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611A -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611A
KR19980050611A KR1019960069446A KR19960069446A KR19980050611A KR 19980050611 A KR19980050611 A KR 19980050611A KR 1019960069446 A KR1019960069446 A KR 1019960069446A KR 19960069446 A KR19960069446 A KR 19960069446A KR 19980050611 A KR19980050611 A KR 1998005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iming generator
transfer register
video signal
c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6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611A/ko
Publication of KR1998005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2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ing different resolutions or aspect ratios, e.g. switching between interlaced and non-interlace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45Circuitry for generating timing or clock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모드중 하나를 선택함에 의해 수직 구동 펄스를 가변하여 주변환경과 사용 목적에 맞는 감도 및 해상도를 선택함으로써 최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창안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씨씨디 구동 모드를 질정하여 모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230)와. 이 모드 선택부(230)의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수직 구동 펄스(V1∼V4)를 가변하여 생성하는 타이밍 생성기(220)와, 이 타이밍 생성기(220)의 수직 구동 펄스(V1∼V4)에 따라 촬상된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씨씨디(CCD)(21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디지랄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씨씨디(CCD)를 다양한 모드로 구동하기 위한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상 처리 기술에 채용되는 고체 촬상 소자(CCD)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수단인 수광부와 그 수광부의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프레임 트랜스형, 인터라인형, 모스(MOS)형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1 과 같은 구조를 갖는 인터라인형 고체 촬상 소자(CCD)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인터라인형 고체 촬상 소자(CCD)는 수광 소자(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를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그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가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여 영상 신호를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 전송하면 상기 수평 전송레지스터(103)가 시프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촬상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의해 신호 처리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종래의 씨씨디 구동 장치는 도2 의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펄스(V1∼V4)에따라 촬상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씨씨디(110)와, 이 씨씨디(101)을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을 결정하여 펄스(V1∼V4)를 출력하는 타이밍 생성기(120)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를 통과한 빛이 씨씨디(110)에 주사되면 수광부(101)에 광량에 따른 영상 신호가
축적된다.
이에 따라,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는 타이밍 생성기(120)에서 수직 구동 펄스(V1)(V3)가 고레벨(약 +15V)로 발생하면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전송되어진다.
이러한 수광부(101)의 축적 영상 신호가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전송되는 동작을
도3 (a) 내지 (d)의 타이밍도와 도4 의 영상 라인 선택을 보인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광부(101)에 영상 신호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이밍 생성기(120)에서 도 3 (a)(b)와 같은 타이밍으로 수직 구동 펄스(V1)(V3)를 고레벨(약 +15V)로 출력하면 상기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는 도4 의 예시도에서 첫번째 필드와 같이 인접한 2개 라인의 영상 신호씩 예를 물어, 1st+2nd, 3rd+4th, 5th+6th,... 과 같이 순차적으로 보간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하게 된다.
이 후,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영상 신호의 저장이 종료되면 타이명 생성기(120)에서의 저레벨(약 -5V)인 수직 구동 펄스(V1∼V4)에 의해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1주사선분씩 저장되어 진다.
이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120)의 수평 구동 펄스(H1)(H2) 및 리셋 게이트 펄스에 의해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서 1주사선분의 영상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진다.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모두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을 통해 출력됨에 의해 이븐(Even) 필드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이 후, 이븐 필드의 영상 신호가 모두 출력되면 타이밍 생성기(120)에서 도3 (c)(d)와같은 타이밍으로 수직 구동 펄스(V1)(V2)를 고레벨(약 +15V)로 출력함에 의해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는 도4 의 예시도에서 두번째 필드와 같이 인접한 2개 라인의 영상 신호씩 예로, 2nd+3rd, 4th+5th, 6th+7th,.... 과 같이 순차적으로 보간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영상 신호의 저장이 종료되면 타이밍 생성기(120)에서의 저레벨(약 -5V)인 수직 구동 펄스(V1∼V4)에 의해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 순차적으로 전송되에 진다.
이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120)의 수평 구동 펄스(H1)(H2) 및 리셋 게이트 펄스에 의해 상기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서 1주사선분의 영상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모두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을 통해 출력됨에 의해 오드(Odd) 필드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즉, 상기의 과정으로 출력된 2개 필드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인접한 2개 라인의 영상 신호를 보간하여 화면에 표시하므로 감도면에서는 우수하지만 해상도면에서는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모드중 하나를 선택함에 의해 수직 구동 펄스를 가변하여 주면 환경과 사용 목적에 맞는 감도 및 해상도를 선택함으로써 최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창안한 카메라 시스템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터라인형 씨씨디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씨씨디 구동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도 2에서의 타이밍도.
도 4는 도 2에서 영상 라인 선택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모드2 를 위한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모드2에서의 영상 라인 선택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모드3 을 위한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모드3에서의 영상 라인 선택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씨씨디(CCD) 220 : 타이밍 생성기
230 : 모드 선택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키 입력 또는 점퍼의 세팅에 따라 씨씨디 구동 모드를 결정하여 모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선택 수단과, 이 모드 선택 수단의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수직 구동 펄스(V1∼V4)를 가변하여 씨씨디(CCD)의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생성기로 구성한다.
상기 씨씨디(CCD)는 타이밍 생성기의 제어에 의해 수광부에 축적된 영상 신호에서 2개의 인접 영상 라인중 하나를 이분 필드, 다른 하나를 오드 필드로 선택하거나 2개의 인접 영상 라인중 하나만을 이븐 필드와 오드 필드로 공동 선택하여 각 해당 필드에서해당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직 전송 레지스터로 전송 출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5 의 블럭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입력에 따라 씨씨디 구동모드를 결정하여 모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230)와, 이 모드 선택부(230)의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수직 구동 펄스(V1∼V4)를 가변하여 생성하는 타이밍 생성기(220)와, 이 타이밍 생성기(220)의 수직 구동 펄스(V1∼V4)에 따라 촬상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씨씨디(CCD)(210)로 구성한다.
상기 모드 선택부(230)는 하드웨어적인 세팅값을 모드 제어 신호로 출력하도록 점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씨씨디(CCD)(210)에서 원하는 감도 및 해상도에 따라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를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로 읽어 내기 위한 모드1, 모드2, 모드3을 구비한다.
상기 모드1 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2개의 인접 라인을 보간하여 촬상된 영상 신호를
읽어 내는 기능이다.
상기 모드2 는 2개의 인접 라인중 하나는 이븐 필드, 하나는 오드 필드의 영상 신호를 읽어 내는 기능으로 감도면과 해상도면에서 중간 정도의 성능을 나타낸다.
상기 모드3 은 2개의 인접 라인중 하나를 이븐 필드와 오드 필드의 영상 신호로 읽어내는 기능으로 해상도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렌즈를 통과한 빛이 씨씨디(210)에 주사되어 수광부(101)에 광전 변환된 신호가 축적되어 있을 때 선택 모드에 따른 모드 선택부(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220)가 수직 구동 펄스(V1)(V2)를 생성함에 의해 상기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를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수광부(101)의 축적 영상 신호를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전송하는 동작을 도6 내지 도9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면저, 사용자가 키 입력 도는 점퍼와 같은 하드웨어 세팅에 의해 모드1 이 선택된 경우 모드 선택부(230)는 모드1 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타이밍 생성기(220)에 출력하여 이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220)가 도3 과 같은 타이밍으로 수직 구동 펄스(V1)(V3)를생성하므로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씨씨디(210)를 구동하여 촬상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키 입력 도는 점퍼등의 세팅값에 의해 모드2 를 선택하면 모드 선택부(230)의모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타이밍 생성기(220)는 도6 과 같은 타이밍으로 수직 구동펄스(V1)(V3)를 생성하여 씨씨디(210)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도7 의 영상 라인 선택을 보인 예시도를 참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광부(101)에 영상 신호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드 선택부(230)의 제어를 받은 타이밍 생성기(220)가 도6 (a)(b)의 타이밍도와 같이 수직 구동 펄스(V1)만을 고레벨(약 +15V)로 출력하면 상기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는 도7 의 예시도에서 첫번째 필드와 같이 인접한 2개 라인중 하나 예로 1st, 3rd, 5th,... 과 같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하게 된다.
이 후,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영상 신호의 저장이 종료되면 타이밍 생성기(220)에서 수직 구동 펄스(V1∼V4)를 저레벨(약 -5V)로 출력함에 의해 상기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1주사선분씩 저장되어진다.
이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220)의 수평 구동 펄스(H1)(H2) 및 리셋 게이트 펄스에 의해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서 1주사선분의 영상 신호씩 순차적으로 출력 되어진다.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모두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을 통해 출력됨에 의해 이분(Even) 필드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이 후, 이븐(Even) 필드의 영상 신호가 도두 출력되면 타이밍 생성기(220)에서 도6(c)(d)의 타이밍도와 같이 수직 구동 펄스(V3)만을 고레벨(약 +15V)로 출력함에 의해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는 도7 의 예시도에서 두번째 필드와 같이 인접한 2개라인중 하나 예로, 2nd, 4th, 6th..... 과 같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영상 신호의 저장이 종로되면 타이밍 생성기(220)가 수직 구동 펄스(V1∼V4)를 저레벨(약 -5V)로 출력함에 의해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1주사선분씩 저장되어진다.
이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220)의 수평 구동 펄스(H1)(H2) 및 리셋 게이트 펄스에 의해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서 1주사선분의 영상 신호씩 순차적으로 출력되어진다.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모두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을 통해 출력점에 의해 오드(Odd) 필드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즉, 상기의 과정으로 출력된 2개 필드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 도는 점퍼등의 세팅값에 의해 모드3 을 선택하면 모드 선택부(230의 모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타이밍 생성기(220)는 도8 과 같은 타이밍으로 수직 구동펄스(V1)(V3)를 생성하여 씨씨디(210)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도9 의 영상 라인 선택을보인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광부(101)에 영상 신호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이밍 생성기(220)에서 도 8 (a)(b)의 타이밍도와 같이 수직 구동 펄스(V1)만을 고레벨(약-15V)로 출력하면 상기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는 도9 의 예시도에서 첫번째 필드와 같이 인접한 2개 라인의 영상 신호중 하나 예로, 1st, 3rd, 5th,... 과 같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하게 된다.
이 후,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영상 신호의 저장이 종료되면 타이밍 생성기(220)에서의 저레벨(약 -5V)안 수직 구동 펄스(V1∼V4)에 의해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1주사선분씩 저장 되어진다.
이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220)의 수평 구동 펄스(H1)(H2) 및 리셋 게이트 펄스에 의해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서 영상 신호가 1주사선분씩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모두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을 통해 출력됨에 의해 이분(Even) 필드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이 후, 이븐 필드의 영상 신호가 모두 출력되면 타이밍 생성기(220)가 도8 (c)(d)의 타이밍도와 같이 수직 구동 펄스(V1)만을 고레벨(약 +15V)로 출력함에 의해 수광부(101)에 축적된 영상 신호는 도9 의 예시도에서 두번째반재 필드와 같이 인접한 2개 라인의 영상 신호증 하나 예로,1st,3rd, 5th, 7th,.... 과 같이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영상 신호의 저장이 종료되면 타이밍 생성기(220)가 수직 구동 펄스(V1∼V4)를 저레벨(약 -5V)로 출력함에 의해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 전송되어 1주사선분씩 순차적으로 저장되어진다.
이에 따라, 타이밍 생성기(220)의 수평 구동 펄스(H1)(H2) 및 리셋 게이트 펄스에 의해 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에서 1주사선분의 영상 신호씩 순차적으로 출력 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직 전송 레지스터(102)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모두수평 전송 레지스터(103)을 통해 출력됨에 의해 오드(Odd) 필드의 영상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즉, 상기의 과정으로 출력된 2개 필드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모드3 의 동작에서 수직 구동 펄스(V1)만을 고레벨로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수직 구동 펄스(V1)만을 고레벨로 출력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환경이나 원하는 화질에 따라 씨씨디 구동을 가변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잇으므로 기기의 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키 입력 또는 점퍼의 세링에 따라 씨씨디 구동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라인 수단과, 이모드 선택 수단의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수직 구동 펄스(V1∼V4)중 펄스(V1)(V3)의 구동을 가변하는 타이밍 생성기와, 이 타이밍 생성기의 수직 구동 펄스(V1)(V3)에 따라 촬상된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씨씨디(CCD)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 생성기는 모드 선택 수단에서 모드2 를 판별한 경우 이븐 필드에서는 수직 구동 펄스(V1)만을 고레벨, 오드 필드에서는 수직 구동 펄스(V3)만을 고레벨로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밍 생성기는 모드 선택 수단에서 모드3 을 판별한 경우 이븐 필드와 오드 필드 모두에서 수직 구동 펄스(V1 또는 V3 )만을 고레벨로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KR1019960069446A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KR19980050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46A KR19980050611A (ko)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46A KR19980050611A (ko)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11A true KR19980050611A (ko) 1998-09-15

Family

ID=6638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446A KR19980050611A (ko) 1996-12-21 1996-12-21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6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125B1 (ko) * 2000-12-19 2002-11-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탑재용 선형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의 영상데이터처리방법
KR100676236B1 (ko) * 2003-07-16 2007-01-3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이밍 발생 장치, 고체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125B1 (ko) * 2000-12-19 2002-11-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탑재용 선형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의 영상데이터처리방법
KR100676236B1 (ko) * 2003-07-16 2007-01-3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이밍 발생 장치, 고체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000B1 (ko) 고체촬상장치의구동방법
KR920003654B1 (ko) 고속셔터 기능이 있는 고체 촬상소자
US5663761A (en)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with two channels
JPH0522668A (ja) 固体撮像装置
JP2595077B2 (ja) 撮像装置
EP0285894B1 (en) Imaging apparatus
JP2555986B2 (ja) 高感度テレビカメラ装置
JPH0946600A (ja) 撮像装置
KR19980050611A (ko) 디지탈 카메라의 씨씨디 구동 제어 장치
US6809770B1 (en) Imaging device and a digital camera having same
JP2988095B2 (ja) 固体撮像装置
JPS6259473A (ja) 固体撮像装置
JPH10285467A (ja) 撮像装置
JPS62291269A (ja) 固体カラ−撮像装置
JPH09233394A (ja) 撮像装置
JP2000308075A (ja) 撮像素子および撮像素子の駆動方法
KR19980080150A (ko) 고체 촬상 장치
JPH05504873A (ja) テレビ電話カメラのスループット圧縮方法及びテレビ電話カメラ
JP3607730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939869B2 (ja)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3598756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装置を用いた画像処理装置
JP3003760B2 (ja) 撮像装置
JP2573029B2 (ja) 固体撮像装置
JPH09326959A (ja) 撮像装置
JPS63268378A (ja) 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