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468A -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468A
KR19980047468A KR1019960065962A KR19960065962A KR19980047468A KR 19980047468 A KR19980047468 A KR 19980047468A KR 1019960065962 A KR1019960065962 A KR 1019960065962A KR 19960065962 A KR19960065962 A KR 19960065962A KR 19980047468 A KR19980047468 A KR 19980047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file
data
memory block
facsi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봉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468A/ko
Publication of KR1998004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468A/ko

Links

Landscapes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시 낭비되는 메모리를 줄인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럭들에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에 사용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팩시밀리의 데이타가 파일과 페이지로 구성됨에 따라 팩시밀리의 메모리의 메모리 블럭은 페이지 단위로 관리된다. 상기 메모리 블럭은 메모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메모리를 세분하여 사용할 경우의 메모리의 세분된 조각을 나타낸다.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는 다수의 페이지로 나뉜후, 각 페이지에 해당하는 데이타에 대응한 메모리 블럭들에 페이지 단위로 라이트된다.
이에따라 종래에 팩시밀리의 중앙처리장치가 데이타를 메모리에서 리드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데이타를 메모리에 라이트할 때에 사용된 다수의 제어테이블을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상기 제어테이블은 크게 파일 제어테이블, 페이지 제어테이블, 블럭 제어테이블 등이 있다. 상기 파일 제어테이블은 파일에 대한 관리테이블로서 송수신 시간, 총 페이지, 파일 특성, 첫 페이지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페이지 제어테이블은 한 파일에 대한 페이지들에 대한 관리테이블로서 페이지의 부호화방식, 해상도, 페이지의 순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블럭 제어테이블은 한 페이지의 데이타가 메모리에 라이트될 경우에 할당되는 메모리 블럭의 인덱스 및 순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 팩시밀리의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제어테이블들을 이용하여 메모리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중앙처리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파일의 첫 번째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파일 제어테이블에서 리드한다. 상기 파일 제어테이블에서 첫 번째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리드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첫 번째 페이지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페이지 제어테이블에서 첫 번째 메모리 블럭에 대한 정보를 리드한다. 상기 첫 번째 메모리 블럭에 대한 정보를 리드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첫 번째 메모리 블럭에 대한 정보가 가르키는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되어 있는 정보를 리드하여 처리한다. 이후 다시 블럭 제어테이블에서 다음 메모리 블럭에 대한 정보를 리드하여 다음 메모리 영역에 라이트되어 있는 정보를 리드하여 처리한다. 이와같은 과정을 거쳐 한 페이지에 대한 모든 메모리 블럭이 리드되어 처리되면 다음 페이지 대한 정보를 페이지 제어테이블에서 리드하고, 다시 다음 페이지의 모든 메모리 블럭을 리드하여 처리한다. 이와같은 과정을 거쳐 중앙처리장치가 한 파일에 대한 모든 페이지의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리드하여 처리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은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를 다수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함에 따라 각 페이지의 마지막 메모리 블럭에 라이트되는 데이타 량이 적게 되면, 마지막 메모리 블럭을 모두 다 사용되지 않은 채 낭비되었다.
상기와 같이 낭비되는 메모리 블럭은 한 파일에 대한 페이지 수가 많을수록 더 증가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은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를 다수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함에 따라 각 페이지의 마지막 메모리 블럭에 라이트되는 데이타 량이 적을 경우에 메모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한 파일에 대한 페이지수가 많을 수록 메모리의 낭비는 악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낭비되는 메모리의 양을 줄이는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의 팩시밀리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팩시밀리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럭들에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메모리 손실을 줄여 메모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메모리 블럭을 파일 단위로 관리한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 블럭을 파일 단위로 관리하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통상의 팩시밀리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 도 1이다.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2)는 중앙처리장치(10)의 동작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 제어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조작패널(14)은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와 표시장치를 가지며,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에 인가하고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팩시밀리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스캐너(16)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원고 화상에 따른 화상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로 출력한다. 스캐너(1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처리되어 메모리부(12)에 저장되며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18)에 의해 전송되거나 프린팅부(22)에 의해 프린트된다. 모뎀(18)은 중앙처리장치(10)의 출력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조하여 NCU(Network Control Unit)(20)를 통해 전송로를 통해 송신하며 수신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복조한다. NCU(2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전송로와 모뎀(18)간의 라인을 형성한다. 프린팅부(22)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화상을 프린트한다. 센서부(24)는 원고 및 기록지의 상태를 중앙처리장치(10)에 알린다.
상기 메모리 블럭을 파일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제어테이블을 나타낸 것이 표 1이다. 표 1의 파일 제어테이블은 메모리(12)에 구비된다.
파일 첫 번째 메모리 블럭위치 파일 특성 총 페이지
제1파일 $0000 Rx 7
제2파일 $0006 Delay Tx 13
제3파일 $0004 Rx 4
?/CEL> ?/CEL> ?/CEL> ?/CEL>
상기 파일 제어테이블은 각 파일에 대한 관리테이블로서 파일의 첫 번째 메모리 블럭 위치와 파일 특성, 총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첫 번째 메모리 블럭위치는 각 파일이 시작되는 메모리 블럭의 위치를 나타낸다. 파일 특성은 각 파일의 속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Rx, Delay Tx, Polling, Broadcasting 파일 등을 표시한다. 총 페이지는 각 파일의 총 페이지를 나타낸다.
상기 메모리 블럭을 파일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 제어테이블을 나타낸 것이 표 2이다. 표 2의 블럭 제어 테이블은 메모리(12)에 구비된다.
메모리 블럭 메모리 블럭 인덱스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
0 $0000 $000E
1 $0002 $FE00
2 $0004 $0002
3 $0006 $FF00
4 $0008 $0024
?/CEL> ?/CEL> ?/CEL>
블럭 제어테이블은 메모리 블럭 인덱스와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를 가진다. 메모리 블럭 인덱스는 메모리(12)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메모리(12)를 임의의 사이즈로 블럭화할 때에 각 메모리 블럭에 할당된 인덱스로서 메모리(12)의 위치를 표시한다.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메모리 블럭의 다음 메모리 블럭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블럭이 마지막 메모리 블럭인 경우에는 특정표시를 사용하여 마지막 메모리 블럭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블럭일 경우에도 특정표시를 사용하여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블럭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지막 메모리 블럭임을 나타내는 특정표시를 $FEOO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블럭임을 나타내는 특정표시를 $FF00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단위로 메모리 블럭을 관리한다는 것은 하나의 파일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라이트함에 있어서, 페이지 단위로 나누지 않고 메모리(12)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파일 제어테이블과 블럭 제어테이블이 구성될 경우에 팩시밀리의 중앙처리장치(10)가 메모리(12)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10)가 표 1의 제3파일을 처리하는 경우에 제3파일의 첫 번째 메모리 블럭위치가 $0004이므로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 블럭 2에 해당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기 메모리 블럭 2의 데이타의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가 $0002이므로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 블럭 1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기 메모리 블럭 1의 데이타의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가 $FE00이므로,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 블럭 1이 마지막 메모리 블럭임을 인지하고 제3파일에 대한 데이타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를 처리함에 있어서, 한 메모리 블럭안에 두 페이지에 대한 데이타가 걸쳐서 존재할 수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서는 한 페이지의 종료시마다 특정 데이타를 삽입하여 페이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CITT 권고안 T.4에는 전송 페이지 종료시마다 RTC(Return To Control)신호를 발생하여 전송 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서는 RTC신호를 한 페이지의 종료를 구별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한다. 즉 데이타 라이트시 전송 데이타외에 RTC신호도 저장하여 리드시 RTC신호가 나타나면 페이지를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RTC신호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처리방법을 도시한 것이 도 2이다. 중앙처리장치(10)가 메모리(12)의 데이타를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 도 2의 (2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12)안의 파일 제어테이블에서 첫 번째 블럭위치를 리드한다. 상기 첫 번째 블럭위치의 리드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2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8)단계에서 첫 번째 블럭위치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기 데이타 처리를 수행하면서 중앙처리장치(10)는 (3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0)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RTC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RTC신호가 발생하였으면 (32)단계를 수행하고, RTC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3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페이지 분리를 수행한다. 상기 페이지 분리가 수행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3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3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해당 메모리 블럭의 끝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해당 메모리 블럭의 끝이면 (38)단계를 수행하고, 해당 메모리 블럭의 끝이 아니면 (3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36)단계에서 중앙처리 장치(10)는 해당 메모리 블럭 영역의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기 해당 메모리 블럭 영역의 데이타 처리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3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처리한 메모리 블럭이 마지막 메모리 블럭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마지막 메모리 블럭의 검색은 블럭 제어테이블에서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가 $FE00인지를 검색함으로서 가능하다. 즉, 중앙처리장치(10)는 블럭 제어테이블에서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가 $FE00이면 종료하고,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가 $FE00이 아니면 (4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0)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블럭 제어테이블에서 다음 메모리 블럭의 위치를 나타내는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를 리드한다. 상기 리드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4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다음 메모리 블럭 인덱스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타를 처리한다. 상기 데이타의 처리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3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를 관리함에 있어서, 파일단위로 메모리 블럭을 관리한다. 이에따라 한 파일내에서 낭비될 수 있는 메모리 블럭은 하나만이 발생한다. 즉 한 파일의 마지막 메모리 블럭만이 라이트될 데이타량이 적을 경우에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파일단위로 메모리 블럭을 관리함에 따라, 사용되지 않아 낭비될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는 메모리 블럭은 한 개만 발생한다. 이에따라 종전에 페이지 단위로 메모리 블럭을 관리함에 따라 한 파일안에 포함된 페이지의 수만큼 낭비될 수 있는 메모리 블럭이 발생되었던 것에 비하여 낭비되는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따라 메모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있어서,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에 대응하는 메모리 블럭에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다수의 메모리 블럭으로 세분화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가,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면, 각 페이지의 종료시마다 페이지의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4.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있어서,
    한 파일에 대한 데이타를 메모리에 라이트하는 데이타 라이트 단계와,
    상기 데이타 라이트를 수행하면서 첫 번째 메모리 블럭에 대한 인덱스를 파일 제어테이블에 저장하는 파일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데이타 라이트를 수행하면서 데이타가 라이트되어 있는 메모리 블럭과 다음 메모리 블럭의 인덱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럭 정보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 저장단계가,
    파일 특성, 총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데이타 라이트 단계가,
    데이타 중에 RTC신호가 있을 경우에 상기 RCT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데이타 처리시 RTC 신호가 발생하면 페이지를 분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KR1019960065962A 1996-12-14 1996-12-14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KR19980047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62A KR19980047468A (ko) 1996-12-14 1996-12-14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62A KR19980047468A (ko) 1996-12-14 1996-12-14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468A true KR19980047468A (ko) 1998-09-15

Family

ID=6652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962A KR19980047468A (ko) 1996-12-14 1996-12-14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682B1 (ko) * 1997-04-09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의메모리간접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682B1 (ko) * 1997-04-09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의메모리간접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1297A (en) Picture image processing system for entering batches of original documents to provide corresponding picture image datafiles
JP2000196787A5 (ko)
JPH0226806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47468A (ko)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KR100480270B1 (ko) 팩시밀리의 메모리 관리방법
JP2956517B2 (ja) 通信装置
KR100219932B1 (ko)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
KR100223217B1 (ko) 수신 팩스메시지 인쇄방법
US6115543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handy scanner
JPH10186967A (ja) 画像形成装置
JP4197097B2 (ja) 画像処理装置
KR930002682B1 (ko) 팩시밀리 시스템에 있어서 문서파일 검색방법
JPH08336023A (ja) 画像メモリ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3000766B2 (ja) 通信装置
JP2002185658A (ja) 原稿読取装置および原稿読取記録装置
JPH0910192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H0215536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画情報蓄積方式
KR19990020296A (ko) 특정 상대국에 대한 송신 및 수신관리 리포트 출력방법
JPS61203753A (ja) 通信端末装置
JPH04220070A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方法
JPH07162664A (ja) 画像通信装置
KR19980065569A (ko) 팩시밀리의 예약작업 정보 변경방법
JPS61227475A (ja) 画像処理装置
JPH01183266A (ja) 画像蓄積メモリの残量表示方法
JPH0524436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