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004B1 -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004B1
KR101349004B1 KR1020120007703A KR20120007703A KR101349004B1 KR 101349004 B1 KR101349004 B1 KR 101349004B1 KR 1020120007703 A KR1020120007703 A KR 1020120007703A KR 20120007703 A KR20120007703 A KR 20120007703A KR 101349004 B1 KR101349004 B1 KR 10134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acupuncture points
visually impaired
acupoi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768A (ko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최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혁 filed Critical 최재혁
Priority to KR102012000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0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5Details of specially-adapted software to access information, e.g. to browse through hyperlinked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에 있어서, 특히 경혈점의 위치를 경혈인형에 표시하되 코드 정보를 출력하는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태그의 코드를 읽어들여 판독하고 스피커를 통해 경혈정보를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판독 장치를 구비하여, 시각 장애인이 음성인식을 통해 경혈점을 정확히 찾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인 남자 모형 또는 성인 여자 모형 또는 어린이 모형으로 구성되고, 사람 크기와 동일비율 또는 축소 비율 또는 확대비율로 제작되는 경혈인형과; 상기 경혈인형의 표면에 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설치되며, 코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인식 코드부와; 상기 인식 코드부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식 코드부의 코드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시켜 경혈점 데이터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정보용 태그를 결합한 경혈인형과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이 음성출력을 통해 경혈점의 학습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Apparatus for Meridian Point Learning Unit for Users Who Are Blined}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혈점의 위치를 경혈인형에 표시하되 코드 정보를 출력하는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태그의 코드를 읽어들여 판독하고 스피커를 통해 경혈정보를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판독 장치를 구비하여, 시각 장애인이 음성인식을 통해 경혈점을 정확히 찾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는 경혈도(經穴圖)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14경락의 부위와 160여 곳의 경혈을 그린 도표를 말한다.
경락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반응이 몸 거죽에 나타나는 경로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락에 위치한 수혈을 경혈이라 한다.
경혈은 경락순행 경로상에서 기혈이 신체표면에 수주(A注) 또는 통과하는 중점부위로 한방에서 침(鍼)을 놓거나 뜸을 뜨는 자리 또는 지압이나 수지침이 가능한 자리를 말한다.
즉, 상기 경혈의 흐름을 나타내는 14경락은, 수태음 폐경( 太陰 肺經), 수양명 대장경( 陽明 大腸經), 족양명 위경(足陽明 胃經), 족태음 비경(足太陰 脾經), 수소음 심경( 少陰 心經), 수태양 소장경( 太陽 小腸經), 족태양 방광경(足太陽 膀胱經), 족소음 신경(足少陰 腎經), 수궐음 심포경( 厥陰 心包經), 수소양 삼초경( 少陽 三焦經), 족소양 담경(足少陽 膽經), 족궐음 간경(足厥陰 肝經), 임맥(任脈), 독맥(督脈)을 말한다.
상기 수태음 폐경은 천식, 폐결핵, 갱년기 장애, 동맥경화증, 어깨관절의 류머티즘, 목구멍이나 기관지에 생긴 병, 기침, 치질, 출혈, 탈항, 편도선비대, 감기 등의 병에 효과를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수양명 대장경은 수태음 폐경과 음야의 한쌍 경락으로 팔의 앞면과 뒷면에 위치하면서 고혈압, 치질, 고혈압, 중풍예방, 피부병, 치통, 편도선염, 편도선 비대, 코피, 두통, 뇌일혈, 코에 생긴 병, 부스럼, 눈병, 인후통(咽喉痛), 어깨결림, 비염, 후각마비, 축농증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족양명 위경은 거의 모든 질병과 관계가 있으며, 치통, 안면신경마비, 위암, 위궤양, 폐결핵, 장에 생긴 병, 신장병, 변비, 자궁 내막염, 대하증, 월경불순, 방광에 생긴 병, 하복부의 병, 복부의 냉증, 만성 위 질환, 무릎 관절의 냉증, 무릎관절염, 설사 구토증, 위통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족태음 비경은 족양명 위경과 음양 한쌍의 경락으로 다리의 안과 밖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어혈의 정화, 월경불순, 식중독, 임신중독, 결핵, 부인과 질환, 신장, 하지마비, 각기병, 당뇨병, 심한 졸음, 장 질환, 변비, 늑간 신경통, 천식, 늑막염, 유아천식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수소음 심경은 심장병, 이명(耳鳴), 변비, 류머티즘, 신경통, 편도선염, 발성 곤란등의 언어장애, 눈의 충혈, 폐결핵, 천식, 피로회복, 심한 어깨 결림, 호흡장애, 류머티즘, 자궁출혈, 항문출혈, 팔꿈치 관절통, 신경쇠약, 고혈압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수태양 소장경은 수소음 심경과 음양 한쌍으로 팔의 안과 밖에 위치하는데, 이는 고혈압, 심장병, 신경통, 오십견, 이명, 혈압항진, 뇌일혈, 부인병, 척골신경통, 마비, 어깨 결림, 변비,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 안면싱경마비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족태양 방광경은 인체의 뒤쪽 머리 꼭대기에서 발가락 끝까지 전체를 통과하는 것으로, 이는 거의 모든 병의 시술점이 있다고 할수 있으며, 6장 6부의 경락 중 가장 길고 중요하며 혈의 수도 134로서 뇌충혈, 뇌일혈, 혈압항진, 이명, 현기증, 신경쇠약, 불면증, 코가 막히는 증상, 축농증, 두통, 머리가 무거운 증상, 눈병, 감기, 코피, 인후통, 편도선염, 뇌막염, 고혈압, 폐결핵, 백일해, 어깨 결림, 심자판막증, 심계항진(가슴이 두근거리면서 불안해하는 증상), 협심증(심장벽의 혈관의 경련, 경화, 폐색 등으로 일어나는 매우 심한 동통 발작의 증세), 폐렴, 늑막염, 천식, 시력감퇴, 야맹증, 담낭의 고장, 냉증, 편두통, 간장질환, 비장질환, 위의 질환, 불면증, 건망증, 히스테리, 생식기 질환, 방광질환, 좌골 신경통, 당뇨병, 대장질환, 설사, 변비 류머티즘, 자궁출혈, 요통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족소음 신경은 정신(精神) 중에서 정(精) 즉, 정기(精氣)를 관장하는 곳으로, 신장병, 뇌일혈, 하지마비, 약물증독, 모든 만성병, 인후통, 편도선, 귓병, 당뇨병, 복막염, 호흡기 질환, 위장병, 부인병, 감기, 천식, 바세도우씨병, 장 질환, 방광질환, 머리가 무거울때, 부인병, 생식기 질환, 심장병, 결핵, 신경쇠약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수궐음 심포경 횡격막 위에 있는 모든 병, 심장병, 폐결핵, 천식, 신경쇠약, 늑막염, 유방통, 피로회복, 기침, 팔꿈치 관절염, 류머티즘, 출혈성 질환, 손의 마비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수소양 삼초경은 모든 부인병, 갱년기 장애, 변비, 소장의 질환, 맹장, 난청, 이명, 두통, 변비, 출혈성 질환, 월경 이상, 피로회복, 중이염, 치통, 어깨결림, 상지 신경통, 편두통, 눈병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족소양 담경은 뇌일혈, 두통, 감기, 콧병, 담낭 질환, 황달, 늑막염, 늑간 신경통, 위의 질환, 신장병, 하복통, 좌골신경통, 하복부의 냉증, 모든 부인병, 방광질환, 편두통, 하지 신경통, 안면 신경통, 내장 출혈, 모든 냉기에 대한 질병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족궐음 간경은 족소양 담경과 음양 한쌍으로, 근육 이완이나 경직, 경련, 졸도, 월경 폐지나 불순, 부인과 질환, 신장질환, 오줌이 자주 마려울때, 복막염, 무릎 관절염, 좌골 신경통, 간장질환, 담석증, 늑막염, 비장질환, 경련, 만성 위의 질환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임맥은 성병 및 소화기 전질환에 영향을 주며, 여성의 임신과 관계가 있음은 물론 특히 부인병과 관계가 깊어 불임증이나 생리이상과 전신의 기능 조절(실조증)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나는 경락이다.
상기 독맥은 아랫배에서 부터 명치에 걸쳐 떠받치는 통증과 찌르는 것 같은 통증, 목이 타는 듯한 통증, 성기의 장애를 가져오는 여러가지의 증상, 소화기와 호흡기의 장애, 몸을 앞뒤로 구부렸다 펴면 척추에 격력히 오는 통증 등의 병에 효과가 나타는 경락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14경락은 전문적으로 공부한 사람들인 한의사, 지압사, 수지침사 등만이 알고 있을 뿐 안마를 생업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의 경우 학습기회가 많치 않아서 제대로 습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국내 시각 장애인은 약 30만명이 등록되어 있고, 후천성이 90% 이상이며, 시각 장애인의 70%가 안마사로 활동하고 있으나, 시각 장애인들으느 비장애인에 비해 지식습득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활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정보용 태그를 결합한 경혈인형과 태그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를 이용한 상호작용기반 경혈정보 시스템을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이 경혈점의 학습이 음성 출력을 통해 원할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혈인형을 이용한 학습 뿐만 아니라 각종 책자 정보를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로 읽어 들여 음성출력을 통해 시각 장애인이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성인 남자 모형 또는 성인 여자 모형 또는 어린이 모형으로 구성되고, 사람 크기와 동일비율 또는 축소 비율 또는 확대비율로 제작되는 경혈인형과; 상기 경혈인형의 표면에 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설치되며, 코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인식 코드부와; 상기 인식 코드부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식 코드부의 코드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시켜 경혈점 데이터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인식 코드부는 손으로 누르는 압력에 반응하여 무선으로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감응형 RFID 태그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형 태그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코드 인식부는 필름 또는 종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는, 상단에 DC 어댑터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DC 단자가 설치되고, 일측면에 스피커 및 마이크, 작동램프, 녹음버튼과, 동작버튼 및, 정지버튼이 설치되며, 하단에 경혈 정보용 태그를 인식하는 센서 입력부가 설치되고, 후면에 전원버튼과, 재생 속도 선택버튼, 볼륨조절버튼이 설치되며, RFID 리더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정보를 판독하고 각종 전자 구성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는, 내부에 경혈점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터치용 태그의 코드 및 RFID 태그용 코드와 연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는, 외장 메모리 장치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용 태그를 결합한 경혈인형과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이 음성출력을 통해 경혈점의 학습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책자에도 정보용 태그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빠른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혈 인형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혈 인형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보용 태그를 인쇄 필름에 장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 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혈 인형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혈 인형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보용 태그를 인쇄 필름에 장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 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경혈인형(100)과, 인식 코드부(200)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혈인형(100)은 성인 남자 또는 성인 여자 또는 어린이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크기는 학습에 알맞게 실제 사람의 크기 비율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축소형으로 할 수도 있다. 즉, 교육 여건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경혈인형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식 코드부(200)는 경혈인형(100)의 표면에 부착하되 경혈 위치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경혈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압력 감응형 RFID 태그(200a)와 터치용 태그(200b)가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인식 코드부(200)는 압력 감응형 RFID 태그(200a) 및 터치용 태그(200b)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으로 압력 감응형 RFID 태그를 터치하거나 또는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로 터치용 태그(200b)를 터치할 경우 각 태그(200a, 200b)의 코드 정보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로 출력되고, 또한, 손으로 RFID 태그(200a)를 눌렀을 경우 RFID 태그(200a)에 담겨진 정보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로 무선 출력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입력 센서부가 설치된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로 터치용 태그(200b)를 터치하여 경혈점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고, 손으로 RFID 태그(200a)를 눌러서 경혈점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는 상단에 DC 어댑터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DC 단자를 설치하고, 일측면에 입력키로서 마이크(301)를 설치하고 또한 출력수단으로서 스피커(302)를 설치한다. 그리고, 녹음버튼과, 동작버튼 및, 정지버튼을 설치하며, 하단에 경혈 정보용 태그를 인식하는 입력 센서부(303)가 설치하고, 또한 후면에 전원버튼과 동작램프와 재생 속도 선택버튼과 볼륨조절버튼(304)을 설치한다. 그리고, 내부에 RFID 리더기(305) 및 마이컴(306)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DC 단자는 전자기기에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구성요소이므로 별도로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였고,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즉, A/C전원을 D/C 전원으로 변경하여 축전하거나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은 휴대형 전자기기들이 모두 사용하는 기술이며 본 발명에서도 그러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 마이크(301)는 녹음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고, 입력 센서부(303)는 터치용 태그(200b)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전원버튼과 동작램프와 선택버튼과 볼륨조절버튼은 일반적인 구성요소로서 녹음된 파일을 출력하는 전자기기들이 모두 갖추고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도 공지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RFID 리더기(305)는 RFID 태그(200a)의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하며, 마이컴(306)은 태그(200a, 200b)의 코드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하는 제어기능을 담당한다.
아울러,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는 내부 데이터 베이스(307)를 저장하여 태그의 코드와 연동시킬 수도 있고, 아니면 외부 메모리를 연결하여 태그의 코드와 연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경혈인형의 터치용 태그를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로 누르면 터치용 태그(200b)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의 입력 센서부(303)로 입력되고, 이후 각각의 코드에 해당되는 경혈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07)에서 추출하여 스피커(302)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그리고, 손으로 경혈인형을 누를 경우 RFID 태그(200a)의 정보가 외부로 출력되며 이를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RFID 리더기(305)가 판독한다. 아울러, 판독된 코드에 의해서 데이터 베이스(307)를 연동시키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307)에 담긴 경혈점 정보는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터치용 태그(200b)의 코드 정보와 RFID 태그(200a)의 코드 정보는 동일하다.
한편, 마이컴(306)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에는 터치용 태그 입력모드와 RFID 태그 입력모드를 구비하여 터치용 태그 입력모드를 선택할 경우 터치용 태그의 코드 정보를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의 입력 센서부를 통해 읽어 들여 마이컴에 전송한다. 그러면 마이컴은 터치용 태그에 담긴 코드 정보를 분석하여 경혈점 정보가 담긴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시키고, 상기 경혈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담긴 경혈점 정보 내용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RFID 태그 입력모드를 선택할 경우 RFID 태그의 코드 신호를 RFID 리더기(305)로 읽어서 마이컴에 전송하고, 그러면 마이컴(306)은 RFID 태그(200a)의 코드를 이용하여 경혈점 정보가 담긴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시키고, 이후 경혈점 정보의 내용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참고로, RFID 태그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IC(Integrated Circuit)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IC 칩의 메모리 용량은 25비트에서 512 킬로바이트 이상까지 다양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의 마이컴(306)은 RFID 신호 입력이 있으면 RFID 리더기(305)를 작동시키고, 이후 RFID 리더기(305)를 통해 입력되는 RFID 태그(200a)의 정보를 입력받아 경혈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307)와 연동시키며, RFID 태그(200a)의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 메모리 정보를 스피커(302)를 통해 출력시킨다.
상기 RFID 리더기(305)는 마이컴의 제어 하에 RFID 태그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RF 신호에 의해 RFID 태그(110)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판독한다. 그리고 RFID 리더기(305)는 판독된 식별 정보를 마이컴으로 전달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혈인형용 인체 모형을 준비하는바, 상기 경혈인형은 성인여자 또는 성인 남자 또는 어린이로 제작한다. 그리고 크기는 사람의 실제 크기로 제작하거나 축소 또는 확대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경혈 인형의 외부에 경혈점 표시를 하는바, 인식 코드부가 인쇄된 필름(200c)이나 종이로 경혈 인형 외부를 감싸도록 한다. 즉, 필름에 인식 코드부를 프린팅하고, 상기 인쇄된 필름을 경혈인형에 열압착 등으로 압착하는 것이다.
상기 인식 코드는 태그(200a, 200b)를 부착하여 구성하는바, 터치용 태그(200b)로 구성하거나 RFID 태그(200a)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를 쌍으로 구비한다.
그리고, 경혈인형에 인식 코드부(200)가 부착되면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를 이용하여 인식 코드부의 코드 신호를 판독한다.
즉, 경혈인형의 경혈점에 부착된 인식 코드부(200)의 태그(200a, 200b)를 읽어서 어느 경혈인지를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로 음성 출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에는 내부에 입력 센서부(303)를 설치하여 터치용 태그(200b) 신호를 입력받고 아울러, 손으로 경혈점을 누를 경우에는 RFID 태그(200a) 신호를 RFID 태그 리더기(305)로 입력받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터치용 태그(200b)의 신호와 RFID 태그(200a) 신호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에 입력되면,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의 마이컴(306)이 코드를 파악하고 이에 데이터 베이스(307)를 연동하여 경혈점에 대한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데이터 베이스(307)는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의 내부에 메모리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외부 USB 등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혈인형을 예로 들었으나, 점자책등에 터치용 태그를 설치하고, 이를 판독하여 음성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경혈인형
200: 인식 코드부
200a: RFID 태그
200b: 터치용 태그
301: 마이크
302: 스피커
303: 입력 센서부
304: 전원버튼과 동작램프와 재생 속도 선택버튼과 볼륨조절버튼
305: RFID 리더기
306: 마이컴
307: 데이터 베이스

Claims (6)

  1. 성인 남자 모형 또는 성인 여자 모형 또는 어린이 모형으로 구성되고, 사람 크기와 동일비율 또는 축소 비율 또는 확대비율로 제작되는 경혈인형(100)과;
    상기 경혈인형의 표면에 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설치되며, 코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인식 코드부(200)와;
    상기 인식 코드부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식 코드부의 코드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시켜 경혈점 데이터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는,
    상단에 DC 어댑터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DC 단자가 설치되고, 일측면에 스피커 및 마이크, 작동램프, 녹음버튼, 동작버튼 및, 정지버튼이 설치되며, 하단에 경혈 정보용 태그를 인식하는 센서 입력부가 설치되고, 후면에 전원버튼, 재생 속도 선택버튼, 볼륨조절버튼이 설치되며, RFID 리더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정보를 판독하고 전자 구성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코드부(200)는 손으로 누르는 압력에 반응하여 무선으로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감응형 RFID 태그(200a)와;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형 태그(200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부(200)는 필름 또는 종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는,
    내부에 경혈점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터치용 태그의 코드 및 RFID 태그용 코드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판독장치(300)는,
    외장 메모리 장치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KR1020120007703A 2012-01-26 2012-01-26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KR10134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703A KR101349004B1 (ko) 2012-01-26 2012-01-26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703A KR101349004B1 (ko) 2012-01-26 2012-01-26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68A KR20130086768A (ko) 2013-08-05
KR101349004B1 true KR101349004B1 (ko) 2014-01-09

Family

ID=4921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703A KR101349004B1 (ko) 2012-01-26 2012-01-26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0122A (zh) * 2014-03-06 2015-09-09 天津天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为标准化病人提供阳性生命体征的装置
CN103985286B (zh) * 2014-05-19 2017-06-23 天津天堰科技股份有限公司 针灸指力测试装置及其所采用的测试方法
CN111415561B (zh) * 2019-01-04 2022-06-24 深圳市中医院 虚拟针灸的教学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67A (ja) * 1996-05-21 1997-12-09 Kaku Kun 手指針施術の案内装置
KR19980052487A (ko) * 1996-12-24 1998-09-25 조영임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KR200325559Y1 (ko) * 2003-05-10 2003-09-03 임민호 수지침 모의 시술 장치
JP2003310707A (ja) 2002-04-19 2003-11-05 Tojin Nakayama 鍼灸モデル及びその表示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67A (ja) * 1996-05-21 1997-12-09 Kaku Kun 手指針施術の案内装置
KR19980052487A (ko) * 1996-12-24 1998-09-25 조영임 수지침의 경혈위치 안내장치
JP2003310707A (ja) 2002-04-19 2003-11-05 Tojin Nakayama 鍼灸モデル及びその表示制御装置
KR200325559Y1 (ko) * 2003-05-10 2003-09-03 임민호 수지침 모의 시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68A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1699A1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US9378659B2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US9324247B2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EP1645262B1 (en) Multifunctional koryo therapy apparatus
EP2229670B1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CN109166433B (zh) 一种医疗模拟人系统
JP3729829B2 (ja) 理学的診療訓練用人体装着具
JP2005077521A (ja) 聴診教育用装置
CN101015450A (zh) 中华电子诊脉仪
KR101349004B1 (ko) 시각 장애인용 경혈 학습장치
CN109273079A (zh) 基于中医的ai云诊疗系统
CN102824267B (zh) 一种治疗功能性消化不良的智能循证针灸诊疗仪
JP5879468B2 (ja) 患者看護を教示するための双方向教育システム
CN101584580A (zh) 一种便携式生物反馈练习治疗装置
CN206741752U (zh) 仿真人体腹腔镜手术模拟训练系统
CN105411560B (zh) 肛肠自适应生物反馈系统、其测压导管及其系统使用方法
CN106924026A (zh) 产后康复治疗仪
TWM457266U (zh) 互動式穴位辨識之輔助系統
CN1294872C (zh) 具有远程监测、检测、报警功能的医疗系统
KR200215313Y1 (ko) 경혈 위치 표시장치
KR20080011841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및 피디에이)를 기반한 가상현실에서 경혈경락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표시 장치
Black et al. Browse's Introduction to the Symptoms & Signs of Surgical Disease
Burnand BROWSE’S
CN2757860Y (zh) 可进行渐进诱导和提供多种背景声内容的脑电波诱导仪
KR200170715Y1 (ko) 수지요법의 요혈 자리 안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