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677U -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677U
KR19980048677U KR2019960061842U KR19960061842U KR19980048677U KR 19980048677 U KR19980048677 U KR 19980048677U KR 2019960061842 U KR2019960061842 U KR 2019960061842U KR 19960061842 U KR19960061842 U KR 19960061842U KR 19980048677 U KR19980048677 U KR 199800486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receiving
supporting
fix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3808Y1 (ko
Inventor
권진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08Y1/ko
Publication of KR19980048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6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적재함(10)의 바닥(11)에 다수의 수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수용홈(12)에 화물고정수단(2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수용홈(12)은 제 1수용부(12a) 및 제 2수용부(12b)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12)의 양측에는 각각의 고정구멍(13a,14a)이 천공된 측벽(13,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수용홈(12)의 수용부(12a)에서 회동가능한 자체지지부(21a) 및 화물을 지지하는 화물지지부(21b)를 포함하며, 상기 자체지지부(21a)와 화물지지부(21b) 사이에는 회동핀(23)에 의해 상기 수용홈(12)의 양측벽(13,1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물을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 적재함에 고정시킬 수 있어 내용물 및 포장박스의 손상없이 적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물밀림방지장치가 설치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에는 예컨대 데크(deck)라 칭하는 화물적재함이 제공된다. 이같은 화물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 1에 따르면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은 일반적으로 장방형을 이루며 적재함바닥(1), 2개의 측방도어(2,3) 및 후방도어(4)로 구성된다.
적재함바닥(1)은 대개 화물의 적절한 적재를 위해 평탄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바닥(1)이 평탄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화물이 적재함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는 경우, 즉, 소형화물이 적재함의 일부만을 점유하는 경우 자동차의 주행중 화물(L)의 유동이 발생되며, 이같은 유동으로 인해 화물의 내용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따라,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시켜왔으나, 이는 번거로울 뿐 아니라 또한 로프의 장력으로 인해 화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되는 화물의 유동 및 미끄럼이 방지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화물을 적절히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화물적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화물자동차의 화물적재함에 있어서, 화물적재함의 바닥에 다수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수용홈에 화물고정수단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수용홈은 제 1수용부 및 제 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는 각각의 고정구멍이 천공된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용홈의 수용부에서 회동가능한 자체지지부 및 화물을 지지하는 화물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체지지부와 화물지지부 사이에는 회동핀에 의해 상기 수용홈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및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도 2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따른 화물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물적재함11: 적재함바닥
12: 수용홈13,14: 측면
20:고정장치21: 본체
22: 고정부23: 회동핀
25: 지지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2A에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및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물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화물고정장치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에는 화물고정장치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내지 도 4B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적재함(10)에는 다수의 화물고정장치(20)가 적재함바닥(1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적재함(10)의 바닥(11)에는 다수의 수용홈(12)이 절취형성되는 바, 상기 수용홈(12)은 제 1수용부(12a) 및 제 2수용부(12b)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수용부(12a)의 깊이가 제 2수용부(12b)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2)의 양측면(13,14)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화물고정장치의 회동핀(23)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멍(13a,14a)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화물고정장치(20)는 비교적 강도가 강한 본체(2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1)의 적정위치에는 본체(21)의 회동시 회동축을 형성하는 고정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2)에는 관통구멍(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20)의 본체(21)는 적재함(10)의 바닥(11)에 형성된 수용홈(12)에 회동핀(23)에 의해 고정되는 바, 상기 회동핀(23)의 헤드(23a)는 상기 적재함(10)의 바닥(11)에 형성된 수용홈(12)의 일측변(13)에 접하며, 회동핀(23)의 체결부(23b)는 타측변(14)의 고정구멍(14a)에 체결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20)의 본체(21)는 자체지지부(21a) 및 화물지지부(21b)로 구분되는 바, 상기 화물지지부(21b)는 사용시 상방으로 돌출되어 화물(L)을 직접 지지하며, 자체지지부(21a)는 본체(21) 자체를 회동시키거나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홈(12)의 제 1수용부(12a)의 평면에는 돌출부(12c)가 형성되어 본체(21)를 안정되게 수직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20)의 본체(21)에는 지지편(25)이 절취형성되는 바, 상기 지지편(25)은 물론 상기 회동핀(2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이같은 지지편(25)은 화물의 고정시 화물의 충격으로 인해 본체(21)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개시 제 1수용부(12a)의 상부면에 지지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가 설치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에 의하면, 먼저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화물을 적재함(10)의 바닥(11)의 적정위치에 배치한 후 화물을 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된 화물고정장치(20)의 본체(21)를 수직상태로 회동시켜 화물(L)을 지지한다. 이때 본체(21)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본체(21)의 자체지지부(21a)를 누르면 자체지지부(21a)가 하방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화물지지부(21b)가 바닥(11)으로부터 돌출 회동된다.
또한 상기 본체(21)가 거의 수직상태로 회동되면 자체지지부(21a)의 일측부가 제 1수용부(12a)의 돌출부(12c)를 약간의 탄성 접촉상태로 통과 하게되며 이후 완전 수직상태를 이루면 상기 돌출부(12c)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본체(21)에 지지편(25)이 형성된 경우에는 본체(21)를 수직 상태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지지편(25)을 본체(21)에 대해 회동시켜 제 1수용부(12a)의 상부에 거의 접하게 지지시키면, 화물의 충격으로 인해 회동핀(23)이 후방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화물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면,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정위치에 설치된 화물고정장치를 회동시켜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어, 화물의 요동으로 인한 내용물의 손상이 방지되며, 또한 로프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한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화물자동차의 화물적재함에 있어서, 화물적재함(10)의 바닥(11)에 다수의 수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수용홈(12)에 화물고정수단(2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수용홈(12)은 제 1수용부(12a) 및 제 2수용부(12b)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12)의 양측에는 각각의 고정구멍(13a,14a)이 천공된 측벽(13,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수용홈(12)의 수용부(12a)에서 회동가능한 자체지지부(21a) 및 화물을 지지하는 화물지지부(21b)를 포함하며, 상기 자체지지부(21a)와 화물지지부(21b) 사이에는 회동핀(23)에 의해 상기 수용홈(12)의 양측벽(13,14)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2)의 제 1수용부(12a)에는 상기 고정수단(20)의 자체지지부(21a)를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부(1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고정장치(20)의 본체(21)의 중앙부에는 수직 상태에서 본체(21) 및 회동핀(2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25)가 회동가능하게 절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KR2019960061842U 1996-12-30 1996-12-30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KR200143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42U KR200143808Y1 (ko) 1996-12-30 1996-12-30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42U KR200143808Y1 (ko) 1996-12-30 1996-12-30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677U true KR19980048677U (ko) 1998-09-25
KR200143808Y1 KR200143808Y1 (ko) 1999-06-15

Family

ID=1948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842U KR200143808Y1 (ko) 1996-12-30 1996-12-30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08B1 (ko) * 2001-07-11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화물유동방지장치
KR100416904B1 (ko) * 2001-04-23 2004-02-05 조섬연 빗물유입방지홈이 설치된 바닥구조를 갖는 윙바디트럭 적재함
CN115339518A (zh) * 2022-09-16 2022-11-15 重庆骏普康实业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汽车货箱支架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04B1 (ko) * 2001-04-23 2004-02-05 조섬연 빗물유입방지홈이 설치된 바닥구조를 갖는 윙바디트럭 적재함
KR100405608B1 (ko) * 2001-07-11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화물유동방지장치
CN115339518A (zh) * 2022-09-16 2022-11-15 重庆骏普康实业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汽车货箱支架结构
CN115339518B (zh) * 2022-09-16 2024-02-02 重庆骏普康实业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汽车货箱支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3808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3445A1 (en) Logistics bracket for use in securing and decking freight
KR200143808Y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US6575679B2 (en) Secure accessory system for a truck box
KR200173343Y1 (ko) 트럭 적재함의 잠금장치
KR0137572Y1 (ko) 컨테이너 수송화차의 컨테이너 록킹 장치
KR100424012B1 (ko) 길이가 가변되는 트럭 적재함
KR19980040861U (ko) 자동차의 트렁크내 화물 지지장치
JP4015585B2 (ja) 異なる輸送手段に搭載可能なコンテナシステム
JP2006347356A (ja) 車両のトランクルーム構造
KR200247754Y1 (ko) 윙바디트럭 적재함의 바닥구조
KR100416904B1 (ko) 빗물유입방지홈이 설치된 바닥구조를 갖는 윙바디트럭 적재함
KR0156072B1 (ko) 공간활용을 위한 개선된 트렁크 구조
KR100257514B1 (ko) 화물차용 적재함구조
KR19990009515U (ko) 공구함을 구비한 트렁크 보드
KR19980051846U (ko) 격판이 구비된 트렁크 룸
KR0119122Y1 (ko) 트럭용 캐리어
KR19980062971A (ko) 자동차의 트렁크내 화물 지지대
KR200143810Y1 (ko) 화물자동차용 적재함
KR19990024596U (ko) 트럭의 적재함
KR19980051420U (ko) 상용차 적재함 구조
KR20040051250A (ko) 차량에 구비된 선반
JP5094706B2 (ja) 車両の荷室内面構造
KR200194317Y1 (ko) 암롤콘테이너의 운송용 특수화차
KR19980021833U (ko)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고리
KR19980077706A (ko) 화물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