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703A -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703A
KR19980048703A KR1019960067340A KR19960067340A KR19980048703A KR 19980048703 A KR19980048703 A KR 19980048703A KR 1019960067340 A KR1019960067340 A KR 1019960067340A KR 19960067340 A KR19960067340 A KR 19960067340A KR 19980048703 A KR19980048703 A KR 1998004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oil
engine
pa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6788B1 (ko
Inventor
백성윤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7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6Means for keeping lubricant level constant or for accommodating movement or position of machines or engines
    • F01M11/061Means for keeping lubricant level cons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58Lubricant filling and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2250/00Measuring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오일이 부족시 발생되는 공기혼입, 부재의 과열 및 소착 현상등 윤활계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 오일 소모로 인한 부족량을 자동으로 보충시켜 주는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엔진의 각 운동 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과;
상기 오일팬보다 높은 위치 에너지를 가지며 여분의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엔진 오일을 오일팬으로 공급하는 오일 보충관로와;
상기 오일팬내의 엔진 오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구와; 및
상기 오일팬내의 엔진 오일량이 하한치 이하로 내려갈 때 상기 부구에 의해 상기 오일 보충 관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밸브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본 발명은 엔진 오일의 소모로 인한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한 엔진 오일 자동보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각 운동 부위에는 마모 및 과열 방지를 위해 오일 펌프를 구동하여 엔진 오일을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각 운동 부위에 공급되는 오일은 마찰열에 의해 소실 되거나 특히 피스톤 냉각시 연소실에 침입하여 소실되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하면 엔진 오일량의 부족을 초래하게 되며 엔진 오일량의 부족은 곧바로 엔진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게 되므로 엔진 오일량의 부족시 계기판의 표시기를 가동시켜 운전자에게 이를 고지하고 있다.
그러나 엔진 오일량의 부족을 경고하는 경고등이 고장나거나 또는 경고등이 켜졌어도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거나 고속도로 등을 운행중이어서 엔진 오일의 보충이 여의치 아니한 경우 윤활계에 공기가 침입하고 과열에 의한 소착 현상 등을 일으키거나 최소한 잔류 오일의 열화를 촉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엔진 오일이 부족시 발생되는 공기혼입, 부재의 과열 및 소착 현상등 윤활계에 치명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 오일 소모로 인한 부족량을 자동으로 보충시켜 주는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는
엔진의 각 운동 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과;
상기 오일팬보다 높은 위치 에너지를 가지며 여분의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엔진 오일을 오일팬으로 공급하는 오일 보충곤로와;
상기 오일팬내의 엔진 오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구와; 및
상기 오일팬내의 엔진 오일량이 하한치 이하로 내려갈 때 상기 부구에 의해 상기 오일 보충 관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밸브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오일의 자동 보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일팬2 : 리저버 탱크
3 : 오일 보충관로4 : 밸브
5 : 시이소오 레버6,8,9 : 힌지
7 : 브라켓트10 : 레버
11 : 부구12 : 갈고리
13 : 리턴스프링14 : 스프링 리테이너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과 2 는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중 부호1은 엔진의 각 운동부위의 윤활을 위해 공급하는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이며 부호 2는 오일팬(1)내의 엔진 오일량의 부족시 이를 보충하기 위한 여분의 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리저버 탱크로서 리저버 탱크(2)는 오일팬(1)보다 높은 위치에너지를 갖도록 설치되며 오일 보충관로(3)를 통하여 오일팬(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오일 보충관로(3)는 밸브(4)에 의해 개폐되어지며 밸브(4)의 상단은 시이소오레버(5)의 일단에 힌지(6)로 접속되어있다.
상기 시이소오 레버(5)는 브라켓트(7)상에 그의 중앙부가 힌지(8)로 회동 가능하게 정착되며 시이소오 레버(5)의 타단에는 역시 힌지(9)에 회동 가능하게 레버(10)가 접속되며 레버(10) 끝에는 부구(11)가 달려 있다.
그리고 상기 부구(11)는 오일팬(1)내에 수용되어 엔진 오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레버(10)의 힌지(9)에 가까운 하단에는 갈고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갈고리(12)는 부구(11)가 하강하여 레버(10)의 경사각이 어느 한도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시이소오 레버(5)를 밀어올려 힌지(8)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도시 상태 기준)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엔진 오일이 과도하게 소모되어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면 갈고리(12)에 의해 시이소오 레버(5)가 시계방향 회동하여 밸브(4)를 하강시켜 오일 보충관로(3)가 개방되면 리저버 탱크(2)내의 엔진 오일은 중력에 의해 오일팬(1)내로 흘러들어 자동으로 부족분을 보충하게 되며 엔진 오일의 수위가 상승하면 부구(11)도 상승하며 레버(10)는 수평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따라 시이소오 레버(5)로부터 갈고리(12)는 벗어나게 되며 리턴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4)가 상승하여 시이소오 레버(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엔진 오일이 공급되어 엔진 오일의 수위가 하한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밸브(4)는 리턴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오일 보충관로(3)를 완전히 폐쇄하여 더 이상의 엔진 오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며 리저버 탱크(2)내의 오일은 엔진 오일의 열화로 인한 교체시 보충하여 준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는 스프링 리테이너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여분의 엔진 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리저버 탱크를 설치하고 오일팬내의 엔진 오일량이 하한치 이하로 내려가면 이에 연동하는 부구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리저버 탱크내의 엔진 오일을 오일팬내에 자동으로 공급하여 항상 적정량을 유지토록 하므로써 차량 운행중 엔진 오일의 부족으로 인한 엔진 손상을 방지하고 오일열화 속도를 늦춰 오일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게 되므로써 폐오일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엔진의 각 운동 부위에 공급하기 위한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과;
    상기 오일팬보다 높은 위치 에너지를 가지며 여분의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리저버 탱크내의 엔진 오일을 오일팬으로 공급하는 오일 보충관로와;
    상기 오일팬내의 엔진 오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구와; 및
    상기 오일팬내의 엔진 오일량이 하한치 이하로 내려갈 때 상기 부구에 의해 상기 오일 보충 관로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밸브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시이소오 레버의 일단에 힌지 접속되며 시이소오 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부구가 장착된 레버가 힌지 접속되므로써 엔진 오일량이 기준치 이하로 하강시 회동하는 시이소오 레버에 의해 상기 밸브가 눌려져서 오일 보충관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가 정착된 레버에는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부구가 기준치 이하로 하강시 상기 갈고리가 시이소오 레버를 밀어올려 회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상승시 오일 보충 관로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의 복귀 수단은 리턴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KR1019960067340A 1996-12-18 1996-12-18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KR100216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340A KR100216788B1 (ko) 1996-12-18 1996-12-18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340A KR100216788B1 (ko) 1996-12-18 1996-12-18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03A true KR19980048703A (ko) 1998-09-15
KR100216788B1 KR100216788B1 (ko) 1999-09-01

Family

ID=1948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340A KR100216788B1 (ko) 1996-12-18 1996-12-18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7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05B1 (ko) * 1999-04-22 2002-08-14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오일 자동공급 시스템
KR100535457B1 (ko) * 2002-12-09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제어장치
KR101699695B1 (ko) * 2016-06-03 2017-01-25 동화윈 (주) 컴프레셔용 오일탱크의 오일레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05B1 (ko) * 1999-04-22 2002-08-14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오일 자동공급 시스템
KR100535457B1 (ko) * 2002-12-09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제어장치
KR101699695B1 (ko) * 2016-06-03 2017-01-25 동화윈 (주) 컴프레셔용 오일탱크의 오일레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6788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788B1 (ko)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US5494013A (en) Engine pre-lubricating system
JP5044478B2 (ja) オイル貯留装置
KR100534893B1 (ko) 리저버탱크가 추가된 상용차용 냉각수 순환시스템
US3570629A (en) Installation for the automatic refiling of lubricating oil
US1632994A (en) Cooling system for automobiles
US2808102A (en) Anti-loading carburetor attachment
KR0180586B1 (ko) 건식 석탄가스화기의 슬랙 냉각장치
KR100398522B1 (ko) 엔진 오일의 보충 장치
US20030062222A1 (en) Engine pre-lubrication system
KR100409570B1 (ko) 엔진오일의 보충장치
KR19990058232A (ko) 차량의 엔진오일 자동 보충장치
KR20000014143U (ko) 엔진오일 자동보충장치
KR19980074534A (ko) 차량의 냉각수 자동보충장치
KR970044210A (ko) 엔진오일 보충용 보조 탱크가 설치된 엔진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9980026586A (ko) 엔진오일의 자동보충장치
US1397523A (en) Fuel-reserve-supply system for self-propelled vehicles
KR100957276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0412567B1 (ko) 오일팬의 엔진오일 자동 보충 공급시스템
KR100528198B1 (ko) 오일팬의 오일 드레인 구조
KR970003226Y1 (ko) 엔진 오일 자동 보충장치
GB2312838A (en) Overflow arrangement for a water cistern, tank, bath, sink etc.
KR19980038626U (ko) 냉각수의 보충시기 경고장치
KR950004730B1 (ko) 자동차의 엔진 오일 자동 교환장치
KR200187942Y1 (ko) 오일팬용 보조오일 탱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