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640A -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640A
KR19980049640A KR1019960068370A KR19960068370A KR19980049640A KR 19980049640 A KR19980049640 A KR 19980049640A KR 1019960068370 A KR1019960068370 A KR 1019960068370A KR 19960068370 A KR19960068370 A KR 19960068370A KR 19980049640 A KR19980049640 A KR 1998004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door
shaft
side panel
fix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640A/ko
Publication of KR1998004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640A/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리어 도어(2) 중앙 상부의 사이드 패널(1)내에 축(11)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모터(10); 상기 모터축(11)에 장착된 구동 기어(12); 상기 구동 기어(12)에 치합된 종동 기어(13); 상기 종동 기어(13)와 리어 도어(2)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된 고정축(14); 및 상기 리어 도어(2)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은 사이드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힌지축(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어 도어를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용 도어는 전부가 차체에 힌지연결되어 회동개폐되는데 반해서, 승합차량용 도어중에서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는 승용차용 도어와 마찬가지로 회동개폐되지만, 뒷좌석용인 리어 도어는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합차량의 운전석용 도어(4)는 그 앞부분이 차체에 힌지연결되어 회동식으로 개폐되는 반면에, 여러 명이 탑승할 수 있는 리어 도어(2)는 차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좌우로 슬라이딩식으로 이동되므로써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승합차량의 리어 도어(2)는 그 상단이 차체에 슬라이이딩되도록 연결되고, 리어 도어(2)의 슬라이딩 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3)이 사이드 패널(1)의 외측면·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어 도어(2)에는 가이드 레일(3)을 따라 회전이동되는 가이드 롤러(5)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리어 도어(2)가 닫혀 있을 때는 리어 도어(2)는 돌출되지 않고 차체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어 도어(2)를 앞으로 약간 당기면, 가이드 레일(3)의 양쪽 내측벽에 접촉되어 있지 않던 가이드 롤러(5)도 같이 이동되어, 가이드 레일(3)의 외측 내벽에만 접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리어 도어(2)를 일측 방향으로 밀면, 가이드 롤러(5)가 가이드 레일(3)의 외측 내벽과 마찰되면서 회전이동을 하게 되어, 리어 도어(2)가 슬라이딩되어 개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승합차량의 리어 도어(2)는, 외측으로 약간 빼낸 후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개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리어 도어(2)의 슬라이딩 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3)이 사이드 패널(1)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승합차량의 외관미를 저해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어 도어(2)는 강한 힘으로 밀어야만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므로, 슬라이딩되는 리어 도어(2)의 강한 관성력에 의해 탑승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리어 도어(2)에 부딪혀 부상을 입을 소지가 많은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승합차량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리어 도어를 슬라이딩식이 아닌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므로써, 외관미가 저해되는 요인을 삭제시킬 수 있는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리어 도어에 부딪혀 부상을 입을 우려도 없앨 수 있는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개폐장치가 리어 도어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동력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과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 패널, 2 : 리어 도어, 10 : 모터, 11 : 모터축, 12 : 구동기어, 13 : 종동 기어, 14 : 고정축, 15 : 힌지축, 16 : 베어링, 17 : 로킹장치, 18 : 스트라이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어 도어 중앙 상부의 사이드 패널내에 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장착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된 종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와 리어 도어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된 고정축; 및 상기 리어 도어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은 사이드 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어 도어의 측부에 승용차용 도어의 로킹장치와 동일한 로킹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로킹장치와 맞물리는 스트라이커가 사이드 패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리어 도어의 중앙 상부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리어 도어가 중앙을 기준으로 회전, 개폐되므로써, 리어 도어 개폐를 위한 종래의 가이드 레일과 같이 외부로 돌출되는 설비들이 필요없게 되므로, 승합차량의 외관미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개폐장치가 구비된 리어 도어를 나타낸 승합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주요부인 동력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과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어 도어(2)를 회전시켜 개폐하고, 또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인 모터(10)가 사이드 패널(1)의 내부에 장착되는데, 그 위치는 리어 도어(2)의 정중앙 상부이다. 특히, 모터(10)는 축(11)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구동 기어(11)가 모터축(11)에 장착되고, 종동 기어(12)가 구동 기어(11)에 치합된다. 종동 기어(12)에는 고정축(14)의 상단이 고정되고, 고정축(14)의 하단은 리어 도어(2)의 정중앙 상부에 고정된다.
한편, 리어 도어(2)의 하부는 힌지축(15)에 의해 사이드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힌지축(15)의 상단은 리어 도어(2)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베어링(16)에 의해 사이드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리어 도어(2)를 사이드 패널(1)에 로킹시키는 장치(17)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도어(2)의 양측부에 장착되고, 로킹장치(17)와 맞물리는 스트라이커(18)가 사이드 패널(1)에 설치된다.
여기서, 로킹장치(17)는 일반 승용차에서 사용되는 로킹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모터(10)를 구동시키면, 구동 기어(12)와 종동 기어(13)가 치합되면서 회전되어, 고정축(14)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리어 도어(2)가 정중앙을 기준으로 90°회전하고, 모터(10)가 정지되어 멈춤으로써, 리어 도어(2)의 양측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개방된 공간을 통해 승객이 출입하게 된다.
모터(10)를 반대로 구동시키면, 리어 도어(2)가 다시 역으로 90°회전되어, 닫히게 되면서, 로킹장치(17)가 스트라이커(18)에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도어(2)를 정중앙을 기준으로 90°회전시켜 개폐하게 되므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도어(2) 개폐를 위한 외부로 노출되는 다른 설비들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승합차량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10)에 의해 리어 도어(1)를 회전개폐하게 되므로써,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다가 자연적으로 움직이는 리어 도어(1)에 부딪혀 부상을 입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라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리어 도어 중앙 상부의 사이드 패널내에 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축에 장착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된 종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와 리어 도어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된 고정축; 및 상기 리어 도어의 하부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은 사이드 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리어 도어의 측부에 승용차용 도어의 로킹장치와 동일한 로킹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로킹장치와 맞물리는 스트라이커가 사이드 패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KR1019960068370A 1996-12-20 1996-12-20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KR1998004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70A KR19980049640A (ko) 1996-12-20 1996-12-20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70A KR19980049640A (ko) 1996-12-20 1996-12-20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640A true KR19980049640A (ko) 1998-09-15

Family

ID=6644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370A KR19980049640A (ko) 1996-12-20 1996-12-20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3188B2 (ja) 進入型ドア開閉装置及び動力ドア開閉装置
US7950719B2 (en) Vehicle dual hinge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system
KR20200037476A (ko) 유성기어감속기를 활용한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US6234565B1 (en) Dual action bifold door assembly
JPH05254346A (ja) 自動車スライドドアの案内装置
JP2007500103A (ja) 乗物
US3961660A (en) Door operating apparatus
KR19980049640A (ko) 승합차량의 회전식 리어 도어 개폐장치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JP3982954B2 (ja) 車両の開閉扉装置
KR20200027379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JPH0327000Y2 (ko)
KR0130673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레일 구조
KR19990011756A (ko) 차량의 도어 연동형 프론트 시트
JPH0357559Y2 (ko)
KR100226676B1 (ko) 스트래치 바디형 자동차의 리어도어 개폐장치
KR20210085691A (ko) 플러시 슬라이딩 다단 오픈 도어
JPS625931Y2 (ko)
JPH0421703Y2 (ko)
CN117863839A (zh) 一种汽车前门上翻结构
JP3041301U (ja) 乗降車時の頭打防止構造
DE59806702D1 (de) Schwenkschiebetür
JP2889451B2 (ja) サンルーフ装置の開閉駆動機構
JPH092062A (ja) サイドウィンドの開閉機構
JPS6337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