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260A - 디지털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260A
KR19980047260A KR1019960065736A KR19960065736A KR19980047260A KR 19980047260 A KR19980047260 A KR 19980047260A KR 1019960065736 A KR1019960065736 A KR 1019960065736A KR 19960065736 A KR19960065736 A KR 19960065736A KR 19980047260 A KR19980047260 A KR 1998004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xternal device
digital communication
data
viterbi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032B1 (ko
Inventor
노예철
주유상
최송인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6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0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와 외부 장치간의 데이타 전송시 비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데이타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레지스터의 수 및 처리 부하가 감소되고, 따라서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단의 오류 복구 디코더로 사용되는 비터비 디코더가 외부 장치로부터 비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데이타를 제어하는 안정화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비터비 디코더는 오류복구 코드의 일종인 길쌈 부호(Convolutional code)를 디코딩하는 기법으로 에러를 포함하는 수신된 데이타를 원래의 데이타로 복구시킨다. 또한 비터비 디코더와 외부 장치간의 데이타 전송은 DMA(Direct Memory Access)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DMA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디코딩된 데이타를 비터비 디코더내에 저장해야 하며, 따라서 이를 위해 많은 레지스터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에 의해 프로세서의 부하가 증가되어 처리속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근래에 들어 개인 휴대 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시스템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내의 레지스터의 수를 감소시키고 프로세서의 비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출력 데이타를 전송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장치로부터 비동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비동기 신호를 안정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레지스터부 및 메모리부가 제어되도록 하므로서 상기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타를 주고 받기 위한 비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타를 주고 받는 레지스터부와, 직렬로 입력된 데이타를 디코딩하는 비터비 디코더와, 상기 비터비 디코더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안정화 회로부로 구성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회로부는 비동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비동기 신호를 안정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레지스터부 및 메모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신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장치2 : 비터비 디코더
3 : 레지스터부4 : 메모리부
5 : 안정화 회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데이타를 주고 받기 위한 비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장치(1), 상기 외부 장치(1)와 데이타를 주고 받는 레지스터부(3), 직렬로 입력된 데이타를 디코딩하는 비터비 디코더(2), 상기 비터비 디코더(2)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 그리고 안정화 회로부(5)로 구성되는데, 상기 안정화 회로부(5)는 상기 외부 장치(1)로부터 비동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비동기 신호를 안정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레지스터부(3) 및 메모리부(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통신 시스템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 2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복호 프레임의 복호를 마치고 다음 프레임의 복호를 시작하기전에 상기 안정화 회로부(5)는 다음 복호 프레임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1)로부터 수신 받는다. 그리고 다음 디코딩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가)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비터비 디코더(2)는 이전 프레임에 복호된 데이타를 상기 외부 장치(1)로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다)는 신호(나)에 대하여 비동기적이고 상기 메모리부(4)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1)까지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상기 안정화 회로부(5)는 상기 신호(나)에 동기되는 신호(라 및 마)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부(3)는 상기 신호(라)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4)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1)로 전송할 데이타를 가져오고 상기 신호(마)가 저활성(Active Low)인동안 외부 데이타 버스를 통해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외부 장치(1)는 신호(라)가 저활성에서 활성(Active High)으로 변할 때 상기 데이타를 가져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라)가 저활성에서 활성으로 변할 때 상기 메모리부(4)의 주소 카운터가 증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신호(다)가 신호(나)에 대하여 비동기적으로 수신될 때는 상기 신호(나)에 동기된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메모리부(4)로부터 상기 레지스터부(3)로 데이타를 가져오고, 반 클럭(Clock) 늦은 또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레지스터부(3)의 데이타를 상기 외부 장치(1)가 가져갈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도록 하므로써 메모리 주소 카운터가 증가된다. 상기 안정화 회로부(5)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신호(나)에 비동기적으로 수신된 신호(바)를 이용하여 신호(사 및 하)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안정화 회로(5)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의해 상기 외부 장치(1)와 메모리부(4)간의 데이타 전송이 안정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출력 데이타 제어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며 외부 장치와 메모리간의 처리 속도가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장치, 비터비 디코더, 메모리, 레지스터, 안정화 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상기 안정화 회로를 비동기 신호에 의해 동작되도록 하여 입출력 데이타를 안정하게 제어하므로서 레지스터의 수 및 처리 부하가 감소되고, 따라서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가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데이타를 주고 받기 위한 비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타를 주고 받는 레지스터부와, 직렬로 입력된 데이타를 디코딩하는 비터비 디코더와, 상기 비터비 디코더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안정화 회로부로 구성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회로부는 비동기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비동기 신호를 안정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레지스터부 및 메모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
KR1019960065736A 1996-12-14 1996-12-14 디지털 통신 시스템 KR10022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36A KR100223032B1 (ko) 1996-12-14 1996-12-14 디지털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736A KR100223032B1 (ko) 1996-12-14 1996-12-14 디지털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60A true KR19980047260A (ko) 1998-09-15
KR100223032B1 KR100223032B1 (ko) 1999-10-01

Family

ID=1948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736A KR100223032B1 (ko) 1996-12-14 1996-12-14 디지털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0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032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8498A (en) Serial-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US5974058A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ing serial links
US20040193821A1 (en) Providing an arrangement of memory devices to enable high-speed data access
US4939741A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5504927A (en) System for controlling input/output data for an integrated one-chip microcomputer utilizing an external clock of a different speed for data transfer
US20030101311A1 (en) Bus system and bus interface for connection to a bus
US58623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ial-to-parallel data conversion and transmission
KR102530073B1 (ko) Rf 집적회로와 디지털 통신하는 베이스밴드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0223032B1 (ko) 디지털 통신 시스템
JPH02179046A (ja) 信号符号化方式
KR100424850B1 (ko)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JP2721458B2 (ja) チャネル装置およびそのフレーム送受信方法
JP3246096B2 (ja) ディジタル機器の自己診断装置
KR960014177B1 (ko) 병렬데이터처리시스템의 데이터통신장치
KR100496479B1 (ko) 어드레스 신호 디코딩 회로
KR940004573B1 (ko) 고속 데이타 처리 회로
JPS54140439A (en) Composite computer device
JPH03204254A (ja) データ受信装置
JP3748830B2 (ja) データ制御回路
KR970003140B1 (ko) 고속병렬동기 제어버스 방식을 이용한 정합회로
JPH1074140A (ja) データ転送方法、復号装置、データ転送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
KR20010061328A (ko)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라인 보드
KR100262692B1 (ko) 프로세서에서의디바이스제어방법
JP2000089967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11242651A (ja) インター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