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477A -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477A
KR19980049477A KR1019960068192A KR19960068192A KR19980049477A KR 19980049477 A KR19980049477 A KR 19980049477A KR 1019960068192 A KR1019960068192 A KR 1019960068192A KR 19960068192 A KR19960068192 A KR 19960068192A KR 19980049477 A KR19980049477 A KR 19980049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lute pressure
pressure sensor
engine
manifold absolute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삼원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477A/ko
Publication of KR1998004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477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분사량제어, 연료분사시기제어, 점화시기제어 등의 엔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부하상태를 결정하는 지표가 되는 매니홀드절대압을 감지하는 센서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그 에러발생을 감지하여 매니홀드절대압과 대략적으로 비례하는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분사량제어방법은 연료량제어, 연료분사시기제어, 점화시기제어 등의 엔진제어방법에 있어서,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과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의 차가 일정값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양신호레벨의 차가 일정이상 차이가 날 때 매니홀드절대압센서의 에러로 판단하여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본 발명은 연료분사량제어, 연료분사시기제어, 점화시기제어 등의 엔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부하상태를 결정하는 지표가 되는 매니홀드절대압을 감지하는 센서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그 에러발생을 감지하여 매니홀드절대압과 대략적으로 비례하는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실린더에서 연소작용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가 실린더에 공급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의 양은 엔진부하상태를 결정하는 주요한 지표가 되고 흡입공기량을 측정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흡입매니홀드의 절대압력과 엔진회전수로 부터 1사이클당 흡입공기량을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입공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엔진의 경우에는 매니홀드절대압이 엔진부하를 결정하는 주요한 지표가 되고 매니홀드절대압에 의해서 연료분사량, 연료분사시기, 점화시기 등의 엔진제어가 행해진다.
상기와 같은 중요한 인자를 감지하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가 고장은 나지 않았지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매니홀드절대압센서가 매니홀드절대압을 정확하지 감지하지 않을 때에도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그 매니홀드절대압을 근거로 엔진제어를 하기 때문에 엔진의 부조(不調)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은 매니홀드절대압센서가 완전히 고장난 경우에 엔진제어를 하는 수단은 구비되어 있으나 매니홀드절대압센서가 에러를 발생하는 경우에 대처하는 수단은 구비되지 않아서 연료분사량, 연료분사시기, 점화시기등이 맞지 않아 엔진의 부조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부하를 결정하는 지표가 된 매니홀드절대압을 감지하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서 에러를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적절히 대처하여 엔진의 부조현상을 방지하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은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과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의 차가 일정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양신호레벨의 차가 일정이상 차이가 날 때 매니홀드절대압센서의 에러로 판단하여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연료분사량, 연료분사시기, 점화시기 등을 제어하는 일반적인 엔진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ECU 2. 인젝타
3. 점화장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연료분사량, 연료분사시기, 점화시기 등을 제어하는 일반적인 엔진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플로우챠트이다.
ECU(1)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 스로틀포지션센서, 엔진회전수센서등 각종 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인젝타(2)를 제어하여 연료분사량제어와 연료분사시기제어을 하고 점화장치(3)를 제어하여 점화시기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ECU(1)는 우선 매니홀드절대압센서로 부터의 신호레벨을 감지한다(제1단계. S1).
매니홀드절대압센서는 매니홀드절대압에 대응하는 신호를 ECU(1)에 출력한다. 상기 신호는 전압신호이므로 그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이어서 ECU(1)는 스로틀포지션센서로 부터의 신호레벨을 감지한다(제2단계, S2).
스로틀포지션센서는 스로틀개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ECU(1)에 출력한다. 상기 신호도 전압신호이므로 그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ECU(1)는 상기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과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의 차가 일정이상인지를 판단한다(제3단계, S3).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과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은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따라서 매니홀드절대압센서가 정상일 때의 그 차이의 범위를 시험에 의하여 구하고 그 범위의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정상적인 경우에 신호레벨차이가 0.3 V 인 경우에 상기 일정값을 0.5 V로 정하여 그 이상의 레벨차이가 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양신호레벨의 차이가 일정값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ECU(1)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의 에러로 판단하여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라 엔진을 제어한다(제4단계, S4).
스로틀개도는 흡입공기량과 대략적으로 비례하므로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른 엔진부하를 미리 설정, 매핑(mapping)하여 놓고 매니홀드절대압센서의 에러발생시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른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료분사량제어, 연료분사시기제어, 점화시기제어 등을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니홀드절대압센서가 완전히 고장난 경우에도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고장인 경우에는 신호레벨이 0 이다)과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의 차이가 일정값이상이 되므로 ECU(1)는 적절하게 엔진제어를 할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은 매니홀드절대압센서의 에러발생시에도 연료분사량제어, 연료분사시기제어, 점화시기제어등 적절하게 엔진을 제어하므로 엔진의 부조현상을 방지하고 불완전연소로 인한 유해가스의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니홀드절대압센서가 완전히 고장난 경우에도 적절하게 엔진을 제어할수 있으므로 엔진의 스톨(stall)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도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 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및 변형예는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연료량제어, 연료분사시기제어, 점화시기제어 등의 엔진제어방법에 있어서,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매니홀드절대압센서신호레벨과 스로틀포지션센서신호레벨의 차가 일정값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양신호레벨의 차가 일정이상 차이가 날 때 매니홀드절대압센서의 에러로 판단하여 스로틀개도와 엔진회전수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KR1019960068192A 1996-12-19 1996-12-19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KR19980049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192A KR19980049477A (ko) 1996-12-19 1996-12-19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192A KR19980049477A (ko) 1996-12-19 1996-12-19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477A true KR19980049477A (ko) 1998-09-15

Family

ID=6644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192A KR19980049477A (ko) 1996-12-19 1996-12-19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4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988B1 (ko) * 1999-12-30 2002-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로틀 위치 센서가 없는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988B1 (ko) * 1999-12-30 2002-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로틀 위치 센서가 없는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132B1 (ko) 홀수개의실린더를구비한4행정내연기관에서의위상각결정방법
US5213081A (en) Misfire sensing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92377B1 (ko) 이온전류에 의한 내연기관의 노킹 검출방법
US72005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control uni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86148A (e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engine
US4607523A (en) Crank angle detecting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44246A (ja) エンジンの異常診断装置
JP4460077B2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49477A (ko) 매니홀드절대압센서에러발생시 엔진제어방법
GB2366004A (en) A method for diagnosing cylinder bank dependant or cylinder bank independent fault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7091458A1 (ja) 内燃機関の燃焼状態判定方法
JP3502206B2 (ja) 内燃機関の図示平均有効圧検出装置
JPH0565841A (ja) 内燃機関の異常診断装置
KR100435694B1 (ko) 흡입 공기량 측정방법 및 시스템
KR100295852B1 (ko) 맵센서고장시맵값대치방법
KR100427267B1 (ko) 차량의 엔진 공회전 제어방법
JPH07293310A (ja) エンジン誤制御禁止方法
JP2502500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154304B2 (ja) イオン電流によるリーン限界制御方法
JP2583116Y2 (ja) 車両用エンジンの燃料供給停止装置
KR100222852B1 (ko) 연료 분사 제어 방법
JPH01216051A (ja) 車両用内燃機関のフェールセーフ装置
KR100251912B1 (ko) 엔진실화감지방법
KR100290363B1 (ko) 비동기 분사량의 이원화 보정방법
KR100422652B1 (ko) 차량의 흡기온센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