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264A -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 Google Patents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264A
KR20130117264A KR1020120040280A KR20120040280A KR20130117264A KR 20130117264 A KR20130117264 A KR 20130117264A KR 1020120040280 A KR1020120040280 A KR 1020120040280A KR 20120040280 A KR20120040280 A KR 20120040280A KR 20130117264 A KR20130117264 A KR 20130117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ano
keyboard
main body
network system
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배수정
이산홍
Original Assignee
김민정
배수정
이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정, 배수정, 이산홍 filed Critical 김민정
Priority to KR102012004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264A/ko
Publication of KR2013011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61LED, i.e. using a light-emitting diode as indicat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아노 건반에 LED 램프와 압력센서를 결합하고 지도자용 피아노와 교습용 피아노 간의 쌍방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피아노 교습을 할 수 있는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한 피아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의 중앙부에는 순서대로 통합컨트롤부(11)와 건반(2)이 위치하며 상기 본체(1)의 우측 윗부분에는 스피커(2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의 좌측 윗부분에는 코드휠(22)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의 건반(2)의 내측에는 압력센서(31)와 LED램프(32)가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건반(2)을 타건하는 압력에 따라서 해당 건반(2)의 내측에 구비된 LED램프(32)의 밝기가 다르게 점등된다. 또한, 상기의 코드휠(22)은 개별적으로 선택이 가능하며 코드휠(22) 상에 코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의 코드에 상응하는 건반(2)의 LED램프(32)가 점등되면서 사용자가 코드와 해당 건반(2)의 상관관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통합컨트롤부(11)에는 순서대로 건반(2), LED램프(32), 압력센서(31), 스피커(21), 통신모듈(33), 음원저장부(34), 코드휠(22)이 제어부(30)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의 통신모듈(33)은 본체(1)를 유선통신방식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방식에서도 동작하도록 하며 또한, 음원저장부(34)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은 연주곡을 저장하여 언제라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Using an interactive network systems piano}
본 발명은 피아노 건반에 LED 램프와 압력센서를 결합하고 지도자용 피아노와 교습용 피아노 간의 쌍방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피아노 교습을 할 수 있는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한 피아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의 교습을 위해서는 주변에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피아노 학원이나 피아노 교습소를 찾아서 짧게는 몇 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 동안을 피아노 교습을 받아왔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의 일상에 비추어 피아노 교습에 소요되는 시간 또는 장소, 비용 등이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그리고 피아노의 초보자 또는 피아노를 대한 적인 없는 사람들은 처음으로 피아노 연주곡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악보를 보며 장기간 교습하면서 숙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악보를 보고 하나하나 건반을 눌러야 하며 익숙하지 못한 연주자들은 효과적으로 연주곡을 교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피아노 교습소에서는 많은 수의 교습생들을 소수의 선생님들이 담당하므로 교습생 개개인에게 세심한 교습과 충분한 시간을 들여서 지도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피아노의 대중화에도 적잖은 걸림돌이 되어 왔다.
교습용 피아노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125669호에는 피아노나 오르간 등의 악기에서 건을 옆으로 나열한 주요 연주 부분인 1 옥타브의 간음에 해당하는 하얀 건 7개를 각 건에 대응하는 연주램프가 연출하는 불빛에 따라, 발로 건반을 연주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면서 놀이를 통하여, 건반악기의 음계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터 피아노 건반 놀이기구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0537호에는 악보정보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운지 하여야 하는 건반의 위치와 해당 건반을 운지 하여야 하는 손가락을 표시하여 초보자도 손쉽게 피아노를 배울 수 있게 하는 운지법을 표시하는 피아노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4102호에는 피아노 건반에 LED램프를 삽입하여 LED램프의 점멸 순서에 따라 건반을 눌러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반에 LED램프가 결합된 피아노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피아노 건반에 LED램프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손이나 발로 피아노 건반을 타건하면 해당 피아노 건반에 불빛이 들어오면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도하거나 사용자가 해당건반을 정확히 타건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피아노를 놀이기구 또는 단순한 교습의 용도로 사용했을 뿐, 일대 다수의 피아노 교습이나 원거리의 피아노 교습은 불가능하여 피아노 교습의 한계를 드러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피아노 건반에 LED 램프와 압력센서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압력으로 해당 건반을 타건 했을 때 LED 램프가 점등되면서 사용자가 해당 건반을 정확하게 타건 하였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기존 디지털 피아노의 교육적 문제점이었던 손가락의 악력. 다시 말하면 피아노 타건 실력 향상을 기술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도자용 피아노와 교습용 피아노 사이에 쌍방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같은 장소 혹은 원거리에서의 피아노 교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피아노 교습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개인이 혼자서 할 수 있는 교습을 위해서는 MP3 음원을 다운받듯이 연주곡을 다운받아서 동작시키면 해당건반의 LED램프가 점등되며 피아노 연주가 되므로 개인이 스스로 충분히 피아노 교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코드휠을 통해서 코드와 해당건반 사이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한 피아노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해결수단으로는 본체(1)의 중앙부에는 순서대로 통합컨트롤부(11)와 건반(2)이 위치하며 상기 본체(1)의 우측 윗부분에는 스피커(2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의 좌측 윗부분에는 코드휠(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건반(2)의 내측에는 압력센서(31)와 LED램프(32)가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건반(2)을 타건하는 압력에 따라서 해당 건반(2)의 내측에 구비된 LED램프(32)의 밝기가 다르게 점등된다. 또한, 상기의 코드휠(22)은 개별적으로 선택이 가능하며 코드휠(22) 상에 코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의 코드에 상응하는 건반(2)의 LED램프(32)가 점등되면서 사용자가 코드와 해당 건반(2)의 상관관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통합컨트롤부(11)에는 순서대로 건반(2), LED램프(32), 압력센서(31), 스피커(21), 통신모듈(33), 음원저장부(34), 코드휠(22)이 제어부(30)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의 통신모듈(33)은 본체(1)를 유선통신방식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방식에서도 동작하도록 하며 또한, 음원저장부(34)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은 연주곡을 저장하여 언제라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네트워크를 이용한 피아노 시스템은 지도자와 교습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교습할 시에는 일대 다수의 교습이 가능하도록 지도자용 피아노와 교습자용 피아노를 쌍방향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지도자용 피아노의 건반을 타건하였을때 모든 교습자용 피아노의 해당 건반 LED램프가 점등되므로 교습자가 어떤 건반을 타건해야 하는지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대 다수의 피아노 교습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통신환경이 구축된 곳이라면 원거리에서도 충분히 효율적인 피아노 교습을 받을 수 있고, 또 개인이 혼자서 교습을 받을 수 있도록 연주곡 혹은 교육자료를 실시간으로 다운받아서 동작시키면 해당 건반들의 LED램프가 점등되면서 연주곡이 연주되므로 개인 스스로 연주곡을 연주할 수 있으며 코드휠에 표시된 코드를 터치하면 터치된 코드에 해당하는 건반의 LED램프가 점등되므로 코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부가적으로 피아노 건반에 압력센서와 LED램프가 내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을 정확한 압력으로 타건했는지 즉석에서 인지할 수 있으므로 피아노 교습시 피아노 건반의 타건 자세를 올바르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건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코드휠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는 통상적인 디지털피아노의 형태로 구성되는데, 본체(1)의 중앙부에는 순서대로 통합컨트롤부(11)와 건반(2)이 위치하며 상기 본체(1)의 우측 윗부분에는 스피커(2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의 좌측 윗부분에는 코드휠(22)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건반(2)은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각 건반(2)에는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해당 건반(2)의 음이름이 각각 "C", "C#", "D", "D#", "E", "F", "F#","G", "G#", "A", "A#", "B"의 형상으로 새겨져 있어서 피아노를 처음 대하는 사용자도 해당 건반(2)의 음이름을 확실히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1)의 중앙부에 위치한 통합컨트롤부(11)는 상기 본체(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한다.
본체(1)의 우측 윗부분에 구비되는 스피커(21)는 본 발명의 출력부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건반(2)을 누름으로써 해당 건반(2)의 음이 상기의 스피커(21)를 통해서 출력된다.
본체(1)의 좌측 윗부분에 설치되는 코드휠(22)은 각각의 코드가 버튼식으로 형성되어서 코드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코드휠(22)의 각각의 코드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코드의 음이름을 가진 건반(2)이 밝게 빛나서 각각의 코드와 해당 건반(2) 사이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건반의 구조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1)에 구비되는 건반(2)은 반투명재질로 형성되며, 건반(2)의 내측에는 압력센서(31)와 LED램프(32)가 구비된다. 상기의 압력센서(31)는 사용자가 건반(2)을 타건했을 때 압력센서(31)에 입력된 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LED램프(32)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적절한 압력으로 건반(2)을 타건했는지를 즉석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압력센서(31)에 입력 값을 여러 단계로 세분화시키면 사용자가 건반(2)을 타건한 압력값에 의해서 LED램프(32)의 밝기가 다르게 표현된다. 예를 들면 건반(2)을 타건한 압력값이 압력센서(31)에 입력된 기준 압력값과 같다면 LED램프(32)의 밝기가 LED램프(32)에 입력된 기준 밝기로 동작하지만, 건반(2)을 타건한 압력값이 압력센서(31)에 입력된 기준 압력값보다 높다면 LED램프(32)의 밝기가 LED램프(32)에 입력된 기준 밝기보다 더욱 밝게 동작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건반(2)을 타건한 압력값이 압력센서(31)에 입력된 기준 압력값보다 낮다면 LED램프(32)의 밝기가 LED램프(32)에 입력된 기준 밝기보다 낮은 밝기로 동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코드휠의 정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코드휠(22)은 각각의 코드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의 코드휠(22)은 건반(2)의 LED램프(32)와 연동 되어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코드휠(22) 상의 C코드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에 구비되어 있는 건반(2)에서 "도", "미", "솔"에 해당하는 각각의 건반(2)이 동시에 밝게 빛나게 되므로 사용자가 코드휠(22)을 통해서 코드와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건반(2)의 관계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를 반주기로 사용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코드를 예를 들어 "C - G - F - G - C - A - G - C"와 같은 형태의 순서로 입력하여 설정하고서 코드값에 맞춰 자동으로 연주되는 반주에 따라서 선율 연주를 할 수 있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피아노 연주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합컨트롤부(11)는 순서대로 건반(2), LED램프(32), 압력센서(31), 스피커(21), 통신모듈(33), 음원저장부(34), 코드휠(22)이 제어부(3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제어부(30)는 각각의 건반(2)과 상기의 건반(2)의 내측에 구비된 LED램프(32)와 압력센서(31)를 제어하며, 또한 유선통신 혹은 무선통신으로 구성된 통신모듈(33)과 인터넷을 통해 내려받은 연주곡을 언제라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음원저장부(34)에 저장하며 코드휠(22)의 코드와 상기 코드와 상응하는 해당 건반(2) 간의 제어를 담당하고 사용자가 건반(2)을 타건하면 각각의 건반에 해당하는 음을 스피커(21)를 통해서 출력하는 동작들을 제어한다.
상기의 LED램프(32)와 압력센서(31)는 사용자 임의대로 LED램프(32)의 밝기의 기준 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압력센서(31)도 사용자 임의대로 압력의 기준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의 통신모듈(33)은 유선통신방식과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며, 본체(1)를 상기의 유선통신방식과 무선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라도 가능한 장소에서 동작하게 된다면 상기의 통신모듈(33)을 통해서 연주곡을 다운받을 수 있으며 일대 다수 또는 일대 일의 교습방법을 같은 장소에서 적용하거나 원거리에서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의 개념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도자용 피아노(41)와 학생용 피아노(42) 간의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도자용 피아노(41)의 "C", "F", "G"에 해당하는 건반(2)을 타건하면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학생용 피아노(42)의 해당하는 건반(2)인 "C", "F", "G" 건반(2)의 LED램프(32)가 점등되면서 사용자가 해당 건반(2)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다.
지도자용 피아노(41)와 학생용 피아노(4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본체(1)를 이용하며 설명을 위하여 구분을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본체
2. 건반
11. 통합컨트롤부
21. 스피커
22. 코드휠
30. 제어부
31. 압력센서
32. LED램프
33. 통신모듈
34. 음원저장부
41. 지도자용 피아노
42. 학생용 피아노

Claims (5)

  1. 디지털 피아노 형태의 본체(1)의 중앙부에는 순서대로 통합컨트롤부(11)와 건반(2)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우측 윗부분에는 스피커(2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의 좌측 윗부분에는 코드휠(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건반(2)은 내측에 압력센서(31)와 LED램프(32)를 구비하며 상기의 건반(2)에 음이름(계명)의 순서인 '도', '레', '미', '파', '솔', '라', '시'에 대응되게 순서대로 영어 대문자 'C', 'D', 'E', 'F', 'G', 'A', 'B'가 각각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3.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통합컨트롤부(11)는 건반(2), LED램프(32), 압력센서(31), 스피커(21), 통신모듈(33), 음원저장부(34), 코드휠(22)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통신모듈(33)의 통신방식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이며 지도자용 피아노(41)와 학생용 피아노(42)는 상기 통신모듈(33)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5.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음원저장부(34)는 인터넷을 통해 내려받은 연주곡을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KR1020120040280A 2012-04-18 2012-04-18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KR20130117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80A KR20130117264A (ko) 2012-04-18 2012-04-18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80A KR20130117264A (ko) 2012-04-18 2012-04-18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64A true KR20130117264A (ko) 2013-10-25

Family

ID=4963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280A KR20130117264A (ko) 2012-04-18 2012-04-18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2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16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다이나톤 디지털 피아노용 발광 지시 건반의 엘이디 제어방법
CN110910715A (zh) * 2019-12-13 2020-03-24 湖南文理学院 一种钢琴学习键位提示器及其安装结构
KR20200086904A (ko) * 2019-01-10 2020-07-20 최성민 피아노 건반에 부착되는 발광하는 스티커
KR102259758B1 (ko) * 2019-11-29 2021-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직물 기재 기반의 디지털 피아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16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다이나톤 디지털 피아노용 발광 지시 건반의 엘이디 제어방법
KR20200086904A (ko) * 2019-01-10 2020-07-20 최성민 피아노 건반에 부착되는 발광하는 스티커
KR102259758B1 (ko) * 2019-11-29 2021-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직물 기재 기반의 디지털 피아노
CN110910715A (zh) * 2019-12-13 2020-03-24 湖南文理学院 一种钢琴学习键位提示器及其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992B2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US108038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20140260898A1 (en) Musical Note Learning System
US20050005761A1 (en) Method for teaching music
US9092994B1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WO2015027108A2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KR20130117264A (ko)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CN204375397U (zh) 一种带有辅助练习功能的智能钢琴
IL154641A (en) A computerized device for learning to play music
CN210181852U (zh) 一种钢琴教学用智能辅助装置
KR102175257B1 (ko) 전자악보 제공장치
CN2655363Y (zh) 数字式音乐教学装置
CN205609199U (zh) 一种钢琴教学板
Seol et al. Learning guitar with an embedded system
CN2924681Y (zh) 音乐电子示教板
CN109785710B (zh) 一种钢琴练习辅助器
TWM501119U (zh) 具音樂識別之手套
KR200390537Y1 (ko) 운지법을 표시하는 피아노
CN212302808U (zh) 一种音乐教学的辅助器材
CN216527656U (zh) 一种钢琴教学用指法训练装置
CN213123435U (zh) 乐理电教板
JP3148289U (ja) インタラクティブ式の教授装置
TWI786929B (zh) 智慧音樂教學系統與智慧音樂教學方法
CZ32006U1 (cs) Zařízení pro výuku hry na klávesové nástroje
GB2468494A (en) Educational music keyboard with coloured illuminated keys corresponding to coloured musical s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