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021A -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021A
KR19980051021A KR1019960069870A KR19960069870A KR19980051021A KR 19980051021 A KR19980051021 A KR 19980051021A KR 1019960069870 A KR1019960069870 A KR 1019960069870A KR 19960069870 A KR19960069870 A KR 19960069870A KR 19980051021 A KR19980051021 A KR 19980051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xternal display
flat panel
external
comput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3316B1 (ko
Inventor
오재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316B1/ko
Priority to US08/999,195 priority patent/US6038670A/en
Publication of KR1998005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는 외부 디스플레이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 포트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절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 포트의 상태를 감지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의 감지 상태에 따라 영상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신호 출력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의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의 개폐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파워 온 또는 파워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키보드의 핫키 조작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만을 사용할 경우 휴대용 컴퓨터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파워 다운 모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평판 디스플레이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display) 절환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RT(cathode ray tube)의 접속상태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절환시켜주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루는 제어회로부 및 키보드등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부의 소정 부위에는 외부의 CRT 모니터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와 외부의 CRT 모니터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10)에는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CPU(11)와, 컴퓨터 그래픽을 제어하는 VGA(video graphics array) 콘트롤러(12)와, 개폐가능한 디스플레이인 LCD(13)와, 마우스나 키보드로부터의 입력과 초기부팅 시의 메모리 등을 검색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14)와, 상기 LCD(13)의 개폐에 따른 스위칭 작용으로 LCD(13)의 개폐신호를 발생시키는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15) 등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노트북 컴퓨터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의 디스플레이인 CRT 모니터(16)가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 내장 디스플레이인 LCD(13)와, 외부 디스플레이인 CRT 모니터(15)를 온/오프(on/off)시킬 때 사용자는 통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핫키(hot key)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LCD (13) 커버를 닫으면, 외부 CRT 모니터(15)가 파워 온(power on)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도 파워 다운(power down) 모드로 변환되어 사용자는 CRT 모니터(15)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결국, LCD(13)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의 CRT 모니터(15)만을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키보드의 핫키 조작에 의하여 원하는 바를 이룰 수밖에 없다. 따라서, 키보드 조작을 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두었을 때, 시스템은 계속 동작 모드 상태로 유지되고 자동으로 파워 다운 모드로 변환되지 않아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선택을 키보드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고,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와 외부의 CRT 모니터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가 채용되는 외부 CRT 모니터의 내부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가 채용되는 외부 CRT 모니터의 내부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31 : CPU 12 : VGA 콘트롤러
13,23,33 : 평판 디스플레이(LCD) 14,24,34 : 마이크로콘트롤러
15,25,35 : 평판 디스플레이 감지부 16,26,36 : 외부 디스플레이(CRT)
22,32 : 영상신호 출력제어부 26a,36a : 전원공급부
27,37 :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는 외부 디스플레이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 포트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절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 포트의 상태를 감지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의 감지 상태에 따라 영상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신호 출력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방법은, 평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절환방법에 있어서, a) 외부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가능한지를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판별 결과와 시스템 상태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로 영상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의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의 개폐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파워 온 또는 파워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키보드의 핫키 조작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만을 사용할 경우 휴대용 컴퓨터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파워 다운 모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평판 디스플레이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는 휴대용 컴퓨터(노트북 컴퓨터) 내부의 시스템을 사실상 거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의 내부 시스템을 원용하여 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의 제1,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CPU(21)와, 외부 디스플레이(CRT)(16)가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6) 연결 포트의 상태를 감지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27)와, 그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27)의 감지 상태에 따라 영상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와,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의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개폐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LCD)(23)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23)의 개폐에 따른 스위칭 동작으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감지부(25)와, 그 평판 디스플레이 감지부(2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CPU(21)에 전송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로는 비디오 콘트롤러가 사용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27)는 외부의 디스플레이(26)를 노트북 컴퓨터에 연결할 때 노트북 컴퓨터 내부의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와 외부 디스플레이(26) 내부의 전원공급부(26a)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 직렬로 접속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26)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저항(R1)과, 그 제1저항(R1)과 상기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 사이의 라인 상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노트북 컴퓨터 내부의 소정 부위에 접지되는 제2저항(R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은 외부 디스플레이(26)의 전원이 온되었을 때 노트북 컴퓨터와 외부 디스플레이(26)를 연결하는 라인이 액티브 하이(active high)가 되도록 상호 소정 비율의 저항값을 갖는다.
도 3의 제2 실시예의 경우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 2의 제1실시예와 그 구성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나 외부 디스플레이(36)가 노트북 컴퓨터 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34)에 접속되는 점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37)는 외부 디스플레이(36)를 노트북 컴퓨터에 연결할 때 노트북 컴퓨터 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34)와 외부 디스플레이(36) 내부의 전원공급부(36a)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 직렬로 접속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36)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저항(R1)과, 그 제1저항(R1)과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34) 사이의 라인 상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노트북 컴퓨터 내부의 소정 부위에 접지되는 제2저항(R2)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 디스플레이(36)의 전원이 온되었을 때 노트북 컴퓨터와 외부 디스플레이(36)를 연결하는 라인이 액티브 하이가 되도록 상호 소정 비율의 저항값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그 기능이나 효과에 있어서 서로 큰 차이는 없고, 다만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32)로 사용되는 비디오 콘트롤러가 제작처마다 각기 다른 사양으로 제작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제2 실시예의 경우가 설계에 있어서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가 채용되는 외부 디스플레이(CRT 모니터)의 각각 다른 내부구성을 나타내 보인 회로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항상 통전상태인 제1 전압공급라인(46f)이 CRT 모니터(46) 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46b)와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되는 구성으로서 CRT 모니터(46)의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항상 통전상태인 제1 전압공급라인(56f)이 CRT 모니터(56) 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56b)에 접속되고, 파워 모드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전압공급라인(56s)에 노트북 컴퓨터와의 연결라인이 접속되는 구성으로서 CRT 모니터(56)의 파워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참조부호 46a,56a는 전원공급부, 46c,56c는 디스플레이회로부, 46s는 제2 전압공급라인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에 외부 디스플레이인 CRT 모니터(26)가 연결되면, CRT 모니터(26)와 노트북 컴퓨터를 연결하는 라인은 액티브 하이가 된다. 그러면,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에는 소정의 인터럽트가 걸리고, 그에 따라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는 CRT 모니터(26)의 동작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노트북 컴퓨터에 연결된 외부 또는 내장된 키보드의 핫키에 의하지 않고, 평판 디스플레이(LCD)(23) 커버를 닫으면 평판 디스플레이 감지부(25)의 스위치(SW)가 눌려져 마이크로콘트롤러(24)에는 LCD(23) 커버의 닫힘 신호인 로우(low)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콘트롤러(24)는 LCD(23) 커버의 닫힘에 상응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21)로 보내고, CPU(21)는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를 통하여 CRT 모니터(26)가 온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이때, CRT 모니터(26)가 온되어 있으면 CPU(21)는 영상신호 출력제어부(22)가 LCD(23)에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중지시키고, CRT 모니터(26)만 계속적으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그리고, CRT 모니터(26)가 온되어 있지 않으면 CPU(21)는 파워 다운 모드로 들어가 시스템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도 3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 2의 제1실시예와 동작면에서 거의 동일하며, 다만 CRT 모니터(36)의 점검을 마이크로콘트롤러(34)에서 수행하는 점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대한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회로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절환하는 과정에 대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
노트북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시스템이 구동되면, CPU(21)는 외부 CRT 모니터(26)가 디스플레이 가능한지를 판별하게 된다(단계 61). 여기서, 이와 같은 판별 메커니즘은 외부 CRT 모니터(26)가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외부 CRT 모니터(26)가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고 CRT 모니터(26)의 파워가 온 또는 오프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도 4의 CRT 모니터(46)가 채용될 경우에는 CPU(21)는 외부 CRT 모니터(46)가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도 5의 CRT 모니터(56)가 채용될 경우에는 CPU(21)는 CRT 모니터(56)의 파워가 온 또는 오프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시스템 제작 시 미리 CPU(21)에 저장된다.
상기 단계 61에서 CRT 모니터(26)가 디스플레이 가능하면 LCD(23) 커버가 닫혀 있는지를 판별하며(단계 62), LCD(23) 커버가 닫혀 있으면 LCD(23)의 파워 및 동작모드 신호를 오프시키고, CRT 모니터(26)의 동작모드 신호를 온시킨다(단계 63). 그리고, 상기 단계 62에서 LCD(23) 커버가 닫혀 있지 않으면 LCD(23)의 파워, 동작모드 신호 및 CRT 모니터(26)의 동작모드 신호를 온시킨다(단계 64).
한편, 상기 단계 61에서 CRT 모니터(61)가 디스플레이 불가능하면 LCD(23) 커버가 닫혀 있는지를 판별하며(단계 65), LCD(23) 커버가 닫혀 있으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 파워를 오프시킨다(단계 66). 그리고, 상기 단계 65에서 LCD(23) 커버가 닫혀 있지 않으면 LCD(23)의 파워 및 동작모드 신호를 온시키고, CRT 모니터(26)의 동작모드 신호를 오프시킨다(단계 67).
이상과 같은 프로그램은 LCD(23) 커버의 개폐와 관련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이때 비사용되는 디스플레이의 전원 및 어느 디스플레이도 사용되지 않을 때 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전원이 차단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은, 노트북 컴퓨터의 LCD 커버의 개폐에 의해 노트북 컴퓨터에 연결된 외부 CRT 모니터의 파워 온 또는 파워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키보드의 핫키 조작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만을 사용할 경우 LCD가 파워 다운 모드 상태로 되기 때문에 LCD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부 디스플레이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 포트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절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 포트의 상태를 감지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의 감지 상태에 따라 영상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신호 출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감지부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할 때 휴대용 컴퓨터 내부의 영상신호 출력제어부와 외부 디스플레이 모니터 내부의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 직렬로 접속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 모니터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영상신호 출력제어부 사이의 라인 상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휴대용 컴퓨터 내부의 소정 부위에 접지되는 제2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전원이 온되었을 때 휴대용 컴퓨터와 외부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연결하는 라인이 액티브 하이가 되도록 상호 소정 비율의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출력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개폐를 감지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감지부와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감지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응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중앙제어부에 전송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출력제어부는 비디오 콘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6. 평판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절환방법에 있어서, a) 외부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가능한지를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판별 결과와 시스템 상태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로 영상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i) 외부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가능하면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가 닫혀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ii)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가 닫혀 있으면 평판 디스플레이의 파워 및 동작모드 신호를 오프시키고, 외부 디스플레이의 동작모드 신호를 온시키는 단계 iii) 상기 단계 ii)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가 닫혀 있지 않으면 평판 디스플레이의 파워, 동작모드 신호 및 CRT의 동작모드 신호를 온시키는 단계 iv) 상기 단계 a)에서 외부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불가능하면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가 닫혀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v)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가 닫혀 있으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 파워를 오프시키는 단계 및 vi) 상기 단계 iv)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커버가 닫혀 있지 않으면 평판 디스플레이의 파워 및 동작모드 신호를 온시키고, 외부 디스플레이의 동작모드 신호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방법.
KR1019960069870A 1996-08-21 1996-12-21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KR100243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870A KR100243316B1 (ko) 1996-12-21 1996-12-21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US08/999,195 US6038670A (en) 1996-08-21 1997-12-19 Computer display switch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870A KR100243316B1 (ko) 1996-12-21 1996-12-21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021A true KR19980051021A (ko) 1998-09-15
KR100243316B1 KR100243316B1 (ko) 2000-02-01

Family

ID=1949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870A KR100243316B1 (ko) 1996-08-21 1996-12-21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38670A (ko)
KR (1) KR100243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185A (ja) * 1998-06-30 2000-01-21 Sony Corp 表示装置
US7197584B2 (en) * 2001-01-26 2007-03-27 Dell Products L.P. Remov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 a dual personal computer/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puter architecture
EP1421469A4 (en) 2001-08-25 2009-02-11 Si Han Kim MULTI-DISPLAY PORTABLE DEVICE
JP3563721B2 (ja) * 2001-09-21 2004-09-0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で使用される時計表示制御方法
US6864891B2 (en) * 2002-01-31 2005-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witching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 adapters in a portable computer system
TW588831U (en) * 2002-02-07 2004-05-21 Jiun-Fu Liou Writing plate computer capable of switching display output and externally connecting input apparatus
US7624218B2 (en) * 2003-10-20 2009-11-2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VI native and docking support
US7310099B2 (en) * 2004-05-03 2007-12-18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cluding detection of inappropriate video connection
KR100586981B1 (ko) * 2004-05-12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63947B1 (ko) * 2005-07-07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0419848C (zh) * 2005-09-28 2008-09-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多显示器系统及其自动设置显示模式的方法
US7696985B2 (en) * 2005-11-30 2010-04-1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roducing display control signals for handheld device display and remote display
JP2007206871A (ja) * 2006-01-31 2007-08-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描画制御方法
KR101163812B1 (ko) * 2006-02-02 2012-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컴퓨터의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86996B1 (ko) * 2006-02-16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41990A1 (en) * 2006-04-14 2007-10-18 Smith Douglas L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video sources to a display device
JP4843481B2 (ja) * 2006-12-27 2011-12-2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TW201017516A (en) * 2008-10-22 2010-05-01 Asustek Comp Inc Computer and method for cntrolling external display
TWI413932B (zh) * 2009-03-31 2013-11-01 Asustek Comp Inc 筆記型電腦中偵測外接式顯示裝置的電路與偵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448A (en) * 1985-07-10 1990-05-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ord processing system having small-sized and large-sized displays for simultaneous display and automatic power shut-off circuit
US4860246A (en) * 1985-08-07 1989-08-22 Seiko Epson Corporation Emulation device for driving a LCD with a CRT display
US4839837A (en) * 1986-06-04 1989-06-13 Chang Bo E Three layered laptop computer
JPH01248185A (ja) * 1988-03-30 1989-10-03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ィコントローラ
US4903222A (en) * 1988-10-14 1990-02-20 Compag Computer Corporation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a laptop computer system
US4852498A (en) * 1989-03-20 1989-08-01 Curtis Manufacturing Company, Inc. Lap top computer work station
JPH0395616A (ja) * 1989-09-08 1991-04-22 Toshiba Corp キーボード接続制御方式
GB8925425D0 (en) * 1989-11-10 1989-12-28 Active Book Co Ltd Improvements in computer cases
US5200913A (en) * 1990-05-04 1993-04-06 Grid Systems, Inc. Combination laptop and pad computer
JPH04107623A (ja) * 1990-08-28 1992-04-09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JPH04169920A (ja) * 1990-11-01 1992-06-1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US5483250A (en) * 1991-04-25 1996-01-09 Zeos International, Inc. Projection display system for a laptop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CN2103831U (zh) * 1991-07-12 1992-05-06 马希光 分离式携带型电子计算机
US5184314A (en) * 1991-07-31 1993-02-02 Kelly Edward J Mobile data processing and communcations system with removable portable computer
KR930008573A (ko) * 1991-10-02 1993-05-21 정몽헌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외부 모니터 전환방법
US5423045A (en) * 1992-04-15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management in portable computers
US5613135A (en) * 1992-09-17 1997-03-18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having dedicated register group and peripheral controller bus between system bus and peripheral controller
US5276589A (en) * 1992-11-09 1994-01-04 Ncr Corporation Notebook computer having flip screen which pivots and slides within a frame
US5537650A (en) * 1992-12-14 1996-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in video subsystems
JPH06186942A (ja) * 1992-12-15 1994-07-08 Ricoh Co Ltd 表示装置
US5335168A (en) * 1993-01-13 1994-08-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mputer system with power-down mode for monitor
US5375245A (en) * 1993-02-22 1994-12-20 Tandberg Data A/S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CRT computer monitor
US5481732A (en) * 1993-12-14 1996-01-02 Shahbazi; Horyeh D. CRT monitor power control unit
JPH08234874A (ja) * 1995-02-22 1996-09-13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
US5721935A (en) * 1995-12-20 1998-02-2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low power mode in a compu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3316B1 (ko) 2000-02-01
US6038670A (en) 2000-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16B1 (ko)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US5991883A (en) Power conservation method for a portable computer with LCD display
EP0419910B1 (en) Display control system
US6691236B1 (en) System for altering operation of a graphics subsystem during run-time to conserve power upon detecting a low power condition or lower battery charge exists
KR100521252B1 (ko) 화면출력상태 제어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26359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관리 방법
US200500717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US200800282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6404423B1 (en) Method for display power management and monitor equipped with a power management function
US20030210513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or selectively operating in normal mode and tablet mode
JPH0573016A (ja) 表示制御装置
KR20070108816A (ko) 영상 표시 장치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0020185A (ja) 表示装置
JPH04291612A (ja) 省電力型データ処理装置
JP2000259140A (ja) 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同方法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US76649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monitor
JPH05289059A (ja) 液晶表示装置
KR0135908Y1 (ko) 모니터의 오프모드 직접 제어회로
JPH06222878A (ja) 情報処理装置
KR910001307Y1 (ko) 개인용 콤퓨터의 하드디스크 사용상태 표시장치
KR100494169B1 (ko) 듀얼 모니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979108B1 (ko)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1616B1 (ko) 기능키에 의해 사용자 감지기능을 제어하는 컴퓨터 및 그 방법
JP2001109449A (ja) 電子機器
JPH04291227A (ja) 表示用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