창(140)은 상기 키보드(160)에 설치된 키들중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조작할시 도4에서 설명하게 되는 질환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에 대한 데이터들이 기히입력된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좌우손들(106a,106b)로부터 수지침의 경혈점위치를 표시되게 함에 필요한 코드를 표시하는 데에 제공된다. 상기 표시창(140)으로부터 표시되는 코드부호는 각 인체의 질환명에 따른 고유코드로서, 상기 표시창(140)에 표시되는 코드명에 따라서 상기 키보드(160)의 키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표시램프들(130a-130c)에 의하여 소망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가 표시되게 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게 되는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형물(100)이 기판체(110)에 입설된 상태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기판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미도시한 구동수단들에 의하여 상기 모형물(100)을 어느 위치에서도 볼수가 있도록 회전 이동되게 구성할 수가 있고, 또한 상기 모형물(100)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기판체(110)로 절첩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당분야의 기술자라고 하면 쉽게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 상기 모형물(100)은 상기 제1 내지 제3표시램프들(130a-130c)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외부에서 보다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 빛의 투과율이 우수한 물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체모형물(100)의 크기는 임의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나 사람들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볼수 있는 크기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보드(160)을 상기 기판체(110)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키보드(160)는 그 기판체(160)와 별도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부호(120)은 제어수단으로서 도1 내지 도3에 표시된 기판체(110)의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기판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수단(120)을 수용함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수단(120)은 마이크로 칩등으로서 그 마이크로 칩에는 인체의 모든 질환에 대한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용이하게 찾을수 있도록 도5에서 후술하게 되는 코드화한 데이터들이 기히 입력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120)에는 그 제어수단(120)을 작동되게 제어함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입력하기 위한 제1,2입력수단들(160, 18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입력수단(160)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키보드(160)이고, 상기 제2입력수단(180)으로는 도1표시에서는 그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격조정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러들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어수단(112)에는 제1 내지 제3표시수단들(132a-132b, 140, 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표시수단들(132a-132c)은 상기 인체모형물(100)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설치된 표시램프들이고, 상기 제2표시수단(140)은 상기 제1표시수단들(132a-132c)에 표시하게 하는 후술할 도5표시의 데이터를 문자로서 표시함에 제공되는 표시창이고, 상기 제3표시수단(150)으로는 도1표시에서는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수지침을 맞게되는 인체의 질환에 대한 원인 증상 및 설명을 음성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스피커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용 안내장치에 입력된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알려주는 데이터의 일부를 표시한 도표이다.
도 5에서 도면부호(200)로 지시한 구분란에는 인체의 머리에서 발끝부분에 걸쳐서 발생될 수가 있는 모든 질환들을 각 질환별로 크게 대별하여 기재한 것으로, 그 질환명에 병기한 (F1).....(F4)......는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한 제1입력수단인 키보드(160)의 기능키를 표시한 것으로, 상기 키보드(160)의 기능키들(F1....F4....)만의 조작으로 소망하는 질환계통의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확인할 수가 있게 한 코드들을 알아낼 수가 있다.
또 도면부호(202)와 (204)로 지시된 코드란에 기재된 A와 질환명의 란에 기재된 구내염 등에 대한 것은, 상기 키보드(150)의 기능키(F1)....(F4)....를 조작하게 될시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찾게될 구체적인 질환명이 상기 실시예의 제2표시수단인 표시창(140)에 표시되게 된다. 도면부호(205)로서 지시된 수지침의 경혈자리란에 기재된 왼손바닥부 및 오른손등으로 구분하여 표시된 고유부호는 상기 질환명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찾을 수가 있게 하는 코드부호이다. 그리고 도면부호(208)로 지시된 란은 상기 제3표시수단인 스피커(160)에 의하여 설명되는 질환의 원인 및 질환내용에 대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5의 도표는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의 일부를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로서 만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것은 임의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어떤 질환이 있어서 이에 대한 수지침의 결혈위치를 찾고져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제1입력수단인 키보드(160)에 의해서 각 질환계통들을 크게 대별한 기능키들(F1)....(F4)....를 순서대로 조작하면 된다. 상기 기능키들의 어느 하나를 조작 할시마다, 상기 제어수단(120)에 기히 입력된 도5의 도면부호(202,204)로 지시된 란의 코드와 질환명이 그 제어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제2표시수단인 표시창(140)을 통해서 동시에 표시되고, 계속하여 어느 하나의 질환계통에 대한 그 코드와 질환명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능키를 반복하여 조작하면 끝까지 볼수가 있게 된다.
상기 표시창(140)에 소망하는 질환명이 표시되면 그 질환명에 대한 코드만을 다시 상기 키보드(160)을 조작하여 입력한다. 상기 키보드(160)로부터 어느 하나의 기능키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명에 대한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표시창(140)에는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찾을 수가 있는 도5의 도면부호(206)의 란에 기재된 왼손바닥부와 그리고 오른손 등의 고유부호가 다시 표시되게 된다. 이 고유부호를 확인한 사용자들은 다시 상기 키보드(160)을 통하여 그에 대한 부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모형물(100)의 좌우손들(160A,106B)에 설치된 제1표시수단인 표시램프들(130A,130B)가 점등하게 하여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알려주게 한다. 한편, 상기 좌우손들(160A,106B)에 상기 표시램프(130A,130B)가 점등하게 될시 상기 전신모형(102)에 내장된 표시램프(130C)는 그 수지침의 경혈위치와 관련된 질환부위를 점등하여 알려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20)은 상기 제1표시수단은 표시램프들(130a-130c)로부터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표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3표시수단인 스피커(150)으로부터는 도5의 도면부호(208)로 지시된 란에 기재된 수지침을 맞게되는 질환에 대한 원인 및 질환설명에 대한 것을 음성으로 자세하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입력수단으로 제1입력수단인 키보드(160)를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입력수단인 리모트 콘트롤러(18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각종 질환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시 사전에 입력한 인체의 질환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위치에 대한 데이터들로부터 인체모형물에 소망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를 표시할 수가 있게 한 것에 의해, 누구든지 질환에 따른 경혈위치를 용이하게 알수 있게 한 효과와 아울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모형물에 표시되게 한 것에 의하여 시각적인 효과와 아울러 음성에 의한 질환원인 등의 설명으로 청각적인 효과도 갖게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3)

  1. 수지침의 경혈(經穴)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소정넓이로 형성한 기판에 입설한 인체모형물과;
    인체의 각 질환에 따른 수지침의 경혈(經穴)위치에 대한 데이터들이 입력되며, 인체의 질환에 대한 데이터 입력시 상기 인체모형물들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기판에 내장된 제어수단과;
    상기 인체모형물의 내부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인체 질환명에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수지침의 경혈 위치를 상기 인체모형물의 소정위치에 점등하여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과;
    상기 기판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인체의 질환증상을 입력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문자로서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 및
    상기 제1, 제2표시수단들에 표시하기 위한 인체의 질환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모형물은 인체의 전신모형과, 그리고 인체의 일부위만을 분리하여 형성한 왼손과 오른손모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인체모형물을 그 기판으로부터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인체모형물들을 그 기판으로 절첩하기 위한 절첩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모형물은 빛의 투과성이 우수한 물질로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인체의 모든 질환데이터들을 입력할 수 있는 용량의 마이크로 칩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은 발광다이오드(LED)이고, 상기 제2표시수단은 액정소자(LCD)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한 점등표시는 인체 모형물의 전후 어디에서도 볼수가 있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제1표시수단으로부터 표시되는 인체의 질환내용을 음성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3표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표시수단은 스피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되는 입력수단은 인체의 질환에 대한 데이터입력을 위한 각 기능별 키들이 설치된 키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데이터의 원격조정을 하기 위한 제2입력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수단은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KR1019960071491A 1996-12-24 1996-12-24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KR19980052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491A KR19980052487A (ko) 1996-12-24 1996-12-24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491A KR19980052487A (ko) 1996-12-24 1996-12-24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487A true KR19980052487A (ko) 1998-09-25

Family

ID=6638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491A KR19980052487A (ko) 1996-12-24 1996-12-24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4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500A (ko) * 2002-02-06 2002-03-12 송창준 웹 문서를 이용한 정보 출력 방법 및 광학적 표시 장치
KR100414029B1 (ko) * 2001-05-30 2004-01-07 배성혁 골도취혈기
KR20040043704A (ko) * 2002-11-16 2004-05-27 이상성 휴대용 전자 수지침
US8551131B2 (en) 2002-04-10 2013-10-08 Mi-Seon Song Method of performing Soojichim acupuncture using bodycopy
KR101349004B1 (ko) * 2012-01-26 2014-01-09 최재혁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029B1 (ko) * 2001-05-30 2004-01-07 배성혁 골도취혈기
KR20020019500A (ko) * 2002-02-06 2002-03-12 송창준 웹 문서를 이용한 정보 출력 방법 및 광학적 표시 장치
US8551131B2 (en) 2002-04-10 2013-10-08 Mi-Seon Song Method of performing Soojichim acupuncture using bodycopy
KR20040043704A (ko) * 2002-11-16 2004-05-27 이상성 휴대용 전자 수지침
KR101349004B1 (ko) * 2012-01-26 2014-01-09 최재혁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8936A (en) Control and display system
US6937229B2 (en) Keycap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ndicia
O’Connor et al. Seeing and hearing and space and space and time
US5556283A (en) Card type of electronic learning aid/teaching apparatus
US5841373A (en) Simplified alphabetic communicator for handicapped or infirmed persons
ATE183007T1 (de) Tragbare gehäuse zur information von busnetzbenutzern
JP2761867B2 (ja) 手指針施術の案内装置
KR19980052487A (ko)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JP200512839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WO1992020054A1 (en) Visual display apparatus for information units
US5674075A (en) Math teaching unit
US2498578A (en) Educational device
KR20130117264A (ko)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JPH11285485A (ja) 反射機能訓練具
RU167884U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регуляторного праксиса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CN1279502C (zh) 教育设备
US4915632A (en) Communication aid with sequential lighting
US4354843A (en) Spacial orientation instruction device
JPH10192349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表示装置
KR100379116B1 (ko) 화장실시스템
KR0130591B1 (ko) 수지침시술의 안내장치
JPH01217662A (ja) 盲人用電卓
US20120107778A1 (en) Interactive display board and method for teaching speech and communication skills using said interactive display board
JPH02260019A (ja) キーボード
US20090155752A1 (en) Non-right justific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rithmetic equ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